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065Y1 - 커넥터 고정구 - Google Patents

커넥터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065Y1
KR200194065Y1 KR2019940037057U KR19940037057U KR200194065Y1 KR 200194065 Y1 KR200194065 Y1 KR 200194065Y1 KR 2019940037057 U KR2019940037057 U KR 2019940037057U KR 19940037057 U KR19940037057 U KR 19940037057U KR 200194065 Y1 KR200194065 Y1 KR 200194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ttom body
fixture
protrusion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633U (ko
Inventor
남성헌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40037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065Y1/ko
Publication of KR960025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구는 커넥터의 상하면 및 양측면을 고정하는 벽체와 상부가이드와 바닥체를 구비하며, 전후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커넥터를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고정구
제1도는 종래 커넥터 고정구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고정구의 일 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커넥터 고정구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커넥터 고정구에 커넥터가 삽입고정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고정구 20 : 바닥판
30 : 벽체 40 : 상부가이드
50 : 삽입부 60 : 안내부
90 : 커넥터 91 : 돌출부
본 고안은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고정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커넥터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신호 전달을 위하여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는 각종 장치에 널리 사용되며, 그 장치에 적절히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장치가 커넥터를 직접 고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구에 커넥터를 고정하고 이 고정구를 상기 장치에 고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커넥터 고정구의 일 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 고정구(1)는 판상의 몸체(2)와, 이 몸체(2)에 대해 상호 대면되게 돌출된 한 쌍의 탄성걸림편(4)과 돌기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 탄성걸림편(4)의 상단에는 걸림부(4a)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커넥터 고정구(1)에 있어서, 커넥터(9)의 양측면은 탄성걸림편(4)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각각 접촉 지지되고, 커넥터(9)의 상면은 탄성걸림편(4)들의 걸림부(4a)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또한, 탄성걸림편(4)들의 일측면(4a)과 돌출부(4)에 의해 커넥터(9)의 전후진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9)를 고정 지지한 고정구(1)는 커넥터(9)가 설치되어야 할 장치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커넥터 고정구(1)가 자동차 등과 같이 진동이 심한 장치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고정구(1)에 고정되어 있던 커넥터(9)가 진동에 의해 탄성걸림편(4)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커넥터 고정구(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커넥터 고정구(1)에 고정된 커넥터(9)에 다른 커넥터가 삽입 접속될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넥터를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고정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고정구는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 및 이 접속단자들을 내장 보호하는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는 그 하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탄성의 판상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에 대해 소정높이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벽체와,
상기 각 벽체의 상단에 상기 바닥체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상면을 접촉 지지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바닥체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를 수납하여 그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닥체의 선단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며 그 선단측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부를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고정구의 일 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커넥터 고정구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고정구(10)는, 내부에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가 수용되고 하면에는 돌출부(91)가 마련된 커넥터(90)를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을 지니는 판상의 바닥체(20)와, 바닥체(20)에 대해 수직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한 쌍의 벽체(30)와, 각 벽체(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가이드(40)와, 바닥체(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벽체(30)는 바닥체(20)의 양측 일부가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서로 나란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 벽체(30)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간의 수직거리는 커넥터(90) 몸체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상부가이드(40)는 벽체(30)의 상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바닥체(20)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부가이드(40)와 바닥체(20)의 상호 대향하는 면간의 거리는 커넥터(90) 몸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삽입부(50)는 바닥체(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체(20)가 관통되어 삽입부(50)를 형성하고 있으나, 바닥체(20)의 상면이 커넥터(90)의 돌출부(91)의 높이를 감안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체(20)의 선단과 삽입부(50)와의 사이에는 선단측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0은 커넥터 고정구(10)를 소정의 고정체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 관통공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고정구(10)에 커넥터(90)가 삽입되게 되면, 커넥터 고정구(10)의 바닥체(20)의 상부가이드(40)가 각각 커넥터(90)의 상, 하면에 접촉되고, 바닥체(20)의 양측에 형성된 벽체(30)들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커넥터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90)의 하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91)는 바닥체(20)에 형성된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수납되며 그 외주면이 삽입부(50)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고정구(10)에 삽입된 커넥터(90)는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처럼 커넥터 고정구(10)에 커넥터(90)가 삽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90)의 몸체 일측을 바닥체(20)의 선단부 상면에 접촉시키고 화살표(A)방향으로 커넥터(9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바닥체(2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던 커넥터(90)의 몸체 일부가, 제5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벽체(30)들의 대향면과 상부가이드(40)의 하면 및 바닥체(20)의 상면 사이로 진입하여 그 면들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의 돌출부(91)가 바닥체(20)의 선단부에 경사지게 마련된 안내부(60)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90)를 계속 슬라이딩시키면, 안내부(60)에 접촉하고 있던 커넥터(90)의 돌출부(91)가 안내부(60)의 경사면을 압압하여 바닥체(2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60)를 통과하게 된다. 그 후, 커넥터(90)의 진입이 계속되어 그 돌출부(91)가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수납되게 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바닥체(20)가 원상복귀되면서 커넥터(9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삽입부(50)에 삽입된 돌출부(91)에 의해 커넥터(90)는 그 삽입방향으로의 이동 즉,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90)의 몸체는 바닥체(20)의 상면과 벽체(30)들의 상호 대향면과 상부가이드(40)의 내면이 이루는 터널내로 진입되어 그 면들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고한 고정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벽체가 마련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체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다른 벽체가 더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구는 커넥터의 상하면 및 양측면을 고정하는 벽체와 상부가이드와 바닥체를 구비하며, 전후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커넥터를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전기 접속단자 및 이 접속단자들을 내장 보호하는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는 그 하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탄성의 판상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에 대해 소정높이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벽체와, 상기 각 벽체의 상단에 상기 바닥체의 상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상면을 접촉 지지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바닥체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를 수납하여 그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를 고정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닥체의 선단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며 그 선단측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구.
KR2019940037057U 1994-12-28 1994-12-28 커넥터 고정구 KR200194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57U KR200194065Y1 (ko) 1994-12-28 1994-12-28 커넥터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57U KR200194065Y1 (ko) 1994-12-28 1994-12-28 커넥터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33U KR960025633U (ko) 1996-07-22
KR200194065Y1 true KR200194065Y1 (ko) 2000-09-01

Family

ID=1940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057U KR200194065Y1 (ko) 1994-12-28 1994-12-28 커넥터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0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33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9009A (en)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5651697A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950021890A (ko) 저 삽발력 전기 커넥터
KR900015381A (ko) 전기 커넥터
US5044988A (en)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KR940017007A (ko) 고정 기구를 가지는 전기 접속기
KR930005622Y1 (ko) 코넥터
KR950000307A (ko) 볼트조임형 커넥터
KR930018780A (ko) 전기 코넥터의 제1 및 제2절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970004156B1 (ko) 전기 커넥터용 슬림형 판 장착식 보유기
JP3266221B2 (ja)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US4664466A (en) Electric device with a cable supporting element and method of mounting the supporting element to the electric device
KR200194065Y1 (ko) 커넥터 고정구
KR101780363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0141085B1 (ko)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KR900008974Y1 (ko) 코넥터
JPH10302862A (ja) 電気コネクタ
KR20190081442A (ko) 고전압 커넥터
KR100433108B1 (ko) 회로기판 설치구조
JP3287522B2 (ja) 器壁へのハウジングの取付構造
KR970008734A (ko) 홀더부착 커넥터
JPH0336039Y2 (ko)
JP2868411B2 (ja) 基板用コネクタの端子配列板
US7018244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