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065B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065B1
KR920002065B1 KR1019850002409A KR850002409A KR920002065B1 KR 920002065 B1 KR920002065 B1 KR 920002065B1 KR 1019850002409 A KR1019850002409 A KR 1019850002409A KR 850002409 A KR850002409 A KR 850002409A KR 920002065 B1 KR920002065 B1 KR 92000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container
handle
outlet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32A (ko
Inventor
한카머 하인쯔
Original Assignee
브리타 바쎄르-필터-시스테메 게엠베하
한카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타 바쎄르-필터-시스테메 게엠베하, 한카머 filed Critical 브리타 바쎄르-필터-시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5000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6도 내지 제10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냄.
제1도는 전체장치의 측면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서로 분리시킨 정수장치 세부재의 측면도.
제3a도는 용기의 개략적 측면도.
제3b도는 그의 평면도.
제4a도는 깔대기의 개략적 측면도.
제4b도는 깔대기의 개략적 측면도.
제5a도는 뚜껑의 개략적 측면도.
제5b도는 그의 평면도.
제6도는 조립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체 정수장치의 측면도.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세부재가 서로 분리된 제6도의 장치의 측면도.
제8a도는 제2실시예의 용기의 측면도.
제8b도는 그의 평면도.
제9a도는 제2실시예의 깔대기의 개략적 측면도.
제9b도는 그의 평면도.
제10a도는 뚜껑의 평면도.
제10b도는 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유출구
3 : 손잡이 4 : 깔대기
5 : 뚜껑 6 : 바닥
7 : 바닥개구 11, 24 : 깔대기벽
12 : 융기부 13 : 돌출재
15 : 시일콘 16 : 손잡이 꼭지
18 : 돌출부
본 발명은 유출구(부어내는 구멍)와 손잡이가 있는 용기, 깔대기 및 깔대기 덫개로 되어 있고 깔대기의 바닥에는 정제용 매질을 수용하는 필터통의 수납구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 종류의 정수장치는 알려져 있다.
깔대기에 외통이 부착되어 있고 그 외통내에는 정제매질이 느슨히 충전되어 있고 이어 그것의 상부는 로 막혀있는 그런 정수기가 있다. 모든면이 막혀 있는 필터통의 시일링 클램프에 의해 깔대기에 고정되어 있는 그런 장치도 있다. 캐트리지와 관련하여(여재로) 충전되어 있는 외통의 양단(상단 및 하단)에는 체같은 마개부재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통과 마개부재의 내부에는 수불용성의 입상 정제매질을 위한 수용공간이 있다. 실소비자는 필터통을 상 규정대로 충전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들어났다. 따라서 깔대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 충전되어 있어 필터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위생의 개선, 특히 소망스럽지 않은 세균오염의 회로를 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정수장치에서는 하부에 필터통이 부착된 깔대기가 용기위에 놓여졌기 때문에, 열때도 물을 부을 때도 닫을때도 상당히 취급하는데 있어서 결점이 있었다. 용기, 깔대기 및 뚜껑과 같은 각 부재는 서로 엉성하게 설치되어 있어 실소비자는 실용적이고 콤팩트한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다. 그 위에, 필터통에 있는 정제매질과 유체가(부을때)손잡이와 비교적 원격하게 위치하여 장치의 기울어짐 관계가 불리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장치를 쥘때 특히 유체를 부어낼때 부적당한 중량 분포로 인해 왕왕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저염하게 제작될 수 있고 소비자가 실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즉 특히 용이하게(가볍게) 열고, 채우고 또한 유리한 중량분포로 편안하게 비울 수 있는, 상기한 종류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깔대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대략원통상 용기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그 깔대기는 적합하는 식의 대략 원통상 깔대기벽, 용기의 형성된 손잡이에 배치되도록 배설된 돌출재(부가체) 및 돌출재쪽에 편심위치하는 바닥개구를 갖고 있고, 그 깔대기는 용기에 형성된 넓은 원추상 유출구(부어내는 개구)의 영역에 있는 유출측 단부에 융기부가 있으며, 뚜껑은 하부의 원추상 밀폐재, 상면의 손잡이 꼭지 및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용기의 손잡이에 배치되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고 있게 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렇게 함에 의해 이 신규 정수장치는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되어 최종 소비자는 유리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신규 필터통을 구입한 뒤에는 깔대기의 바닥개구에 삽착하기만 하면 되고, 최종 소비자는 바닥개구가 깔대기에서 편심되어 즉 돌출재 쪽에 또는 용기의 손잡이 쪽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보다 가볍게(예컨대 무게 중심이 손잡이에 가까워 보다 작은 회전능률 때문에 가볍게 느껴짐) 취급할 수가 있다. 