KR920003123B1 - X-선 투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X-선 투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23B1
KR920003123B1 KR1019900000916A KR900000916A KR920003123B1 KR 920003123 B1 KR920003123 B1 KR 920003123B1 KR 1019900000916 A KR1019900000916 A KR 1019900000916A KR 900000916 A KR900000916 A KR 900000916A KR 920003123 B1 KR920003123 B1 KR 92000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eight
ray
arm
heav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439A (ko
Inventor
마사가쯔 야노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76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 A61B6/448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involving power assist circ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X-선 투시 촬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폿필름장치(spot film device)를 이동시키는 동력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작업장에 세워진 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4도는 동력보조장치의 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5도는 동력보조장치의 변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6도는 동력보조장치의 제2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7도는 동력보조장치의 제3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는 동력보조 장치의 제2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8a도는 동력보장치의 평면도.
제8b도는 정면도.
제8c도는 동력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드 3 : 스폿필름장치
4 : 영상증폭기 20 : 핸들
21, 61, 62 : 압력감지기 30, 55, 60 : 카운터 웨이트
33 : 피니언 35, 36 : 랙
52 : 제1샤프트 53 : 브릿지
41 : 지렛목 51 : 제1아암
58 : 제2샤프트 59 : 제2아암
본 발명은 핸들(handle assembly)에 어떤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보조하는 또 다른 힘을 발생시켜 두힘의 합으로 무거운 부품(가령 스폿필름장치)를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을 발생시키는 동력보조 장치를 구비한 X-선 투시 촬영장치(X-ray radiographing appartus)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촬영 부위가 X-선 투시 촬영장치에 놓여지게 되면, 영상증폭기(image intensifier)를 갖춘 스폿필름장치는 베드(bed)에 평행하게, 또는 테이블 머리에 근접하는(또는 멀어지는)방향으로 이동된다. X-선 투시 촬영장치는 이러한 경우에 동력보조장치를 구비한다. 스폿필름장치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힘 또는 동력이 운전자에 의해 스폿필름장치의 핸들에 가해진다. 핸들에 가해서는 힘은 한쌍의 감지기 즉, 예를 들면 압력감지기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힘에 답하는 신호가 구동 메카니즘에 공급되면 구동 메카니즘은 핸들에 이미 가해진 힘을 보조하는 또 다른 힘을 발생시킨다. 스폿필름장치는 이 2개의 힘의 합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스폿필름장치(예를 들면100-150kg)를 단지 핸들에 약간의 힘만을 가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베드는 마루에 수직으로 놓여지며 제3도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핸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수직으로 된다. 이는 핸들의 무게로 핸들 아래 위치하는 압력감지기가 잘못된 감지를 행하는 원인이 된다. 이 결과 스폿필름장치는 무제어상태로 방치된다.
