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38B1 - 신축식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식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438B1
KR920002438B1 KR1019890016126A KR890016126A KR920002438B1 KR 920002438 B1 KR920002438 B1 KR 920002438B1 KR 1019890016126 A KR1019890016126 A KR 1019890016126A KR 890016126 A KR890016126 A KR 890016126A KR 920002438 B1 KR920002438 B1 KR 92000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portion
main body
contact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718A (ko
Inventor
노보루 고이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축식 안테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신축식 안테나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신축식 안테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a, b도는 제3도에 나타낸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신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5a, b, c도는 본 실시예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기기 본체에 대한 신축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a, b도는 제6도에 나타낸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신축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휴대용 무선기의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안테나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신축안테나
24 : 휩 안테나부 25 : 원통상 안테나부
27 : 손잡이부
본 발명은 소형 무선전화기등에 적용해서 적절한 신축식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기등과의 접합부에서 충분한 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안테나 자체의 꺽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휴대전화등의 보급에 따라 무선기기류의 소형화에 대해 여러 가지로 검토가 되고 있고, 이와 같은 소형화를 도모하는 데는 적어도 사용치 않을 때는 안테나를 기기에 수납할 필요가 있다. 즉 최근의 안테나의 구성은 전기적으로는 5/8λ 휩 타입(Whip type) 기본으로하여, 그 매칭부는 기기 내부에 설치되고, 소자엘레멘트만을 기기로부터 송수신기로 돌출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안테나 소자를 사용할 때에는 돌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기기내로 수납하는 것으로서 종래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제9도에 있어서, "1"은 무선기의 본체, "2"는 휩 안테나, "3"은 프린트 배선판이다.
휩 안테나(2)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안테나 몸통부(5), 안테나 몸통부(5)의 선단에 설치된 손잡이부(6), 안테나 몸통부(5)의 바닥에 설치된 스토퍼부(7) 및 본체(1)에 휩 안테나(2)를 부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8)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몸통부(5)는 피아노선 및 와이어 케이블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안테나 몸통부(5)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유연하게 되어 외력을 흡수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안테나 몸통부(5)는 본체 접합부(8)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몸통부(5)는 피아노선 및 와이어 케이블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안테나 몸통부(5)에 외력이 가해진경우에도 유연하게 되어 외력을 흡수 할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몸통부(5)는 본체 접합부(8)에 형성된 관통구멍(10)에 삽입되어 있고, 안테나 몸통부(5)의 바닥부(11) 및 선단부(12)는 관통구멍(10)과 끼워 맞추어지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 접합부(8)에는 탄력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13)가 설치되어 있어서, 안테나 몸통부(5)의 바닥부(11)를 이 부재(13)로 지지함과 동시에 안테나(5)와 본체 접합부(8)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이 휩 안테나(2)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 접합부(8)가 본체(1)에 나사식으로 끼워져 부착된다. 그래서 휩 안테나(2)와 프리트 배선판(3)과는 고주파 접속부재(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무선기의 본체(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휩 안테나(2)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를 하지 않을 때는 안테나(2)를 본체(1)내에 수납해 둘 수 있어서 휴대운반 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6)을 잡고 안테나(2)를 빼서 용이하게 통화를 할수 있다. 그러나 이 무선기에서는 휩 안테나(2)를 본체(1)내에 완전히 넣기 위해서는 휩 안테나(2)의 길이를 본체(1)의 길이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점차 소형화되는 기기의 본체(1)에 휩 안테나(2)를 붙인 경우에서는 안테나(2)가 너무 짧아져서, 안테나 지향성 및 안테나 이득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무선성능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생겼었다.
