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977B1 - 소오터 - Google Patents

소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977B1
KR920001977B1 KR1019880012164A KR880012164A KR920001977B1 KR 920001977 B1 KR920001977 B1 KR 920001977B1 KR 1019880012164 A KR1019880012164 A KR 1019880012164A KR 880012164 A KR880012164 A KR 880012164A KR 920001977 B1 KR920001977 B1 KR 92000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
bin tray
cam
shee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627A (ko
Inventor
요우이찌로우 이리에
Original Assignee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65H39/11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in superpose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3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variable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relative to a stationary in-feed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오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소오터(Sorter)의 구체예를 부분적으로 잘라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소오터를 화상 생성기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소오터에 사용하고 있는 캠부재와 외부인 나선 환봉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소오터에 있어 이송기구의 운전방법을 보여주는 부분 수직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단면도.
제7a, 제8a, 제9a와 제10a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측면도.
제7b, 제8b, 제9b와 제10b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평면도.
제7c,제8c, 제9c와 제10c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소오터 4 : 지지구조체
6 : 상자형 8, 10 : 안내판
12 : 상류끝벽 30, 32 : 지지부재
34 : 지지축 36, 44 : 롤라(roller)
38, 40, 60, 62A-62E : 노치(notch) 42 : 지지편
46 : 동력원
48, 50, 51, 102, 124, 126, 130,132 : 기어
52 : 화살표 방향 54 : 검사기
56A-56E : 빈트래이 58 : 하류끝벽
64A-64E : 돌출편 66A-66E : 블록(block)
70 : 안내수단 72, 74 : 다리부
68A-68E : 안내눈금 75 : 수신대
76 : 돌출부 78 : 지지체부
80A-80E : 지지벽 82,136 : 상면벽
84A-84E : 지지부 86A-86E : 종동돌출부
87 :이송기구 88 : 캠부재
90 : 환상판부 92 : 링형 캠(Ring-libe Cam)
94 : 원주형부 96 : 특정각도
98 : 각도부 104, 106 : 직립 지지부재
108 : 로드 110 : 플랜지(Frange)
112 : 주부 114, 110, 115, 120 : 제1도화살표
122 : 구동원 128 : 축
134 : 카바부재 138 : 전면벽
140 : 하류끝 142 : 윗쪽끝
146 : 빈 상자형부 148 : 화상생성기
158 : 하우싱(housing) 167, 162 : 좌측면
164 : 시이트 배출구 166 : 배출롤라
168 : 배풍구 170 : 송풍기
본 발명은 정전복사기 또는 인쇄기와 같은 화상생성기에서 배출되는 시이트를 소요만큼 구분하여 수집하기 위한 소오티(sorter)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콤팩트 소오터(Compact Serter)라고 불리운 비교적 소형의 소오터가 제안되어 실용적으로 트이고 있다.
그러한 소오터들을 발표한 선행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들은 미국특허번호 4,328,963(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7877703/1981). 미국특허번호 4,332,377(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141357/1982), 미국특허번호 4,337,936(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4856/1982), 미국특허 번호 4,343,463(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78769/1981), 미국특허 번호 4,397,461, 미국특허번호 4,466,608(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4855/1982), 미국특허번호 4,466,609 그리고 미국특허 번호 4,478,406(일본공개특허 공보번호 43769/1984)를 열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오터들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동 빈트래이(bintray)와 그 빈트래이들을 계속적으로 상승과 하강시키기 위한 이송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각 빈트래이의 상류끝부분(시이트 수입 끝부분)의 양측에 넓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트래니온(trannion)이 설치되어 있다. 횡단원형면의 핀(pin)들로서 트래니온은 수직방향으로 적중되고 소요이동 경로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자유스럽게 움직인다.
각 빈트래이를 상승과 하강시킨다.
일반적으로 제네바회전캠형이라고 불리는 이송기구(예로서 상기한 미국특허번호 4,328,963)와 일반적으로 나선회전캠형이라고 불리는 이송기구(예로서 상기한 미국특허번호 4,337,936)들을 이미 사용되고 있다. 제네바 회전형 캠이송기구는 반지름 방향에 따라 개방된 끝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트래니온 수용구가 형성되었다. 원반캠은 넓이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나선형 회전캠 이송기구는 고정원주형과 같이 그 외면원주형 표면에 나선형의 홈을 수용하는 트니온이 구비되어 있고 원주형의 캠은 중심축에 따라 수직적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종래의 소오터들은 다른 형태의 종래 소오터들보다 비교적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나 다음과 같은 사유들 때문에 충분히 단순하고 비싸다.
