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98Y1 - 다극코넥터 - Google Patents

다극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498Y1
KR920002498Y1 KR2019890010199U KR890010199U KR920002498Y1 KR 920002498 Y1 KR920002498 Y1 KR 920002498Y1 KR 2019890010199 U KR2019890010199 U KR 2019890010199U KR 890010199 U KR890010199 U KR 890010199U KR 920002498 Y1 KR920002498 Y1 KR 920002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contact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04U (ko
Inventor
야스히로 고마쯔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극코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극코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외관사시도.
제 3 도 ~ 제 5 도는 내부구성을 표시한 횡단편면도.
제 6 도 ~ 제 7 도는 내부구성을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 8 도는 카아드의 부분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5 : 접편
4a,5a : 콘택트 7a : 가이드면
8 : 슬라이더 11 : 계합편
22 : 조작레버 51,61 : 외부접편
81 : 피계합부 C : 카아드
본 고안은, IC메모리카아드나 카아트리지 등의 카아드의 외부접편을 컴퓨우터 등의 외부접점에 접속시키기위한 코넥터, 상세하게는 다수의 접편이 병설된 다극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디에 병설된 다수의 접편의 각각의 콘택트가 카아드의 선단부에 형성된 외부접편에 탄접하므로서 상기 콘택트와 카아드쪽의 외부접편이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형식의 종래의 다국코넥터에 있어서, 카아드의 압입동작에 의해 그 선단부에서 보디쪽의 접편을 그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시키면서 상기 콘택트를 외부접편에 올라 앉게 하는 구성의 것은, 카아드압입시, 즉, 카아드세트시에 카아드를 압입하는 힘과 보디쪽의 접편을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시키는 힘(이하, 세트힘이라고함.)을 카아드에 부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극코넥터에 있어서는, 보디쪽의 접편의 스프링힘을 증대시켜서 콘택트와 외부접편과의 탄접력을 크게하고, 양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면, 그 반면에서, 카아드세트시에 있어서의 보디쪽의 접편을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그에 따라서 크게 되고, 그만큼 카아드의 세트힘이 커진다. 그런데, 다극코넥터는 다수의 접편(예를 들면 100개이상)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그들 접편의 개개의 스프링함을 조금이라도 높이면 접편전체로서는 스프링힘이 대폭적으로 증대하고, 그에 따라서 세트힘도 대폭적으로 증대하여 카아드세트시의 조작성이 극단으로 저하한다.
그래서 종래는, 카아드세트시의 조작성이 그다지저하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접편의 스프링힘을 정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콘택트와 상기 외부 접편과의 탄접력을 크게해서 접촉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조작성의 면에서 제약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카아디세트시에 보디쪽의 접편을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카아드쪽의 외부접편과 보디쪽의 접편과의 판접력을 크게해서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다극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극코넥터는, 카아드를 삽입했을 때에 그 카아드의 선단부에 눌려서 접편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전진위치로 부터 상기 콘택트의 후방의 후퇴위치로 평행이동되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이 슬라이더에 상기 카아드의 선단부가 당접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전진위치와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외부접편과 이 외부접편에 대해서 동일 또는 대략동일한 레벨로 설정된 슬라이더의 콘택트 지지면과의 상호간에서 상기 콘텍트가 슬라이드해서 바꿔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에, 카아드의 옆끝가장자리에 형성된 피계합부에 대응하는 계합편이 카아드삽발(揷拔)경로의 내외에서 요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전진위치에 이동해 있을 때는 계합편으로부터 절연(切緣)되어 있는 한편, 슬라이더가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까지 평행이동할 때 및 후퇴위치로 이동해 있을 때에, 계합편을 백업해서 카아드삽발경로의 안쪽에 요동시키므로서 그 계합편을 상기 피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가이드변이 상기 슬라이더의 옆부분에 배치되고, 긴 방향의 중간부에 회동지지점을 가진 카아드 빼내기용 조자가레버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카아드삽발경로의 옆쪽으로 뻗어나와 있는 것이다.