이 경우에 일본 실공소 56-31056호에서 볼수 있는 것처럼 휩 안테나 대신에 복수의 원통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신축이 자유롭게한 로드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로드 안테나는 유연성이 부족해서 휴대기에 이용한 경우 기기의 휴대운반 및 놓아 둘 경우에 생기는 진동으로 안테나 전체에 부하가 걸려서 파손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한, 이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본 실공소 57-12567호 공보에 나타낸 로드 안테나와 같이 베이스부에 코일스프링을 끼우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구조 자체가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가 곤란하게 되고 기기가 고가로 되고, 부서지기 쉬운 등의 결점이 생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것은 안테나를 수납해도 코일스프링 부분이 본체에서 돌출해서 휴대에 불편한 형상이었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휩 안테나에서는 본체 수납형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본체 길이보다도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기기의 적절한 파장에 맞는 안테나 길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휩 안테나에서 변화한 로드(rod) 안테나로 한 경우에는 진동,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본체 수납형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안테나 사용할시에는 본체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진동, 충격에도 강하고 제조도 용이한 신축식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에 따르면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와, 제1의 안테나부의 선단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의 안테나부와, 기기본체에 대해서 제1의 안테나부 및 제2의 안테나부를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기구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의 안테나부는 적어도 기기본체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고 또 제2의 안테나부는 적어도 제1의 안테나부의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된다. 또한 제2의 안테나부는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2의 안테나부의 안쪽 구멍에 제1의 안테나부가 미끄럼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제1의 안테나부는 한 끝에 제2의 안테나부의 안쪽 구멍에 탄성 접합하는 걸림부를 가지고, 다른 끝에 바닥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바닥부는 그 외경이 제2의 안테나부의 외경과 거의 같게 구성되고, 안테나지지기구는 기기본체에 부착되어 제2의 안테나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구멍을 갖는 본체 접합부와, 이 본체 접합부에 설치되어 제1의 안테나부의 바닥부 또는 제2의 안테나부를 탄성 접촉지지하는 탄성 접촉부로 구성된다. 또한 걸림부에 의한 제1의 안테나부와 제2의 안테나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을 탄성 접촉부에 의해 제1의 안테나부와 탄성 접촉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제2의 안테나부는 적어도 2단의 다단 안테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에 따르면 안테나 사용시에는 본체길이 보다도 충분히 안테나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특히 안테나에 외력이 가해진 때에 응력이 집중하는 본체와의 접합부분은 가요성을 갖는 휩 안테나부로 되어있어서 진동충격에도 강하다. 또한 완충용의 스프링 코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도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를 갖는 휴대형 무선기의 사시도이고, 제1도는 제2도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중 "20"은 무선기본체, "21"은 신축안테나 "22"는 프린트 배선판이다. 신축안테나(21)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휩 안테나부(24)와 원통상 안테나부(25)로 구성된 안테나 몸통부(26),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선단에 설치된 손잡이부(27), 휩 안테나부(24)의 바닥에 설치된 스토퍼부(28) 및 본체(20)에 신축안테나(21)를 부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29)로 구성되어 있다.
휩 안테나부(24)는 피아노선 및 와이어 케이블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중심재의 외주를 폴리아세탈(ployacetal) 등의 수지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휩 안테나부(24)의 선단측은 원통상 안테나부(25)에 삽입되어 있고, 원통상 안테나부(25)는 휩 안테나부(24)에 따라 미끄럼이 자유롭게 휩 안테나부(24)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도에 나타낸것처럼 휩 안테나부(24)의 성단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31)에는 탄성재가 설치되어 원통상 안테나부(25)의 내벽과 면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상 안테나부(25)는 휩 안테나부(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휩 안테나부(24)에 따라 미끄럼 시킬 수 있다.
