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87B1 - 필기도구 - Google Patents

필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87B1
KR920002187B1 KR1019870008126A KR870008126A KR920002187B1 KR 920002187 B1 KR920002187 B1 KR 920002187B1 KR 1019870008126 A KR1019870008126 A KR 1019870008126A KR 870008126 A KR870008126 A KR 870008126A KR 920002187 B1 KR920002187 B1 KR 92000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cup
ball
use position
imp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48A (ko
Inventor
브룬 베른하르트
나바로-라밀 호세
제게바르트 라이너
Original Assignee
로트링 베르케 리페 카게
롤프 쉴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트링 베르케 리페 카게, 롤프 쉴러 filed Critical 로트링 베르케 리페 카게
Publication of KR88000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도구
제1도는 관형 필기도구 형태의 필기도구의 측면도.
제2도는 관형 필기도구의 선단이 사용위치에 있는 제1도의 필기도구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관형 필기도구 선단이 비사용 위치에 있는 제1도의 필기도구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의 케이싱 상부와 클립의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케이싱 4 : 슬리브
5 : 원통형몸체 6 : 필기심
7 : 나선형홈 9, 10 : 밀봉체
11, 12 : 잉크 카트리지 13 : 연결부
16 : 영구자석 17 : 접촉면
18 : 컵모양부 19 : 안내부
20 : 버튼부 21 : 돌출부
23 : 볼(Ball) 25 : 세로축
30, 30', 30" : 안내홈
본 발명은 후퇴된 비사용위치로부터 전진된 사용위치로 필기요소를 이동시키는 가압기구를 구비한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요소가 필기 압력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필기도구에 대한 것이다. 가압기구는 스프링 압력과 케이싱에 결합된 위치로부터의 이동기구의 이동에 의해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위치로 복귀한다.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필기도구(DE-AS 1 294 850)를 보면, 볼펜심 형태를 하고 있는 필기요소의 후단부는 필기도구의 클립이 그위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기구의 내부구멍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이동기구는 필기도구 케이싱의 구멍내부로 연장하는 측면돌출부를 구비하므로 그 후단면과 구멍의 후단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필기도구를 사용위치(필기위치)에 유지한다. 필기도구의 비사용위치(정지위치)는 구멍의 후단부와 훨씬 전방에 위치하는 표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므로 이동기구와 필기요소가 필기도구의 케이싱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필기요소와 이동기구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의 압력을 받아서 돌출부가 구멍에 유지결합된 위치에서 분리되면 클립의 기울어짐에 의해 비사용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도구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기구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후퇴된 비사용 위치와 전방으로 이동된 사용위치 사이에서 필기요소를 이동시켰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요소가 선으로 비사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되지만, 사용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의 필기요소의 이동은 필기도구가 대략 수평인 면위에 놓여질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필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술한 종류의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필기도구는 후방으로 개방되며 내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자성체로된 볼이 내부에 삽입되는 컵모양부를 구비하는 이동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컵모양부의 구멍 근처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컵모양부 근처의 자석의 표면은 필기도구에 동축적으로 설치된 오목한 접촉면을 가진다. 볼에 미치는 영구자석에 의해 당겨지는 힘은 볼의 중량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에서는 특징적으로 형성된 이동기구가 구비되며, 이 이동기구는 영구자석, 즉 영구자석의 접촉면 및 자성체로된 볼과 협력 하여 작동한다. 비사용 위치에서 사용위치로 필기도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동기구는 종래의 방법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필기심은 사용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동기구는 필기도구의 하우징부와 유지결합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이동은 대체로 수직인 위치에서 발생되며, 영구자석에 의해 볼에 부여되는 당기는 힘은 볼의 중량보다 작기 때문에 볼은 영구자석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기구의 컵모양부의 바닥부에 멈추게 된다. 그러나, 필기도구가 대체로 수평인 면위에 위치하면, 볼은 영구자석의 접촉면으로 이동되고 컵모양부가 이동되어 이동기구가 하우징부와의 결합위치에서 분리되게 된다. 스프링 압력에 의해 필기심은 비사용 위치로 복귀된다.