(가) 일정한 빈트래이를 올리고 내리려할 때 이에 따라 다른 빈트래이들을 올리거나 내리게 하거나 혹은 캠 자체로서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나) 캠의 트래니온 수용구에 트래니온이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캠에 대해서 트래니온을 신축적으로 기울게 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소오터가 덧붙여진 화상형상기에 대해서는 이 기구의 한쪽표면에 시이트 배출구와 함께 이시이트 배출구의 맞은 상방에 위치한 배풍구가 배설된 경우가 많다. 종래의 소오터에는 배풍구로부터의 배풍이 예컨대 소오터 내부의 시이트 또는 빈트래이 위의 시이트에 작용하여 상방으로 부유케하는 등의 불편스런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들을 감안하여 종래의 소오터보다 간결한 구조와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새롭고 우수한 소오터를 제공하려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멍의 부가적인 과제는 소오터가 부설된 화상생성기의 한쪽에 시이트 배출구와 그 시이트 배출구의 맞는 상방에 위치한 배풍구가 부설된 경우에도 그 배출구에서 배풍이 소오터내의 시이트에 작용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새롭고 우수한 소오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주요 목표과제로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동 빈트래이와 그 빈트래이를 각각 계속적으로 상승과 하강하기 위한 이송기구를 구비한 소오터에 대해서 그 빈트래이에는 소정방향으로 돌출된 종동돌출부가 설치되 있어 그종동돌출부의 돌출길이가 하방의 빈트래이에서 상방의 빈트래이에 향하여 단계적으로 길어지도록 되어 있어, 상기한 이송기구는 그 종동돌출부에 대해 그 소정방향에 따라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스럽게 또한 중심 축선방향에 이동이 자유릅게 배설되어 그 중심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길이가 특정 각도 부분에서 소정회전방향에 향하여 점차 중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심축선 방향의 전방으로 전진시키고 중심축선 방향의 후방으로 후진 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가 제공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부가적 과제를 달성할 소오터로서 한쪽표면에 시이트 배출구와 그 시이트 배출구 위에 위치한 배풍구가 설치되 있는 화성생성기의 상류끝에 배설된 시이트 수입수단을 그 시이트 배출구에 대응시켜 배설시키는 소오터에 있어 그 배풍구로부터의 배풍을 소오터의 상류끝부분 윗쪽으로부터 넓이쪽 후방으로 안내하여 소오터 내의 시이트를 그 배풍구로부터의 배풍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풍안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유리한 점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우수 제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우수한 구체적 예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번호2로 표시한 소오터는 정지 지지구조체(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구조체(4)는 윗부분이 개방된 상자형의 (6)이 있다. 제1도와 2도를 관련하여 제3도를 설명하면 상자 모양부(6)의 상류부(제3도면의 우측부분)에는 1쌍의 안내판 즉, 하부 안내판(8)과 상부 안내판(10)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안내판(8)의 주부는 상자형(6)의 상부에 따라 실질상 수평적으로 연장되고 그의 상류부는 상류끝 벽(12)를 넘어 상류 방향에 설계되 있다.
하부 안내판(8)을 적절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상자형(6)의 상류끝부분 벽(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층 안내판(10)의 상류부는 상류쪽으로 약간 윗쪽으로 경사진 모양으로 연출되어 있다.
상부 안내판(10)은 그의 전면끝과 후면끝으로부터 하부안내판(8)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 장소(표시않됨)와 연계되어지도록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구조체(4)에 있는 상자형(6)의 상류부에는 전후 방향(제2도에 있어 수직방향, 제3도에서는 지면의 수직방향)의 간격에 따라 지지부재(30과 32)가 배설되어 있다.
지지부재(30과 32)간에는 전후방향에 실질상 수평적으로 지지축(34)이 회전되도록 장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34)에는 전방과 후방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도표에는 4개) 롤라(Roller)(36)이 고정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쉽게 이해한 바와같이 하부 안내판 하류끝부분에는 전후 방향에 간격에 따라 복수의 (도표에는 4개) 노치(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라(36)은 노치(38)를 통하여 하부 안내판(6)을 넘어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 안내판(8)에 있는 노치(38)에 대응하도록 상부 안내판(10)의 하류끝부분에도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도표에는 4개) 노치(40)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40)과 관련하여 상부 안내판(10)의 상면에는 금속 스프링 재료로 만든 지지편(4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42)의 각각에는 접착등 기타 방법에 의하여 상부 안내판(10)의 상면에 고정된 기부(Base)와 그 기부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약간 윗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두 갈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갈래의 지지부에는 따라 움직이는 롤라(44)가 회전 자재에 장치가 되어 있다.
롤라(44)는 노치(40)을 통하여 상부 안내판(10)을 넘어 아래쪽에 돌출되어 그 자체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롤라(36)에 신축적으로 압박을 가한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부재(30)에는 전동모타에 의해 동력원(46)이 장치되어 이 동력원(46)의 출력축에는 기어(48)가 고정되어 있다.
롤라(36)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34)의 전면 끝부분에도 기어(50)가 고정되어 있어 이 기어(50)은 지지부재(30)에 회전 적재 장치가 장치되어 기어(51)(제1도)을 경유 기어(48)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동력원(46)에 활력이 붙으면 지지부재(34)가 화살표 방향(52)(제3도면)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어서 롤라(36과 44)가 화살표 방향(52)(제3도)이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3도에서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구조체(4)의 상자형 부(6)의 상류부분에는 하부 안내판(8)과 상부 안내판(10)과의 사이를 통하여 운송되는 시이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검사기(54)가 배설되어 있다.