제4a도는 신축안테나(21)를 가장 길게 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원통상 안테나부(25)를 휩 안테나부(24)에서 빠지는 것은, 그 선단(25a)이 걸림부(31)와 접해서 저지된다. 제4b도는 신축안테나(21)를 가장 짧게 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휩 안테나부(24)는 원통상 안테나부(25)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또한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외경과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의 외경은 같은 치수로 되어있다.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 접합부(29)에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34)에 휩 안테나부(24)는 삽입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34)는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 및 원통상 안테나부(25)와 끼워 맞추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 접합부(29)에는 탄력성이 있는 판상의 부재(36)가 설치되어있고 여기서 휩 안테나부(24) 본체의 외경은 부재(36)의 내경에 비해 작고, 베이스부(33)의 외경 및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외경은 부재(36)의 내경에 비해 조금 크게 형성되어있고, 제1도의 위치에 있는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를 이 부재(36)로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 접합부(29)와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또 걸림부(31)에 의해 휩 안테나부(24)와 원통상 안테나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은 부재(36)에 의한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와 이 부재(36)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신축안테나(21)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20)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구멍(38)에 본체 접합부(29)가 나사식으로 끼워짐으로서 본체(2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안테나(21)는 고주파 접속부재(39)를 통해서 프린트 배선판(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신축작용을 제5a, b, c도를 이용해서 다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안테나장치의 안테나를 늘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안테나부(25)의 선단(25a)은 걸림부(31)와 닿아 있고,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는 본체 접합부(29)의 부재(36)로 탄성 접촉지지되고, 스토퍼부(28)는 부재(36)에 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손잡이부(27)를 누르면 걸림부(31)에 의한 휩 안테나부(24)와 원통상 안테나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과 부재(36)에 의한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와 이부재(36)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의 차에 의해 먼저 원통상 안테나부(25)내로 휩 안테나부(24)가 미끄럼 수납되고, 휩 안테나부(24)의 걸림부(31)가 원통상 안테나부(24)의 손잡이부(27)에 닿으면 다음에 바닥부(33)와 부재(36)와의 사이의 탄성 접촉지지가 해제되어 제5b도에 나타낸 것처럼 안테나부는 기기재로 수납된다. 원통상 안테나부(25)가 본체 접합부(29)의 위칭 달하면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외면은 이 부재(36)에 의해 탄성 접촉지지되어 원통상 안테나부(25)의 손잡이부(27)가 본체 접합부(29)에 접하면 안테나의 수납을 종료한다.(제5c도)
안테나를 뺄 때에는 먼저 원통상 안테나부(25)가 빠지고 이어서 휩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와 본체 접합부(29)의 부재(36)와의 접촉지지가 달성된다. 또 안테나 수납상태가 있어도 원통상 안테나부(25)는 본체 접합부(29)를 통해서 프린트 배선판(2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 수납시에도 신축안테나(21)는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 수납시에 내장 안테나를 별도로 필요도 없고 내장 안테나와의 변환장치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무선기의 본체(20)에는 상기한 구성으로 신축안테나(21)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21)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안테나(21)를 화살표(b) 방향으로 눌러 넣음으로서 제2도에 나타낸것처럼 본체(1)내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무선기를 놓는 장소에 애로가 없어 휴대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체 접합부(29)를 관통구멍(34)에 원통상 안테나부(25)가 끼워 맞춰져 있기 때문에 휴대 운반시 진동 등으로 안테나(21)가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또한 안테나(2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27)를 잡고 화살표(a) 방향으로 뺀다(제1도). 이때 안테나(21)는 휩 안테나부(24)의 길이에 원통상 안테나부(25)의 길이를 더한 분 만큼 늘릴 수 있어서, 안테나(21)의 길이를 본체(20)의 길이보다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대 무선기의 이동시 및 놓고 있을때 안테나(21)에 외력이 가해져도 응력이 집중하는 본체(20)와 안테나(21)와의 접합부분은 탄력성이 풍부한 휩 안테나부(24)이므로, 안테나(21)는 유연하게 되어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휩 안테나부(240)에 원통상 안테나부(250)(251)로 되는 2단의 안테나가 접속되어 있다. 즉 안테나 몸통부(260)는 휩 안테나부(240)와 원통상 안테나부(250)(251)로 구성되고, 원통상 안테나부(251)의 선단에는 손잡이부(270)가 설치되고 휩 안테나부(240)의 베이스에는 스토퍼부(280)가 설치되고 또 본체 접합부(290), 부재(360)가 설치되어 있다. 휩 안테나부(240)의 선단에는 제7a도와 나타낸 것처럼 원통상 안테나부(250)의 내면으로 탄성 접촉하는 걸림부(310)가 설치되어 있고, 원통상 안테나부(250)의 선단에는 원통상 안테나부(251)의 내면에 탄성 접촉하는 걸림부(31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7a도에 안테나를 길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7b도는 안테나를 가장 짧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원통상 안테나부(251)의 손잡이부(270)에 접하고, 휩 안테나부(240)의 걸림부(310)는 원통상 안테나부(250)의 걸림부(311)에 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311)에 의한 원통상 안테나부(250)와 원통상 안테나부(251)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은 걸림부(310)에 의한 휩 안테나부(240)와 원통상 안테나부(250)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걸림부(310)에 의한 휩 안테나부와 원통상 안테나부(250)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은 부재(260)에 의한 휩 안테나부(240)와 이 부재(360)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휩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원통상 안테나부를 2단 구성으로 했으나 이것을 3단 이상의 다단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도 안테나부(21)를 본체(20)내에 수납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나, 제8도에 나타낸것처럼 안테나부(21)를 본체(20)로 회전운동부(290)를 통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해도 좋다. 회전운동부(290)는 본체(2))에 부착된 축(291)과, 이 축(291)에 끼워지는 링(292)으로 되고, 이 링(292)에 휩 안테나부(24)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기기로 통신을 행할 때는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본체(20)의 상면에서 돌출시켜서 최대한의 길이까지 늘린다. 