환언하면 비교적 무거운 통이 손잡이 가까이에 배설되어 있어 분명히 동작성이 개선된다. 전체 정수장치는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어, 용기뿐 아니라 깔대기와 뚜껑은 사출성형법으로 저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종래 공지의 깔대기는 용기위에 상방으로 엉성하게 얹혀졌으나 본 발명에 의한 깔대기는 부분적으로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그에 의해 중심(重心)관계가 유리해지고 소비자의 동작성(취급성)이 용이해진다. 깔대기에 있는 돌출재는 중심 맞추기 역할을 하며 또는 소비자에게 간단하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어떻게 하면 깔대기의 유출측단을 용기의 유출단에 배치할 수 있는가를 알려준다. 그리하여 깔대기의 융기부도 바른 지점에 놓이게 되므로 용이하게 유체를 부을 수 있다.
정수기에 정화하려는 물을 채우는 조작은 손잡이 꼭지를 사용하여 뚜껑을 연뒤 위로 부터 한다. 물은 물이 채워진 깔대기로부터 이 깔대기의 바닥개구에 밀폐적으로 고정된 필터통을 지나 용기내로 유입하며, 이 물은 소비자가 필요할때 사용할 수 있다. 오염이나 분진유입을 막도록 밀폐하기 위해서 뚜껑은 그의 원추상밀폐재(시일링콘)의 도움으로 깔대기위에 꼭 덮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는, 깔대기가 거의 완전히 용기내에 배치되고, 유출측 깔대기벽의 융기부가 조립상태에서 유출통로를 남기고, 깔대기의 손잡이쪽 돌출재는 용기의 손잡이 안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중점이 유리한 방향으로 영향을 받는데, 그 이유는 깔대기가 융기내에 깊이 들어가 있으므로 정수작업 개시시 모든 유체가 깔대기 안에 차있을때 이미 정수장치는 안정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융기부를 깔대기 벽의 하부에 특히 설치함으로써 유출은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깔대기가 용기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을때도 용기내 용적으로부터 그 유출부까지에 유출 통로가 남아 있게(형성)됨으로써, 깔대기를 기울여 들어 올릴 필요없이 유체를 부을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신규 정수장치의 구조를 콤팩트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또한 채워진 깔대기는 대체로 여간해서 움직이지(흔들리지)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상태의 개선에 기여한다.
깔대기의 손잡이쪽에 있는 돌출재도 부을 때 유리하게 작용하는데, 그 이유는 용기를 손잡을때는 손잡이의 상부 직선부에 엄지손가락이 자주 놓이게 되고 이 직선부 아래에 바로 깔대기의 돌출재가 놓이게 되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그런 구조로 인해 손가락을 눌름으로써 깔대기를 제자리에 잘 고정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고려해볼 때 용기의 상부테는 유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의 축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원추대로서 형성되고 깔대기의 상부는 유출측에 융기부가 있고(용기의 원추대부에) 상응적합하는 원추대상 외면을 갖고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의 전상부테는(위로부터 용기를 내려다 볼때 바람직하게는 360
Figure kpo00001
의 전각도 범위게 걸쳐) 유출구 범위가 넓어지도록 경사진 원추대로서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제된 유체(예컨대 물)는 윗테를 지나 잘 흘러나갈 수 있고 유출하는 유체의 유선(流線)은 잘 중심이 잡히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용기의 상부 원추대상테가 손잡이의 반대측에는 소망스런 넓은 유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한편, 후측의 손잡이 쪽 부분도 상응하게 형성된 깔대기에 대한 수납면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용기의 유출구는 용기에 비해서 급하고 짧은 원추대에 의해 형성되고 이 원추대는 그의 베이스면이 용기의 상연을 따른 상부 베이스면과 100
Figure kpo00002
내지 170
Figure kpo00003
, 바람직하게는 대략 150
Figure kpo00004
의 각도(
Figure kpo00005
)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데에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약간 원추상으로 상부쪽이 넓은 대략적 원통형상을 가진 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기의 상연은 용기의 정지면에 대략 평행한다.