제1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부언하면 소오터(2)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도표에는 5개)의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 구비되어 있다.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 각각은 근사한 사각형의 판형이라도 무방하다.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각각의 상류끝부분은 지지기구체(4)의 상자형(6)의 안에서 수용되고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각각은 상자형 부분(6)의 하류끝 벽(58)에서 형성되어 있는 큰 노치(60)(도면 1참조)을 통하여 하류 방향으로 연출되어 있다. 제3도에서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각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는 하류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되어 연장되어 있다.
상자형 부분(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하류 반쪽들에는 폭방향의 중심부를 통하여 하류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비교적 큰 사다리 모양의 노치 62A에서 62E까지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각각의 상류 끝부분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구의 돌출편 64A에서 64E까지 폭방향에 적절한 간격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각각의 상류 끝단의 폭방향 양측 즉, 전과후측에는 근사한 평행 6면체의 안내적중복록 66A에서 66E까지 고정되어 있다. 이 같은 각 블록 66A에서 66E까지의 두께 t는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두께보다 상당히 큰 예정가치에 설정되어 있다.
블록 66A에서 66E까지의 각각에는 빈트래이 56A에서 56E까지의 본체에서 폭방향외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폭방향돌출 끝부분에는 거의 사각형의 안내노치 68A에서 68E까지가 헝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4)의 상자형부(6)에는 전후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측 또는 후측 안내수단(70)이 배설되어 있다.
전측과 후측 안내수단(70)은 넓이 방향안쪽에 돌출된 2개의 다리부(leg portin) (72와 74)를 포함 챠넬형 횡단면 형상을 갖고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빈트래이 56A 내지 56E에 고정된 상기 블록 66A 내지 66E의 각각은 피안내눈금 68A 내지 68E를 안내수단(70)의 다리부(72)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상호 겹쳐 쌓이게 된다.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수단(70)의 하단부에는 하류를 향하여 상상으로 경사진 상면을 가진 수신대(Receiving stand 75)가 배설되고 있고 제일 낮은 빈트래이(56E)의 블록(66E)는 수신대(75)위에 설치 되어 있다.
밑에서 제2번째 이상의 빈트래이(56D, 56C, 56B 와 56A)의 블록(66D, 66C, 66B화 66A)는 제일밑의 빈트래이(56E)의 블록(66E)위에 연속적으로 쌓인다.
블록 66A에서 66E까지 상호 쌓이게 된 상태(제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빈트래이 56 내지 56E의 상류 끝부분은 블록 66A 내지 66E의 두께 t에 의해서 규정된 소정의 간격만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떨어져 있다.
도시한 구체적 표시에 있어 제일밑의 빈트래이(56E)는 다른 빈트래이 56A 내지 56D와 같이 그 상류끝부분을 블록(66E)를 경유하여 안내수단(70)에 이동이 자유스럽게 조합되어 있다.
다음 설명으로 명백히 된 바와같이 제일밑의 빈트래이(56E)는 반드시 상승과 하강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원한다면 제일밑의 빈트래이(56E)는 소요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1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이해한 바와같이 정지 지지구조체(4)는 넓이 방향의 앞과 뒤의 끝부분에서 상자형 부분(6)의 밑 끝부분에서 하류 방향에 소정경사각도로 윗쪽으로 기울어 연장된 돌출부(Projecting Portion 76)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돌출부(76)의 하류 끝부분에는 윗쪽으로 연장된 지지체부(7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체부(78)은 상하방향으로 상호소정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평형으로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되어 놓인 복수(도시의 경우 5개)의 지지벽(Supporting wall)80A내지 80E와 상면벽(82)를 갖고 있다.
한편 제1도와 제2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각각에는 그 하류끝부분의 넓이 방향 양측(즉, 앞 또는 뒷쪽)에 넓이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 84A 내지 84E가 형성되어 있다.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지지부 84A 내지 84E은 지지부(78)의 지지벽 80A 내지 80E위에 각가 배치되어 이렇게 하여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하류끝부분이 지지체부(7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후 기술하는 바와같이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상류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지지부 84A 저지 84E는 지지벽 80A 내지 80E에 대해서 세로로 이동되면서 약간 선회한다.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각각에는 그 상류 끝부분(더 자세히는 안내블록 66A 내지 66E의 바로 하류부)의 넓이 방향 양측에(즉, 앞과 뒷쪽)넓이 방향 바깥쪽에 종동돌출부 86A 내지 86E가 형성되어 있다.
제7c도를 참조하여 명확히 이해하는 바와같이 빈트래이 56A 내지 56E에 형성되어있는 종동돌출부 86A 내지 86E의 넓이 방향 돌출길이 LA 내지 LE는 아랫쪽의 빈트래이에서 윗쪽의 빈트래이에 향해서 소정길이 만큼 단계적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LA=LB+X, LB=LC+X, LC=LD+X, LD=LE+X
이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소오터(2)는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종동돌출부 86A 내지 86E에 작용하여 빈트래이 56A 내지 56E를 순차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전체를 87번호로 표시한 이송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기구(87)는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종동돌출부 86A 내지 86E의 반대방향으로 앞쪽에 배설된 앞쪽캠 부재(88)과 빈트래이 56A 내지 56E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종동돌출부 86A 내지 86E의 반대방향으로 그 뒷쪽에 배설된 뒷쪽 캠부재(88)을 포함하고 있다.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과 뒷쪽의 캠부재(88)의 각각의 환상판부(90)그 환상판부(90)의 넓이 방향 내측면에 형성된 링형 캠(Ring-libe cam 92)과 그 환상판부(90)의 넓이 방향 외측면에 형성된 원주 형부(94)를 포함하고 있다.