또한 이 기기를 휴대할 때에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안테나부(21)는 최소한의 길이까지 축소되고 회전운동 시킬수 있는 본체(20)의 측부에 위치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통신을 행할 때는 안테나 길이를 적어도 본체(20)의 길이 이상 확보할 수 있고 또 조인트 부분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서 외력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할 때에는 본체(20)의 전장(전체길이) 이하의 길이로 축소되어서 본체(20) 측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본체(20)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어져서 대단히 편리하다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예에는 안테나부(21)는 축(29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시에 본체(20)의 표면에 안테나부(21)가 부착되도록 하면 안테나부(21)는 회전 이외에 어떤 움직임을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식 안테나장치는 휴대용 무선기에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텔리비젼, 오디오 등의 넓은 범위의 통신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와 상기 제1의 안테나부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접속되는 제2의 안테나부(25)와, 기기본체(20)에 대해 상기 제1의 안테나부 및 제2의 안테나부를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는 적어도 상기 기기본체(2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는 적어도 상기 제1의 안테나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는 원통체로 되고, 이 제2의 안테나부의 안쪽 구멍에 상기 제1의 안테나부가 미끄럼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는 한 끝에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의 안쪽구멍에 탄성접합하는 걸림부(31)를 가지고, 다른 끝에 베이스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33)는 그 외경이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의 외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장치는 기기본체(20)에 부착되어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가 삽입 가능한 관통구멍(34)을 갖는 본체 접합부(29)와, 이 본체 접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 또는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를 탄성 접촉지지하는 탄성 접촉부(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1)에 의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와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와의 접촉지지력은 상기 탄성 접촉부(36)에 의한 상기 제1의 안테나부와 이 탄성 접촉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늘어난때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의 베이스부(33)가 상기 탄성 접촉부(26)에 접촉해서 상기 기기의 내부회로와 도통하고, 줄였을때 제2의 안테나부(25)가 상기 탄성 접촉부(36)에 접촉해서 상기 내부회로와 도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의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본체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의 걸림부가(31)가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의 선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기기본체 밖으로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기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와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는 상기 제2의 안테나부가 상기 제1의 안테나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장치는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에 설치되는 걸림부(31)와,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상기 제2의 안테나부의 선단(25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5.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와, 이 제1의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제2의 안테나부(25)를 갖추고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는 기기 내부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은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의(4)의 적어도 일부가 기기본체 내부에 수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기기본체의 표면에 위치하여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의 기단부는 상기 기기본체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19.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0)와, 이 제1의 안테나부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의 안테나부(250)와, 이 제2의 안테나부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3의 안테나부(251)와, 기기본체에 대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 제2의 안테나부 및 제3의 안테나부를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0. 가요성을 갖는 봉상의 제1의 안테나부(240)와, 상기 제1의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제2의 안테나부(250)와, 상기 제2의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제3의 안테나부(2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안테나부는 기기내부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0)는 적어도 상기 기기본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0)는 적어도 상기 제1의 안테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3의 안테나부(251)는 상기 제2의 안테나부의 길이보다도 짧던가 또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0) 및 상기 제3의 안테나부(251)는 원통상체로 되고 제2의 안테나부의 안쪽 구멍에 제1의 안테나부(240)가 미끄럼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0)는 한 끝에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0)의 안쪽 구멍에 탄성 접합하는 제1의 걸림부(310)를 가지고, 다른 끝에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0)는 한 끝에 상기 제3의 안테나부(251)의 안쪽 구멍에 탄성 접합하는 제2의 걸림부(3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그 외경이 상기 제3의 안테나부의 외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장치는 기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3의 안테나부(251)가 삽입 가능한 관통구멍을 갖는 본체 접합부(290)와, 본체 접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0)의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제3의 안테나부를 탄성 접촉지지하는 탄성 접촉부(3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2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걸림부(311)에 의한 상기 제2의 안테나부(250)와 상기 제3의 안테나부(251)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은 상기 제1의 걸림부(310)에 의한 상기 제1의 안테나부(240)와 제2의 안테나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제1의 걸림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안테나부와 상기 제2의 안테나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은 상기 탄성 접촉부에 의한 상기 제1의 안테나부와 이탄성 접촉부와의 사이의 접촉지지력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안테나장치.
