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62B1 - 대물렌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대물렌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62B1
KR920001262B1 KR1019830005787A KR830005787A KR920001262B1 KR 920001262 B1 KR920001262 B1 KR 920001262B1 KR 1019830005787 A KR1019830005787 A KR 1019830005787A KR 830005787 A KR830005787 A KR 830005787A KR 920001262 B1 KR920001262 B1 KR 92000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objective lens
axis
lens holder
tracking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466A (ko
Inventor
게이지 마루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0Optical 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물렌즈 구동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도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사시도.
제3도는 종단면도.
제4a도, 제4b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4a도 및 제4b도는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사시도.
제6도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VII-VII 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에서의 VIII-VIII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d,20e : 제1의 요크 22 : 지지축
23 : 대물렌즈 지지체 33 : 대물렌즈
31A,31B : 삽입 구멍
본 발명은 지지축에 의하여 적어도 그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대물렌즈 유지체를 구비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예를들면, 대물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기 위한 촛점 제어 기능과 이 광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기 위한 트래킹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2축 구동제어의 대물렌즈 구동장치로서는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되는 것이 있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3도를 설명한다.
원통부(1a)와 단판부(1b)에 의한 일체적 구성이 되는 대물렌즈 유지체(1)에는 그 축중심 위치에 베어링(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서 고착되어 있다. 한편, 이 베어링(2)에는 거의 원형으로 되는 베이스(3)에 그 하단부가 고착되는 지지축(4)이 삽입되어 있다. 즉, 대물렌즈 유지체(1)는 베어링(2)을 통하여 지지축(4)에 의하여 그 축선의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그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 유지체(1)의 단판부(1b)의 돌출부(1c)에서의 지지축(4)의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광축이 그 지지축(4)의 축선에 거의 평행이 되도록 렌즈 테(5)를 통하여 대물렌즈(6)가 유지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 유지체(1)의 지지축(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따라 원주 측면부(1d)에는 그 원주 방향에 따라서 촛점 코일(7)이 감겨져 있다. 또한 이 감겨지는 촛점 코일(7)의 외표면에 층상태로 중첩되어서 4개의 거의 사각형으로 감겨진 트래킹 코일(8A) 내지 (8D)가 그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또한 사각형 상태를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 a,b가 지지축(4)의 축선을 따르는 듯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3)의 상면(3a)에는 중앙측에 한쌍의 내요크부(3b)(3c)가 대물렌즈 유지체(1)의 내측에 배치되어서 지지축(4)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것에 의하여 지지축(4)의 양측이며 한쌍의 내요크부(3b)(3c)에 끼워지는 곳에는 한쌍의 절단부(3d)(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요크부(3b)(3c) 및 절단부(3d)(3e)의 외주측에는 링형태의 마그네트(9)와 그 상측면에 연이어 접하는 한쌍의 서로 연결 상태에 있는 외요크부(10a)(10b)가 대물렌즈 유지체(1)의 외측에 배치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 이것에 의하여 외요크부(10a)(10b) 사이에는 제2의 절단부(10c)(1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요크부(10a)(10b)와 제2의 절단부(10c)(10d)는 제각기 대물렌즈 유지체(1)의 원주측벽(1d)을 통하여 내요크부(3b)(3c)와 제1의 절단부(3d)(3e)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내요크부(3b)(3c)와 외요크부(10a)(10b) 및 마그네트(9)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기회로의 자기공극내, 즉 내요크부(3b)(3c)와, 외요크부(10a)(10b)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공극내에는 층상태로 중첩된 촛점 코일(7)과 트래킹 코일(8A) 내지 (8D)의 한변 a가 배치되도록 하여 대물렌즈 유지체(1)의 원주 측벽(1d)이 위치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자기공극내에서 대물렌즈 유지체(1)의 원주 측벽(1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계에 대하여 촛점 코일(7)의 원주측벽(1d)에 둘레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즉, 지지축(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대물렌즈 유지체(1)는 촛점 방향인 지지축(4)의 축선 방향으로 전자 구동된다. 또 트래킹 코일(8A) 내지 (8D)의 각가의 한변 a에 지지축(4)의 축선 방향에서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대물렌즈 유지체(1)는 트래킹 방향이 되는 지지축(4)의 축선이 둘레에서의 회전운동 방향으로 전자 구동이 된다.
또한 (11)은 대물렌즈 유지체(1)와 베이스(3) 사이에 설치되어서 대물렌즈 유지체(1)의 촛점 방향이나 트래킹 방향에의 구동 해제시에 대물렌즈 유지체(1)를 자동적으로 중립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는 중립점 유지 기구로서의 댐퍼 부재이다.