핸들위에 위치한 압력감지기는 어느 값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작동될 수 없다. 이는 어떤 압력감지기의 기동력을 다른 것의 그것과 다르게하며, 그러므로 운전자는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하여 동작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압력감지기의 각각은 어떤 값보다도 작은 힘은 감지하지 못하는 전기적 불감대를 갖는다. 그러한 잘못된 감지는 그러므로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감지기가 전기적 불감대를 갖기 때문에 스폿필름장치는 운전자가 핸들에 힘을 가하는 순간 이동될 수 없으며, 또한 핸들에 가해지는 힘을 중단하는 순간 장치를 멈출 수도 없다. 다시 말하면, 수폿필름장치의 응답 속도는 느리며 정지 정밀도가 좋지 못하다. 이 결과, 운전자는 스폿필름장치의 응답 속도가 느리고 정지 정밀도가 좋지 못하다는 사실을 고려하면서 핸들을 작동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운전자에게 심각한 짐으로 부과되는 것이다. 이 압력감기기 대신에 포텐시오미터가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포텐시오미터가 잘못 감지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핸들의 기계적인 위크 포인트(mechanical weak point)의 압력을 검출하는 용도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때때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감지기가 압력을 잘못 감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X-선 투시 촬영장치의 베드가 어떤 각도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검출장치가 잘못 감지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또한 장치의 무거운 부품의 응답 속도를 높이며 그 정지 정밀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의 짐을 덜도록 되어 있는 X-선 투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 핸들에 가해진 힘을 보조하도록 또 다른 힘이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되어, 그 결과 무거운 부품이 두 힘의 합에 의해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된 동력보조장치를 구비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동력보조장치는 전술한 방향으로서의 핸들의 운동을 검출하여, 핸들의 운동에 답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와, 이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장치의 검출신호에 답하는 구동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거운 부품의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핸들의 무게와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의 무게사이의 균형을 유지시켜서 핸들의 무게에 의해 검출장치가 잘못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카운터 웨이터를 갖춘 균형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의 무게가 카운터 웨이트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테이블이 어떻게 기울어져 있다하더라도, 핸들의 아무런 중력도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종래에서와 같이 핸들 조립체의 무게에 의해 검출장치가 잘못된 감지를 행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에 따라 검출장치의 불감대역은 매우 좁게 된다. 그러므로, 스폿필름장치는 운전자가 핸들에 힘을 가하는 순간 이동되며, 운전자가 핸들에 힘을 가하는 순간 정지한다. 즉, 스폿필름장치의 응답 속도는 매우 빠르게 되고, 정지 정밀도는 더욱 향상된다. 또한, 검출장치의 기동력은 작아지게 된다. 더불어 검출장치의 기동력은 베드가 아무리 기울어 있더라도 항상 같게 된다. 그래서, 핸들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짐을 뚜렷이 덜 수 있게 된다.
핸들의 무게와 카운터 웨이트의 무게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대신에 지렛목 (fulcrum)를 축으로 하는 핸들의 회전 모멘트가 지렛목을 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의 회전 모멘트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핸들은 어떠한 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 사실은 검출장치가 핸들의 차체 중량에 의해 잘못 감지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X-선 투시 촬영장치의 한예를 보여준다.
X-선 투시 촬영장치(1)은 X-선 관(6)(제2도에 도시됨)가 설치된 베드(2)와 베드(2)위에 설치된 스폿필름장치를 구비한다. 영상증폭기(4)는 스폿필름장치(3)위에 놓여진다. X-선 투시가 행해질때, 약한 X-선이 X-선 관(6)으로부터 베드에 놓여진 환자(도시안됨)에게 쏘여지며 환자를 통과한 이 X-선은 영상증폭기에 의해 수신되어 가시영상으로 변환된다. 이 가시영상은 음극선관의 화면에 나타난다. 그리고, 필름통(도시안됨)이 개구부(5)를 통해 스폿필름장치(3)에 넣어지며, 상대적으로 강한 X-선이 X-선관(6)을 통해 환자에게 쓰여진다. 환자의 몸을 X-선에 의해 투과되며 X-선에 투과된 환자의 특정 부위의 X-선 투시 영상은 필름통속에 필름에 맺힌다. X-선에 의해 투시 촬영된 환자의 부위가 놓여질때, 스폿필름장치(3)은 테이블에 평행한 방향(±X방향)으로, 또는 베드(2)에서 멀어지거나 베드(2)로 가까워지는 방향(±Y방향)으로 X-선 관과 함께 이동된다.
제2도는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보조장치(10)을 도시한 것이다.
스프라켓(11)중 하나는 모터(12)에 의해 구동된다.
