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03Y1 -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03Y1
KR920001803Y1 KR2019910020269U KR910020269U KR920001803Y1 KR 920001803 Y1 KR920001803 Y1 KR 920001803Y1 KR 2019910020269 U KR2019910020269 U KR 2019910020269U KR 910020269 U KR910020269 U KR 910020269U KR 920001803 Y1 KR920001803 Y1 KR 920001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ail
movable click
click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하루 오쓰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425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94217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2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제 1 도는 본원 고안에 관한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원 고안에 관한 가동클릭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 3a,b 도 및 제 4a,b 도는 본원 고안에 관한 가동클릭을 케이스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설명도이며, 각각 (a) 도는 그 종단면도, (b) 도는 그 정면도.
제 5 도, 제 6 도는 본원 고안의 작용설명도.
제 7 도는 종래의 레일장착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8a,b,c 도는 그 작용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홈
3,4 : 각부(脚部) 5 : 케이스의 측벽
6 : 이탈방지용 돌기 7 : 지지선반
8 : 결합돌기 8a : 각공(角孔)
10 : 가동클릭 11 : 당접부
12 : 설편 13 : 슬릿
14 : 지지편 15 : 측각편(側脚片)
16 : 맞춤부
본원 고안은 예를 들어 전자접촉기와 같이 비교적 소형의 전기기기에 이용하는데 특히 유효한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7 도는 종래의 전기기기를 레일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1)은 전기기기의 케이스, (2)는 케이스(1)의 배면(背面)에 형성되고, 레일(40)에 끼워맞추는 홈, (3a)는 홈(2)의 한쪽옆에 형성된 걸림클릭이며, 이 걸림클릭(3a)을 레일(40)의 한쪽 에지부(41b)에 걸어서 홈(2)을 레일(40)에 끼워맞추고, 레일(40)의 다른쪽의 에지부(41a)에 케이스(1)에 설치한 가동클릭(30)의 선단부를 연결시키도록 한 것이다.
제 8a 도는 가동클릭(30)을 포함한 제 7 도의 A부분의 하면도이며, (1)은 케이스, (2)는 그 저면에 형성된 홈이다. (21)은 홈(2)에 직교해서 케이스(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이며, 홈(2)의 옆 하면에는 지지선반(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의 개구부는 홈(2)쪽이 좁고, 2단으로 확대되어 반대쪽은 넓어져 있다. (23)은 슬라이드홈(21)내에 있어서 케이스(1)에 돌출설치된 스프링지지부이다. (30)은 합성수지를 성형해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홈(21)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가동클릭이며, 중앙부는 지지선반(22)의 간격보다 약간 좁은 폭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에는 레일맞춤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두꺼운 부분의 양측에는 슬라이드홈(21)에 끼워 맞출수 있는 두께의 슬라이드안내부(32)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스토퍼(32)가 형성되어 있다. (34)는 윈도우공(孔), (35)는 윈도우공(34)에 설치된 스프링시트, (36)는 코일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은 가동클릭(30)을 케이스(1)에 장착하는데는 가동클릭(30)을 홈(2)의 반대쪽으로부터 슬라이드홈(21)내에 삽입하고, 스프링지지부(23)와 스프링시트(35)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36)을 장착한다. 이로써, 가동클릭(30)은 코일스프링(36)의 힘에 의해 슬라이드홈(21)내를 전진하고, 스토퍼(33)가 케이스(1)의 측벽에 닿아서 정지한다. 이때, 레일맞춤부(31)는 홈(2)내에 돌출되고, 제 8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40)을 연결한다.