상기 다극코넥터에 의하면, 카아드를 삽입하므로서 슬라이더가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까지 평행이동하고, 조작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서 슬라이더가 카아드를 뒤에서 밀면서 후퇴위치로 부터 전진위치에 복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슬라이더가 전진과 후퇴를 행하면, 그에 따라서 보디쪽의 접편콘택트가 접편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는 변위를 수반하지 않고 카아드쪽의 외부접편과 슬라이더의 콘택트지지면과의 상호간에서 바꿔탄다.
또, 슬라이더가 전진위치에 이동해 있을 때는 계합편의 가이드면으로 부터 절연되어 카아드를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가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까지 평행이동 할 때 및 후퇴위치에 이동하고 있을 때는 계합편이 가이드면에 의해 백업되어 피계합부에 계합하고, 슬라이더와 카아드기록된 상태가 된다.
또, 어떠한 원인으로, 카아드가 세트되어 있는 않는데도 불구하고 슬라이더가 후퇴위치로 이동해 있을 때는, 접편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콘택트가 카아드의 삽입공간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가 되나, 이 경우는, 가이드면에 의해 빅업된 계합편이 카아드의 삽입공간속에 돌출되고, 그 삽입공간에 카아드가 삽입되어 왔을 때는 카아드가 접편에 당접하기 전에 계합편이 카아드에 당접하기 때문에, 카아드가 접편에 당접해서 접편을 손상한다고 하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극코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외관사시도이다. 보디(1)은 상부벽(2)과 하부벽(3)을 가지고, 각각에 다수의 접편(4)..., (5)...가 병설되어 있다. 제 6 도 및 제 7 도와 같이, 접편(4), (5)는 스프링성을 가진 금속편의 선단부분에 접어구부림으로서 콘택트(4a), (5a)와 호출가이드(4b), (5b)를 형성한 것으로서, 그 후단부는 보디(1)를 관통한 단자(4c), (5c)가 되어 있고, 그 단자(4c), (5c)가 도시생략의 컴퓨우터 등의 외부접점에 접속된다. 또한, 이들 단자(4), (5)는 동일 형상의 것을 대칭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또 보디(1)에는 상기 접편(4), (5)군의 양쪽에 접지단자(6), (6)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와 같이 접지단자(6)는 두갈래형상으로 분기한 상하 1쌍의 돌편(6a), (6b)를 가지고 있고, 이들 돌편(6a), (6b)가 뒤에 설명하는 카아드쪽의 셔터를 열기위한 오우프너를 겸용하고 있다.
보디(1)의 양단부에는 아암부(7), (7)이 뻗어나와 있고, 이들 아암부(7), (7)의 내면이 평탄한 가이드면(7a), (7a)로 되어 있다. (8)은 슬라이더로서, 후술하는 카아드삽발경로(카아드를 빼고 넣고 할 때의 카아드의 통과 경로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납짝한 프레임부(9)의 후방에 일정폭만큼 돌출하고 있어서, 슬라이더(8)와 프레임부(9)와의 사이에는 공간(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9)의 양쪽에는 그 앞쪽으로 돌출하는 계합편(11), (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편(11)은 프레임부(9)와의 경계부분이 잘록해져서 플라스틱힌지(12)가 되어 있는 동시에, 플라스틱힌지(12)의 앞부분에 클릭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편(11)을 프레임부(9)로 부터 분할된 별도피이스로서 형성해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별도피이스인 계합편(11)을 프레임부(9)에 힌지 결합 해둔다. 또, 계합편(11)의 배면은 상기 가이드면(7a)에 대응하는 모방면(14)이 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9)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래킷(15)이 형성되고, 이 부래킷(15)의 하면에 보스(16)가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설명한 슬라이터(8), 프레임부(9), 계합편(11), (11), 부래킷(15) 및 보스(16)는 합성수지의 일체성형품이다.