연결부재(14)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반면에 스폿필름장치(3)는 그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터(12)가 구동될때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은 X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폿필름장치(3)는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20)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압력감지기(예를 들면 로드셀 : load cell)(21)는 핸들(20)의 X방향 양쪽에 설치된다. 그래서 운전자에 의해 X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압력감지기(21)는 이 힘을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검출신호가 제어회로(22)에 공급될때, 모터구동신호가 제어회로(22)로부터 모터(12)에 공급된다. 그리고 모터(12)는 구동되어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명세하면, 운전자에 의해 핸들(20)에 가해진 힘을 보조하는 힘이 모터(12)에 의해 발생되며,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은 운전자의 힘과 보조힘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핸들에 아주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무거운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은 X-방향으로 이동된다. X-선 투시 촬영장치(1)은 때때로 미루어 제3도처럼 세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핸들도 마루에 수직으로 놓여진다. 그러므로 핸들(20) 아래 놓여진 압력감지기(21)는 핸들(20)의 차체 무게에 의해 잘못된 감지를 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스폿필름장치(3)은 무제어상태로 방치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동력보조장치(10)의 실시예 1은 핸들(20)의 무게와 균형을 맞추는 카운터 웨이트(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실이 핸들(30)의 차체 무게에 의해 압력감지기(21)가 잘못된 감지를 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를 명세하면, 핸들(20)은 스폿필름장치(3)의 하우징(3-1)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한쌍의 미끄럼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줄(31)의 각각은 미끄럼부 (20-1)의 각각으로부터 나와서 여러개의 풀리(32)를 따라 카운터 웨이트(30)에 연결된다. 핸들(20)의 무게를 W1이라고 하고 카운터 웨이트(30)의 무게를 W2라 하면 W1≒W2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핸들(20)은 무중력상태로 놓여진다. 이 사실이 핸들(20)의 차체 무게에 의해 압력감지기(21)가 잘못 감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래서 압력감지기(21)의 각 불감대역은 더욱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스폿필름장치 (3)와 X-선 관(6)은 운전자가 핸들(20)에 힘을 가하는 순간 이동되며, 또 힘을 가하는 순간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하면, 응답 속도는 빨라지며 정지 정밀도는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압력감지기(21)의 기동력은 더욱 작게 된다. 또한 한쌍의 압력감지기(21)의 기동력은 똑같도록 된다. 이러한 사실은 운전자의 점을 더욱 뚜렷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심지어는 베드(2)가 기울어져 있을 때도, 핸들(20)의 무게 성분은 카운터 웨이트(30)의 무게 성분과 균형을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역시 압력감지기(21)가 잘못 감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제1동력보조장치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핸들은 속이 비어 있는 막대(hollow)이며, 카운터 웨이트(30)는 핸들(20)의 속이 빈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그래서, 동력보조장치(10)은 형상에서 좀더 압축되며 무게가 가볍게 된다. 본 발명의 동작은 실시예 1과 같다.
제6도는 제1동력보조장치의 두번째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핸들(20)과 카운터 웨이트(30)사이의 동력전달은 랙과 피니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명세하면, 피니언(33)은 고정된 샤프트(34)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탱된다. 피니언(33)가 맞물린 제1 및 제2랙(35), (36)은 핸들(20) 및 카운터 웨이트(30)에 각각 부착된다. 그러므로 핸들(20)이 아래로 이동할 때, 카운터 웨이트는 위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핸들(20)은 카운터 웨이트(30)과 균형을 이룬다. 압력감지기 (21)의 잘못된 감지는 이 경우에도 방지된다.
