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983Y1 -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983Y1
KR890007983Y1 KR2019860010301U KR860010301U KR890007983Y1 KR 890007983 Y1 KR890007983 Y1 KR 890007983Y1 KR 2019860010301 U KR2019860010301 U KR 2019860010301U KR 860010301 U KR860010301 U KR 860010301U KR 890007983 Y1 KR890007983 Y1 KR 890007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opening
operating end
exterior body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239U (ko
Inventor
노비루 아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제1(a)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자부품 조작단의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나타낸 전자 부품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체를 감삽(嵌揷)한 상태를 나타낸 전자 부품 조작단의 측면도.
제2(a)도는 종래형의 전자부품 조작단의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나타낸 전자부품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체를 감삽한 상태를 나타낸 전자 부품 조작단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부품 본체 5 : 외장체
5a : 외장체 개구부 6 : 조작단
6a : 조작단 본체부 6b : 탄성계합면
6c : 정상부 계합편
본 고안은 전자부품의 노브등의 조작단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체를 감삽하는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전기)기기에 설치한 스위치 또는 볼륨등 제어용 부재의 조작단으로서 노브 또는 레버 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 부재의 대부분은 캐비넷등의 외장(外奬)으로 부터 돌출된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용의 노브, 레버등을 감삽하여 조작성을 향상 시킴과 동시에 외관을 좋게 하여 상품 가치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제2(a)도, 제2(b)도는 종래형의 조작단의 구성을 나타낸다. 부호 2는 전자장치본체(1)로부터 외부로돌출된 전자부품의 조작단이고, 전자장치 본체 내부에 배치한 스위치 볼륨등의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다. 이 조작단(2)의 길이 방향에는 긴구멍(3)이 형성되어 있고, 다시 이 조작단(2)의 측연부에 대하여는 이 긴구멍(3)에 따라서 돌출부(4)가 대향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단(2)에 대하여 외장체(5)를 감삽하고 스위치 노브등의 각종 조작용 노브, 레버등을 구성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기 좋게 하고 있다. 이때 외장체(5)의 조작단 본체 삽입용의 개구부(5a)의 폭(W₂)은 조작단(2)의 돌출부 형성부에 있어서의 폭(W₁)보다도 좁게 형성하고, 외장체(5)를 감삽하였을때에 이 폭의 상위(相違)에 따라 조작단본체(1)가 주로 긴 구멍(3)이 변형함으로써 탄성 변형되어 조작단(2)과 외장체(5)가 계합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조작단(2)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이 조작단(2)이 탄성변형할것을 전제로 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외장체(5)를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단의 거으 전체 길이에 가까운 긴 구멍을 형성하여 조작단(2)의 탄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조작단 자체의 강도를 높일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단(2)의 변형에 의하여 외장체(5)의 하부에 공극부(5b)가 형성되어 버려 상기 조작단 본체의 강도 부족과 더불어 외장체의 덜컹거림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조작단과 이 조작단에 감삽되는 외장체와의 계합을 견고하게 되도록 조작단의 구성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단에 대하여 편지(片持)식의 탄성 계합편을 형성하고 또한 조작단의 탄성 계합편 비형성부의 폭은 외장체의 개구부의 폭과 거의 같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조작단의 구성에 개량을 가하고, 조작단에 대하여 편지식 탄성계합편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또한 조작단의 탄성 계합편 비형성부의 폭은 외장체의 개구부의 폭과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장체를 감삽하였을 때에 조작단과 외장체의 개구부가 밀착 계합함으로써 양자는 확실하게 접속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에 있어서, 6은 전자기기의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단이다. 이 조작단(6)은 전자기기 본체내에 배치된 전자부품측과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단은 외장체(5)의 개구부(5a)의 폭(W₂)과 거의 동등한 폭을 가지는 본체부(6a)와 이 본체부(6a)에 대하여 편지식으로 연설하고 또한 대향 위치하는 한쌍의 계합탄성편(6b)과, 이 탄성 계합편(6b)의 상부에 위치하고, 역시 상기 개구부(5a)의 폭(W₂)과 거의 동등한 폭을 가지는 정상부 계합편(6c)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한쌍의 탄성 계합편(6b)형성부의 최대폭(W₃)은 개구부(5a)의 폭(W₂)보다도 넓게 형성해 둔다. 또 탄성 계합편(6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5a) 내벽에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탄서계합편이 각각 대향위치 하도록 구성하면, 2쌍의 이상의 탄성 계합편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외장체(5)를 조작단(6)에 감삽하면 개구부(5a)의 폭 보다도 넓은 폭을 갖는 한쌍의 탄성계합편(6b)은 자기의 탄성에 의하여 내측으로 굽혀져고 개구부(5a)의 내벽과 견고하게 밀착한다. 또한 탄성 계합편(6b)의 상단부연부(6b')를 둥글게 정형해 두면 외장체(5)를 감삽할때에 탄성계합편(6b)이 걸리는 일 없이 외장체(5)를 원활하게 감삽할수가 있다.