(17)은 프레임이고, 금속판을 접어구부림으로서 바닥판(18)과 옆판(19), (19)과 장착플렌지(20), (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18)과 한쪽옆의 옆판(19)과의 코오너부에 형성된 긴구멍(21)에 조작레버(22)가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이 조작레버(22)의 긴방향의 중간부가 핀(23)에 의해서 상기 바닥핀(18)에 회동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바닥판(18)에는 중앙부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4)에 조작레버(22)의 일단부가 들여다보이게 위치하고 있다. 조작레버(22)의 타단부는 프레임(17)의 내부에 형성되는 카아드삽발경로 옆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25)는 조작레버(22)의 일단부에 형성된 긴구멍형상의 계합구멍이다.
(26)은 카아드삽발구(27)를 형성하는 프레임체로서, 그 한편쪽에 손잡이(28)를 슬라이드자재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체(2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30)은 상부커버이다.
보디(1)와 아암부(7), (7)는 프레임(11)의 옆판(19), (19)사이에 끼워넣어지고, 슬라이더(8)와 프레임부(9)는 상기 아암부(7), (7)사이에 끼워넣게 된다. 또, 프레임체(26)는 프레임(17)에 끼워넣어진다. 또 보스(16)가 조작레버(22)의 계합구멍(125)에 계합된다. 그리고 제 2 도와 같이, 보디(1)와 프레임체(26)와 상부커버(30)가 장착비스(31)에 의해 프레임(17)에 고착된다. 또, 손잡이(28)는 프레임체(29)에 끼워넣어지고, 또 상기 조작레버(22)의 다른단부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편(32)에 계합고착된다.
제 2 도와 같이 맞붙여진 다극코넥터에 있어서, 슬라이더(8)는, 상하의 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그들의 콘택트(4a), (5a)의 사이에 나누어 들어간 위치, 즉 제 3 도 및 제 6 도에 표시한 콘택트(4a), (5a)를 지지하는 전진위치와, 제 4 도 및 제 7 도에 표시한 콘택트(4a), (5a)의 후방의 후퇴위치와의 상이에서 상기 가이드면(7a), (7a)에 안내되면서 평행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더(8)가 전진위치에 이동해 있을 때는, 계합편(11), (11)은 제 3 도와 같이 가이드면(7a), (7a)로 부터 절연되어 있다. 따라서, 계합편(11), (11)에 가이드면(7a), (7a)에 의한 백업작용은 작용하지 않고, 계합편(11), (11)이 플라스틱힌지(12), (12)를 중심으로 해서 카아드삽발경로의 내외간에서 요동가능하다. 또, 슬라이더(8)가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까지 평행이동할 때 및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는, 계합편(11), (11)은 제 4 도 및 제 5 도와 같이 그 모방면(14), (14)이 가이드면(7a), (7a)와 접접(摺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계합편(11), (11)에 가이드면 (7a), (7a)에 의한 백업작용이 작용하고, 계합편(11), (11)의 클릭부(13), (13)가 카아드삽발경로의 안쪽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 제 4 도, 제 5 도 및 제 7 도와 같이 슬라이더(8)가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제 2 도에 표시한 손잡이(28)를 밀어넣으므로서 조작레버(22)를 핀(23)의 설정위치를 회동지지점으로서 회동시키면, 조작레버(22)의 계합구멍(25)에 계합하고 있는 보스(16)가 앞쪽으로 잡아당겨지고, 그에 따라서 슬라이더(8)가 전진위치까지 평행이동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카아드(C)는 표리양면에 회로기판(50), (60)을 가지고, 이들의 회로기판(50), (60)의 선단부(카아드 C의 본체부분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에 다수의 외부접편(51), (61)이 병설되어 있다. 카아드(C)의 본체부분에는 셔터(52), (62)가 장착되어 있고, 이 셔터(52), (62)가 외부접편(51), (61)을 덮는 위치에 대해서 항상 스프링힘에 의해서 부세되어 있다. 