제7도는 제1동력보조장치의 제3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지렛목(41)을 축으로 하는 핸들(20) 무게의 회전 모멘트는 지렛목 (41)을 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30)의 회전 모멘트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를 명세하면, 아암(42)는 지렛목(41)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카운터 웨이트 (30)은 이 아암(4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핸들(20)의 아랫쪽 미끄럼부(20-1)에는 맞무는 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은 아암(42)의 다른쪽 단부에 부착된 핀(44)를 맞물고 있다. 그래서, 핸들(20)이 아랫쪽으로 움직이면 카운터 웨이트(30)은 위로 움직인다. 또한 지렛목(41)으로부터 핸들(20)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1"이라 하고, 지렛목(41)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30)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2"라고 하며, 핸들 (20)의 무게를 "W1", 카운터 웨이트(30)의 무게를 "W2"이라고 하면, W1·l1≒W2·l2가 성립한다. 그래서 핸들(20)과 카운터 웨이트(30)의 두 모멘트는 각각 균형을 이루게 되며, 핸들(20)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 사실은 압력감지기(21)가 핸들(20)의 무게로 잘못된 감지를 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8a도 내지 제8c도는 본 동력보조장치의 실시예 2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스폿필름장치 및 X-선 관은 베드와 평행한 방향(±X방향)으로, 그리고 베드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Y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한쌍의 제1아암(51)은 각각 핸들(20)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스폿필름장치(3)의 하우징(3-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한쌍의 제1샤프트(52)(Y방향으로 지렛대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가 제1아암(51)에 각각 고정된다. 핸들(20)은 그리하여 Y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아암 (51)의 전단부는 브릿지(53)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Y방향의 카운터 웨이트(55)는 브릿지(53)에 부착되어 있다. 제1샤프트(52)에는 그 원심 말단부에 맞무는 흠이 형성되어 있다. 핀(57)은 이 맞무는 홈(56)에 끼워져 있으며 제2샤프트(58)(이는 ±X방향으로 지렛대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탱된 제2아암(59)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X방향으로의 카운터 웨이트(60)는 제2아암(59)에 부착된다. X방향의 한쌍의 압력감지기는 제1아암(51)에 마주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Y방향으로의 또 다른 압력감지기(62) 한쌍은 그들 사이에 놓여진 브릿지(53)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핸들(20)이 제2샤프트(58)주위를 회전할 때, X방향의 운동은 압력감지기 (61)에 의해 검출된다. 제1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할때, Y방향으로의 운동은 압력감지기(62)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X방향 지렛목 작용을 하는 제2샤프트(58)를 축으로 하는 핸들(20) 무게의 회전 모멘트는 제2샤프트(58)을 축으로 한 카운터 웨이트(60) 무게의 회전 모멘트와 균형을 이룬다.
이를 명세하면, 핸들(20)과 카운터 웨이트(55)의 무게의 합을 W0,X방향 지렛목 작용을 하는 제2샤프트(58)로부터 핸들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1x이라 하고, 카운터 웨이트(60)의 무게를 W2x, X방향 지렛목 작용을 하는 제2샤프트(58)로부터 카운터 웨이트(60)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2x라 하면 Wo·l1x≒W2X·l2x가 성립된다. 그러므로, X방향이 수직을 유지하여도 핸들(20)은 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압력감지기(61)가 핸들(20)의 무게로 인해 잘못된 감지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유사하게 Y방향 지렛목 작용을 하는 제1샤프트(52)를 축으로 하는 카운터 웨이트(55)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즉, 제1샤프트(52)로부터 핸들(20)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1Y, 지렛목(52)로부터 카운터 웨이트(55)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2Y라고 하고, 핸들(20)의 무게를 W1, 카운터 웨이트(55)의 무게를 W2Y라고 하면, W1. l1Y=W2Y.l2Y가 성립하게 된다. 그러므로 심지어는 Y방향이 수직이 되더라도 핸들(20)은 중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사실은 압력센서(62)가 핸들(20)의 무게에 의해 잘못 감지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므로 실시예 2에서, X방향으로 수직이 될때 뿐아니라 Y방향으로 수직이 될때에도 압력감지기는 핸들 무게에 의해 잘못된 감지를 할 우려가 없다. 그래서, 두쌍의 압력감지기의 불감대역은 각각 더욱 좁아지게 된다. 이리하여, 스폿필름장치(3)와 X-선 관(6)의 응답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정지 정밀도는 더욱 향상되게 되었다. 또한, 두쌍의 압력감지기의 기동력은 더욱 작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쌍으로된 압력 감지기의 기동력은 각각 똑같게 되었다. 그러므로, 스폿필름장치(3)과 X-선 관(6)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전자의 짐을 뚜렷이 줄어 들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핸들의 압력을 측정하는 데는 압력감지기 대신에 포덴시오메터나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은 제1도에 도시된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폿필름장치 X-선 관 뿐만 아니라 다른 무거운 부품도 동력보조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Claims (13)

