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43Y1 - 보온 취반기 - Google Patents

보온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43Y1
KR920002943Y1 KR2019870008830U KR870008830U KR920002943Y1 KR 920002943 Y1 KR920002943 Y1 KR 920002943Y1 KR 2019870008830 U KR2019870008830 U KR 2019870008830U KR 870008830 U KR870008830 U KR 870008830U KR 920002943 Y1 KR920002943 Y1 KR 920002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oking
power failure
outpu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312U (ko
Inventor
다까시 오오다꾸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온 취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념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 취반기의 전체도.
제3도는 하부장치와 상부장치의 접속부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
제5도는 마이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6도는 종래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장치 2 : 상부장치
3 : 취반완료 판정회로 4 : 스타트 스위치
5 : 보온스위치 7 : 개폐스위치
20 : 보온회로 28 : 더모스타트
24 : 보온히터 49 : 상부장치 이동검지수단
본 고안은 보온식 취반기 특히 정전대책을 구비한 보온식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기억시킨 정전이전의 기구제어 상태에 따라 정전해제후의 기구제어가 선택될 수 있게하고 이에 의하여 정전해제 후에도 밥의 상태(보온이 필요한 밥인가 취반이 필요한 것인가등)에 적합한 기구관리가 행하여 지도록 한 것이다.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를 이용하여 취반으로부터 보온에까지 이르는 일련의 기구동작을 제어하는 취반기가 있으며, 이 종류의 취반기로서는 예를들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밥솥(29)의 외부 하부면에 내부온도를 검지하는 감열소자(54)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밥솥(29)의 외부에 보온히터(24)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보온히터(24)는 마이컴(17)으로 제어되는 개폐스위치(7)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밥솥(29)의 아래쪽에는 주전자밸브(16)의 개폐에 의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주버너(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부품들은 기구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7)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컴(17)은 스타트스위치(4)의 투입에 의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감열소자(54)의 출력을 판단하면서 주전자밸브(16)를 개폐시켜 밥을 짓게되고 취반완료후에는 개폐스위치(7)를 폐쇄하여 보온히터(24)에 전기를 공급하여 밥솥을 보온상태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형에서는 취반이나 보온중에 정전이 발생하여 이것이 해제된 후에 밥이 지어졌냐 아니냐하는 구체적인 취반상태에 적합한 기구관리가 행하여 지지못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상기 종래형에서 정전해제후의 취반인가 최초의 정상취반인가의 식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종래형에서는 정전발생시에 마이컴(17)의 메모리 내용이 모두 클리어되어 버린다.
따라서, 정전종료후 취반기에 재통전이 되었을때에 정전해제후의 취반인가 최초의 정상취반인가의 식별이 되지않으므로 취반기는 취반개시전의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스타트스위치(4)가 조작되지 않는한 기구정지 상태를 계속유지한다. 즉 취반중에 정전이 발생하였다면 밥은 설익은 상태에서 방치되고 보온중에 정전발생이 있었다면 비보온상태로 방치되어 밥이 식어 버리게 된다.
본 고안은 보온기능을 가진 취반기로서, 정전종료후에도 밥의 상태에 적합한 기구관리가 행하여지도록하기 위하여 기억시킨 정전전의 기구제어 상태에 따라 정전해제후에도 기구제어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을 제1도에 도시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타이머취반이나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은 통상의 취반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스위치(4)와, 상기 스타트스위치(4)의 투입전 또는 투입직후에 충전되는 축전기등으로 이루어진 정전기억회로(19)를 구비한 보온 취반기로서 취반완료 판정회로(3)와 상기 취반완료판정회로(3)의 출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축전기 등으로 이루어진 보온상태 기억회로(80)와, 상기 보온상태 기억회로(80)와 정전기억회로(19)와의 출력이 인가되고 또한 기구전원의 접속과 동시에 작동하는 선택회로(9)를 설치하고, 상기 선택회로(9)에 의하여 다음의 기구 제어상태를 선택하고, 이에 의하여 기구를 다시 보온상태 또는 재취반 상태로 분기 시키도록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취반기를 전원에 접속하면 이와 동시에 선택회로(9)가 작동한다. 그러나 이 최초의 정상시 취반의 경우에 아직 정전기억회로(19)나 보온상태기억회로(80)에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들의 기억상태가 입력되는 선택회로(9)는 이들 2개의 기억내용의 조합에 의해 최초의 정상취반(정전후의 재취반이 아닌 취반)임을 판단하고 스타트 스위치(4)가 눌려지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스타트스위치(4)가 눌려졌을때 상기 설명한 종래형과 동일하게 취반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정전기억회로(19)에는 상기 스타트스위치(4)의 투입전 또는 투입직후에 전기 공급이되고 축전기등으로 이루어진 정전기억회로(19)는 충전등에 의하여 상기 전기 공급이 된 사실을 기억한다.