또, 제 8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50), (60)의 선단부에 끼워진 카아드(C)의 가장자리프레임(70)에는 홈(71), (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71)에 셔터(52), (62)의 양단부에 형성된 귓전(53), (63)이 끼워넣어져 있다. 또, 카아드(C)의 좌우쪽 끝가장자리의 중간부에 오목들어간 형상의 피계합부(81), (91)이 형성되어 있다)(제 3 도 참조). 이 피계합부(81)는 상기 계합편(11)에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카아드(C)의 선단부가 슬라이더(8)에 당접해 있는 상태에서는 카아드(C)쪽의 외부접편(51), (61)의 각각과 슬라이더(8)의 표리의 콘택트지지면의 각각이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레벨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대략 동일한 레벨이란, 그다지 큰단차(段差)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작 정밀도의 여하에 따라서 불가피적으로 형성되는 레벨차이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카아드(C)에 밀려서 슬라이더(8)가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로 평행이동하는데 따라서 슬라이더(8)의 콘택트지지면으로 부터 카아드(C)쪽의 외부접편(51), (61)로 콘택트(4a), (5a)가 바꿔탈때에, 접편(4), (5)가 그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약간 변위폭이 증가 혹은 감소하는 레벨차이도 포함한다는 뜻이다. 즉, 다소의 레벨차이는 조작레벨(22)의 아암의 길이와 회동지지점의 설정장소와 더불어 카아드세트시의 세트힘 및 이탈력의 의도적 조정에 도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 3 도 및 제 6 도와 같이 슬라이더(8)가 전진 위치로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는 계합편(11), (11)이 가이드면(7a), (7a)로 부터 절연되어 카아드(C)를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로 부터 카아드(C)를 카아드삽발구(21) 및 프레임부(9)를 통해서 그 선단부가 슬라이더(8)에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가지 평행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4 도 또는 제 7 도와 같이 계합편(11), (11)이 가이드면(7a), (7a)에 의해 백업되어서 카아드(C)의 피계합부(81), (81)에 계합하고, 슬라이더(8)와 카이드(C)가 기록된 상태가 되고, 또 접지단자(6), (6)의 돌편(6a), (6a)가 홈(71), (72)에 파고들어가서 셔터(52), (62)를 밀어서 열고, 또 콘택트(4a), (5a)가 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는 변위를 수반하지 않고 슬라이더(8)의 콘택트지지면으로 부터 외부접편(51), (61)로 바꿔탄다.
이 경우, 가령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는 변위를 수반한다고 해도 그 변위를 일으키기 위한 힘은 매우 작고, 조작성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접편(4), (5)의 스프링힘을 크게해두면, 카아드세트시의 조작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콘택트(4a), (5a)가 큰힘으로 외부접편(51), (61)에 탄접하고, 양자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이 상태에서 손잡이(28)를 밀어넣어 조작레버(22)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력에 의해 잡아당겨진 슬라이더(8)가 카아드(C)를 뒷밀이하면서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콘택트(4a), (5a)가 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는 변위를 수반하지 않고 외부접편(51), (61)로 부터 슬라이더(8)의 콘택트 지지면으로 바꿔타서, 제 3 도 및 제 6 도의 상태로 복귀하고, 계합편(11), (11)이 피계합부(81), (81)로 부터 홈(71), (72)로 부터 빠져나오는데 따라서 셔터(62), (62)가 닫혀 진다. 카아드빼낼때의 조작성은, 제 4 도에 표시한 조작레버(22)의 회동지지점(핀(23)의 설정위치)과 일단부와의 길이(ℓ1)를 짧게 하므로서, 또는 회동지지점과 타단부와의 길이(ℓ2)를 길게하므로서 개선된다.