그런데 이런 것에 있어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코저 대물렌즈 유지체를 이대로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얇게 함으로서 달성하려고 한다면 이 경우에서는 대물렌즈 유지체의 내측에 부재인 내요크부의 선단부가 그 대물렌즈 유지체의 단판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서 이것을 해결하기에 즈음하여 그 선단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내요크부를 낮게 삽입하면 내요크부와 외요크부의 대향 면적이 작아져서 충분한 자기력이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포커싱 및 트래킹을 위한 구동력이 확보되지 않고 감도가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예를들면 감도는 손상하는 일도 없고 장치의 박형화가 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서두에 기재한 것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유지체에 그 대물렌즈 유지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지지축의 거의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삽입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부재를 낮게 삽입하는 일없이 대물렌즈 유지체를 지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얇게 할 수가 있게 되어서 예를들면 감도를 손상하는 일없이 장치가 박형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전체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전체의 사시도, 제6도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VII-VII 선단면도 및 제8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VIII-VIII 선단면도이다.
사각형 상태로 되는 베이스(20)의 하면(20a)의 중앙부에는 하방향측에 돌출하는 관형태의 돌출부(2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형태의 돌출부(20b)의 내부 구멍(21)에 지지축(22)이 그 하단부를 가압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20)의 상면(20c)의 중앙측에는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려지는 동일 원주상에 제각기가 원호판 형태로 되는 한쌍의 제1의 요요크(20d)(20c)가 후술하는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양측에 있어 한쌍의 제1의 요크(20d)(20e) 사이에 끼워지는 곳에는 제1의 절단부(24A)(2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의 상면(20c)의 외주측에는 동일하게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려지는 동일 원주상에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각기가 원호판형이 되는 제2의 요크(20f)(20g)가 상기 한쌍의 제1의 절단부(24A)(24B)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통형태의 돌출부(20b), 제1 및 제2 의 요크(20d)(20e)(20f)(20g)는 자성 재료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에는 한쌍의 제1의 절단부(24A)(24B)중의 한쪽의 절단부(24B)에 연이어 통하여 타원형 상태로 된 윈도우(2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윈도우(25)를 통하여 레이저 광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제1의 요크(20d)(20e)의 외측에 있어서의 베이스(20)의 상면(2c)에는 이들 제1의 요크(20d)(20e) 각각에 따라서 일정 간격을 놓고 대향 배치되도록 하여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려지는 동일 원주상에 한쌍의 제1의 마그네트(26A)(26B)가 부착 고착되어 있다. 이들 제1의 마그네트(26A)(26B)는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 제각기가 원호 형태로 되는 제3의 요크(27A)(27B)가 따르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일체화된 한쪽의 제1의마그네트(26A) 및 제3의 요크(27A)와 다른쪽의 제1의 마그네트(26B) 및 제3의 요크(27B) 사이에는 한쌍의 제2의 절단부(28A)(2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요크(20f)(20g)의 내주면 즉 지지축(22)측의 면제각기에는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외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제2의 마그네트(29A)(29B)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한편, 대물렌즈 유지체(23)는 그 축선 방향에서 짧은 편평한 상태로 되는 원통부(23a)와 그 상단측에 설치되는 원형상태로 되는 단판부(23b)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물렌즈 유지체(23)이 재질로서는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이나 듀랄루민을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바람직하기는 와전류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나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축중심 위치에 관통하는 베어링 구멍(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 구멍(30)에 상기 지지축(22)의 상부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 지지축(22)에 의하여 대물렌즈 유지체(23)이 베어링 구멍(30)을 통하여 그 지지축(22)의 축선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그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 유지체(23)의 단판부(23b)에는 베어링 구멍(30)에 즉 지지축(23)을 통하여 양측에 상기 한쌍의 제1의 요크(20d)(20e)의 선단부를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삽입시켜, 단면에 있어서 각각의 원호가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측벽(23c)에 따라 활형태로 되는 한쌍의 삽입 구멍(31A)(31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삽통 구멍(31A)(31B)에 끼워지게 하여 베어링 구멍(3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렌즈 구멍(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 구멍(32)에 대물렌즈(33)를 끼워 넣은 렌즈테(34)가 삽입되어서 고정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축이 지지축(22)의 축선에 평행이 되도록 대물렌즈(33)가 유지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부가 되어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따라 원주측벽(23c)에는 주방향에 촛점 코일(35)이 감겨져 있다. 또한 촛점 코일(35)의 표면에는 층형태로 중첩되어서 2개의 거의 4각형 상태로 감겨지는 트래킹 코일(36A)(36B)의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그리고 제6도에 있어서 지지축(22)을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삽입 구멍(31A)(31B)에 대하여 직교 상태로 지지축(22)을 통하여 상하 양측에 대향하도록 또한 4각형 상태를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 a,b가 지지축(22)의 축선에 따르도록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서 제1의 요크(20d)(20e), 제3의 요크(27A)(27B) 및 제1의 마그네트(26A)(26B)에 의하여 제1의 자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의 자기회로의 제1의 요크(20d)(20e)와 제3의 요크(27A)(27B) 사이에 형성되는 한쌍의 자기공극(37A)(37B)내 각각에는 상기 감겨지는 촛점 코일(35)에서의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트래킹 코일(36A)(36B)의 중첩되어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배치되도록 하고,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측벽(23C)이 위치되어 있다.