케이스(1)를 레일(40)로 부터 벗길 경우는 가동클릭(30)을 앞으로 당기면 레일맞춤부(31)가 레일(40)의 에지부(41a)로 부터 벗겨지므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가동클릭(30)을 앞으로 당겼을 때, 지지선반(22)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스프링(36)이 먼저 밀착되고, 그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전기기기의 장착장치로서 일본국 실개소 62-55830호 공보, 실개소 62-188035호 공보등에 개시된 고안이 있다. 일본국 실개소 62-55830호 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저부에 형성된 홈의 양측으로부터 홈쪽에 제1의 연결부와 제2의 연결부가 돌출설치된 전기기기본체와, 단면 L자형으로 탄성을 가지고 밑부분이 전기기기본체의 옆부분에 접합되어 선단부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전기기기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형성된 스텝부에 재치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는 장착기구가 부가된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전기기기는 제2의 연결부와 연결편의 선단부를 레일의 각부(脚部)에 끼워맞춘 다음, 레일에 의해 전기기기본체를 연결편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연결편의 밑부분을 중심으로 약간 회동시켜서 레일의 다른쪽의 각부를 제1의 연결편에 결합시킨 다음 연결편을 자체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ㄷ 자형부를 레일의 각부에 끼워 맞추어서 레일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62-188035호 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배면홈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일의 한쪽에지와 결합가능한 고정클릭과, 뒷면홈의 타측벽에 형성된 안내절결부와, 배면홈의 타측벽측의 바닥에 측벽과 평행으로 형성된 안내절결부보다 폭넓은 연결요부(凹部)와, 안내절결부측의 케이스외벽에 형성된 가동클릭연결용의 연결돌기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케이스와, 연결돌기에 결합가능한 설편(舌片)과, 연결요부에 결합되어 안내절결부에 진퇴할 수 있게 삽입되는 결합암과, 레일의 다른쪽 에지에 결합가능한 연결클릭을 가진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가동클릭에 의해 구성된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를 레일에 장착하는데는 연결돌기의 각공(角孔)에 가동클릭의 설편을 삽입해서 스프링편을 안내절결부의 경사면에 따라 만곡시켜서, 밀어올리고 결합암을 연결요부에 끼워맞춘다. 이어서, 케이스의 고정클릭을 레일의 한쪽에지에 결합시키고, 이것을 지점으로해서 케이스를 회동시키면서 가동클릭을 레일의 다른쪽 에지에 향해 밀어넣어서 케이스를 레일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된 종래의 장착장치는 가동클릭(30)이나 코일스프링 (36)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공정수도 많아지며,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케이스(1)가 가동클릭(30)을 많아지며,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케이스(1)가 가동클릭(30)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은 제 8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선반(22)의 경사부분뿐이며, 면적, 길이 모두 충분하지 못하며, 벗겨지기 쉽다. 그리고, 슬라이드안내부(32)는 슬라이드홈(21)에 삽입되기 위해 얇아지고, 지지선반(22)도 제품외형을 작게하기 위해 얇게되어 있으므로 파손되기 쉽다. 또한, 코일스프링(36)의 밀착을 이용해서 가동클릭(3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설계가 어렵고, 더욱이 확실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국 실개소 62-55830호 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홈의 양측에 제1의 연결부와 제2의 연결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연결부간의 폭보다 넓은 레일에 어떻게 해서 끼워맞추어지고, 그리고 연결편에 의해 레일에 연결되는지가 명백하지 않고, 가령 전기기기를 레일에 장착할 수 있었다해도 레일과 홈의 측벽과의 사이에 커다란 여유가 있으므로 견고하고 확실하게 장착하는 것은 곤란하며, 진동이나 충격으로 벗겨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본국 실개소 62-188035호 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케이스의 측벽에 안내절결부나 요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가동클릭에 드라이버등을 경사지게 삽입해서 하므로 커다란 각창(角窓)이 필요하며, 강도적 및 조작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가동클릭은 케이스에 들어있는 상태로 레일측으로의 움직임에 대해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없으므로, 전기기기가 레일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클릭이 벗겨지기 쉽다. 그리고, 케이스의 연결요부에 대한 가동클릭의 슬라이드는 가동클릭의 결합암을 절단면에서 행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도중에서 걸리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가동클릭의 연결암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서 강도적으로 문제가 있으며, 변형되기 쉬운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부품구성으로 전기기기를 확실하게 레일에 장착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가동클릭의 강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관한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는 배면에 형성되어 레일에 끼워맞추는 홈과, 이 홈의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홈쪽으로 돌출설치된 고정클릭과, 홈의 다른쪽의 측벽으로부터 홈과 직교하는 케이스측벽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대향하는 벽면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기와,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케이스측벽에 형성된 지지선반과, 케이스측벽에 배설되어 구멍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한 케이스와, 일단에 케이스의 결합돌기의 구멍에 삽입되는 설편을 구비한 당접부와, 이 당접부의 타단을 대략 직각으로 절곡해서 그 양단부를 케이스의 돌출부 사이에 폭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당접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해서 측각부(側脚部)가 형성된 대략 U자형의 지지면과, 측각부의 단부에 형성된 맞춤부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재의 가동클릭을 구비한 것이다.