어떠한 원인으로, 카아드(C)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슬라이더(8)가 후퇴위치로 이동해 있을 때에는, 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콘택트(4), (5)가 카아드(C)의 삽입공간의 내부로 돌출한 상태가 되지만, 이 경우는, 제 5 도와 같이 가이드면(7a), (7a)에 의해 백업된 계합편(11), (11)이 카아드(C)의 삽입공간속에 돌출하고, 그 삽입공간에 카아드(C)가 삽입되어 왔을 때에 ; 는 카아드(C)가 가상선과 같이 계합된(11), (11)에 당접한다. 그 때문에 카아드(C)가 접편(4), (5)에 당접해서 접편(4), (5)에 당접해서 접편(4), (5)를 손상시킨다고 하는 사태는 일어날 수 없다.
본 고안의 다극코넥터는, 슬라이더가 카아드의 선단부에 밀려서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로 평행이동했을때에, 접편의 콘택트가 접편의 스프링힘에 저항하는 변위를 수반하지 않고 슬라이더로 부터 카아드의 외부접편으로 바꿔타기 때문에, 카아드세트시의 시트힘은 카아드를 미렁넣는 힘만으로되고, 콘택트를 접편의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시키는 힘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세트힘이 경감된다. 따라서, 다수의 접편의 각각에 대한 스프링힘을 높여서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도, 세트힘이 그다지 커지지 않고, 카아드세트시의 조작성의 저하에 연결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조작레버를 회동시키므로서 슬라이더를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평행이동시키면, 그에 따라서 카아드가 뒷밀이되어서 뽑아내어지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회동지지점의 위치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지레의 원리에 의해 카아드 빼내기에 소요되는 경감할 수 있고, 이점에서도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 어떠한 원인으로 슬라이더가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카아드의 삽입공간에 돌출하고 있는 계합편이 카아드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 유용하기 때문에, 삽입된 카아드가 콘택트에 당접해서 접편을 손상한다고 하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고 하는 안전대책이 자연적으로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극코넥터는, 조작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콘택트가 병설된 보디에 슬라이더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이면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카아드에는, 메모리카아드와 같은 박형의 카아드 뿐 아니라, 카아트리지도 포함된다.

Claims (1)

  1. 보디(1)에 다수의 접편(4), (5)이 병설되고, 그들 접편(4), (5)의 각각에 형성된 콘택트(4a), (5a)가 접편(4), (5)의 스프링힘에 저항해서 변위한 상태에서 카아드(C)의 선단부에 형성된 외부접편(51), (61)에 탄접되는 다극코넥터로서, 카아드(C)를 삽입했을 때에 그 카아드(C)의 선단부에 눌려서 상기 콘택트(4a), (5a)를 지지하는 전진위치로 부터 상기 콘택트(4a), (5a)의 후방의 후퇴위치로 평행이동되는 슬라이더(8)을 가지고, 이 슬라이더(8)에 상기 카아드(C)의 선단부가 당접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8)이 전진위치와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외부접편과 이 외부접편(51), (61)에 대해서 동일 또는 대략동일한 레벨로 설정된 슬라이더(8)의 콘택트지지면과의 상호간에서 상기 콘택트(4a), (5a)가 슬라이드해서 바꿔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8)에 카아드(C)의 옆끝가장자리에 형성된 피계합부(81)에 대응하는 계합편(11)이 카아드삽발경로의 내외에서 요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더(8)의 전진위치로 이동해 있을 때는 계합편(11)으로 부터 절연되어 있는 한편, 슬라이더(8)가 전진위치로 부터 후퇴위치까지 평행이동할 때 및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있을때에, 계합편(11)을 백업해서 카아드 삽발경로의 안쪽으로 요동시키므로서 그 계합편(11)을 상기 피계합부(81)에 계합시키는 가이드면(7a)가 상기 슬라이더(8)의 옆부분에 배치되고, 긴 방향의 중간부에 회동지지점을 가진 카아드빼내기용 조작레버(22)의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8)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그 타단부가 카아드삽발경로의 옆쪽으로 뻗어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코넥터.