또, 제2의 요크(20f)(20g) 및 제2의 마그네트(29A),(29B)에 의하여 제2의 자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의 마그네트(29A)(29B)의 내면측 즉, 지지축(22)측에는 상기 트래킹 코일(36A)(36B)의 중첩되어 배치되는 부분의 트래킹 코일(36A)(36B)의 변 a가 배치되도록 하여 원주측벽(23C)가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마그네트(26A)(26B)의 자극이 제8도에 있어서 도시되는 바와같은 경우에는 제6도에서 감겨지는 촛점 코일(35)에 시계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지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대물렌즈 유지체(23)가 구동된다.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지면에 수직 상방향으로 대물렌즈 유지체(23)가 구동되어서 포커싱이 행해진다.
또 제2의 마그네트(29A)(29B)의 자극이 제6도에 있어서 도시되는 바와같을 경우에는 제6도에서 트래킹 코일(36A)(36B)의 변 a에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시계방향으로 대물렌즈 유지체(23)가 회전 구동된다. 반대로 지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물렌즈 유지체(23)가 회전구동되어서 트래킹이 행하여진다.
그래서 대물렌즈 유지체(23)는 상술한 바와같이 전자 구동되므로서 포커싱 또는 트래킹의 구동 해제시에 자동적으로 대물렌즈 유지체(23)를 중립 위치에 복귀시킴에 있어서, 중립점 유지 기구로서의 탄성 지지부재(38)가 베이스(20)와 대물렌즈 유지체(2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재(38)는 금속판등의 고무 부착 금속제(38a)의 하단부측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지지판(38b)을, 예를들면 용접 가공등에 의해 접합하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 부착 금속체(38a)에 뚫어 설치된 한쌍의 소구멍(39A)(39B)에 각각의 단부가 베이스(20)에 지지축(22)을 통하여 마주하게 설치한 한쌍의 구멍(40A)(40B)을 가지고 끼워 맞추어 고정시키는 한쌍의 부착대(41A)(41B)의 다른단을 삽입시키므로서 탄성 지지부재(38)를 베이스(20)를 고정시키고 있다. 또 탄성 지지판(38b)의 거의 중앙부에 뚫어 설치된 소구멍(42)에 플라스틱등의 지지주(43)의 한단부측의 소직경부(43a)를 삽입하고 또한 칼라(44)를 가압 고착시키므로서 탄성 지지부재(38)와 지지주(43)를 결합시키고 있다. 그리고 지지주(43)의 다른 단부측의 대직경부(43b)를 대물렌즈 유지체(23)에 지지축(22)를 통하여 상기 렌즈 구멍(32)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45)에 끼워 맞추어 대물렌즈 유지체(23)와 탄성지지부재(38)를 지지주(43)을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46)은 대물렌즈(33)의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구멍(47)이 설치된 수납 커바이다. (48)은 멈춤 나사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의 자기회로를 구성함에 있어 제2의 요크(20f)(20g)를 설치하였으나, 특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트래킹 코일(36A)(36B)의 변 b에 대하여도 제2의 자기회로를 동일하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자기회로가 설치되어서 촛점 코일(35) 및 트래킹 코일(36A)(36B) 각각에 대한 전용 자기 회로 구성으로 되있기 때문에 제1의 자기회로의 제1의 요크(20d)(20e)와 제3의 요크(27A)(27B)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공극(37A)(37B)이 좁아져서 자기력이 크게 된다.
또, 촛점 코일(35)과 트래킹 코일(36A)(36B)이 층형태로 중첩되어서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측벽(23c)을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의 내의 2중 구성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중량 즉 가동중량이 증가하지 않게 되어 포커싱의 감도는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동중량이 증가하지 않는 것에 부가하여 대물렌즈 유지체(23)가 지지축(22)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퍼져 외경이 크게 되지 않으므로서 회전관성이 크게 되지 않게 트래킹의 감도도 손상되지 않는다.
즉, 대물렌즈 유지체(23)를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얇게 하여도 구동력이 확보되고 감도는 손상되지 않는다.
반대로 대물렌즈 유지체(23)에 삽입 구멍(31A)(31B)을 설치하므로서 가동중량이 적어져서 감도가 좋게 된다.