이 대략 수평의 평면에 대해 유출구의 짧은 원추대의 평면이 규정된 각도로 놓인다. 또한 이에 의해 유리한 유출특성과 상술한 바 장점을 가진 넓은 유출구가 성립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상면이 후방대 부분이 깔대기를 수납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시, 깔대기는 용기내에 대략 반 가량이 배치되고, 이 반부높이에 깔대기를 둘러싸는 지지플랜지가 부착되고 용기의 바깥쪽에 나온 상부 깔대기벽은 유출구 측벽이 손잡이쪽보다 더 높도록 경사 원추대상으로 형성되게 하면, 특히 유리한 설치 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지지플랜지 및 용기에서 상방으로 나와 있는 깔대기로 인해서 용기는 보다 짧게 그리고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른 실시예와 같은 높이로서 보다 많은 용량의 물은 담을 수 있다.
상부 경사 원추대의 유출측벽의 보다 높음으로써 용기의 유체를 부어낼때 깔대기가 비스듬히 위치되더라도 유체가 깔대기로부터 누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구조에서는 깔대기의 유출측이 높은 벽은 용기의 유출구측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깔대기의 지지플래지는 유출측으로 유출구 덮개에까지 앞으로 뻗쳐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의 튀김 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높게 되어 있는 벽은 오물 내지 분진방지 덮개로서의 지지플랜지와 함께 전체 유출구 위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확실히 용기는 상부가 실질적으로 덮여 있으며, 그 때문에 깔대기를 용기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한 로커아암(틸팅 레버)으로서 돌출재를 다시 깔대기에 형성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한 것이다.
로커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하는것, 예컨대 측면도에서는 대략 V자형이고 V의 정점이 회전점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유체를 따를때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로커아암에 얹고 압압력을 가함으로써 깔대기가 들어 올려져 유출구가 열린다.
깔대기의 바닥개구가 편심배설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필터통도 편심 배설되므로, 깔대기가 용기로부터 비스듬이 들려질 때 필터통은 기울어져 움직일 수 있는(회전할 수 있는)공간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용기의 벽과접촉 않을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게 되는것이다. 여기 기술된 두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뚜껑의 손잡이 꼭지안에 손잡이 홈을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뚜껑은 밀폐적으로 비교적 단단히(치밀히)깔대기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최종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깔대기의 취급을 할수있다.
상기 구성의 장점의 하나는, 정화하려는 유체가 깔대기에 남아 있는채 서둘러 일찍 부어내려는 경우 깔대기를 용기로부터 기울여 들어올리기전에 깔대기를 용기와 함께 비스듬히 기울일때 아주 쉽사리 유체가 누출하는 일이 없게 한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손잡이 홈은 힘들이지 않고 깔대기로부터 뚜껑을 열 수 있게 해준다.
더우기 용기의 상연에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가까이에 통기홈을 설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한다. 깔대기는 용기의 벽에 합치하게 형성된 깔대기 벽에 의해 비교적 기밀적으로 용기에 놓여지기 때문에, 특히 영구적 유출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인 경우는 공기가 전혀 배출할 수 없는 관계로 여과된 물은 아주 천천히 밖에 용기에 들어올 수 없다. 이 문제는 배기홈의 이점에 의하여 완전히 해결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하여 뚜껑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장점일 수 있다. 그러한 구멍이 있으면 정화하려는 물이 필터통을 지나 용기내에 유입될 때 깔대기안에 진공 흡인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장점, 특징 및 응용가능성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두가지 실시예의 정수장치는 전방에 유출구(2) 그리고 후방에 손잡이(3)가 있는 용기(1)와, 깔대기(4)와, 깔대기를 덮는 뚜껑(덮개)(5)로 되어 있다. 깔대기의 바닥(6)에는 정제용 매질을 담는 표시되지 않는 필터통이 꽉 압입될 수 있는 개구(7)가 형성되어 있다. 정수장치의 모든 부분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먼저 제1실시예(태양)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따라 설명하겠다. 제1도, 제2a도 및 제3a도로부터 제조상 이유로 상방이 넓은 아주 약간 원추상으로 형성된 거의 원통상의 용기(1)를 볼 수 있다.