KR2019890010199U 1988-07-29 1989-07-12 다극코넥터 KR9200024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1220 1988-07-29
JP1988101220U JPH0517826Y2 (ko) 1988-07-29 1988-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04U KR900003804U (ko) 1990-02-08
KR920002498Y1 true KR920002498Y1 (ko) 1992-04-22

Family

ID=1429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199U KR920002498Y1 (ko) 1988-07-29 1989-07-12 다극코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1101A (ko)
JP (1) JPH0517826Y2 (ko)
KR (1) KR9200024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989A (en) * 1990-11-30 1992-11-10 Itt Corporation Ejector equipped card connector
US5139435A (en) * 1990-12-04 1992-08-18 Hosiden Corporation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US5197894A (en) * 1991-05-30 1993-03-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a release mechanism
US5305180A (en) * 1991-06-06 1994-04-19 Grid Systems Corporation Disk drive ejector mechanism with latch and ejector and standby switch
EP0534138A1 (en) * 1991-08-23 1993-03-31 Nippon Steel Corporation IC card connector
DE69117961T2 (de) * 1991-12-16 1996-07-25 Molex Inc Auswurfsvorrichtung in einer Verbindervorrichtung für IC-Karten
US5579528A (en) * 1991-12-31 1996-11-26 Dell Usa, L.P. Computer system employing docking bay with spring loaded connector pins and file coherency method
JPH088536Y2 (ja) * 1992-01-28 1996-03-06 デュポン アジア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情報処理媒体用コネクタ装置
JP2576064Y2 (ja) * 1992-03-06 1998-07-09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JP2595670Y2 (ja) * 1992-07-27 1999-05-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JP2596687Y2 (ja) * 1992-07-31 1999-06-2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5389001A (en) * 1992-08-10 1995-02-14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ejecting mechanism
US5308251A (en) * 1992-08-10 1994-05-03 The Whitaker Corporation Mounting bracket with ESD protec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503564A (en) * 1992-10-30 1996-04-02 The Whitaker Corporatio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jector unit for connecting IC cards to printed circuit boards
JP2761490B2 (ja) * 1993-01-21 1998-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メモリカードの挿入保持装置に於ける複数支点式イジェクト機構
EP0608814B1 (en) * 1993-01-26 1997-10-01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ejecting mechanism
US5334046A (en) * 1993-02-22 1994-08-02 Augat Inc. Circuit card interface system
US5836775A (en) * 1993-05-13 1998-11-17 Berg Te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US5818182A (en) 1993-08-13 1998-10-06 Apple Computer, Inc. Removable media ejection system
US5466166A (en) * 1993-08-13 1995-11-14 Apple Computer, Inc. Ejection mechanism
US5827075A (en) * 1993-09-08 1998-10-27 The Whitaker Corporatio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jector unit for connecting IC card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5451168A (en) * 1993-10-01 1995-09-19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for memory cards having a one-piece integrated frame
US5472351A (en) * 1993-10-06 1995-12-05 U.S. Robotics, Inc. Personal computer modem card interface construction
JP3860230B2 (ja) * 1993-11-19 2006-12-20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ータ処理媒体用コネクタ及びデータ処理媒体係止機構
US5899763A (en) * 1993-11-19 1999-05-04 Berg Technology, Inc. Data processing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FR2714989A1 (fr) * 1994-01-13 1995-07-13 Amp France Dispositif de connexion de carte à mémoire.