링형 캠(92)는 환상판부(90)의 내측면에서 넓이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장길이 1는 특정각도(96)에 있어 최소치 1min으로부터 소정회전방향 [후측 캠부재(88)의 캠(92)는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캠(92)를 향해 보아 반시계 방향, 전측 캠부재(88)의 캠(92)는 캠 (92)를 향해 보아 시계방향]을 향하여 특정 각도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360° 떨어진 각도부(98)에 최대치 1max까지 점차 증대된다. (제7c도를 참조)
그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 Y(y=1max-1min)는 종동돌출부 86A에서 86E까지에 관한 소정길이 (수직방향에 인접한 종동돌출부간의 돌출길이의 차)와 실질적으로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원추형 부(94)는 환상판부(90)의 외측면으로부터 넓이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링형 캠(92)과 같이 동심원형으로 배설되어 있다.
원주형 부(94)의 내주면에는 내면의 나사줄 100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형 부(94)의 외주면에는 기어(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체구조(4)의 상자형 부(6)에는 넓이 방향 최전부에 배치된 직립지지부재(104)와 넓이 방향 최후부에 배치된 직립 지지부재(106)이 설치되어 있다.
정지 앞쪽 외형나사줄 로드(108)는 지지부재(104)에 그리고 정지 뒷쪽 외형나사줄 로드(108)은 지지부재(106)에 고정되어 있다.
제4도에서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외형나사줄 로드(108)은 연결 플랜지(Flange 110)와 외주면에 외형 나사줄이 형성된 주부(112)을 갖고 있다.
연결 플랜지(110)이 지지부재(104와 106)에 고정되어 주부(112)는 지지부재(104와 106)에 형성되어 있는 열리곳을 통하여 넓은 방향안쪽에 실제 수평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앞과 뒤의 캠부재(88)의 원주형부(94)가 안전하게 장치되고 내형나사줄 로드(108)의 원주형부(94)는 외형나사줄로 되어 뒤에 언급하는 바와같이 캠부재(88)가 1회전하게 되면 캠부재(88)이고 중심축선 방향에 상기값 Y(즉, 캠 92에 있어 최대치 1max 와 최소치 1min과의 차) 만큼 전진(넓이 방향안쪽으로 이동)또는 후진(넓이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4도에서 도시한 후측 캠부재(88)에 있어 내부나사줄과 후측 외형나사줄 로드(108)에 있어 외형나사줄은 통상 나사줄로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전방 캠부재(88)에 형성된 내형나사줄고 전방 외형 나사줄로드(108)에 형성된 외형나사줄은 통상의 나사줄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후측 캠부재(88)이 제1도 화살표(114)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도 화살표(116)으로 표시한 넓이 방향 안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반대로 제1도의 화살표(118)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도 화살표(120)에 표시한 바와같이 넓이방향 바깥쪽으로 후진하게 된다.
제1도와 제2도와 함께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체구조(4)의 상자형부(6)에는 전동모타도 무방한 구동원(122)이 배설되어 있다.
이 구동원(122)의 출력축에는 기어(124)가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124)의 직립지지부재(106)에 회전되도록 장치된 기어(126)를 통하여 후측 캠부재(88)의 원주형부(9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102)와 연결되어 있다.
직립지지부재(104)와 직립 지지부재(106)과의 사이에 제일 낮은 빈트래이(56E)의 밑쪽을 통하여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된 축(128)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그래서 축(128)의 뒤 끝부분에는 후측 캠부재(88)의 기어(102)에 맞물린 기어(130)가 고정되어 있고 앞끝 부분에는 전축 캠부재(88)의 기어(102)에 맞물린 기어(132)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원(122)이 정상방향에 회전하면 기어(124)(126)를 경유한 후측 캠부재(88)가 화살표(114)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128)과 기어(132)를 경유한 전측 캠부재(88)가 후측 캠부재(88)와 동시에 화살표(114)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원(12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후축 캠부재(88)와 전측 캠부재(88)는 동시에 화살표(118)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도와 제3도와 함께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체적으로 예시한 지지구조체(4)는 상자형부(6)에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카바(Cover) 부재(13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카바 부재(134)에 관해서는 그 상면벽(136)은 상류끝에서 하류로 향하여 거의 수평 또는 약간 상방으로 경사되게 연장되어 다음에 하류 끝 근처에 상방으로 큰 경사 각도가 연장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한편 카바 부재(134)의 전면벽(138)은 상면벽(136)을 넘어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면벽(138)의 윗쪽끝(142)와 상면벽(136)의 상방에 지향되어 있는 하류끝(140)과는 같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후에 언급하는 바와같이 카바부재(134)의 상면벽(136)과 전면벽(138)은 소오터(2)가 부설되어 있는 화상 생성기로부터 배출된 배풍을 소오터(2)의 상류 끝부분 상면에서 넓이방향 후방으로 안내하여 그배풍이 소오터(2)의 안에 진입하여 시이트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풍 안내판을 구성한다.