  1. 한 방향으로 핸들(20)에 가해진 힘을 보조하도록 또 다른 힘이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되어, 그 결과 무거운 부품(3)이 두 힘의 함에 의해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술한 방향으로의 핸들의 운동을 검출하며, 핸들(20)의 운동에 답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장치(21)와, 이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장치에 검출신호에 답하는 구동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거운 부품(3)을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장치(22)와, 핸들(20)의 무게와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30)의 무게사이의 균형을 유지시켜서 핸들(20)의 무게에 의해 감지장치 (21)가 잘못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카운터 웨이트(30)를 갖춘 균형장치를 구비하는 동력보조장치(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20)을 카운터 웨이트(30)로 연결하는 줄(31)과 이줄을 안내하는 여러개의 풀리(32)를 구비한 상기의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안에 카운터 웨이트(30)를 구비한 핸들(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무거운 부품(3)을 회전형으로 지탱하는 피니언(33), 핸들 (20)에 부착되고 피니언(33)을 물고 있는 제1랙,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30)에 부착되고 피니언(33)을 물고 있는 제2랙(36)으로 구성된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무거운 부품이 장치의 베드(2)에 평행하게 이동되는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6. 한 방향으로 핸들(20)에 가해진 힘을 보조하도록 또 다른 힘이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되어, 그 결과 무거운 부품(3)이 두 힘의 합에 의해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의 동력보조장치(10)는 전술한 방향으로의 핸들(20)의 운동을 검출하여, 핸들(20)의 운동에 답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장치 (21) (61) (62)와, 이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장치에 검출신호에 답하는 구동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거운 부품(3)을 전술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장치(22)와, 지렛목 (41) (52) (58)을 축으로 하는 핸들(20)의 회전 모멘트와 카운터 웨이트(30)(55)(60)의 회전 모멘트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핸들의 무게에 의해 감지장치(21)(61)(62)가 잘못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카운터 웨이트 및 핸들(20)과 카운터 웨이트 (30) (55) (60)를 회전형으로 받혀주는 지렛목(41)(52)(58)을 구비한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지렛목(41)(52)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받혀지며 한쪽 끝에는 핸들(20)이, 다른쪽 끝에는 카운터 웨이트(30)(55)가 연결되어 있는 제1아암 (42)(51)을 구비하는 균형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지렛목(41)(52)으로부터 핸들(20)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1, 지렛목(41)(52)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30)(55)까지의 아암의 길이를 l2라고 하고, 핸들(20)의 무게를 W1, 카운터 웨이트(30)(55)의 무게를 W2라면 Wl1≒W2·l2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1아암(42)의 한쪽 단부와 핸들(20)의 한쪽 단부를 맞무는 장치를(43)(44)를 구비한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무거운 부품(3)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놓여지며 지렛목으로 정의되는 제1샤프트(52)를 구비한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무거운 부품이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이며, 이들은 본 장치의 베드(2)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한쪽끝이 한쪽 제1샤프트(52)의 단부에 맞물려 있는 제2아암(59), 제2샤프트(58)를 축으로 핸들(20)이 제2이동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아암(59)을 회전형으로 지탱하는 제2샤프트(58), 제2샤프트(58)를 축으로 하는 핸들(20)의 회전 모멘트와 균형을 이루도록 제2샤프트(58)를 축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며 제2아암(59)의 다른쪽 단부에 부착된 제2카운터 웨이트(60)를 구비한 균형장치를 포함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거운 부품(3)은 스폿필름장치(3) 및 X-선 관(6)이며, 상기 제 2이동 방향은 본 장치의 베드(2)에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 촬영장치.
KR1019900000916A 1989-01-27 1990-01-25 X-선 투시 촬영장치 KR920003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31389 1989-01-27
JP18313 1989-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39A KR900011439A (ko) 1990-08-01
KR920003123B1 true KR920003123B1 (ko) 1992-04-20

Family

ID=1196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916A KR920003123B1 (ko) 1989-01-27 1990-01-25 X-선 투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0202A (ko)
EP (1) EP0380076B1 (ko)
JP (1) JPH02277443A (ko)
KR (1) KR920003123B1 (ko)
DE (1) DE6900339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0791A1 (de) * 1992-12-04 1994-06-09 Philips Patentverwaltung Röntgengerät mit einem Hydrauliksystem
US5748696A (en) * 1993-11-26 1998-05-05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ation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DE4433036A1 (de) * 1994-09-16 1996-03-21 Philips Patentverwaltung Röntgenuntersuchungsgerät
ES2146553B1 (es) * 1998-11-28 2001-03-01 Es De Electromedicina Y Calida Sistema para el accionamiento controlado de un dispositivo propulsado por electromotor.
