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85B1 -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85B1
KR0141085B1 KR1019920002605A KR920002605A KR0141085B1 KR 0141085 B1 KR0141085 B1 KR 0141085B1 KR 1019920002605 A KR1019920002605 A KR 1019920002605A KR 920002605 A KR920002605 A KR 920002605A KR 0141085 B1 KR0141085 B1 KR 014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nel
elastic arm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304A (ko
Inventor
나가미네 아키라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세이트칙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세이트칙,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세이트칙
Publication of KR92001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패널취부용의 탄성암의 내측에 스토퍼부를 설치함으로써 탄성암이 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우징(2)의 측면(6, 8)에 탄성암(20)의 약 중앙으로 향하여 연장된 T자형의 스토퍼부(30)을 설치한다. 탄성암(20)이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면, 스토퍼부(30)가 탄성암(20)의 단부(24)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탄성암(20)의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제1도 (a)는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도 (b)는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콘넥터 하우징을 패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콘넥터 하우징에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콘넥터 하우징을 방수라버가 부착된 패널에 취부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측면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콘넥터 하우징 6,8: 측면
20: 탄성암 30: 스토퍼부
본 발명은 콘넥터 하우징, 특히는 일체로 성형된 패널에 취부하는데 사용되는 탄성암을 가진 콘넥터 하우징과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패널에 취부되는데 사용되는 탄성암을 가진 콘넥터는 나사등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지지형으로 패널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널취부용 탄성암은 취부시, 해체시 등의 소정의 하중에 견디어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과도한 하중이인가되는 경우에도 탄성암이 소성변형, 파손등이 되지 않도록 대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5도에는 그러한 대책을 가진 콘넥터 하우징(50)을 도시한다. 휘어질 수 있는 연결부(54)가 탄성암(52)과 절연하우징(50)을 잇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탄성암(52)이 보강된다.
상기 절연하우징(50)으로는 탄성암(52)이 휘어질 수 있는 연결부(54)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는, 콘넥터를 하우징으로 삽입할 때에 삽입력이 높아지지 않고, 가요성이 저하하여 파단될 우려가 있다. 또한, 얇은 경우는 패널에 취부된 콘넥터를 빼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므로 가요연결부(54)가 절단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2-112180호에 공개된 기술을 전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탄성암의 외측으로의 굽힘을 억제하는 암을 탄성암에 접속하지 않고 하우징 측면에 설치한다. 그러나 이 경우 암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탄성암의 양측에 필요하므로 소형의 콘넥터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암 부근에 특히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탄성암의 외축으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콘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은 절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경사진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암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탄성암의 연출방향의 약 중앙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상기 탄성암이 소정량 굽혀진 때에 상기 탄성암의 일부와 계합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a) 및 제1도(b)는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에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각기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콘넥터 하우징을 패널에 취부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제1도(a)에 있어서, 콘넥터 하우징(2)은 적절한 합성수지등의 절연성재료의 성형품이고, 그 본체내에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소정수(본 실시예에선 8개)의 콘택트 수용실(4)을 가진다. 콘넥터 하우징(2)의 대향하는 측면(6, 8)에는 각기 경사진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도(b)참조)탄성암(20, 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측면(6, 8)에 인접하는 측면(10, 12)에는 각기 제1도(b)에 있어서 패널(40)(제2도 참조)에 대해 콘넥터 하우징(2)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플랜지(14,14)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랜지(14)는 나사구멍(16)을 가짐으로써 필요에 따라 패널(40)이외의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취부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각 탄성암(20)은 그 중앙부에 제1도(b)에 있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구멍(22)을 가지고 있다. 이 관통공(22)은 측면(6,8)으로부터 탄성암(20)의 약 중앙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약 T자형의 스토퍼부(30)를 형성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T자형의 스토퍼부(30)의 상측에는 탄성암(20)의 벽이 없으므로, 스토퍼부(30)의 두부는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콘넥터 하우징(2)이 패널(40)에 삽입될 때, 스토퍼부(30)는 탄성암(20)의 화살표시 A방향으로의 가요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제1도(b)와 제2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암(20)은 캠 표면(29)를 가진다. 상기 캠표면(29)은 상기 하우징(2)이 패널의 개구(44)로 삽입될 때 패널(40)의 개구(44)의 벽에 접하면서 탄성암을 안쪽(inwardly)으로 밀고 또한 힌지(27)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게 한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40)에 대해 화살표시 B방향으로 다시 말해 콘넥터 하우징(2)에 대해 화살표시 C방향으로, 즉, 콘넥터 하우징(2)을 패널(40)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탄성암(20)은 화살표시 D방향, 즉 외측으로 굽혀지게 된다. 이때, 약 T자형의 스토퍼부(30)의 횡연출부(32)가 탄성암(20)내부의 단부(24)와 계합함으로써 탄성암(20)의 화살표시 D방향으로 굽힘을 억제하고, 탄성암(20)의 소성변형, 파손등을 효과적으로방지한다.