외장체(5)를 소정의 위치까지 감삽하면, 외장체 개구부의 폭(W₂)과 동등한 폭을 가지는 정상부 계합편(6c)및 조작단 본체부(6a)가 이 외장체 개구부(5a)의 내벽부에 밀착하고 또한 이 내벽부에 압접된 탄성 계합편(6b)의 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단(6)과 외장체(5)와는 견고하게 접속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조작단의 구성을 외장체의 개구부의 폭과 거의 동등한 폭을 가지는 정상부 계합편 및 조작단 본체부와, 이들의 부분보다 폭이 넓게 구성한 탄성 계합편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단의 강도자체를 높게 할수 있으며, 또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체를 감삽하였을 경우에 조작단과 이 외장체가 확실하고 또한 견고하게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전자기기본체 외부로 돌출된 조작단에 대하여 외장체를 감삽하는 구조에 있어서, 조작단의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한쌍의 편지형 탄성 계합편을 대향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이들 탄성계합편의 상부에는 정상부 계합편을 형성하고 이들중 조작단 본체부 및 정상부 계합편의 폭은 외장체의 개구부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형성하고, 또한 탄성계합편 형성부에 있어서의 조작단의 최대 폭은 이 개구부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함으로써 탄성 계합편이 외장체 개구부 내벽을 압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KR2019860010301U 1985-12-06 1986-07-16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KR8900079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256 1985-12-06
JP1985187256U JPS6296215U (ko) 1985-12-06 1985-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39U KR870011239U (ko) 1987-07-16
KR890007983Y1 true KR890007983Y1 (ko) 1989-11-18

Family

ID=3113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301U KR890007983Y1 (ko) 1985-12-06 1986-07-16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96215U (ko)
KR (1) KR8900079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96215U (ko) 1987-06-19
KR870011239U (ko)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951B1 (ko) 푸시버튼장치
JPH08316664A (ja) 小型電子機器のスイッチ部基板の保持構造
KR890007983Y1 (ko)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JPH1012083A (ja) 押しボタン
KR0125929Y1 (ko) 버튼장치
KR880001777Y1 (ko) 전자레인지의 래치구조
KR0131201Y1 (ko) 푸시 버튼 고정장치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JP2959317B2 (ja) コントロールボタン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このコントロールボタン装置
KR0126043Y1 (ko) 노브가변형 슬라이드 스위치
KR900001862Y1 (ko) 풋쉬 스위치용 노브
JPH0731960B2 (ja) 押釦装置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KR0121589Y1 (ko) 두개의 관절을 갖는 노브
KR920008661Y1 (ko) 택트 스위치용 놉
KR970003843Y1 (ko) 도어 잠금장치
KR910007291Y1 (ko) 시이소 버튼 고정장치
KR970003833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KR0116654Y1 (ko) 텔레비젼 케이스 체결장치
KR900009800Y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 래치장치
KR200207702Y1 (ko) 조립위치 설정용 멈춤돌기를 갖는 전자렌지
KR940002250Y1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조작판
KR200295991Y1 (ko) 모니터 스위치
KR840002300Y1 (ko) 전자렌지의 누름판
KR19980027174U (ko) 푸시 버튼 스위치용 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