먼저, 케이스의 결합돌기에 가동클릭의 설편을 삽입해서 그 기부를 지지선반위에 위치시키고, 가동클릭을 휘면서 밀어넣어서 지지선반과 결합돌기와의 사이에 끼워맞추고, 케이스에 장착한다. 다음에, 케이스의 고정클릭을 레일의 한쪽에지부에 끼워맞춘다음 케이스의 타단부를 밀어내리면, 가동클릭이 휘어져서 맞춤부가 바깥쪽으로 피하기 때문에, 레일은 홈에 끼워맞추어진다. 레일이 홈에 끼워맞추어지면 가동클릭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상태로 되돌아가고, 맞춤부가 레일의 에지부와 끼워맞추어진다.
제 1 도는 본원 고안을 실시하는 케이스의 일예의 사시도, 제 2 도는 가동클릭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전기기기의 케이스, (2)는 케이스(1)의 배면에 설치된 레일장착용 홈, (3), (4)는 홈(2)의 양쪽에 형성된 각 한쌍의 나사장착용 각부이며, 이로써 홈(2)의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3a)는 한쪽의 각부(3)의 사이에 있어서 홈(2)쪽으로 돌출설치되고, 레일의 한쪽에지부와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클릭, (6)은 다른쪽 각부(4)의 내측측벽에 대행해서 돌출설치된 가동클릭(10)의 이탈방지용 돌기이다. 또한, 각부(3), (4)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홈(2)의 측벽을 이용해서 고정클릭(3a)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 측벽의 중앙부를 잘라내어 양측에 홈(2)과 직교해서 케이스측벽(5)위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그 대향하는 측벽에 이탈방지용 돌기(6)를 형성해도 된다. (5)는 홈(2)과 직교하는 케이스(1)의 측벽이며, 각부(4)의 사이에는 가동클릭(10)을 지지하는 지지선반(7)이 형성되어 있다. (8)은 케이스측벽(5)위에 설치된 결합돌기이며, 각공(角孔)(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선반(7)쪽으로는 스토퍼면(8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10)은 탄성을 가진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L자형으로 절곡된 가동클릭이고, (11)은 당접부, (12)는 당접부(11)의 선단부에 형성된 2개의 슬릿(13)에 의해 형성되고, 케이스(1)의 결합돌기(8)의 각공(8a)에 삽입되는 설편, (13a)는 설편(12)을 형성하는 슬릿(13)의 저면이며, 결합돌기(8)의 스토퍼면(8b)에 맞닿는다. (14)는 당접부(11)의 기부를 대략 직각으로 절곡해서 형성된 지지면이며, 그 양단부를 당접면(11)과 반대방향으로 대략 직각각으로 절곡해서 형성한 측각편(側脚片)(15)에 의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각편(15)의 선단부 아래쪽에는 레일의 에지부에 연결되는 맞춤부(16)가 설치되며, 그 당접면(11)의 반대쪽에는 경사면(16a)이 형성되어 있다. (17)은 케이스(1)의 이탈방지용 돌기(6)와 대면하는 당접면, (18)은 케이스(1)를 레일로부터 분리할 때에 드라이버등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원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동클릭(10)을 케이스(1)에 장착하는데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결합돌기(8)의 각공(8a)의 양측벽에 가동클릭(10)의 슬릿(13)을 삽입하는 동시에 각공(8a)에 설편(12)을 삽입해서 그 기부를 지지선반(7)위에 위치시키고, 당접부(11)를 휘게하면서 가동클릭(10)을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가동클릭(10)의 측각편(15)은 케이스(1)의 이탈방지용 돌기(6)에 형성된 경사면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휘고, 케이스(1)의 각부(4)의 사이에 삽입된다. 설편(12)을 형성하는 슬릿(13)의 저면(13a)이 결합돌기(8)의 스토퍼면(8b)에 닿을 정도까지 가동클릭(10)을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가동클릭(10)의 당접부(11)와 측각편(15)의 휨(제 3 도 참조)이 없어진다. 