상기 탄성암(20)은 도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3)을 가진다. 상기 경사면(23)은 개구 작용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개구벽에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패널내에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 T자형의 스토퍼부(30)는 탄성암(20)의 약 중앙으로 향하여 연장되므로, 탄성암(20)의 선단(26)부근의 측면(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관상 좋은 것만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40) 및 측면(6)에 밀착하는 방수라버(42)를 취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스토퍼부는 약 T자형이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자형, J자형 등 탄성암의 굽힘을 억제하는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실시예의 스토퍼부의 위치는 탄성암의 폭방향의 중앙에 있지만, 꼭 그 위치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예컨데 탄성암의 폭방향의 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콘넥터 하우징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탄성암의 연출방향의 약 중앙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스토퍼부를 설치하므로 탄성암의 선단부 근처에 특히 공간의 요하지 않아서 탄성암의 외측으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의 치수, 특히 탄성암의 치수가 제한되는 소형 콘넥터에 극히 적합하다.
또한, 스토퍼부의 위치는 방수라버의 취부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방수형 콘넥터에도 적합하다.

Claims (8)

  1. 탄성 합성수지재의 본체, 패널에 하우징을 취부하는 표면을 갖는 횡연출부를 지지하며 하우징을 패널의 개구에 밀어넣는 동안 하우징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힌지를 포함하며 하우징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암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암이 내부의 단부를 갖는 내부 관통공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관통공내에 위치하며 단부에 작용하여 상기 탄성암이 상기 하우징을 상기 패널의 개구로부터 빼내는 힘에 의해 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패널의 개구에 설치되는 형태의 콘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이 하우징이 패널의 개구로 삽입될 때 패널의 개구벽에 작용하여탄성암을 안쪽으로 밀고 힌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캠 표면을 포함하는 콘넥터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이 패널의 개구의 벽에 작용하여 하우징을 패널내에서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콘넥터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T 자형의 윤곽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부가 관통공내로 연장되는 다소 작은 T자형 모양을 갖는 콘넥터 하우징.
  5. 패널설치를 목적으로 패널의 개구에 취부되는 형상을 갖는 탄성합성수지재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패널에 계합하여 하우징을 패널의 개구에 취부시켜서 하우징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힌지와 횡연출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재질로 형성된 탄성암을 포함하며; 이때대 상기 탄성암이 내부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관통공의 내부로 연출되어 탄성암에 작용하여 하우징을 상기 패널로부터 빼내는 힘에 대한 탄성암의 굽힘을 줄이는 내부의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탄성암과 스토퍼부가 상기 개구내와 상기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형상을 가져서 방수부재가 상기 패널의 다른 쪽에 사용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콘넥터.