도시한 지지구성체(4)는 또한 상자형부(6)의 하류에 따라 돌출부(76)의 하방에 위치하는 빈 상자(holl-ow Box)형부(146)을 포함하고 있다.
이 빈 상자형부(146)내에는 구동원(46), (122)의 작동을 억제하여 소오터 2의 작용을 제어하는 통제수단 (도시되지 않음)을 받아들이도륵 사용된다.
구동체(46과 122)의 제어는 예컨데 검출기 54(제3도)에 의하여 시이트의 검출의 기초하에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오터(2)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소오터(2)는 정전 복사기와 같이 화상생성기(148)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좌측부만을 간단히 도시하고 있는 화상생성기(148)는 하부심(Housing,158)을 갖고 있어 하부심(158)의 자측부는 돌출된 상부와 흡인된 하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하우싱(158)의 좌측면을 돌출된 상부 좌측면(160)과 흡인된 하부좌측면(162)를 갖고 있다. 하부좌측면(162)의 수직방향 거의 중간에 시이트배출구(164)가 배설되어 있다.
하우싱(158)안에는 시이트배출구(164)의 상류에 위치한 배출롤라(166) 한쌍이 배설되어 있다. 하부 좌측면(162)에는 시이트배출구(164)의 상방에 위치한 배풍구(168)가 배설되어 있다.
하우싱(158)내에 하우싱(158)내의 공기를 배풍기(168)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170)가 배설되어 있다.
제3도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소오터 2의 지지구조체(4)의 상자형부(6)과 그 건너에 놓인 카바부재(134)는 화상생성기(148)의 돌출된 상부의 낮은쪽 부분에 삽입되어 소오터(2)가 화상 생성기(148)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안내판(8과 1O)의 돌출부는 시이트배출구(164)를 경유하여 하우싱(158)으로 진입되고 롤라(166)의 반대에 위치하고 있다.
화상생성기(148)의 배출롤라(166)에 의해 제3도에 있는 좌측에 운송된 시이트는 소오터 안내판 8과 10의 사이에 진입하고 이 안내판에 의해 안내된 소오터 안으로 도입되었다.
제3도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카바부재(134)의 상면벽(136)은 하우싱(158)의 하부좌측면(162)에 근접한 배풍구(168)의 아랫쪽에 위치한 상류 끝에서 하류방향에 연장되어 있다. 상면벽(136)의 상방으로 지향된 하류 끝부분은 하우싱(158)의 상부 좌측면(160)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이해된 바와 같이 카바부재(134)의 전면벽(138)의 윗쪽끝(142)는 하우싱(158)의 상부 좌측면(160)과 상부 낮은면(182)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 장치 때문에 송풍기(170)의 작용에 의해 하우싱(158)로 부터 배풍구(168)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풍은 카바부재(134)의 상부벽(136)을 하류 방향으로 그리고 다음에 넓이방향의 후방으로 유동하고 소오터(2)의 후방에 인도하였다.
결과로서 배풍에 기인한 불편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예컨데 소오터(2)의 빈트레이 564A에서 56E까지의 위에있는 시이트에 배풍구(168)로부터 배풍이 작용하여 상방으로 부유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우기 카바부재(134)의 전면벽(138)의 존재 때문에 배풍구(168)로부터 배풍이 소오터(2)의 전방에 흘러 나오는것을 저지하기때문에 소오터(2) 또는 화상형성기(148)의 전방에 존재하는 조작자에게 배풍을 받는 일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기(148)의 배출롤라(166)에 의해 제3도에서 좌측으로 반송되는 시이트는 한 벌의 안내판(8과 10)사이에 안내되어 소오터(2)에 도입된다. 그리고 나서 소오터(2)안에서 롤러(34와 44)의 작용에 의하여 제3도의 좌측으로 반송된다.
소오터(2)의 빈트레이 56A 내지 56E가 제3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초기위치(initial position)에 위치되어 있을때는 롤라(36과 44)로 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는 제1위의 빈트레이(56A)위 까지 분배된다. 또 빈트레이 56A 내지 56E가 초기위치에 있을때는 이송 기구(87)의 전측과 후측 캠부재(88)는 제7a도, 제7-3도와 제7c도에 도시된 초기위치에 있다.
초기위치에 있어 캠(92)의 각도위치는 그 최대 돌출각도위치(98)이 제일위의 빈 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그 밑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캠(92)의 넓이방향 위치는 그 최대 돌출각도부(98)에서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에 간섭할 수 있으나(즉 종동돌출부 86A의 넓이방향 안쪽에 돌출되어 있다)그러나 최소한 돌출각부(96)에 있어서는 간섭할 수 없도록(즉 종동돌출부 86A의 넓이방향 돌출끝에서 넓이방향 외측에 존재한다)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캠(92)은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에 어떠한 작용도 미치지 않는다.