KR1019890016126A 1988-11-08 1989-11-08 신축식 안테나장치 KR920002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81647 1988-11-08
JP63-281647 1988-11-08
JP63281647A JP2731188B2 (ja) 1988-11-08 1988-11-08 伸縮アンテナ及び無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18A KR900008718A (ko) 1990-06-04
KR920002438B1 true KR920002438B1 (ko) 1992-03-24

Family

ID=1764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126A KR920002438B1 (ko) 1988-11-08 1989-11-08 신축식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79558A (ko)
EP (1) EP0372720B1 (ko)
JP (1) JP2731188B2 (ko)
KR (1) KR920002438B1 (ko)
CA (1) CA2002424C (ko)
DE (1) DE6892610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34B1 (ko) * 2006-10-09 2008-01-2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다단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5270D1 (de) * 1991-04-10 1996-03-21 Siemens Ag Funksprechgerät mit zugehöriger Geräteantenne
JP2703670B2 (ja) * 1991-04-12 1998-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GB2257838B (en) * 1991-07-13 1995-06-14 Technophone Ltd Retractable antenna
US5302963A (en) * 1991-09-03 1994-04-12 Motorola, Inc. Retractable antenna assembly with connector
EP0532960B1 (de) * 1991-09-06 1996-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mpaktes Funkgerät, insbesondere Handfunkgerät mit einer versenkbaren oder umklappbaren Stabantenne
US5343213A (en) * 1991-10-22 1994-08-30 Motorola, Inc. Snap-in antenna assembly
US5278570A (en) * 1992-09-08 1994-01-11 Motorola, Inc. Combined coaxial connector and radio frequency switch assembly
JP2520557B2 (ja) * 1993-02-26 1996-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機用アンテナ
US6018321A (en) * 1993-07-20 2000-01-25 Centurion International, Inc. Variable extended cable antenna for a cellular telephone
US5926748A (en) * 1993-07-23 1999-07-20 Nec Corporation Portable radio apparatus capable of keeping antenna away from user when calling
US5469177A (en) * 1993-09-15 1995-11-21 Motorola, Inc. Antenna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FR2731298B1 (fr) * 1995-03-03 1997-04-04 Alcatel Mobile Comm France Boitier pour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s et systeme de test associe
US5596334A (en) * 1995-09-05 1997-01-21 Motorola, Inc. Antenna assembly with integrated installation support
US5686927A (en) * 1995-11-03 1997-11-11 Centurion International, Inc. Retractable antenna
GB2308013B (en) * 1995-12-07 1999-05-12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 device
DE19547191C2 (de) * 1995-12-16 2000-04-27 Eckhard Mutterer Antenne für Handfunk-Sprechgerät
US5717408A (en) * 1995-12-18 1998-02-10 Centurion International, Inc. Retractable antenna for a cellular telephone
US5907306A (en) * 1996-12-30 1999-05-25 Ericsson Inc. Retractable radiotelephone antennas and associat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s
US5983119A (en) * 1997-01-03 1999-11-0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input system and method of use
US5914689A (en) * 1997-06-25 1999-06-22 Centurion Intl., Inc. Antenna for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031495A (en) * 1997-07-02 2000-02-29 Centurion Intl., Inc. Antenna system for reducing specific absorption rates
US6052088A (en) * 1997-08-26 2000-04-18 Centurion International, Inc. Multi-band antenna
US6310578B1 (en) * 1997-10-28 2001-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band telescope type antenna for mobile phone
US6329962B2 (en) 1998-08-04 2001-1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band, multiple branch antenna for mobile phone
US6034639A (en) * 1997-12-22 2000-03-07 T & M Antennas Retractable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or
US6064341A (en) * 1998-05-14 2000-05-16 Motorola, Inc. Antenna assembly