손잡이(3)의 상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손잡이(3) 전체를 투명한 중공체로서 만들 수도 있는데 그러면 용기(1)가 투명하지 않아도 용기(1)내의 물의 상태를 볼 수 있다.
제2a 및 제3a도에 의해, 선(8)이 용기(1)의 하부 원추대 내지 원통상면을 상부의 비스듬히 부착된 원추대 상테(9)에서 분리하고 있다. 용기(1)의 중심에 수직으로 축을 세운다고 가정하면 용기(1)의 상부테(9)의 경사 원추대의 축은 용기축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5
Figure kpo00006
와 30
Figure kpo00007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Figure kpo00008
와 20
Figure kpo00009
사이의 각도를 이루면 좋을 것이다. 이 상부테(9)와 그의 축이 유출구(2)쪽으로 경사져 있는 상부테의 원추대의 경가에 의해서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2a 도 및 2b도의 표시로부터 같은 관계로서(깔대기(4)에 있는 선(10)으로 분리됨) 그선에 대향해 있는 깔대기 벽 즉 상부의 깔대기(4)로 상응하는 원추대상 외면(11)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깔대기(4)를 용기(1)에 삽입하게 될때는 이 깔대기상 외면(11)은 같은 식으로 형성된 원추대상의 용기(1)의 상부테(9)에 적합하게 놓여진다.
상기한 융기부(12)(4b도)는 유출측(그림에서 왼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깔대기부(4)가 제1도에 표시한대로 완전히 용기(1)내에 삽입되어 있을때에도 이 실시예에서는 이 융기부(12)에 의해서 유출통로가 형성되어 남는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측의 깔대기(4)의 돌출재(13)는 손잡이(3)에 있게 된다.
장치가 수평의 바닥면 위에 놓이는 한 용기(1)의 상부터(9)의 상연을 연결하는 평면은 대략 수평에 위치하게 되는 반면, 깔대기(4)의 상연(14)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면은 유출측단(좌측)이 반대측의 측단보다 높도록 분명히 수평에 대해 어떤 각도를 이루어 설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체 장치가 제1도에 의한 조립 상태에서 붓기 위해 기울일때도 깔대기 안에 있는 유체의 상부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유체의 요동 내지 누출은 무엇보다 먼저 원추상 밀폐체(15)가 부착된 뚜껑(5)을 깔대기(4)의 상연(14)에 기밀하게 삽입시킴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뚜껑(5)의 원추상 밀폐재(15)는 유출측이 손잡이측 보다 높기 때문에, 뚜껑(5)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은 다시 정지평면에 평행 수평하게 놓인다.
뚜껑(5)의 상면에는 손잡이홈(17)이 있는 손잡이 꼭지(16)가 고정되어 있다. 그 외에 뚜껑(5)의 손잡이 쪽에는 돌출부(18)가 있는데, 이것은 전체구조의 중심잡기를 용이케 하기 위해서 또는 용기(1)에 손잡이의 후방 상부에서의 조립이 올바로 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 관련된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된 장치의 여러 특징은 제6도 내지 10도에 따라 이제 설명하게 될 제2실시예에도 역시 발현된다. 동이한 설명은 중복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재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용기(1)는 사실상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제1도와 제6도를 비교해 보면 제2실시예의 원추개구가 제1실시예의 그것보다 조금 더 큰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7a도와 8a도에 표시되어 있는 용기(1)는 정지평면에 평행하는 바람직하게는 수평한 평면에 놓여있는 상연(19)을 갖고 있다. 용기(1) 전방에 있는 이 제2실시예의 유출구(2)는 짧은 원추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출구는 용기(1)의 원추대에 비하여 급경사로 되어 있다. 그 위에 이 유출구의 중앙축은 용기(1)의 상연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고 있어 제7a도에서 보면 유출구(2)는 하방쪽으로 빠져 나와 있다. 그런식으로 되어 있어, 용기(1)의 상연(19)을 포함하는 평면과 유출구(2)의 상연을 포함하는 평면은 약 150
Figure kpo00010
의 각
Figure kpo00011
를 내포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깔대기(4)는 용기(1)의 상부벽의 형상에 적합되어 있다. 제7b도와 9도에 의하면 깔대기(4)는 용기(1)의 상부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지지플랜지(21)를 갖고 있으며, 지지플랜지(21)는 유출측에 전방쪽으로 (22)에 의해 유출구덮개(23)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플랜지(21)에 의해 깔대기벽은 전체가 양분되어 있으나, 즉 하부재(24)와 상부재(25)이다. 깔대기 벽의 하부재(24)는 제6도의 표시에 의하면 용기(1)내에 배치되어 있고, 깔대기 벽의 상부재(25)는 외부로 뻗쳐 있다. 깔대기(4)의 상연(14)은 여기서도 유출측이 높게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제6도의 상태에 있는 전체 용기가 약간 기울어졌을때 깔대기 안에 있는 유체가 지나치게 튀기거나 누출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로커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돌출재(13)의 작동으로 깔대기(4)는 용기(1)로부터 기울어 들려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깔대기(4)의 상연(14)을 약간 높이는 것은 앞의 작용에 단지 약간 유리하게 영향을 주고 한 보조대책이 될 수 있다.