이 휨은 탄성변형내의 휨량이므로, 가동클릭(10)은 변형됨이 없이 지지선반(7)의 내측에 있어서 지지선반(7)과 결합돌기(8)와의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맞추어진다. 즉,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클릭(10)은 지지선반(7)과 스토퍼면(8b)에 의해 지지면(14)과 당접면(13)이 P방향의 위치를 규제받고, 또한 각부(4)의 양측벽(4a)의 의해 측각편(15)의 Q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기기를 레일에 장착하는데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걸림클릭(3a)을 레일(40)의 한쪽에지부(41a)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케이스(1)의 가동클릭(10)이 장착되어 있는 쪽을 밑으로 누르면 가동클릭(10)의 맞춤부(16)에 형성된 경사면(16a)이 레일(40)의 다른쪽의 에지부(41b)의 단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케이스(1)를 밀어내리면, 가동클릭(40)은 결합돌기(8)에의 맞춤부를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휘어져 회동하여 피하므로 레일(40)의 에지부(41b)는 케이스(1)의 홈(2)내에 끼워진다. 이로써, 가동클릭(10)은 탄성복귀해서 에지부(41b)와 결합되고, 케이스(1)는 레일(40)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가동클릭(10)은 그 지지면(14)이 케이스(1)의 지지선반(7)으로 받쳐져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지지되어 있다.
제 6 도는 상기와 같이 장착된 케이스(1)를 레일(4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먼저, 가동클릭(10)의 지지면(14)에 형성된 구멍(18)에 드라이버(42)의 선단을 삽입하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클릭(10)을 레일(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맞춤부(16)가 레일(40)의 에지부(41b)로 부터 벗겨지므로, 케이스(1)를 레일(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가동클릭(10)을 그 당접면(17)이 케이스(1)의 이탈방지용돌기(6)에 닿을 때까지 회동시켜도 지지면(14)은 케이스(1)의 지지선반(7)과 랩되어 있으므로, 가동클릭(10)이 케이스(1)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다. 또한, 이탈방지용 돌기(6)의 간격은 가동클릭(10)의 측각편(15)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각편(15)이 이탈방지용 돌기(6)를 타넘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지지면(14)의 구멍(18)에 삽입된 드라이버(42)등을 떼면 가동클릭(10)은 자체탄성에 의해 제 5 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가동클릭(10)의 움직임은 지지면(14)과 지지선반(7), 각부(4)의 측벽(4a)과 측각편(15)의 면에 의한 슬라이드에 의해 파고드는 일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가동클릭을 전기기기의 케이스에 장착하고, 가동클릭의 탄성을 이용해서 레일에 장착하도록 하였으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1) 부품개수가 적고 조립 및 레일에의 장착이 용이하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2) 가동클릭과, 케이스에 형성된 돌출부, 이탈방지용 돌기, 지지선반 및 결합돌기와의 치수관계를 충분히 규제하고 있으므로, 가동클릭의 케이스에의 장착 및 케이스의 레일에의 부착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장착, 부착후의 벗겨짐이나 빠짐이 없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가동클릭과 케이스와의 슬라이드부는 면과 면과의 접촉이며, 이 때문에 삽입에 있어서 파고드는 일이나 변형이 없이 원활한 움직임과 충분한 강도가 얻어진다.