JP2896845B2 (ja) * 1994-04-18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US5399105A (en) * 1994-04-29 1995-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nductive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s
EP0687035B1 (en) * 1994-06-07 2002-11-27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connector with an ejection mechanism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harness therefor
US5478260A (en) * 1994-07-29 1995-12-26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470259A (en) * 1994-12-05 1995-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shroud for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3830965B2 (ja) * 1994-12-07 2006-10-11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716221A (en) * 1995-10-20 1998-02-10 Itt Corporation Stacked IC card assembly for insertion into stacked receivers
US7014118B1 (en) * 1997-10-10 2006-03-21 Robinson Nugent, Inc Module header apparatus
JP3298507B2 (ja) * 1998-05-27 2002-07-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6129572A (en) * 1998-08-03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o retain IC card
JP3065310B1 (ja) * 1999-03-19 2000-07-1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ドの接続機構におけるロックアンドロック解除機構
JP4318360B2 (ja) * 1999-12-27 2009-08-19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29267B2 (ja) *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1351735A (ja) * 2000-06-08 2001-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6843670B2 (en) * 2000-06-29 2005-01-18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4513177B2 (ja) 2000-06-30 2010-07-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3471736B2 (ja) 2000-10-19 2003-12-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29266B2 (ja) 2000-10-19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6530B2 (ja) 2001-02-08 2003-08-11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1608B2 (ja) 2001-03-06 2003-07-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105400B2 (ja) * 2001-03-12 2008-06-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3443103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43102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3086296A (ja) * 2001-09-12 2003-03-20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689452B2 (ja) * 2005-12-01 2011-05-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287533A (ja) * 2006-04-19 2007-11-01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US7987584B2 (en) * 2008-02-04 2011-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le extraction / insertion tool and assembly
JP5120184B2 (ja) * 2008-09-30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基板固定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US9396365B2 (en) * 2009-04-17 2016-07-1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accessible card slot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US9064200B2 (en) * 2011-01-31 2015-06-23 Apple Inc. Flat object ejector assembly
US9203187B2 (en) * 2014-04-08 2015-12-01 Aic Inc. Hot plug structure of electronic peripheral device
USD791982S1 (en) * 2014-06-06 2017-07-11 Ronny Coric Baseboard and corner kit
CN109713522A (zh) * 2017-10-25 2019-05-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及其组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2193A1 (de) * 1975-03-20 1976-10-07 Guenther Dipl Ing Malisius Elektrische steckdose
JPS6022475B2 (ja) * 1980-12-29 1985-06-01 富士通株式会社 電気接続体の插着構造
JPS6277996A (ja) * 1985-09-30 1987-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Icカ−ド
JPH0326628Y2 (ko) * 1986-06-24 1991-06-10
US4820183A (en) * 1986-09-12 1989-04-11 Cooper Industries Connection mechanism for connecting a cable connector to a bushing
JPH0541511Y2 (ko) * 1987-05-18 1993-10-20
JPH01102877A (ja) * 1987-10-14 1989-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ー
JPH0424625Y2 (ko) * 1987-11-11 1992-06-10
JPH0541509Y2 (ko) * 1988-03-03 1993-10-20
JPH0418235Y2 (ko) * 1988-04-08 1992-04-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4481U (ko) 1990-02-19
US5051101A (en) 1991-09-24
JPH0517826Y2 (ko) 1993-05-12
KR900003804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498Y1 (ko) 다극코넥터
KR930009777B1 (ko) 붙이고 떼기 가능한 기억장치를 갖는 휴대형 기기
JPH0326628Y2 (ko)
EP1355260B1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US5603629A (en) Board connector, in particular for electronic board
US6976879B2 (en) Card connector
KR940006796B1 (ko) 컴퓨터 하우징용 도어 걸쇠
KR960019860A (ko) 전기코넥터 및 그 전기코넥터를 이용한 전자기기
JP200317884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436379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30030920A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20030052970A (ko) 카드용 커넥터
US20050142913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door
EP1190367B1 (en) Compact assembly for the connection of a smart card, comprising means for ejecting the card
JP2000058197A (ja) Icカードコネクタ
JP4122301B2 (ja) カードコネクタ
EP0901319B1 (en) Two-step ejection mechanism
JP4023389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KR940002004B1 (ko)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코넥터 장치
KR20040074617A (ko) 카드커넥터
KR20040108762A (ko) 셔터 부재를 갖춘 전기 커넥터
JPH088539Y2 (ja) 多極コネクタ
KR100503103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390291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78972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