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99Y1 -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 Google Patents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99Y1
KR920002999Y1 KR2019900010131U KR900010131U KR920002999Y1 KR 920002999 Y1 KR920002999 Y1 KR 920002999Y1 KR 2019900010131 U KR2019900010131 U KR 2019900010131U KR 900010131 U KR900010131 U KR 900010131U KR 920002999 Y1 KR920002999 Y1 KR 920002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nshade
shaft
driven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404U (ko
Inventor
양태규
Original Assignee
양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규 filed Critical 양태규
Priority to KR2019900010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999Y1/ko
Publication of KR920002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91Foldable sun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정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이 구동 가이드 함체위에 절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제어박스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기어뭉치와 종동 블록에 대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우터축 2' : 연동측
3 : 좌측기어 3' : 우측기어
4, 4' : 기어뭉치 5, 5' : 가이드횡홈
6, 6' : 함체 7 : 결합돌기
7' : 결합요부 8, 8' : 종동블록
9, 9' : 축봉 10, 10' : 차양판 지지대
11, 11' : 구동샤프트
본 고안은 특히 하절에 따가운 태양광선을 승용차 내에서 차양하려는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인 작용에 의하여 구동가이드 항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뭉치의 회동에 의하여 기어뭉치에 나사끼우기 되어 있는 종동블럭의 전후진 작동으로 구동가이드 함체와 차양판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차양판은 정차시에는 전개되어서 차양이 가능하고, 반대로 주차시에는 차양판은 구동가이드 함체상에 절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승용차용 차양판은 연질의 합성수지판을 승용차의 앞 뒤 유리창 크기에 알맞게 만들어서 주차시에는 유리창 내측에 유리창 가리게용으로 설치하여 차양효과를 얻으려는 수단과, 약간 두꺼운 후지등을 절첩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승용차 유리창의 차양용으로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차양 수단들은 차양판의 양쪽단부에 부착 수단이나 연결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 차양용으로 설치하고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또한 제거한 다음에는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단점도 수반하였다.
이와같은 단점들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아래쪽 기판이 되는 구동가이드 함체의 우측단부에 차양판 지지대의 하단부를 돌쩌귀식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서로 헐겁게 끼움을 하되, 구동가이드 함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뭉치의 종동블록과 차양판 지지대간에 헐겁게 끼움을 하고있는 구동샤프트의 하단부가 종동블록의 전후진 운동에 의하여 차양판 지지대를 90도 각도로 세우고 눕히도록 하게 되므로, 차양판은 손쉽게 전개되고, 절첩되어서, 필요시에 따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차양판의 절첩과 전개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모우터(1)에 축착된 모우터축(2)의 바깥둘레에는 좌측기어(3)가 형성된 기어뭉치(4)를 끼워붙임을 하되, 전면에 가이드횡홈(5)이 수평으로 개설되고 내부가 중공된 구동가이드 함체(6)의 내부에 기어뭉치(4)를 수납하여서, 모우터축(2)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는 함체(6)의 우측단부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하고, 또한 기어뭉치(4)의 바깥둘레에 나사끼움이 되어 있는 종동블록(8)의 축봉(9)은 가이드횡홈(5)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하고, 함체(6)의 우측 단부 상에는 차양판 지지대(10)의 하단부를 돌쩌귀식으로 헐겁게 해서, 종동블록(8)의 축봉(9)과 차양판지지대(10) 사이를 구동사프트(11)로 연결한다.
구동가이드 함체(6)와 대응하는 중공된 우측함체(6')에도 가이드횡홈(5')을 수평으로 개설해서, 우측기어(3')를 형성한 기어뭉치(4')가 바깥둘레에 끼워 붙임이된 연동축(2')을 중공된 우측 함체(6')의 내부에 수납하여서 기어뭉치(4')의 바깥둘레에 나사끼움이 되어 있는 종동블록(8')의 축봉(9')은 가이드횡홈(5')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하고, 연동측(2')의 좌측단부에 요설되어 있는 결합요부(7')는 함체(6')의 좌측단부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하며, 또한 함체(6')의 좌측단부 상에는 차양판 지지대(10')의 하단부를 돌쩌귀식으로 헐겁게 끼움을 하며, 종동블록(8')의 축봉(9')과 차양판 지지대(10')사이를 구동샤프트(11')로 연결하고, 함체(6), (6')와 지지대(10), (10')사이에는 절첩된 차양판(12), (12')을 설치한 구조이다.
