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66Y1 -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66Y1
KR920003166Y1 KR2019900002584U KR900002584U KR920003166Y1 KR 920003166 Y1 KR920003166 Y1 KR 920003166Y1 KR 2019900002584 U KR2019900002584 U KR 2019900002584U KR 900002584 U KR900002584 U KR 900002584U KR 920003166 Y1 KR920003166 Y1 KR 920003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vehicle
sides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658U (ko
Inventor
황윤택
Original Assignee
황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택 filed Critical 황윤택
Priority to KR2019900002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66Y1/ko
Publication of KR910016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6Control means for actuating the roller blind, e.g. usin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77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설치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과 이와 연설된 가이드 프레임에 안내되어진 차폐막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케이싱의 일측 부분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제5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폐막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상태에서 구동 모우터에 의한 와이어의 당김작용으로 인하여 차폐막이 양측으로 늘어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케이싱 2, 2a : 가이드프레임
4 : 차폐막 6, 6a : 와이어
7, 7a : 가이드로울러 9, 9a : 구동모우터
12 : 정역 스위치 15, 15a : 회전로울러
18 : 횡축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차내에 설치된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차 전후방 차창에 설치한 차폐막의 개폐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공보 (소)54-115, 052호 및 (소)63-89, 822호가 있으나, 이들 선행기술에 개시된 구성은, 자동차의 전후방 범퍼 및 트렁크 내부에, 카바가 권장(卷奬)된 케이싱을 설치하여 주차시에 권장된 카바를 당기어 전후방 범퍼등에 걸고리로 괘지할 수 있도록 제안된 정도이다.
이와 같은 카바는 사람들이 차외부로 나아가 일일이 권장된 카바를 당기어 차량전체를 씌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카바를 별도로 보관하여야만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시에는 차내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전후방 차창을 동시에 폐방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주행시에는 전후방 차창에 설치된 차폐막을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제한 조절하여 개, 폐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 차창에 설치한 차폐막이 정역 스위치에 의해 각각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시 후방창으로 비추어지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전방차창에 설치된 차폐막도 필요한만큼 개방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에 또 다른 목적은, 주차시 차내에서 정역스위치의 조작으로 전후방 차창에 설치된 차폐막을 동시에 폐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여름철의 뜨거운 태양광선으로 부터 실내온도의 상승을 막을 수 있고 겨울철 차창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카바 역할과 차광막으로서의 양분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차폐막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 차창의 상부에 차폐막이 권장(卷奬)된 케이싱을 각각 설치하며 차폐막의 양측단부에 와이어를 설치시켜 일측 구동모우터에 설치된 풀리에 의해 와이어를 권회(卷回)시킴으로써 차폐막을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폐방된 차폐막을 개방시킬 때에는 차내부에 설치된 정역(正逆) 스위치의 온 보우턴을 누르게 되면, 구동모우터가 역회전되어 권회된 와이어가 풀리면서 케이싱 양측단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차폐막이 권장됨으로 개방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의 제1도 내지 제5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일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로서, 자동차(a)의 전후방 차창 프레임(b), (c)의 상부면에, 양측으로 가이드 프레임(2), (2a)이 연설된 케이싱(1), (1a)을 고정 스크류(3)로 유동됨이 없도록 같은 구성의 일개조로 설치한다.
케이싱(1), (1b) 내부에는, 일반 합성수지와 고무사를 복합 직조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천(4a)으로 형성된 차폐막(4)이 권장되며 이들 양측면은 가이드 프레임(2), (2a)의 안내홈(5), (5a) 내부로 안내시켜 양측에서 와이어(6), (6a)를 설치함으로서, 자동차의 전후방 차창에 있어 상하부의 폭에 관계없이 신축성에 의한 전면적을 차폐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와이어(6), (6a)는 가이드 로울러(7), (7a)들에 의해 안내되어 브래킷(8), (8a)에 고정 설치된 구동 모우터(9), (9a)의 풀리(10, (10a)에 권회되도록 설치하며 구동 모우터는 전원선(11)과 연결되어 한쌍의 정역 스위치(12)와 연설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1), (1b)과 이와 연설된 가이드 프레임(2), (2a)에 설치된 차폐막(4)을 보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 케이싱(1), (1b) 일측부분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상세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1개조로 설치된 케이싱(1), (1b)의 양측단에 삽입되어 고정스크류(3)에 고정된 케이싱마개(13), (13a)의 삽입공(14), (14a)에 회전로울러(15), (15a)를 회동가능토록 설치하고, 이들 회전로울러(15), (15a)의 측단부에 형성된 지지공(16), (16a)에 로울러(17), (17a)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된 횡축(18)을 유설한다.