그리고 정전기억회로(19)가 전기 공급된 사실을 기억하고 있나 없나를 다음의 정전유무의 판단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또, 축전기에 충전하는 것등에 의하여 기억시킨 기억내용(정전정보)은 축전기등이 정전발생에 의하여 방전하지 않으므로 정전발생 후에도 소멸하지 않는다.
다음에 취반작업이 종료하여 취반완료 판정회로(3)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이것이 보온상태 기억회로(80)에 입력된다.
보온상태기억회로(80)가 취반완료판정회로(3)의 출력을 받으면 축변기등으로 이루어진 보온상태 기억회로(80)는 취반완료판정회로(3)로부터 출력이 있었던 것을 전하의 축전등에 의하여 기억된다. 그리고 이 기억이 후술하는 정전발생 후에도 소멸되지 않는다. 즉 축전기등으로 구성된 보온상태 기억회로(8)에 충전되면 이것이 정전발생에 의하여 방전하지 않으므로 보온상태의 기억도 소멸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취반중 또는 보온중에 정전이 발생하면 취반기로의 전기공급이 정지되므로 기구의 동작도 정지상태에 놓이게 된다. 다음에 정전이 해제되면 취반기에는 정전해제와 동시에 전기공급이 개시되고 이로인해 취반기의 작동상태는 전원 접속한 것과 같은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즉, 정전해제와 동시에 다시 선택회로(9)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그 선택회로(9)는 여기에 입력되어 있는 정전기억회로(19)와 보온상태기억회로(80)의 출력치를 판단하며 이 두 개의 출력치의 조합에 의하여 다음에 기구제어를 선택하게 된다.
즉 정전기억회로(19) 및 보온상태기억회로(80)의 출력이 동시에 있을 경우에는 보온시에 정전이 있었음을 나타내므로 선택회로(9)는 기구제어로서 「보온」을 선택하고, 취반기를 보온상태로 한다.
한편, 정전기억회로(19)로부터는 출력이 있으나 보온상태기억회로(80)로부터는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취반완료판정회로(3)로부터 취반완료신호가 나오기 전에 정전이 발생했음을 나타내고 있음으로 선택회로(9)는 다음의 기구제어로서 「취반재개」를 선택하여 취반기를 취반개시 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정전기억회로(19)나 보온상태기억회로(80)에 기억시킨 정전전의 기구제어 상태에 따라 정전해제후의 기구제어가 선택된다.
본 고안은 다음의 특유한 효과를 가진다.
기억시킨 정전전의 기구제어상태에 따라 정전해제후의 기구제어가 선택되므로 정전종료후에도 밥의 상태에 알맞는 기구관리를 행할 수 있게된다.