그 외에 용기(1)의 상연에는 손잡이(3) 근방에 배치홈(26)(제8b도)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유체가 필터통을 지나 용기(1)내에 유입될때 공기가 용기(1)내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유사한 목적을 위해 뚜껑(5)에 배기공(27)(제10a도)이 설치되어 있다.
넓은 원추상 유출구(2)를 통해서 유리하게 벌어진 언저리로 원활하고 물방울 떨어짐없이 유체를 부어내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깔대기(4)는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구(2)에도 개구덮개(23)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수송시에도 이 때문에 물이 튀겨나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중심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깔대기속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체 장치를 보다 가볍고 보다 안전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더우기 제1도의 구성에 의하여 용기(1)의 상연과 깔대기(4)의 상연이 다같은 높이에 위치한다는 이점이 생긴다. 제1도에서 완성장치의 측면도는 깔대기(4)의 상연(14)의 우측 아래 손잡치(3)쪽에서 수평선 또는 용기(1)의 상연과 연결되는것 또는 이 용기의 상연과 폐색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연통관의 원리(사이폰 원리)를 고려하면 두 용기의 상연이 같기 때문에 깔대기에 유체가 아주 많이 보충될때라도 사실상 용기(1)에서 물이 일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생긴다. 즉, 용기(1)는 투명하지 않고 이미 반가량이 물이 채워져 있는데 어떤 사용자가 용기내의 물의 상태를 보지 않고 다시 새물을 깔대기안에 부어 넣었다고 가정하면, 깔대기가 제1도에 표시된 것처럼 삽입상태에 있으면 깔대기와 용기 사이에 항상 압력 평형이 유지되기 위해 깔대기는 용기와 동일한 수면 높이를 갖게 되기 때문에 용기는 일류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는 깔대기(4)를 항상 용기(1)의 수위가 용기의 상연에 오기까지 유체를 넣을 수 있다. 부주의로 인한 물의 넘침을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유출구(부어내는 구)(2)와 손잡이(3)가 있는 용기(1), 깔대기(4) 및 깔대기를 덮어 막는 뚜껑(5)으로 되어 있고, 깔대기(4)의 바닥(6)에는 정제용매질을 수용하는 필터통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7)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깔대기(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대략 원통상의 용기(1)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적합하는 대략 원통상의 깔대기벽(11,24), 용기(1)에 형성된 손잡이(3)에 배치되기 위해 배설된 돌출재(13) 및 돌출재(13)쪽에 편심 위치하는 바닥개구(7)를 갖고 있고, 용기(1)에 형성되어 있는 넓은 원추상 유출구(2)의 영역에 있는 유출측단부에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뚜껑(5)은 하부의 원추상 밀폐재(seal cone)(15), 상면의 손잡이 꼭지(16) 및 바람직하게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용기(1)의 손잡이(3)에 배치되게 하기 위한 돌출부(1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깔대기(4)는 거의 완전히 용기(1)내에 배치되고, 유출측 깔대기벽(11)에 있는 융기부(12)가 조립된 상태에서 유출통로를 제공하고, 깔대기(4)의 손잡이측의 돌출재(13)는 용기(1)의 손잡이(3)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1)의 상부테(9)는 유출구(2)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1)의 축에 경사지게 설치된 원추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깔대기(4) 의 상부는 유출측에 융기부(12)가 있는(용기의 경사 원충대에) 상응 적합하는 원추대상 외면(11)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기(1)의 유출구(2)는 그의 베이스면(20)이 용기(1)의 상연(19)을 따른 상부 베이스면과 100
    Figure kpo00012
    내지 170
    Figure kpo00013