종래기술(DE-AS 1 298 911)에는 필기도구의 가압기구로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에 끌리는 자성체로 만들어진 볼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기재된 요소는 필기심을 사용위치 및 비사용위치로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며, 이와달리 본 발명에서는 필기심이 사용위치에서 비사용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를 보면 컵모양부의 구멍이 이동기구가 결합위치에 있을때 특히 영구자석의 접촉면에 대해 편심배치되어 있으며, 필기도구가 비사용위치에 있을 때 영구자석은 컵모양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의 직경이 컵모양부의 내경보다 다소 작으며 따라서 볼에 의해 영구자석에 대한 컵모양부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필기도구가 수평면에 놓이면 컵모양부의 방향이 변경되며, 이동기구는 하우징부와 결합된 위치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필기도구가 비상용 위치에 있는 동안 컵모양부의 이 같은 위치는 컵모양부내로 영구자석이 뻗어있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컵모양부는, 필기도구의 세로축위의 한점둘레로 영구자석의 접촉면에 대해 구멍이 편심된 위치와 영구자석이 컵모양부내로 뻗는 위치 사이에서 선회이동 가능하다. 컵모양부의 선회이동은 아주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컵모양부를 필기도구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필기도구와의 연결부로 연장하는 컵모양부 위의 안내부가 필기도구에 대한 컵모양부의 바닥부의 측방향 아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압기구를 간단하게 작동시킬수 있도록,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이동기구의 버튼부가 종래기술의 다른 필기도구에서와 같이 클립의 구멍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기구의 버튼부 후방면은 결합위치에서 필기도구의 하우징부의 돌출부에 접촉유지될 수 있다.
관형구조를 갖는 첨필이나 공업적 용도의 필기도구에 있어서는 필기도구가 사용후에 덮개로 덮어지지 않고 짧은 시간이라도 방치되면 필기심이 빠르게 건조해 버리는 일반적인 문제가 있다.
상술한 형태의 필기도구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면, 통상 필기도구의 비사용 위치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의 선단을 밀폐하며 사용위치에서는 필기심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밀봉체가 케이싱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이 같은 구조를 통해 필기도구가 수평면위에 놓여진때 비사용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므로 필기심의 선단부의 양호한 밀봉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필기도구는 전부 케이싱(1)과 후부 케이싱(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케이싱은 통상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후부 케이싱(2)에는 클립(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후부 케이싱(2)의 후단부에는 고정캡(14)가 분리되지 않게 삽입되어 있으며, 이 캡은 버튼(15)을 지지하며, 이 버튼은 예컨대 색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의 내부에는 원통형 몸체(5)와 그 전방단부에 삽입된 필기심(6)과 외면에 형성된 보충실을 덮으며 원통형 몸체위에 결합된 덮개슬리브(4)를 구비한 관형 필기도구의 개략적인 선단이 위치하며, 보충실은 전방부가 주위대기와 연결되고 있다. 원통형 몸체의 후부에는 보통의 방법으로 잉크카트리지(cartridge)(11)가 삽입되어 있으며 케이싱에는 또 다른 잉크카트리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잉크카트리지는 전단부가 잉크카트리지(11)와 접하며 후단부가 원동형 몸체용 연결부(13)와 접하고 있다.
후부 케이싱(2)의 후단부에는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기구는 후방으로 개방된 컵모양부(18)와 이와 연결되며 전방으로 뻗는 안내부(19)를 갖고 있다. 컵모양부(18)의 앞쪽의 뽀족한 부분은 카트리지(12)의 연결부(13)과 접해 있으며, 안내부(19)는 이 연결부(13)를 둘러싼다. 컵모양부(18)의 측면에는 버튼부(20)이 형성되며, 이 버튼부는 후부 케이싱(2)의 측면구멍 및 클립(3)의 구멍(22)를 통해 돌출한다.
고정 캡(14)에는 관형 필기도구 케이싱의 중심의 세로축(25)에 대해 동축으로 영구자석(16)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자석의 접촉면(17)은 오목하게 굽어있고, 세로축(25)에 대해서 원형의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16)의 접촉면(17)의 곡률은 자성체 특히 강자성체로 형성된 볼(23)의 표면곡률과 부합되며, 상기 볼은 컵모양부(18)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23)의 직경은 컵모양부(18)의 종방향 길이보다 상당히 작을 뿐아니라 컵모양부(18)의 내경보다도 작으므로 상기 볼(23)은 컵모양부(18)내에서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가능하나 측방으로는 거의 이동하지 못한다.