롤러 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2번째의 빈트레이(56B)에 분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원(122)을 소요시간만큼 회전시켜 앞과 뒤의 캠부재(88)을 실질적으로 1회전만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8a도, 제8b도와 제8c도는 제7a도, 제7b도나 제7c도에서 보여준 초기위치에서 앞과 뒷쪽 캠부재(88)를 화살표(114)에 표시한 방향으로 약 45도정도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제9a도, 제9b도와 제9c도는 제7a도, 제7b도와 제7c도에서 보여준 초기위치로부터 앞과 뒷쪽캠부재(88)를 화살표(114)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으로 쉽게 이해한 바와 같이, 앞과 뒷쪽캠부재(88)가 화살표(114)방향으로 회전될때 최초로 캠(92)의 최대돌출각도부(98)가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에 작용하여 그래서 캠(92)의 최대돌출각도부(98)의 회전에 부수해서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상류부가 제8a도와 제8c도에서 보여준 위치까지 상승한다.
앞과 뒷쪽 캠부재(88)가 화살표(114)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정지된 외형나사줄 로드(108)의 외형나사줄과 협동하므로서 넓이방향 앞쪽으로 전진된다.
따라서 캠(92)는 제8a도, 제8b도와 제8c에서 보여준 위치를 넘어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최대의 돌출각도부(98)이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제일위의 빈트레이(56A)는 종동돌출부(86A)의 캠(92)의 외주면에 의해 유지가 계속되고 따라서 제일위의 빈트레이(56A)는 제8a도와 제8c도에서 보여준 상승위치의 유지가 계속된다. 앞과 뒤쪽의 첨부재(88)이 더 회전을 계속하면 캠(92)은 최대의 돌출각도부(98)가 2번째의 빈트레이(56B)종동돌출부에 간섭할 수 있는 위치까지 넓이방향 안쪽으로 전진하여 회전되고 따라서 캠(92)의 최대돌출각도부(98)가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종동돌출부(86B)에 작용하여 이것을 제9a도와 제9c도에 보여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종동돌출부(86B)의 높이위치는 제7a도와 제7c도에서의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의 높이위치와 실질적으로 같다. 제7c도와 제9c도와를 비교하여 이해한 바와 같이 앞과 뒷쪽 캠부재(88)은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1회전하면 소정의 길이 X(X=Y=1max-1min)만큼 넓이방향 안쪽으로 전진한다.
그래서 제9a도, 제9b도와 제9c도에서 보여준 상태에서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종동돌출부(86B)에 대한 캠(92)의 상대적 관계는 제7a도, 제7b도와 제7c도에서 보여준 상태에서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종동돌출부(86A)에 대한 캠(92)의 상대적 관계에 대응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상류 끝부분은 비교적 대폭상승되고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이 약간 상승되면 제9a도에 명확히 보여준 바와 같이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은 아직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Nipping site)보다 아래쪽에 존재하지만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상류 끝부분은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위쪽에 존재한다.
따라서 롤러(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는 제일위의 빈트레이(56A)가 아닌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위에 분배된다.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가 위로부터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위에 분배될 수 있도록 앞과 뒤쪽 캠부재(88)을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1회전 시키면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이 비교적 대폭으로 상승되어 제9a도와 제9c도에 있는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상류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에 맞춘다.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가 위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안내적중 불록(66B)이 제일위의 빈트레이(66A)의 안내적중불록(66A)에 작용하여 이것을 상기 두께 t에 대응한 차이 까지 상승시킨다.(제3도 참조)
위로부터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상류 끝부분을 약간 상승시켜 제9a도와 제9c도에서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높이로 올린다. 그래서 위로부터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상류 끝부분이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아래쪽으로 존재하지만 위로부터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은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윗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는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위에 분배된다. 롤라(36과 44)로 부터 배출되는 시이트가 위로부터 4번째의 빈트레이(56D)위에 분배되도록 하기위해 앞과 뒤쪽 캠부재(88)을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1회전하면 된다.
결과로서 상술한 같은 방법으로 위로부터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상류 끝부분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되어 제9a도와 제9b도에 있는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의 상류 끝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높이에 올리게 된다.
제3번째의 빈트레이(56C)가 위의 높이까지 상승되면 위로부터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안내적중불록(66C)이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안내적중불록(66B)에 작용하여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와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을 약간 상승시킨다.
4번째의 빈트레이(56D)의 상류 끝부분도 또한 약간 상승되어 제9a도와 제9c도에 있는 2번째의 빈트레이(56B)의 상류 끝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높이까지 끌여올린다. 그래서 4번째의 빈트레이(56D)의 상류 끝부분은 아직 롤라(36과 44)의 닢프 부위보다 아래에 존재하지만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상류 끝부분은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위에 있어 따라서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위에 있어 따라서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는 4번째의 빈트레이(56D)위에 분배된다.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가 5번째 즉 가장낮은 빈트레이(56E)위에 분배되도록 앞과 뒤쪽 캠부재(88)을 화살표(88)의 방향으로 1회전시키면된다. 이경우에 4번째의 빈트레이(56D)의 상류 끝 부분이 제10a도와 제10c도에서 보여준 위치까지 비교적 큰폭으로 상승하게되면 4번째의 빈트레이(56D)가 3번째의 빈트레이(56C)의 안내적중불록(66C)에 작용하여 제일위 빈트레이(56A), 두번째 빈트레이(56B) 그리고 3번째 빈트레이(56C)의 상류 끝부분을 약간 상승시킨다.