    의 각도(α)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용기에 비하여 급하고 짧은 원추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깔대기(4)는 용기(1)내에 대략 반가량이 배치되고, 이 반부 높이에 깔대기(4)를 둘러싸는 지지플랜지(21)가 부착되는것과, 용기(1)의 밖에 나와 있는 상부 깔대기벽(25)은 유출측 벽이 손잡이측보다 더 높도록 경사 원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깔대기(4)의 지지플랜지(21)는 유출측에서는 유출구 덮개(23)를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뻗쳐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깔대기(4)의 돌출재(13)는 깔대기를 용기(1)로부터 기울여 들어 올리기 위해 로커아암(티핑레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8.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뚜껑(5)의 손잡이 꼭지(16)에는 손잡이홈(1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9.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용기(1)의 상연(19)에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6) 가까이에는 배기(통기)홈(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뚜껑(5)에 배기공(2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KR1019850002409A 1984-04-13 1985-04-10 정수장치 KR920002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413948.6 1984-04-13
DE3413948.6 1984-04-13
DE19843413948 DE3413948A1 (de) 1984-04-13 1984-04-13 Vorrichtung zum wasserreini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32A KR850007232A (ko) 1985-12-02
KR920002065B1 true KR920002065B1 (ko) 1992-03-10

Family

ID=623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409A KR920002065B1 (ko) 1984-04-13 1985-04-10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23457A (ko)
EP (1) EP0161467B1 (ko)
JP (1) JPH0790129B2 (ko)
KR (1) KR920002065B1 (ko)
AT (1) ATE39107T1 (ko)
CA (1) CA1254312A (ko)
DE (2) DE3413948A1 (ko)
DK (1) DK161387C (ko)
ES (1) ES295822Y (ko)
GR (1) GR850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274A (en) * 1985-11-19 1988-08-16 Bernard Miller Water filter unit and dispenser
US4948499A (en) * 1987-07-31 1990-08-14 Purewater Science International, Inc. Simplifi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US4828692A (en) * 1987-07-31 1989-05-09 Purewater Sciences International, Inc. Simplifi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DE3814683A1 (de) * 1988-04-30 1989-11-09 Brita Wasserfilter Siebdeckel fuer einen reinigungseinsatz in einer wasseraufbereitungsvorrichtung mit einem hohlrohr
DE8813571U1 (de) * 1988-10-28 1989-05-11 Wasserboy GmbH & Co Wasserfilter-Vertrieb KG, 4972 Löhne Wasserfiltergerät
US4995975A (en) * 1988-12-09 1991-02-26 Western Temco, Inc. Unitary water cooler filter
JPH07233Y2 (ja) * 1989-01-25 1995-01-11 日本酸素株式会社 携帯用浄水器
AT392938B (de) * 1990-03-06 1991-07-10 Huber Manfred Ing Aufklappbares schreibgeraet
DE4026634C2 (de) * 1990-08-23 1996-04-18 Aqua Star Gmbh Waterfilter Dev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Wasser
DE4102701A1 (de) * 1991-01-30 1992-08-06 Robert Finke Verfahren und technik zur wasserfiltration
DE4113860C3 (de) * 1991-04-27 1998-02-12 Aqua Select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r Flüssigkeit
US5190643A (en) * 1992-01-10 1993-03-02 Mr. Coffee, Inc.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means to count times used and limit useage
US5328597A (en) * 1992-07-27 1994-07-12 The Clorox Corporation Electronic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number of uses of cartridge
US5536394A (en) * 1994-11-17 1996-07-16 Recovery Engineering, Inc. End of life mechanism for water treatment cartridge
US5536396A (en) * 1995-07-24 1996-07-16 Valuedirect Filtration Systems, Inc. Water filtration kit
USD386041S (en) * 1996-04-30 1997-11-11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purification pitcher
US5811004A (en) * 1996-04-30 1998-09-22 Syratech Corporation Water filtration cartridge