전부 케이싱(1)의 전단부에는 탄성재료로 형성된 밀봉체(9)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필기)위치에서는 상기 밀봉체를 관통하여 관형 필기도구의 필기심(6)이 돌출하여, 필기심(6)의 전단부가 표시될 부분과 접촉하게 되며, 비사용(정지)위치 (제3도 참조)에서는 필기심(6)이 후퇴하여 밀봉체(9)에 의하여 폐쇄된다.
원통형 몸체(5)의 전부에는 전부 케이싱(1)과 연결되며 나선형홈(7)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하지 않는 안내부싱(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싱(27)위에는 환형밀봉체(10)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슬리브(4)에 대해 후방으로 가압된다. 슬리브(4)는 스프링(8)에 의해 원통형 몸체위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는 전부 케이싱(1)의 환형 어깨부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이 같은 관형 필기 도구 선단에는 지속적으로 스프링 압력이 후방으로 작용하게 된다.
밀봉체(10)는 홈(7)과 밀봉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에 의하여 연결된다. 사용위치(제2도 참조)에서 밀봉체(10)는 보충실을 밀봉되게 연결한다.
제2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관형 필기도구는 사용위치에 있으며, 관형 필기도구 선단의 세로축(25)에 대해 컵모양부(18)는 경사지므로 컵모양부의 세로축(26)은 세로축(25)에 대해 경사되어 연장된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 버튼부(20)의 외부부분은 클립(3)의 외부부분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하며, 버튼부(20)의 후단부는 하우징부의 고정캡(14)에 형성된 돌출부(21)에 결합된다. 버튼부는 스프링(8)의 압력에 의해 이러한 결합위치에 유지된다. 관형 필기도구는 대체로 사용(필기)상태에서는 수직으로 놓이게 되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하듯 볼(23)은 컵모양부(18)의 바닥부에 위치하게 된다.
필기도구가 수평면에 비사용(정지)위치로 놓이게 되면 상기 볼(23)은 영구자석(16)을 향한 방향으로 컵모양부(18)에서 구르게 되며, 영구자석에 의해 당겨진다. 상기 볼이 영구자석(16)의 오목하게 굽은 접촉면(17)에 접하게 되면 상기 볼은 컵모양부의 구멍영역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잉크카트리지(12)의 연결부(13)의 단부면 위에서 접촉면 둘레로 이동기구는 선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선회이동에 의하여 버튼부(20)의 후방단부는 외측으로 눌러지고 돌출부(21)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형 필기도구의 선단은 잉크카트리지(11,12)와 같이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모양부(18)는, 영구자석(16)이 컵모양부(18)내로 연장하여 이동기구의 측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뒤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위치에서 컵모양부(18)의 바닥부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안내부(19)의 작용은 이러한 위치에서는 필요로 되지 않는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모양부의 내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홈형태의 3개의 안내홈(30,30′,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안내홈에 의해 볼(23)이 측면위치 즉 클립이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완전히 구를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관형 필기도구 선단이 다시 사용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필기도구는 대체로 수직 상태로 이동되며 버튼부(20)이 전방으로 밀어지게 된다. 관형 필기도구 선단 뿐아니라 이동기구 전체가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볼(23)의 중량은 영구자석의 당기는 힘보다 크므로, 볼(23)은 접촉면(17)에서 분리되게 되며 컵모양부(18)의 바닥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 같이 앞쪽으로 전진된 위치에서는 컵모양부(18)의 구멍영역이 영구자석(16)에서 분리되게 되며, 버튼부(20)의 후방단부는 내측으로 선회이동하여 돌출부(21)와 결합되고 관형 필기도구 선단이 사용위치에 유지된다.
