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00Y1 -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00Y1
KR920003100Y1 KR2019890019873U KR890019873U KR920003100Y1 KR 920003100 Y1 KR920003100 Y1 KR 920003100Y1 KR 2019890019873 U KR2019890019873 U KR 2019890019873U KR 890019873 U KR890019873 U KR 890019873U KR 920003100 Y1 KR920003100 Y1 KR 920003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upport roller
auxiliary support
rac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713U (ko
Inventor
박준공
신수현
Original Assignee
박준공
신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공, 신수현 filed Critical 박준공
Priority to KR2019890019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00Y1/ko
Publication of KR910011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측면도.
제3도는 작용상태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 컨베이어 2 : 후레임
3 : 좌 우 지지대 4 : 보조지지로울러
5 : 회전축 5' : 작동편
6 : 원복스프링 7 : 승강컨베이어
8 : 모터 9 : 피니언
10 : 가이드 11 : 랙
본 고안은 횡행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와 고정 컨베이어사이의 요입공간부를 보조지지로울러를 구성하여 차량 이송이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요동을 방지코져한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횡행식 주차장치에 있어서 승강 컨베이어와 고정 컨베이어 사이에는 부득불 측면상에서 보면 부체꼴 형상의 요입공간부가 생기게되고 이를 커번할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지 않아 차량을 승강 컨베이어에서 고정컨베이어를 또는 이와 역으로 이송할때에 부채꼴형상의 요입공간부에 차체의 바퀴가 빠져들어갔다가 이송되므로 컨베어어 전체에 요동이 일어나 이송이 원활치 못하였는바, 본 고안은 상술한 폐단을 시정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 컨베어어(1)의 후레임(2)일측에 좌 우 지지대(3)로 축설된 보조지지로울러(4)를 설치하되 좌 우 지지대(3)와 일체로된 회동축(5)내부에는 원복스프링(6)을 내장하고 일축에는 작동편(5')을 돌설하며, 승강 컨베이어(7)에는 모터(8)와 연결된 피니언(9)과 가이드(10)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랙(11)을 맞물림하여 랙(11)의 단부가 회동축(5)의 작동편(5')을 단속토록한 것이다.
[도면중의 미설명 부호]
(12)는 차량
(13)은 컨베이어 구동모터
(14)는 컨베이어 구동로울러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승강 컨베이어(7)에 주차코져하는 차량(12)을 적재하고 주차코져하는 층까지 이르면 승강 컨베이어(7)는 주차코져하는 층의 고정 컨베이어(1)와 수평선상에 이르게되고 승강 컨베이어(7)의 컨베이어 구동모터(13)및 모터(8)가 회동케 되는데 이때 모터(8)에 연결된 피니언(9)이 컨베이어 구동로울러(14)와 동시에 회동하여 이와 맞물린 랙(11)이 고정 컨베이어(1)의 보조지지로울러(4) 회동축(5)의 작동편(5')을 밀게되어 회동축(5)이 회동하면서 이와 일체로 연결구성된 보조지지로울러(4)가 고정 컨베이어(1)와 승강 컨베이어(7)사이의 부채꼴 형상의 요입공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보조지지로울러(4)가 요입공간부에 위치하면 모터(8)는 OFF되고 컨베이어 구동모터 (13)는 계속 회동하여 승강 컨베이어(7)에 적재된 차량(12)이 보조지지로울러(4)를 타고 요동없이 원활하게 고정 컨베이어(1)로 이송케 되며, 차량(12)의 이송이 완료되면 모터(8)가 역회전하여 피니언(9)의 역회동으로 랙(11)이 작동편(5')에서 이격되어 원복되고 동시에 보조지지로울러(4)도 원복스프링(6)에 의해 원복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 컨베이어(1)와 승강 컨베이어(7)사이에 부득불 생기게되는 부채꼴 요입 공간부에 차량이 이송될시에 발생하는 차량요동 및 컨베이어의 요동을 보조지지로울러(4)의 작용으로 미연에 방지할수 있어 주차장치의 수명연장및 차량이송을 원활히 수행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고정 컨베이어(1)의 후레임(2)일측에 회동축(5)과 일체로 된 좌우 지지대(3)에 보조지지로울러(4)를 설치하되, 회동축(5)내부에는 원복스프링(6)을 내장하고 일측에는 작동편(5')을 돌설하며, 승강컨베이어(7)에는 모터(8)와 연결된 피니언(9)과 랙(11)을 맞물림하여 랙(11)의 단부가 회동축(5)의 작동편(5')을 단속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KR2019890019873U 1989-12-23 1989-12-23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KR920003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73U KR920003100Y1 (ko) 1989-12-23 1989-12-23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73U KR920003100Y1 (ko) 1989-12-23 1989-12-23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13U KR910011713U (ko) 1991-07-29
KR920003100Y1 true KR920003100Y1 (ko) 1992-05-21

Family

ID=1929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873U KR920003100Y1 (ko) 1989-12-23 1989-12-23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1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13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100Y1 (ko) 횡행식 주차장치의 보조지지로울러 구동장치
CN209306898U (zh) 一种具有转向装置的托盘搬运车
KR200280709Y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장치
KR200163899Y1 (ko)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JPH032799B2 (ko)
KR920004023B1 (ko) 입체주차 설비의 자동입출고 장치
CN218553100U (zh) 转向结构、底座及汽车模型
JPH0638454U (ja) コンバイン
JP2849732B2 (ja)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ロードホイールの操舵装置
CN112160636B (zh) 一种智能停车设备
CN215944713U (zh) 一种履带自卸车行走控制装置
CN218806014U (zh) 一种助力型手推车
JPH0755612Y2 (ja) 三輪式無人車
CN214087417U (zh) 一种直臂式可横向移动的汽车吊
CN214189860U (zh) 一种具有举升功能的自动导引运输车
JPH0733734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における台車受け渡し装置
CN220809417U (zh) 一种防脱轨轨道运输平板车
JPH037484Y2 (ko)
JPS6245771Y2 (ko)
JP2631327B2 (ja)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ロードホイールの操舵装置
JPH0543830Y2 (ko)
JP2508259Y2 (ja) 自動車の方向転換用タ―ンテ―ブル
JP2556647Y2 (ja) 自動車移動駐車装置
KR970005631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리프팅 장치
KR19980058764U (ko) 무인반송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