또한 양측부에 코일 스프링(19), (19a)이 각각 탄설된 회전로울러(15), (15a)에 차폐막(4)의 후단면이 고정스크류(3)에 의해 착설되며,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스크류들은 동일부호로서 표기하였고, 케이싱(1), (1a) 및 구동모우터(9), (9a)를 제외한 나머지는 1개조의 동일 구성이므로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제5a도, 제5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폐막(4)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차폐막(4)을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킴에 있어서, 전후방 차창의 상하부 폭에 관계없이 전면을 차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와 고무사가 복합적으로 직조된 신축 가능한 천(4a)을 차폐막(4)의 양측 외곽부(4b), (4c)를 제외한 차폐막의 중앙 종방향 부위에만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면중 설명치 않은 (20)은 전방 차창이며, (21)은 후방차창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a)를 장시간 주차시킬 경우 전후방 차장(20), (21)의 상부면에 고정스크류(3)에 의해 설치된 케이싱(1), (1a)내의 차폐막(4)의 폐방 상태를 설명한다.
차내에서 한쌍의 정역 스위치(12)에 설치된 두 개의 ON 보우턴을 누르게 되면 구동 모우터(9), (9a)가 동작된다.
이때 회동되는 풀리(10), (10a)에 의하여 전후방에 설치된 와이어(6)가 가이드로울러(7), (7a)들에 안내되어 풀리(10), (10a)에 권회된다.
따라서, 케이싱(1), (1a)내부에 권장되어 있던 차폐막(4)은 인출구(1b)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2), (2a)의 안내홈(5), (5a)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향 폐방 이동을 시작한다.
이때 이동되는 차폐막(4)은 양측으로 늘어나면서 전후방 차창(20), (21)을 폐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차폐막(4)이 합성수지사와 고무사가 복합적으로 직조된 신축성을 갖는 천(4a)으로 형성된 것임으로 하향권회되는 와이어(6)가 고정된 가이드 로울러(7), (7a)들에 의해 전후방 차창(20), (21)의 하부면과 같은 최대의 폭으로 지지 안내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내에서 사용자의 소망대로 폐방이 되었을 때에는 정역 스위치(12)의 OFF 보우턴 조작으로 간편하게 전후 차폐막(4)을 폐방시키는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주행시에는, 전방차창(20)은 상측으로 조금만 남기어 진행방향으로 부터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차광할 수 있게 하고 나머지는 케이싱(1) 내부로 권장시키며, 후방차창(21)의 전면적을 폐방시키고자 할때에는, 정역 스위치(12)의 나머지 역회전 ON 보우턴을 누르게 되면 구동 모우터(9a)가 역회전된다. 이때에는 풀리(10a)에 권회되어 있던 와이어(6)가 풀리기 시작한다.
이렇게 되면 차폐막(4)이 하향 폐방 이동되면서 양측에 삽지된 회전 로울러(15), (15a)와, 일단이 고착된 코일 스프링(19), (19a)이 권장된 상태에서, 원위치하게 되는 역회전 이동작용에 의해 회전 로울러(15), (15a)는 역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유설된 횡축(18)의 로울러(17), (17a)와 함께 고착된 전방 차폐막(4)은 회전로울러(15), (15a)에 의하여 권장됨으로, 사용자가 정역 스위치(12)의 중앙부에 설치된 OFF 보우턴을 눌러 구동 모우터(9)를 정지시키면 전방 차폐막(4)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후방차창(21)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방시키고자 할때에는 정역 스위치(12)의 ON 보우턴을 누르게 되면 구동 모우터(9a)가 회전되고 이에 연설된 풀리(10a)에 와이어(6), (6a)가 권장되므로 가이드 로울러(15), (15a)에 의하여 안내되는 와이어(6), (6a)는 가이드 프레임(2), (2a) 안내홈(5), (5a)에 안내되어 하향 이동되면서 후방차창(21)의 전면적을 폐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차내에서 정역 스위치(12)의 OFF 보우턴을 눌러주면 폐방상태로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싱(1), (1a) 내부의 양측단에 설치된 회전 로울러(15), (15a)를 하나의 회전 로울러로 구성하지 않는 이유는, 자동차(a)의 전후방 차창(20), (21)이 약간의 만곡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직선형의 회전 로울러 설치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회전 로울러(15), (15a)를 두개로 각각 분리 설치하되 양측 케이싱 마개(13),(13a)에 설치된 삽입공(14), (14a)에, 회전 가능토록 유삽하였으며 이들의 지지공(16), (16a)에 삽입된 횡축(18)은 회전치 않게하며 중앙에 두개로 분리된 로울러(17), (17a)만이 회전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전후방 차창(20), (21)의 만곡 유리면에 접하면서도 작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5a도, 제5b도와 같이 케이싱(1), (1a)내부에 권장되는 차폐막(4)을 다르게 하면서도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신축 가능토록 된 천(4a)만을 제외한 양측 외곽부(4b), (4c)는 일반 합성수지천(4d)으로 연접시켜 주므로써 차폐막(4)의 전부를 신축성을 가진 천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같은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차폐막(4) 개폐장치는 전후방 차창(20), (21)의 차폐막을 실내에서 개, 폐방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동모우터(9), (9a)와 이들 구동모우터에 