  6. 절연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탄성적으로 연출되며 하우징이 패널 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개구의 벽에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하우징을 패널에 취부시키며 또한 관통공수단과 단부수단을포함하는 턴상암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관통공수단내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수단에 작용하여 상기 탄성암 수단이, 힘이 하우징을 패널개구로 삽입하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때, 단부수단이 스토퍼수단에 접촉하는 한도를 넘도록 굽혀지는 것을방지하는 스토퍼수단으로 구성되는 패널의 개구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콘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수단 및 상기 스토퍼수단이 T자형의 형상을 갖는 전기콘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수단이 캠표면과 개구작용면을 갖는 전기 콘넥터.
KR1019920002605A 1991-02-28 1992-02-21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KR0141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16512U JP2552723Y2 (ja) 1991-02-28 1991-02-28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91-16512 199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304A KR920017304A (ko) 1992-09-26
KR0141085B1 true KR0141085B1 (ko) 1998-07-01

Family

ID=1191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605A KR0141085B1 (ko) 1991-02-28 1992-02-21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51051A (ko)
EP (1) EP0501393B1 (ko)
JP (1) JP2552723Y2 (ko)
KR (1) KR0141085B1 (ko)
DE (1) DE69210072T2 (ko)
MY (1) MY108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231A (ko) * 2012-10-04 2015-05-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헤더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869B2 (ja) * 1992-05-29 1998-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ボディ固定用コネクタ
US5583612A (en) * 1994-07-14 1996-12-10 Xerox Corporation Flexible latch with relaxed engagement
US6149637A (en) * 1994-01-03 2000-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20308A (en) * 1995-10-30 1999-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board with a wireless remote control receiver and a method of redefining a key function for remote control
US5651697A (en) * 1995-12-11 1997-07-29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GB9603566D0 (en) * 1996-02-20 1996-04-17 Smiths Industries Plc Electrical components and assemblies
DE102010017361A1 (de) 2010-06-14 2011-12-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bau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7634B2 (ko) * 1972-03-31 1974-08-02 Socapex
GB1420177A (en) * 1973-03-22 1976-01-07 Plastic Screws Ltd Electrical connectors
US4154498A (en) * 1977-10-31 1979-05-15 Alden Research Foundation Removable electrical connector
JPH0353041Y2 (ko) * 1987-08-31 1991-11-19
JPH02141983U (ko) * 1989-05-02 1990-11-30
US5015203A (en) * 1989-12-26 1991-05-14 Amp Incorporated Power distribution unit having improved junction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231A (ko) * 2012-10-04 2015-05-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헤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52723Y2 (ja) 1997-10-29
KR920017304A (ko) 1992-09-26
DE69210072T2 (de) 1996-09-19
MY108191A (en) 1996-08-30
US5151051A (en) 1992-09-29
JPH04106874U (ja) 1992-09-16
EP0501393B1 (en) 1996-04-24
EP0501393A1 (en) 1992-09-02
DE69210072D1 (de) 199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2425B2 (en)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and methods of populating same
US5651697A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350314A (en) Anti-rotation connector
KR0141085B1 (ko)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KR930005622Y1 (ko) 코넥터
KR970000288B1 (ko) 스트레스 경감 수단을 가진 진동 방지 전기 커넥터
US5482476A (en) Panel-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782658A (en) Tubular supporting structure
US6302744B1 (en) Connector system with polarizing key mechanism
JP2538832B2 (ja) 電気コネクタ用パネル取り付け保持器
JPH0757608A (ja)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JP2967881B2 (ja) コンタクト
US5547394A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2723432B2 (ja) 雌型端子金具
KR101412322B1 (ko) 커넥터
US6132246A (en) Connector to be inserted into a movable connector
EP0536708B1 (en) Anti-vib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3140343B2 (ja) コネクタ装置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JP3126906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金具の係止構造及び係止方法
JPH0220764Y2 (ko)
KR200223251Y1 (ko) 컨넥터용 전선커버
KR200194065Y1 (ko) 커넥터 고정구
KR0133982Y1 (ko) 파워윈도우 액츄에이터용 커넥터의 고장장치
KR20230039410A (ko) 와이어커버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