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14B1 -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414B1
KR920001414B1 KR1019890005716A KR890005716A KR920001414B1 KR 920001414 B1 KR920001414 B1 KR 920001414B1 KR 1019890005716 A KR1019890005716 A KR 1019890005716A KR 890005716 A KR890005716 A KR 890005716A KR 920001414 B1 KR920001414 B1 KR 92000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ursor
input
maintenanc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345A (ko
Inventor
임인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414B1/ko
Publication of KR90001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모리맵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지보수용 단말장치 11 : 직력입출력부
12 : 중앙처리장치 13 : 메모리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 유지보수 시스템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명령어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서(cursor)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를 유지보수할 경우 종래에는 주로 오퍼레이터 콘솔(operator console)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은 사용이 불편하였을 뿐만아니라 커서를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 명령어 중간에 키(key)를 삽입 혹은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체 명령어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럭도로서, 유지보수를 실시하기 위한 단말장치(10)와, 상기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어를 송신하며 상기 명령어 처리 결과를 상기 단말장치로 수신하는 직렬입출력(serial input output : 이하 SIO라함)(11) 및 본 발명이 처리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타 영역을 갖는 메모리(13) 및 실제 본 발명의 처리를 위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2)로 이루어진 사설교환기의 주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모리 구조도로서, 본 발명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20)과, 현재 입력중인 명령어의 커서 위치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영역(21)과, 현재까지 입력된 명령어의 키 갯수를 저장하는 입력기 갯수영역(22)과, 현재까지 입력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입력키 버퍼(23)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인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위치 이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a)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2)는 SIO(11)를 제어하여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로 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키 데이타를 수신한다. 상기(a)단계 수행후(b)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를 분석하여 상기 키가 커서 이동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커서 이동키가 아닐 경우에는 (j)단계에서 해당 키 처리투틴을 수행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b)단계에서 커서 이동키로 판명되면(c)단계에서 상기 커서 이동키가 왼쪽 이동키 인지를 분석하여 왼쪽 이동키일 경우에는 (d)단계로 진행하여 제2도에서와 같이 현재 입력중인 커서위치를 저장하는 현재 위치영역(21)을 검색하여 현재 위치값이 0인가를 비교한다. 이는 현재의 커서위치가 현재 명령어 줄의 맨앞인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결과 커서의 위치가 맨 앞이라고 판단되면 더 이상은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을 중단한다. 그러나 맨 앞의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e)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에 백스페이스(Backspace)를 출력시킴으로써 커서의 위치를 왼쪽으로 하나 이동시키고 (f)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내의 현재 위치영역(21)에 저장된 값을 1감소시키고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c)단계에서 오른쪽 이동키로 판명되었을시에는 (g)단계에서 현재 위치영역(21)에 저장된 값과 입력 키 갯수영역(22)에 저장된 값을 비교하여 서로 같은지를 판별한다. 상기와 같이 두 영역(21,22)의 데이타 값을 비교하는 이유는 현재 커서의 위치가 현재 명령어 줄의 맨 마지막인가를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만약 현재의 커서위치가 맨 마지막 위치로 판단되면 더 이상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현대 위치영역(21)과 입력 키 갯수영역(22)의 데이타 값이 같지 않을 경우에는 (h)단계에서 입력된 키 버퍼의 현재 위치번째 키를 상기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에 출력시켜 상기 커서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커서의 오른쪽 이동 후에는 상기 현재 위치영역(21)에 저장된 데이타 값을 1감소시키고 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설교환기의 유지보수작업 명령시에 커서의 위치를 좌 혹은 우로 이동할수 있게 하므로서 명령어의 중간에서 키의 삽입 및 삭제가 가능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프로그램(20), 현재위치(20), 입력 키 갯수(22), 키 커버퍼영역(23)으로 이루어진 메모리(13) 및 직렬입출력장치(11) 및 중앙처리장치(12)를 갖는 사설교환기 주제어부(100)와,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를 구비한 사설교환기 유지보수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렬입출력장치(11)를 통하여 상기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로부터 키를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가 커서 이동키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가 커서 이동키일시 왼쪽 이동키인지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커서 이동키가 왼쪽 이동키일시 상기 현재 위치영역(21)의 데이타 값이 0인지 체크하는 제4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영역(21)의 데이타 값이 0일시 작업을 종료하며 0이 아닐시 상기 유지보수용 단말장치(10)에 백스페이스를 출력토록 제어하고 현재 위치데이타 값을 1감소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05716A 1989-04-29 1989-04-29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KR920001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716A KR920001414B1 (ko) 1989-04-29 1989-04-29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716A KR920001414B1 (ko) 1989-04-29 1989-04-29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45A KR900017345A (ko) 1990-11-16
KR920001414B1 true KR920001414B1 (ko) 1992-02-13

Family

ID=1928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716A KR920001414B1 (ko) 1989-04-29 1989-04-29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4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45A (ko) 199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6286B1 (en) Electronic cash register
KR920001414B1 (ko)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의 커서 이동방법
KR920001415B1 (ko) 교환기의 유지 보수용 명령어의 문자 삭제방법
JPH0117184B2 (ko)
KR920001416B1 (ko) 교환기 유지보수용 명령어 키 삽입방법
JPH0640296B2 (ja) 文字処理装置
JPH0366700B2 (ko)
JPS62263566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77800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ム装置
KR950006824B1 (ko) 전자식 타자기의 백-텝 제어방법
JP2791017B2 (ja) 領域処理方法
JPH08153162A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入力方法
JPH06301705A (ja) 取引復元処理方式
JPH08202525A (ja) 画面入力装置および画面入力方法
JPH0630096B2 (ja) 日本語処理装置
JPS613229A (ja) デ−タ入力装置
JPH04155433A (ja) 情報処理装置
JPS6027034B2 (ja) 漢字端末システム
JPH03130817A (ja) キー入力制御方式
JPH0553750A (ja) ウインドウ表示装置
JPH05189180A (ja) 説明メッセージ適時表示装置
JPS62285174A (ja) 文字入力方式
JPH04370821A (ja) データ入力装置
JPH02122321A (ja) キーボード・ディスプレイ装置のキー入力制御方式
JPH08235166A (ja) 文書作成装置及びカーソル移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