JP2000342561A (ja) * 1999-06-03 2000-12-12 Shimadzu Corp 血管造影用x線透視撮影装置
US7497625B2 (en) * 2004-06-08 2009-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of an extending column
US7519441B2 (en) * 2005-09-30 2009-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ed assistance of a motorized support device
US7607183B2 (en) * 2005-11-15 2009-10-27 General Electric Company Braking system for a positioner in a medical imaging apparatus
US8128074B2 (en) * 2006-11-14 2012-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tensioning mount for belts
US7566170B2 (en) * 2007-03-22 2009-07-28 Matthew Aaron Halsmer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of an image receptor arm
JP2010221003A (ja) * 2009-02-26 2010-10-07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装置
WO2018042483A1 (ja) * 2016-08-29 2018-03-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用保持機構およびx線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7590A (en) * 1976-10-18 1978-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assist device using strain responsive means
US4163929A (en) * 1978-07-28 1979-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e apparatus for a power-assist device
DE2842513A1 (de) * 1978-09-29 1980-04-03 Siemens Ag Roentgenuntersuchungsgeraet
US4208586A (en) * 1978-11-21 1980-06-17 Raytheon Company Power assist fluoroscopic table
US4365345A (en) * 1978-11-21 1982-12-21 The Machlett Laboratories, Incorporated Servo operated fluoroscopic table
US4363128A (en) * 1980-09-29 1982-12-07 John K. Grady X-Ray drive apparatus
US4829844A (en) * 1987-11-25 1989-05-16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assist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3399T2 (de) 1994-02-24
EP0380076B1 (en) 1993-09-22
US5050202A (en) 1991-09-17
EP0380076A1 (en) 1990-08-01
JPH02277443A (ja) 1990-11-14
KR900011439A (ko) 1990-08-01
JPH0579334B2 (ko) 1993-11-02
DE69003399D1 (de) 199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123B1 (ko) X-선 투시 촬영장치
US4868845A (en) X-ray apparatus with a movable part
US5596779A (en) Medical apparatus comprising a movable patent table having a common control member for operating longitudinal drive and locking mechanisms
US9675308B2 (en) Radiography system and moving method thereof
US9757080B2 (en) Radiograph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283603B2 (ja) モータ駆動式の架台
JP2648274B2 (ja) 医療用位置検出装置
US4107590A (en) Power assist device using strain responsive means
EP1202668B1 (en) Medical apparatus provided with a collision detector
JP3385055B2 (ja) 検眼装置
JPH09238931A (ja) X線診断装置
JPH07299789A (ja) スピンドル駆動装置を備えた平行つかみ
JP4620428B2 (ja) 眼科装置
JPS5828492A (ja) リモート・センタ・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用力検出装置
EP3136969B1 (en) Radiographic system
US20210275119A1 (en) Sensor system for an actuator, actuator and method for moving an actuator part
JP5106593B2 (ja) 眼科装置
US6006616A (en) Semiconductor tester with power assist for vertical test head movement
JP4779894B2 (ja) X線撮影装置
NO885244L (no) Elektrisk kjoeretoey.
CN106226011B (zh) 一种测试并联机构扭转刚度的装置
JP2007330440A (ja) X線透視撮影装置
JP6356898B1 (ja) ゴニオメータのディテクタサークルにおいてモータ駆動トルク補償を行なうx線装置
JP2007178230A (ja) X線検査装置
JPH05133826A (ja) 負荷下にある駆動軸の連結部の力とモーメントとを測定する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