US5882507A (en) 1996-04-30 1999-03-16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filter cartridge end-of-life mechanism
USD383351S (en) 1996-07-18 1997-09-09 Rubbermaid Incorporated Pitcher
USD388274S (en) * 1996-10-08 1997-12-30 Chih-Hung Wang Tea brewing container
USD386943S (en) * 1996-11-12 1997-12-02 Rubbermaid Incorporated Dispensing receptacle reservoir
USD386944S (en) * 1996-11-12 1997-12-02 Rubbermaid Incorporated Pitcher reservoir
GB9701735D0 (en) * 1997-01-28 1997-03-19 Brita Water Filter Syst Ltd A water filter jug
US6053482A (en) * 1997-01-31 2000-04-25 Holmes Products Corp. Humidifier including a water filtration device
USD406003S (en) * 1997-11-10 1999-02-23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purification pitcher
US6103114A (en) * 1998-01-09 2000-08-15 Recovery Engineering, Inc. Pour-through water treatment carafe
USD418714S (en) * 1998-06-03 2000-01-11 The Clorox Company Pitcher
DE19861175B4 (de) * 1998-10-09 2005-01-05 Brita Gmbh Wasserfiltervorrichtung mit einer Auffangkanne und mit Heizelement
USD450531S1 (en) 1999-06-29 2001-1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arafe for filtered water
USD444987S1 (en) 1999-06-29 2001-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tered water carafe
USD444662S1 (en) 1999-11-09 2001-07-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tered water pitcher
US6638426B1 (en) 2000-07-07 2003-10-28 The Clorox Company Water purifying apparatus
US6651824B2 (en) 2001-08-17 2003-11-25 Dart Industries Inc. Filter pitcher with ice hopper
US7438799B2 (en) * 2003-12-03 2008-10-21 Headwaters R & D, Inc. Portable, refillable water dispenser serving batches of water purified of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US7107838B2 (en) * 2004-04-19 2006-09-19 Fook Tin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ater consumption and filter usage
US7513278B2 (en) 2005-01-21 2009-04-07 Tersano Inc. Drinking water pitcher having a removable upper reservoir
WO2007066826A1 (ja) * 2005-12-09 2007-06-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油水分離フィルター及び油水分離装置
DE102006058223A1 (de) * 2006-12-01 2008-06-05 Wp Engineering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reicherung von Wasser mit Magnesium-Ionen
US8043502B2 (en) * 2007-08-29 2011-10-25 Uv Corporation Water pitcher filter
CN102438950B (zh) 2009-01-13 2016-10-05 捷通国际有限公司 重力供水处理系统
US8128820B2 (en) * 2009-02-25 2012-03-06 Mr. Chiaphua Industries Limited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US8646614B2 (en) * 2011-05-03 2014-02-11 Mark Peterson Classifying kits
USD747130S1 (en) * 2014-01-07 2016-01-12 Seb Electric kettle
TWI686331B (zh) * 2015-07-08 2020-03-01 德商碧然德有限公司 用於存儲和傾倒液體的組合件和液體處理系統
TW201708062A (zh) * 2015-07-08 2017-03-01 碧然德有限公司 用於存儲和傾倒液體的組合件和液體處理系統
TW201708064A (zh) * 2015-07-08 2017-03-01 碧然德有限公司 用於存儲和傾倒液體的組合件和液體處理系統
CA167751S (fr) 2015-10-13 2016-11-08 Seb Soc Par Actions Simplifiee Bouilloire électrique
USD818756S1 (en) * 2016-01-22 2018-05-29 Seb Electric kettle
CA174777S (en) 2016-11-24 2018-04-04 Seb A French Corporation Soc Par Actions Simplifiee Electric kettle
CA178983S (fr) 2017-08-07 2018-10-24 Seb Soc Par Actions Simplifiee Bouilloire électrique
USD873072S1 (en) 2017-10-10 2020-01-21 Whirlpool Corporation Kettle
USD872515S1 (en) 2017-10-18 2020-01-14 Seb Sas Electric kettle