5번째와 빈트레이(56E)의 상류 끝 부분도 제10a도와 제10c도에 표시한 위치까지 약간 상승된다. 그 결과로 제일 밑의 빈트레이(56E)의 상류 끝부분은 아직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밑에 있지만 4번째의 빈트레이(56D)의 상류 끝부분은 롤라(36과 44)의 닢프부위보다 위에 있어 롤라(36과 44)로 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는 제일 밑의 빈트레이(56E)의 위에 분배된다.
한편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구동원(122)를 역회전시킴으로서 앞과 뒤쪽 캠부재(88)을 반대방향 즉 화살표(118)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경우와 전혀 반대의 양식에 의해 빈트레이(56A와 56E)가 순차로 하강하게된다. 특히, 제10c도, 제10b도와 제10c도에 표시한 상태(제일 밑의 빈트레이 56E위에 시이트가분배되는 상태)에서 앞과 뒤쪽의 캠부재(88)가 화살표(115)로 표시한 방향으로 1회전하면 캠(92)이 화살표(118)에 표시한 방향에 회전하게됨과 동시에 넓이방향 바깥쪽으로 후진하게된다. 그 결과로서 가장 밑의 빈트레이(56E)가 약간 하강하면 4번째의 빈트레이(56D)가 비교적 대폭 하강하게 된다.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는 4번째의 빈트레이(56D)위에 분배되는 상태가 되돌아온다.
앞과 뒤쪽 캠부재(88)가 화살표(118)의 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4번째의 빈트레이(56D)가 약간 하강함과 동시에 3번째의 빈트레이(56c)가 비교적 대폭 하강한다. 그래서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된 시이트가 3번째 빈트레이(56C)위에 분배되는 상태로 되돌아온다. 앞과 뒷쪽 캠부재(88)이 화살표(118)이 표시한 방향으로 1회전하게되면 3번째의 빈트레이(56c)가 약간 하강함과 동시에 2번째의 빈트레이(56B)가 비교적 큰폭으로 하강하게 된다.
결과로서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가 2번째의 빈트레이(56B)위에 분배되는 상태(제9a도, 제9-8도에 표시된 상태)로 되돌아 온다.
앞과 뒷쪽 캠부재(88)가 화살표(118)의 방향으로 1회전하면 2번째의 빈트레이(56B)가 약간 하강되며, 제 1위의 빈트레이(56A)가 비교적 대폭 하강한다. 그래서 롤라(36과 44)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가 제일위의 빈트레이(56A)위에 분배되는 상태(제7a도, 제7b도와 제7c도에 표시되는 초기상태)로 되돌아 온다.
제7a도, 제8a도, 제9a도와 제10a도의 비교연구에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빈트레이 56A에서 56E까지의 상류끝 부분이 상승하는 동안은 이들 빈트레이의 하류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84A에서 84E는 지지체부(78)의 지지벽 80A에서 80E의 각각에 대해서 하류방향으로 미끄러내려감으로 앞에서 보아 반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반대로 빈트레이 56A에서 56E까지의 상류 끝부분이 하강하는 동안은 빈트레이 56A에서 56E까지의 하류 끝부분에 형성된 지지부 84A에서 84E까지는 지지체부(78)의 지지벽 87A에서 80E까지에 대해서 상류방향으로 미끄러지므로 위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소오터의 더욱 구체적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이 발명은 구체적인 제한이없이 그리고 이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여러종류의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구체적인 도해에 있어 빈트레이 56A에서 56E까지의 하류 끝부분에 지지부 84A에서 84E까지가 형성되고 지지체구(78)의 지지벽 80A에서 80E위에 놓여진다. 원한다면, 미국특허 제4,332,377호 등의 예로서 명백히 한 바와 같이 빈트레이 56A에서 56E까지의 하류 끝부분에 적절한 적중불록을 배설하여 적중할 수 있게된다.
더욱 구체적인 도해로서 특정의 빈트레이(예로서 제일위의 빈트레이 56A)를 비교적 대폭으로 상승시키고 그래서 하방의 빈트레이(예로서, 2번째의 빈트레이 56B)위에 시이트가 분배되도록 응용할 때 하방의 빈트레이(예로서, 2번째의 56B)도 약간 상승된다.
하방의 빈트레이가 약간 상승하는것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소오터를 빈트레이가 약간 상승되는 것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동 빈트레이와 그 빈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이송기구를 구비하는 소오터에 있어서 그 빈트레이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된 종동돌출부가 설치되어 하방의 빈트레이로부터 상방의 빈트레이에 향하여 단계적으로 길어지도록하고 그 이송기구는 종동돌출부에 반대로 그 소정방향에 연장되어 중심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자유스럽게 회전되도록 하고, 중심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특정각도부에서 소정회전방향에 향하여 점차 증대되도륵 되어 있는 링형캠(ring-like cam)과 그 캠을 소정회전방향으로 전진시키고, 또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 중심 축선방향 후방으로 후진시키도록 하기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Sorter).