다음에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취반기의 전체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될 수 있는 하부장치(1)와 상부장치(2)로 이루어지고 하부장치(1)에는 기구용전원 플러그(11), 타이머 설정수단(52), 스타트스위치(4), 제어장치(14) 그리고 콘센트(10)등이 배설되어 있고 콘센트(10)에서 후술하는 상부장치(2)에 전원공급을 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하부장치(1)에는 발열원으로서의 주버너(1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장치(2)에는 밥솥(19)과 이 밥솥의 외부에 포위배설되는 보온회로(20)와 또한 이 보온회로(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온용전원플러그(21)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온회로(20)내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온히터(24)와 뚜껑용히터(25)가 설치되어 있고 보온히터(24)와 직렬로 온도조절용의 더모스타트(28)가 삽입되어 있다. 하부장치(1)와 상부장치(2)의 접속부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되어있으며 콘센트(10)에 이어지는 하부장치(1)측의 회로중에 개폐스위치(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스위치(7)의 상류측에는 그 개폐스위치(7)에 전류가 흐를 경우에만 출력을 발하는 상부장치 이동검지수단(4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장치(1)내에 설치된 제어장치(14)에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마이컴(17)이 장치되어 있고 이 마이컴(17)에 의하여 취반의 전후에서 기구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컴(17)의 입력포오트에는 각각 스타트스위치(4), 상부장치 이동 검지수단(49), 정전기억회로(19), 보온상태기억회로(80), 보온스위치(5), 타이머설정수단(52) 및 밥솥(29)에 부착한 감열소자(54)의 각 출력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전기억회로(19)에는 전원투입에서 약간 지연하여 작동되는 콘덴서(51)를 구비시키고 있다. 그리고 마이컴(17)의 출력포오트에는 주버너(15)의 가스회로를 개폐하는 주 전자밸브(16), 정전기억회로(19)의 클리어회로, 보온상태기억회로(80)의 ON, OFF 스위치(48) 및 상기 보온상태 기억회로(80)의 클리어회로(49), 및 개폐스위치(7)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장치는 마이컴(17)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게 되나 정상취반의 경우와 정전후의 경우로 경우별로 설명한다.
(제5도의 플로우챠트 참조).
[정전발생후의 아닌 정상 취반의 경우]
전원을 접속하면 마이컴(17)은 제5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동작하기 시작하고, ①. 취반기의 기구용 전원플러그(11)의 접속과 동시에, 마이컴(17)이 작동을 시작하고 이 마이컴(17)은 먼저 정전기억회로(19)의 입력포오트(18)의 상태를 판단한다.
정전기억회로(19)의 콘덴서(51)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전원투입에서 약간 지연하여 촉진이 되므로 마이컴(17)에는 아직 정전기회로(19)의 출력이 인가되지않고 최초의 정상시 취반(정전 종료후의 취반이 아닌 경우)이라고 판단하고 보온스위치(5)가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보온작업으로 이행하고 보온스위치(5)가 눌려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타트스위치(4)가 눌려지는 것을 기다려 후속제어를 개시한다(동도부호 81-83 부분 참조).
②. 다음에 스타트스위치(4)가 눌려지면 개폐스위치(7)를 개방상태로 하여 보온회로(20)에의 전기회로를 OFF 상태로 한다(동도부호 80부분 참조).
③. 이어서 타이머 설정수단(52)의 설정시간을 읽어서 타이머가 셋트엎된 후에 취반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예의 기구에서는 상기 타이머 설정수단(52)의 설정시간이 「0」경우에는 통상취반(타이머를 사용하지 않는 취반)이 행하여 지도록 되어 있다(동도부호 84-86부분 참조).
④. 상부장치(2)에 구비된 감열소자(54)의 출력등에 의하여 취반작업이 완료된 것을 마이컴(17)이 판단하면 이 마이컴(17)은 개폐스위치(7)를 폐쇄상태로 함과 동시에 마이컴(17)의 하나의 출력포오트(45)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ON, OFF 스위치(48)를 ON 상태로하고 이에 따라 보온상태기억회로(80)가 축전되어 취반완료사실(보온상태)이 기억시켜진다(동도의 부호87 부분 참조).
그리고 그 감열소자(54)의 출력을 받아 취반이 완료되었나 아니냐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중의 수순이 이미 설명한 취반완료 판정회로에 대응하게 된다.
⑤. 이어서 상부장치(2)가 하부장치(1)에 셋트되어 있나 없나(상부장치 이동검지수단(49)로부터 출력이 있나 없나)를 판단하고 셋트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부장치(2)는 보온회로(20)에의 통전계속에 의하여 보온상태로 유지시켜지고 정지 스위치(도시무)가 눌려질때까지 보온상태로 유지된다(동도의 부호 88-90부분 참조).