제4도는 클립(3)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상기 클립은 후부 케이싱(2)과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부(20)의 안내역할을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예로서의 것이며, 첨부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변경이나 개선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후퇴된 비사용 위치로부터 전진된 사용위치로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필기요소(4,5,6,11,12.13)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필기요소(4,5,6,11,12,13)는 필기압력에 대항하여 유지되어 있으며, 스프링 압력으로 하우징부(1,2,14,15)에 결합된 위치로부터 이동기구(18,19,2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필기요소는 비사용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는 필기도구에 있어서, 이동기구(18,19,20)는 뒤가 개방된 컵모양(18)을 구비하며, 상기 컵모양부의 축방향 길이는 그의 직경보다 크며, 이 컵모양부 안에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왕복이동할 수 있는 자성체로 형성된 볼(23)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컵모양부(18)의 구멍근처에 영구자석(16)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자석의 상기 컵 모양부로 향하는 면은 상기 필기요소와 동축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을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파진 접촉면(17)을 구비하며, 상기 영구자석(16)으로부터 상기 볼(23)에 작용하는 자력은 볼(23)의 중량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기구(18,19,20)의 결합위치에서 컵모양부(18)의 구멍은 영구자석(16)의 접촉면(17)에 대해 편심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16)은 컵모양부(18)안으로 필기요소(4,5,6)의 비사용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영구자석(16)의 접촉면(17)에 대한 구멍의 편심위치와 영구자석(16)이 컵모양부(18)로 연장하는 위치사이에서 컵모양부(18)는 필기요소(4,5,6,11,12,13)의 세로축(25)위의 한점둘레로 선회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컵모양부(18)에 구비된 안내부(19)는 필기요소 (4,5,6,11,12,13)와의 연결부(13)를 교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기구(18,19,20)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20)이 클립(3)의 구멍(22)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위치에서 이동기구(18,19,20)의 버튼부(20)의 후방면은 하우징부(1,2,14,15)에 있는 돌출부(21)과 결합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하우징부(1,2,14,15)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밀봉체(9)는 필기요소(4,5,6,11,12,13)의 비사용위치에서 필기심(6)의 전단부를 밀봉하며, 필기요소(4,5,6,11,12,13)의 사용위치에서는 필기심(6)은 상기 밀봉체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주위대기와 연결된 보충실의 연결구멍들앞의 필기요소 (4,5,6,11,12,13)상에 환형의 제2밀봉체(1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체는 연결구멍방향으로 스프링(8)에 의해 밀어지며, 상기 밀봉체는 필기요소(4,5,6,11,12,13)의 사용위치에서 상기 밀봉체에 설치되어 있는 홈과 일치되어 연결구멍들에 대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필기요소(4,5,6,11,12,13)의 비사용위치에서는 상기 연결구멍들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제2밀봉체(10)은 회전되지 못하게 고정된 안내부싱(27)의 나선형홈(7)으로 통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컵모양부(18)의 내부면에는 볼(23)을 안내하기 위해 필기도구의 세로축으로 연장하는 안내홈(30,30',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1. 제5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하우징부(1,2,14,15)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밀봉체(9)는 필기요소(4,5,6,11,12,13)의 비사용위치에서 필기심(6)의 전단부를 밀봉하며, 필기요소(4,5,6,11,12,13)의 사용위치에서는 필기심(6)은 상기 밀봉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2. 제6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하우징부(1,2,14,15)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밀봉체(9)는 필기요소(4,5,6,11,12,13)의 비사용위치에서 필기심(6)의 전단부를 밀봉하며, 필기요소(4,5,6,11,12,13)의 사용위치에서는 필기심(6)은 상기 밀봉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3. 제5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컵모양부(18)의 내부면에는 볼(23)을 안내하기 위해 필기도구의 세로축으로 연장하는 안내홈(30,30',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4. 제6항에 있어서, 관형 필기도구인 경우에, 컵모양부(18)의 내부면에는 볼(23)을 안내하기 위해 필기도구의 세로축으로 연장하는 안내흠(30,30′,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KR1019870008126A 1986-07-26 1987-07-25 필기도구 KR920002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25381 DE3625381A1 (de) 1986-07-26 1986-07-26 Schreibgeraet mit einer druckmechanik
DEP3625381.2 1986-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48A KR880001448A (ko) 1988-04-23
KR920002187B1 true KR920002187B1 (ko) 1992-03-19

Family

ID=63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126A KR920002187B1 (ko) 1986-07-26 1987-07-25 필기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29685A (ko)
EP (1) EP0256244B1 (ko)
JP (1) JPS6335398A (ko)
KR (1) KR920002187B1 (ko)
AT (1) ATE50206T1 (ko)
DE (2) DE3625381A1 (ko)
ES (1) ES2013617B3 (ko)
GR (1) GR300038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6941C2 (nl) * 2011-06-15 2012-12-18 Creaidea B V Viltstift.