13, 13'는 리미트 스위치, 14, 14'는 리미트스위치, 15는 전원코오드, 16은 입력전원, 17는 업스위치, 18은 다운 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정면으로 가이드 횡홈(5), (5')이 개설되고 내부가 중공된 구동가이드함체(6)와 우측함체(6')내에 각각 좌측기어(3)가 형성된 기어뭉치(4)와 우측기어(3')가 형성된 기어뭉치(4')가 모우터축(2)과 연동측(2')의 바깥둘레에 끼워붙임이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또한 모우터축(2)의 결합돌기(7)는 연동축(2')의 결합요부(7')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업스위치(17)를 가압해서 전원코오드(15)를 거쳐서 모우터(1)에 전원을 급전하게 되면, 모우터(1)의 정회전으로 기어뭉치(4), (4')는 모우터축(2)과 연동축(2')과 같이 정위치에서 회전하면서, 종동블록(8), (8')을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우측에 위치한 기어뭉치(4')의 기어는 좌측에 위치한 기어뭉치(4)의 기어와는 정반대로 우측기어(3')를 형성하여 있는 관계로, 이 좌우측기어(3), (3')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동블록(8), (8')은 서로 근접하였다가 다운스위치(18)의 조작에 의하여 서로 벌어지게 되며, 이와같이 스위치(17), (18)의 조작으로 종동블록(8), (8')은 서로 근접하였을때에는 가이드횡홈(5), (5')에 설치하여 있는 리미트 스위치(14), (14')와 접촉하여서 정지하게 되고, 반대로 종동블록(8), (8')이 벌어졌을때에는 리미트 스위치(13), (13')와 접촉하여서 모우터(1)의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블록(8), (8')이 서로 접근하고 벌어지는 작동에 의하여, 종동블록(8), (8')의 축봉(9), (9')과 차양판 지지대(10), (10')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샤프트(11), (11')는 지지대(10), (10')를 끌어세우게되어서 함체(6), (6')와 지지대(10), (10')들은 각기 90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함체(6), (6')와 지지대(10), (10')간에 설치된 차양판(12),(12') 합죽선과 같이 180도의 전개상태가 되고, 또한 반대로 구동샤프트(11), (11')는 지지대(10), (10')를 끌어 내리게 되어서, 차양판(12), (12')은 절첩상태로 함체(6), (6')상에 지지대(10), (10')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모우터축(2)의 결합돌기(7)과 연동축(2')의 결합요부(7')를 붙이고 떼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있는 것은 제작상에 있어서나, 승용차의 앞 뒤 유리창에 설치할때의 간편점을 감안한 것이며, 본 고안의 차양판(12), (12')은 전개하였을 때 합죽선과 같이 180도로 펴지게 되므로, 비교적 타원형으로 형성된 승용차의 앞 뒤 유리창을 이상적으로 차양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스위치(17)와 다운스위치(18)의 조작만으로 차양판(12), (12')을 손쉽게 펼치고 접을수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좌측기어(3)가 형성된 기어뭉치(4)는 단부에 결합돌기(7)가 형성된 모우터축(2)의 바깥둘레에 끼워붙임하고, 우측기어(3')가 형성된 기어뭉치(4')는 단부에 결합요부(7')가 형성된 연동축(2')의 바깥둘레에 끼워붙임을 해서 좌우측 기어(3), (3')에 축봉(9), (9')이 연설된 종동블록(8), (8')을 각각 나사끼움한 다음, 이를 가이드횡홈(5), (5")이 개설된 중공의 함체(6), (6')내에 설치하고 함체(6),(6')의 일단부상에 차양판 지지대(10), (10')의 하단부를 돌쩌귀식으로 헐겁게 끼움하여 지지대(10), (10')와 축봉(9), (9')사이를 구동샤프트(11), (11')로 연결함과 동시에 결합돌기(7)는 결합요부(7')내에 끼우고 떼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KR2019900010131U 1990-07-10 1990-07-10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KR920002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131U KR920002999Y1 (ko) 1990-07-10 1990-07-10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131U KR920002999Y1 (ko) 1990-07-10 1990-07-10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04U KR920002404U (ko) 1992-02-24
KR920002999Y1 true KR920002999Y1 (ko) 1992-05-18

Family

ID=1930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131U KR920002999Y1 (ko) 1990-07-10 1990-07-10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04U (ko)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693B2 (en) Sun screen for a motor vehicle
KR920002999Y1 (ko) 절첩이 가능한 차양판
KR910005898Y1 (ko) 자동차용 차양 장치의 구동 장치
CN2326472Y (zh) 板式汽车防雨遮阳装置
KR200147486Y1 (ko) 절첩식 햇빛차단장치
KR200268500Y1 (ko) 차량용 차양
KR200171561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KR19980053191U (ko) 자동차 사이드 윈도우용 차광장치
CN217892586U (zh) 一种电动头蓬结构及儿童安全座椅
KR0138889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20030077693A (ko) 자동차의 눈부심 제거용 편광판
KR20020055682A (ko) 자동차 리어윈도우 글래스용 커튼 구동장치
KR20050008168A (ko) 차량용 선 바이저
KR100435861B1 (ko)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920003166Y1 (ko)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KR100536407B1 (ko) 철도차량의 차광장치
KR910007143Y1 (ko) 차량용 차광판
JPH022081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200170053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960005210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299075Y1 (ko) 차량용 햇빛 차단보드
KR0138872Y1 (ko) 차량용 선 바이저
KR19980054269A (ko) 차량의 루프덮개 다단접철방법
KR0133207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선 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