USD864648S1 (en) 2017-10-31 2019-10-29 Seb Electric kettle
USD883727S1 (en) * 2018-02-07 2020-05-12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Jug
US11198623B2 (en) 2018-04-26 2021-12-14 Tyron Pretorius Water filtration container with a centralized handle and in-handle and in-reservoir filtration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4445A (ko) * 1900-01-01
US421777A (en) * 1890-02-18 Straining-pot
US1483498A (en) * 1921-12-22 1924-02-12 Zolnerevich Foma Filtering drinking cup
US2017456A (en) * 1933-05-10 1935-10-15 Gudmundsen Austin Portable water treating apparatus
DE1054927B (de) 1953-05-08 1959-04-09 Fram Corp Vorrichtung zur chemischen Aufbereitung und Filtrierung von Wasser
FR1546101A (fr) * 1966-11-29 1968-11-15 Procédé et appareil pour la production d'eau destinée à la préparation d'infusions
DE2163836A1 (de) * 1971-12-22 1973-06-28 Kunz Geb Mann Wilhelma Geraet zum aufbereiten, insbesondere kleiner mengen von wasser fuer den menschlichen genuss
JPS5025877U (ko) * 1973-06-27 1975-03-25
US3940237A (en) * 1974-12-13 1976-02-24 Reynolds Metals Company Furnace effluent filter for a carbon baking furnace
US4094779A (en) * 1976-12-27 1978-06-13 Behrman Abraham S Water purification means and method
FR2392940A1 (fr) * 1977-06-03 1978-12-29 Demerson Jean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purification des eaux potables
JPS58132587U (ja) * 1982-02-27 1983-09-07 長田 理 簡易浄水器
DE3207511A1 (de) * 1982-03-02 1983-09-08 Helga 8000 München Winkhaus Filtereinsatz
JPS597087U (ja) * 1982-07-01 1984-01-18 日本錬水株式会社 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1467B1 (de) 1988-12-07
CA1254312A (en) 1989-05-16
GR850901B (ko) 1985-11-25
DK161387B (da) 1991-07-01
KR850007232A (ko) 1985-12-02
DK161387C (da) 1991-12-16
JPS60232218A (ja) 1985-11-18
EP0161467A2 (de) 1985-11-21
JPH0790129B2 (ja) 1995-10-04
ES295822Y (es) 1989-04-01
ATE39107T1 (de) 1988-12-15
DE3566659D1 (en) 1989-01-12
DK164685A (da) 1985-10-14
US4623457A (en) 1986-11-18
ES295822U (es) 1987-06-16
DE3413948A1 (de) 1985-10-24
DK164685D0 (da) 1985-04-12
EP0161467A3 (en) 1987-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065B1 (ko) 정수장치
US4306971A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US5042698A (en) Easy pour spout
US4345627A (en) Soap dispensing system
US4826494A (en) Vacuum wound drainage system
US4655754A (en) Vacuum wound drainage system and lipids baffle therefor
US7721774B2 (en) Filling device for use with a container
US3987943A (en) Detachable pouring funnel for containers
US4316555A (en) System for dispensing fluids
US3142320A (en) Double tube dispensing device
JPH0544596U (ja) 筆記液補給装置の充填装置
EP0079710A2 (en) Pressure containment vessel for filter unit and combination thereof
TW201708062A (zh) 用於存儲和傾倒液體的組合件和液體處理系統
JPS588197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EP1332092B1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TW201708064A (zh) 用於存儲和傾倒液體的組合件和液體處理系統
JPS636067Y2 (ko)
GB2183225A (en) Infant's drinking cup
JP4229409B2 (ja) 液体容器
JPS588201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S5916040Y2 (ja) 液体容器の栓
JPH086735Y2 (ja) 蜂蜜容器
AU2002211595A1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JPH0433096Y2 (ko)
JP3077323U (ja) 装着型漏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