US6353443B1 (en) 1998-07-09 2002-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niature printed spiral antenna for mobile terminals
US6166694A (en) * 1998-07-09 2000-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nted twin spiral dual band antenna
US6075489A (en) * 1998-09-09 2000-06-13 Centurion Intl., Inc. Collapsible antenna
US6002372A (en) * 1998-09-09 1999-12-14 Centurion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antenna
KR100299026B1 (ko) * 1998-09-11 2001-09-22 윤종용 신장가능한소형안테나
US6133885A (en) * 1998-11-03 2000-10-17 Motorola, Inc. Non-telescoping antenna assembl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343208B1 (en) 1998-12-16 2002-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nted multi-band patch antenna
US6198443B1 (en) 1999-07-30 2001-03-06 Centurion Intl., Inc. Dual band antenna for cellular communications
DE69915378T2 (de) 1999-12-09 2005-03-17 Mitsubishi Denki K.K. Antenne und mobilfunkeinheit
KR100868511B1 (ko) * 2007-07-13 2008-11-12 주식회사 메닉스 신축 가능한 스위블 안테나
US20100141847A1 (en) * 2008-12-05 2010-06-10 Subramanian Jayaram Mobile television device with break-resistant integrated telescoping antenna
US8421683B2 (en) * 2009-06-25 2013-04-1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Rollable and/or foldable antenn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102544687A (zh) * 2010-12-1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天线固定结构
JP5944777B2 (ja) * 2012-07-30 2016-07-05 テーダブリュ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用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
WO2021033232A1 (ja) * 2019-08-19 2021-02-25 正毅 千葉 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932A (en) * 1956-02-21 Antenna for compact radio equipment
US2491601A (en) * 1946-11-20 1949-12-20 Bernstein Irving Extensible car radio antenna
US2932367A (en) * 1949-09-23 1960-04-12 Hirschmann Radiotechnik Antenna
US3435456A (en) * 1966-02-01 1969-03-25 Kel Kk Adjustable whip antenna for portable receiver
JPS578273Y2 (ko) * 1976-07-22 1982-02-17
JPS62264Y2 (ko) * 1979-02-20 1987-01-07
JPS6134730Y2 (ko) * 1979-11-16 1986-10-09
JPS61168732U (ko) * 1985-04-08 1986-10-20
JPH063843B2 (ja) * 1985-11-01 1994-01-12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伸縮式アンテナ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34B1 (ko) * 2006-10-09 2008-01-2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다단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7802A (ja) 1990-05-16
CA2002424C (en) 1994-07-05
DE68926103T2 (de) 1996-09-05
US5079558A (en) 1992-01-07
EP0372720B1 (en) 1996-03-27
DE68926103D1 (de) 1996-05-02
EP0372720A1 (en) 1990-06-13
KR900008718A (ko) 1990-06-04
JP2731188B2 (ja) 1998-03-25
CA2002424A1 (en)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438B1 (ko) 신축식 안테나장치
JP2575549B2 (ja) 無線端末装置のアンテナ取付構造
JP2554762B2 (ja) アンテナと無線機
US5446789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for receiving soundwaves
US4920352A (en) Retractable antenna
JP3303394B2 (ja) 携帯電話機
JP3186050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
JPH077761A (ja) 格納式アンテナを有する無線機
US4829317A (en) Motor driven antenna for vehicles
KR100299026B1 (ko) 신장가능한소형안테나
JPH11298219A (ja) アンテナとそれを用いた携帯用無線機
JP2908387B2 (ja) 伸縮アンテナ及び無線機
JP2000209009A (ja) 伸縮式アンテナ
KR10034256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3465802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2501413B2 (ja) アンテナと無線機
KR20017693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권선장치
JPH0237677A (ja) 携帯用無線機の接地構造
JP2006245809A (ja)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JP3631101B2 (ja) アンテナ取付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JPS5824487Y2 (ja) 受信機
KR820001038Y1 (ko) 로드안테나 부착 구조
JP2579087B2 (ja) アンテナ保持装置
JP2000059117A (ja) アンテナ取り付け構造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H10163723A (ja) 携帯無線機のアンテ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