DE102013021815B4 (de) 2013-12-20 2018-09-06 Oleksandr Barinberg Schreibgerät
CN105082830B (zh) * 2014-05-05 2017-05-31 梅迪奇创意股份有限公司 自动回收手持文具
FR3065396B1 (fr) * 2017-04-19 2019-07-05 Societe Bic Dispositif manuel, notamment instrument d'ecriture, equipe d'un dispositif de bloca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5038A (en) * 1953-01-02 1955-11-29 Morris Owen Magnetic ball point pens
BE545721A (ko) * 1955-03-04
US2813511A (en) * 1955-07-05 1957-11-19 Parker Pen Co Writing instrument
GB832094A (en) * 1956-03-09 1960-04-06 Theodor Kovacs Improvements in writing instruments
BE559928A (ko) * 1956-03-26
DE1225994B (de) * 1956-03-26 1966-09-29 Paper Mate Mfg Company Schreibgeraet, insbesondere Kugelschreiber, mit einem zwischen einer Schreib- und einer Ruhestellung bewegbaren Schreibteil
US2921557A (en) * 1957-04-15 1960-01-19 Paper Mate Mfg Co Writing instruments
DE1294850B (de) * 1963-04-27 1969-05-08 Ritter Kg J Druckmechanik fuer einen Schreibstift, insbesondere Kugelschreiber
DE1298911B (de) * 1964-10-29 1969-07-03 Boost Werner Kugelschreiber
DE7037517U (de) * 1970-10-10 1971-01-14 Faber Castell A Schreibgerat mit Spitzenverschluß
DE2531040A1 (de) * 1975-07-11 1977-01-20 Rotring Werke Riepe Kg Fuellhalter mit zurueckziehbarer schreibspitze
US4176979A (en) * 1977-10-31 1979-12-04 Yasushi Saida Ball-point pen
JPS5830717Y2 (ja) * 1979-10-29 1983-07-06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US4377349A (en) * 1981-06-12 1983-03-22 Shusaku Kunii Ball point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6244A1 (de) 1988-02-24
JPS6335398A (ja) 1988-02-16
KR880001448A (ko) 1988-04-23
ATE50206T1 (de) 1990-02-15
US4729685A (en) 1988-03-08
DE3761624D1 (de) 1990-03-15
GR3000380T3 (en) 1991-06-07
EP0256244B1 (de) 1990-02-07
DE3625381C2 (ko) 1988-04-28
ES2013617B3 (es) 1990-05-16
DE3625381A1 (de) 198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271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and second sealing means
US3892495A (en) Push type mechanical pencil
KR920002187B1 (ko) 필기도구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US2734484A (en) Ball point pen
EP0121113B1 (en) Writing instrument
JPH08108676A (ja) キャップレス式の液体筆記具
JP2001341492A (ja) ノック式筆記具
US4702634A (en) Continuous feed mechanical pencil with push button lead feed actuator
JP2009029028A (ja) ノック式筆記具
JPS6130916B2 (ko)
JP2001010286A (ja) 筆記具
JPH0728941Y2 (ja) 後端ノック式塗布具
JPS6227425Y2 (ko)
KR960001385Y1 (ko) 인감 부착 필기구
KR890003848B1 (ko) 복합필기구
JP2599469Y2 (ja) 印鑑付筆記具
JPH0123833Y2 (ko)
KR920008451Y1 (ko) 샤아프펜슬
KR880001861B1 (ko) 필기구
JPH0347908Y2 (ko)
KR920003779Y1 (ko) 샤프펜슬
JPH09226294A (ja) 複式筆記具
JP2599467Y2 (ja) 印鑑付筆記具
JPH0872470A (ja) キャップレス式の液体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