의해 권장되는 와이어(6), (6a) 및 차폐막(4)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홈(5), (5a)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2), (2a)을 설치하고, 가이드 로울러(7), (7a)들을 설치함으로써 실내에서 정역 스위치(12)의 ON, OFF보우턴 조작으로 소망하는 차폐막(4)의 개폐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차시는 전후방의 차창을 전면 폐방시킬 수가 있으며, 전후방 차창을 개폐방하는데에 있어서도 필요한 곳만의 차폐막(4)만을 개폐방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차폐막장치의 케이싱(1), (1a) 및 가이드 프레임(2), (2a)등을 초박형으로 구성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시 공기의 저항이 크지 않으며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시킬 수가 있어 기존 차량에 부착하여도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으며, 본 고안의 차폐막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자동차 카바 역할과 차폐막으로서의 양분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전, 후면 유리 지지프레임(b), (c)의 상단 양측에는 원통상 케이스가 설치되고, 양측 원통상 케이스 사이에는 유리를 덮도록된 차폐막(4)의 일단이 고착되는 축이 설치되며, 축은 케이스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되어, 차폐막을 당길시 축의 회전으로 풀려나와 유리를 덮도록된 공지구조의 자동차 유리 차폐장치에 있어서, 일측 전길이에 걸쳐서 차폐막(4) 인출구(1b)를 갖는 하나의 몸체로 길게된 원통상 케이싱(1)을 자동차 측면에 부합되도록 활모양으로 굴곡되게 형성하고, 회전 로울러(15), (15a)로써 지지된 활모양의 횡축(18)으로부터 인출구(16) 및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되는 차폐막의 하단 양측에는 와이어(6),(6a)를 결속하며, 차폐막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는 가이드 로울러(7), (7a)를 개재하여 정역 스위치(1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우터(9)의 풀리(10)에 연결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2. 제1항 기재의 차폐막(4) 중앙부위에는 신축 가능한 천(4a)을 설치하여, 차폐막(4)이 양측으로 확장 가능케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KR2019900002584U 1990-03-06 1990-03-06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KR920003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584U KR920003166Y1 (ko) 1990-03-06 1990-03-06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584U KR920003166Y1 (ko) 1990-03-06 1990-03-06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58U KR910016658U (ko) 1991-10-26
KR920003166Y1 true KR920003166Y1 (ko) 1992-05-22

Family

ID=1929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584U KR920003166Y1 (ko) 1990-03-06 1990-03-06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0B1 (ko) * 2006-08-21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의 시야 확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00B1 (ko) * 2006-08-21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의 시야 확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58U (ko) 199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825B2 (en) Side window blind with slot covering
US5657810A (en) Screening device for vehicle windows
KR20020040578A (ko) 트랙션 로드용 센터링 디바이스를 구비한 권취식 윈도우셰이드
US20090314439A1 (en) Window shade
KR101182357B1 (ko) 차량용 빗물 차단막
KR920003166Y1 (ko) 자동차의 차폐막 개폐장치
US20120145339A1 (en) Vehicular shade assembly
JPH02200518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101654467B1 (ko) 차량유리 커버장치
KR0138889Y1 (ko) 차량용 차광장치
JP2001180278A (ja) 巻取式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171561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JP4166518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装置
CN218785919U (zh) 一种新能源汽车天窗装配式伸缩遮阳帘
KR960005096Y1 (ko) 차량용 전면유리 성에 방지커버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KR0169637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KR200268500Y1 (ko) 차량용 차양
CN216610825U (zh) 一种电动遮阳组件及具有其的汽车
CN218839152U (zh) 一种天窗结构
KR100747030B1 (ko) 차량용 선루프 개폐장치
KR100426874B1 (ko) 필라내장형 선바이저
JP2550085Y2 (ja) サンバイザ
JPH0530493Y2 (ko)
KR200200820Y1 (ko) 차량용 햇빛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