  2. 제1항에 있어서 빈트레이에는 그 전면양측에 넓이 방향외측에 돌출하는 종동돌출부라 설치되어 있어 그 이송기구는 그 빈트레이의 전면양측에 반대로 각각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링형 캠을 포함한 소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캠은 내주면에 안쪽 나사줄(Internal thread)이 형성된 원통형축지부를 갖는 캠부재에 형성되어 있어, 그 이송기구는 그 중심축선 방향에 연장되어 있는 정지 외형나사줄 로드를 포함, 그 캠부재의 축지부가 외형나사줄 로드에 나사줄 모양으로 안전하게 되어 있는 소오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그 빈트레이 각각의 앞끝부분 양측에는 안내적중불록이 배설되어 있어 그 불록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수단에 따라 상승과 하강이 되도록한 소오터.
  5. 한쪽면에 시이트배출구와 그 시이트배출구 윗쪽에 위치한 배풍구가 설치되있는 형태의 화상생성기에 상류 끝부분에 배설된 시이트 수입수단을 그 시이트배출구에 대응시켜 부설된 소오터에 있어, 그 배풍구로 부터 배풍을 소오터의 상류 끝부분 상면에서 넓이방향 후방으로 안내하여, 소오터내의 시이트에 그 배풍구로 부터의 배풍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풍안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
  6. 제5항에 있어서 화상생성기의 한쪽면은 흡인하는 수단을 하부측면과 돌출된 상부측면에 갖고 있어, 그 시이트배출구와 그 배풍구는 하부측면에 배설되있고, 그 배풍 안내판은 배풍구의 아래쪽으로부터 하류로 향하여 소오터의 상류끝 부분 상면까지 연장되어 다음에 상방에 그 상부 측면의 밑 끝부분까지 연장된 상면벽과 그 상면벽의 넓이방향 끝부분에서 윗쪽에 오르는 전면벽을 갖도록한 소오터.
KR1019880012164A 1987-11-30 1988-09-20 소오터 KR920001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0077 1987-11-30
JP?62-300077 1987-11-30
JP62300077A JPH0720795B2 (ja) 1987-11-30 1987-11-30 ソ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627A KR890008627A (ko) 1989-07-12
KR920001977B1 true KR920001977B1 (ko) 1992-03-07

Family

ID=1788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164A KR920001977B1 (ko) 1987-11-30 1988-09-20 소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3155A (ko)
EP (1) EP0318766B1 (ko)
JP (1) JPH0720795B2 (ko)
KR (1) KR920001977B1 (ko)
DE (1) DE38813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0197B (en) * 1988-06-17 1993-01-20 Mita Industrial Co Ltd Sorter with noise sup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463A (en) * 1979-11-27 1982-08-10 Gradco/Dendoki, Inc. Compact sorter
US4332377A (en) * 1979-11-29 1982-06-01 Gradco/Dendoki, Inc. Compact sorter
JPS5727858A (en) * 1980-07-28 1982-02-15 Fuji Xerox Co Ltd Paper sorting apparatus
DE3321613A1 (de) * 1983-06-15 1984-12-20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Blattsortiereinrichtung fuer fotografische kopiergeraete
US4580775A (en) * 1984-03-02 1986-04-08 Ikegani Tsushinki Company, Ltd. Sheet sor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1354T2 (de) 1993-10-21
EP0318766A3 (en) 1990-07-25
KR890008627A (ko) 1989-07-12
JPH0720795B2 (ja) 1995-03-08
DE3881354D1 (de) 1993-07-01
US4863155A (en) 1989-09-05
EP0318766A2 (en) 1989-06-07
JPH01145979A (ja) 1989-06-07
EP0318766B1 (en)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905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FI68328C (fi) Anordning foer bortsortering av enstaka foeremaol som avviker fraon huvudmaengden i en loepande utmatning
US5618035A (en) Offset stacker
EP2316763B1 (en) Sheet take out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4089515A (en) Document storage and transport apparatus
KR920001977B1 (ko) 소오터
EP0259829B1 (en) Sorting machine
US3484101A (en) Sorting apparatus for documents
US5560596A (en) Sheet supplying device and recording or reading apparatus
US4872663A (en) Sheet sorter apparatus
US4114999A (en) Apparatus for making plates for printing
GB2075956A (en) Apparatus for sorting sheets
JPS5822224A (ja) シ−トカセツト
JPH0717306B2 (ja) 積重配置トラニオン移送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ソ−タ
EP0812790B1 (en) Apparatus for paying out a sheet body
JPH09136763A (ja) 紙片ソート装置
US5087029A (en) Sorter having noise-eliminating member
US6237911B1 (en) Sheet material guide
JPH05186126A (ja) 紙葉類の収納装置
KR940000372B1 (ko) 복사지 분류장치(Sorter)의 트랜스퍼 휠
JP454507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2631284B2 (ja) 画像形成装置
JPS58135041A (ja) 給紙装置
JPH0192173A (ja) ソ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