[정전발생후의 취반]
발행한 정전이 끝나면 기구예의 재통전에 의하여 기구제어는 자동적으로 작동개시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고 재차 마이컴(17)이 동작을 개시한다.
①. 마이컴 재 스타트시에 하나의 입력포오트(18)에 정전기억회로(1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정전후의 취반인 경우에는 정전후 취반 모우드가 선택되고, 보오상태 기억회로(80)가 접속되어 있는 입력포오트(42)의 상태를 본다(동도의 부호 81, 93부분 참조).
②. 보온상태 기억회로(80)가 접속되어 있는 입력포오트(42)에 출력이 없는 경우(입력포오트(42)가「L」상태의 경우)에는 취반중(보온전)에 정전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재차 취반작업이 실행된다(동도의 부호 93, 86 부분 참조).
③. 한편, 보온상태 기억회로(80)가 접속되어 있는 입력포오트(42)에 출력이 있는 경우(입력측(42)이「H」상태의 경우)에는 보온중에 정전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재보온 작업이 선택된다(동도의 부호 93, 87부분 참조). 그리고 정전기억회로(19)나 보온상태 기억회로(80)의 상태에 의하여 프로그램 제어를 분기시키는 상기 ①, ②의 수순이 이미 설명한 선택회로에 대응하여진다.

Claims (1)

  1. 타이머 취반이나 통상 취반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4)와 이스타트 스위치(4)의 투입전 또는 투입직후에 충전되는 축정기등으로 이루어진 정전 기억회로(19)를 구비한 보온 취반기에 있어서, 취반완료정회로(3)와, 상기 취반완료판정회로(3)의 출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축전기등으로 이루어진 보온상태 기억회로(80)와, 상기 보온상태 기억회로(80)와 상기 정전기억회로(19)의 출력이 인가되고 또한 기구전원의 접속과 동시에 작동하는 선택회로(9)를 설치하고, 상기 선택회로(9)에 의하여 다음의 기구제어상태를 선택하고 이에 의하여 이 기구를 재보온상태 또는 재취반상태로 분기시키도록한 보온 취반기.
KR2019870008830U 1986-06-02 1987-06-01 보온 취반기 KR9200029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84592 1986-06-02
JP1986084592U JPH0540825Y2 (ko) 1986-06-02 1986-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312U KR880000312U (ko) 1988-02-17
KR920002943Y1 true KR920002943Y1 (ko) 1992-05-11

Family

ID=1383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830U KR920002943Y1 (ko) 1986-06-02 1987-06-01 보온 취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40825Y2 (ko)
KR (1) KR92000294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8091A (ja) * 1981-10-01 1983-04-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乾燥検知付衣類乾燥機
JPS60100916A (ja) * 1983-11-09 1985-06-04 株式会社東芝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40825Y2 (ko) 1993-10-15
KR880000312U (ko) 1988-02-17
JPS62196129U (ko) 198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3810A (en) Start circuit for microwave oven
CA1116720A (en) Fail-safe gas feed and ignition seque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gas-fired appliance
KR920002943Y1 (ko) 보온 취반기
JP3298095B2 (ja) 電気調理器
KR920002941Y1 (ko) 보온식 취반기
KR920002942Y1 (ko) 타이머 부착 보온취반기
JPH0330793B2 (ko)
KR0159033B1 (ko) 전기밥솥의 이상공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09528B1 (ko) 주거 난방용 온수분할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20007059Y1 (ko) 타이머 부착 취반기
KR20000008522A (ko)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방법
KR970064518A (ko) 취반기
JPH019458Y2 (ko)
JPS6014018A (ja) センサ付加熱調理器
JP2001000317A (ja) 炊飯器
JPH058909Y2 (ko)
JP3584454B2 (ja) 自然循環式給湯器付風呂釜
KR100221869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솔레노이드 밸브 개폐 제어 방법
JPH0833567A (ja) 電気炊飯器
JP4063006B2 (ja) 炊飯器
KR100333525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기계식 전기압력 요리기기
JPS593281Y2 (ja) スチ−ム発生装置付高周波加熱装置
JPH04316954A (ja) 風呂釜の保温装置
JPS5812022Y2 (ja) ガス器具の燃焼安全装置
JPS61240917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