(4) 가동클릭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등을 삽입해서 조작하는 구멍이 케이스뒷면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동클릭을 레일로부터 분리할 때에 드라이버등의 삽입 및 조작이 용이하다.
(5) 가동클릭의 당접면은 1매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며,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Claims (7)

  1. 배면에 형성되어 레일에 끼워맞추는 홈과, 이 홈의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홈쪽으로 돌출설치된 고정클릭과, 상기 홈의 다른쪽의 측벽으로부터 이 홈과 직교하는 케이스측벽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대향하는 벽면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측벽에 형성된 지지선반과, 이 케이스측벽에 배설되어 구멍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한 케이스와, 일단에 상기 케이스의 결합돌기의 구멍에 삽입되는 설편을 구비한 당접부와, 이 당접부의 타단을 대략 직각으로 절곡해서 그 양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돌출부 사이의 폭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상기 당접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해서 측각부가 형성된 대략 U자형의 지지면과, 상기 측각부의 단부에 형성된 맞춤부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재의 가동클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릭의 지지면의 측각부의 단부에 형성된 맞춤부에 상기 케이스의 홈에 끼워맞추어진 레일의 에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측각부의 단부에 형성된 맞춤부의 당접부와는 반대쪽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레일을 분리할 때의 공구를 삽입가능하도록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릭의 당접부의 일단을 상기 케이스측벽에 형성한 결합돌기에, 또한 상기 가동클릭의 당접부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측벽에 형성한 지지선반에 끼워맞추어 상기 가동클릭을 위치결정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홈내에 끼워맞추어진 레일의 에지부로부터 상기 가동클릭의 측각부의 단부의 맞춤부가 벗겨지는 위치까지 상기 가동클릭을 변형가능하게 하고, 이 변형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릭의 지지면과, 상기 케이스의 지지선반 및 이탈방지용 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릭은 지지면의 측벽부의 외표면이 상기 케이스의 돌출부의 대향하는 벽면과 접촉하면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KR2019910020269U 1988-09-29 1991-11-25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KR920001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269U KR920001803Y1 (ko) 1988-09-29 1991-11-25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42539 1988-09-29
JP63242539A JPH0294217A (ja) 1988-09-29 1988-09-29 電子機器のレール取付装置
KR1019890006981A KR900005847A (ko) 1988-09-29 1989-05-25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2019910020269U KR920001803Y1 (ko) 1988-09-29 1991-11-25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981A Division KR900005847A (ko) 1988-09-29 1989-05-25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803Y1 true KR920001803Y1 (ko) 1992-03-16

Family

ID=2733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269U KR920001803Y1 (ko) 1988-09-29 1991-11-25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8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0018B1 (en) A tie
EP0572012B1 (en) Body-mounted connector
US5618195A (e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ing contact-locking grid and drawer
JP3684304B2 (ja) 係止用フック
US4609119A (en) Retaining device for mounting electrical units
US4947290A (en) Rail moun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equipment
CN209964470U (zh) 设备及其安装夹
KR920001803Y1 (ko) 전기기기의 레일장착장치
US5658167A (en) Panel-mounted connector
US4087669A (en) Housed electrical switch with slide fastening members
US6376776B2 (en) Circuit board holder
JP4116159B2 (ja) 端子台
US6370031B2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JP2867587B2 (ja) 引出し装置
KR920001139Y1 (ko) 클 립
JP2532856Y2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装置
JP2846889B2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装置
JPH0625985Y2 (ja) 電気器具取付装置
JP2500517Y2 (ja) 電気機器のレ―ル取付装置
JP2000183569A (ja) プリント基板の固定方法及び固定装置
US4050759A (en) Zero-insertion-withdrawal force connector
JP4055971B2 (ja) 速結端子
JPH0727535Y2 (ja) 電気器具取付装置
KR890007983Y1 (ko)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KR200194065Y1 (ko) 커넥터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