한편, 삽입구멍(31A)(31B)에 의하여 제1의 요크(20d)(20e)와 제3의 요크(27A)(27B)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공극(37A)(37B)내에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측벽(23C)의 지지축(22)이 축선 방향으로 폭전체가 위치함으로써 폭전체를 촛점 코일(35) 및 트래킹 코일(36A)(36B)에 있어 유효하게 이용하므로서 대물렌즈 유지체(23)가 한층 박형화된다.
또, 삽입구멍(31A)(31B)에 의하여 대물렌즈 유지체(23)에서의 지지축(22)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혀지는 단판부(23b)의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차단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음향 잡음이 경감된다.
또한, 삽입구멍(31A)(31B)에 의하여 제1의 요크(20d)(20e)가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지지축(22)의 축선 둘레에서도 과도한 회전 운동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고 중립점 유지기구로서의 탄성 지지부재(38)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가지는 것이다.
대물렌즈 유지체에 그 대물렌즈 유지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가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삽입 구멍을 설치한 것으로서 대물렌즈 유지체의 지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부재를 낮게 삽입하지 않고도 얇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부재를 낮게 삽입하므로서 예를들면, 감도를 손상하는 일없이 장치가 박형화된다. 또한 삽입 구멍에 의한 만큼 대물렌즈 유지체의 중량 즉, 가동중량이 적어져서 감도가 좋아진다.
또한, 삽통 구멍에 의하여 대물렌즈 유지체의 지지축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혀지는 지지축의 축선 방향에 차단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음향 잡음이 경감된다.
더우기, 삽입 구멍을 부재와의 관계에서 적당한 형태로 한다면 부재가 대물렌즈 유지체의 지지축의 축선의 둘레에서의 과도한 회전 운동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고 중립점 유지 기구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아 신뢰성이 높아진다.

Claims (2)

  1. 지지축(22)에 의하여 그 지지축(22)의 축선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그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대물렌즈 유지체(23)와, 이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에 떨어진 위치에 광축이 그 지지축(22)의 축선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대물렌즈(33)를 구비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부에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촛점 코일(35)가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는 사각형으로 감기는 트래킹 코일(36A)(36B)을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주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트래킹 코일(36A)(36B)이 중첩되어 배치되는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게 층형태로 중첩 설치함과 더불어, 제1의 자기회로(20d),(20e),(27A),(27B), (26A),(26B)의 자기공극(37A) (37B) 내에 상기 촛점 코일(35)에 있어서의 상기 트래킹 코일의 중첩되지 않은 부분이 배치되게 제1의 자기회로(20d),(20e),(27A),(27B),(26A),(26B)를 설치하고, 상기 트래킹 코일( 36A)(36B)의 중첩되게 배치되는 부분에 제2의 자기회로(20f),(20g),(29 A),(29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2. 지지축(22)에 의하여 그 지지축(22)의 축선 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그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대물렌즈 유지체(23)와, 이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에서 떨어진 위치에 광축이 그 지지축(22)의 축선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대물렌즈(33)을 구비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원주부에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서 감겨지는 촛점 코일(35)가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에 배치되는 사각형태로 감겨지는 트래킹 코일(36A)(36B)을 상기 지지축(22)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주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트래킹 코일(36A),(36B)의 중첩 배치되는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게 층형태로 중첩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대물렌즈 유지체(23)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요크(20d),(20e)와, 그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요크(27A),(27B) 및 제1의 마그네트(26A),(26B)로 구성되는 제1의 자기회로의 자기공극(37A),(37B) 내에 상기 촛점 코일(35)에 있어서의 상기 트래킹 코일(36A),(36B)의 중첩 배치되지 않은 부분이 배치되는 형태로 제1의 자기회로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트래킹 코일(36A)(36B)의 중첩 배치되는 부분에 대해서 대물렌즈 유지체(23)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제2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2의 마그네트(29A),(29B)를 설치하고, 또한 대물렌즈 유지체(23)에 상기 내요크(20 d),(20e)의 최소 선단부와 상기 지지축(22)의 축선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삽입 구멍(31A),(31B)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019830005787A 1982-12-08 1983-12-07 대물렌즈 구동장치 KR920001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15124A JPS59104735A (ja) 1982-12-08 1982-12-08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15.124 1982-12-08
JP215124 1982-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466A KR840007466A (ko) 1984-12-07
KR920001262B1 true KR920001262B1 (ko) 1992-02-08

Family

ID=1666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787A KR920001262B1 (ko) 1982-12-08 1983-12-07 대물렌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71026A (ko)
JP (1) JPS59104735A (ko)
KR (1) KR920001262B1 (ko)
CA (1) CA1250469A (ko)
DE (1) DE3343712A1 (ko)
FR (1) FR2537734B1 (ko)
GB (1) GB2134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677A (ja) * 1983-02-22 1984-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NL8304141A (nl) * 1983-12-01 1985-07-01 Philips Nv Electro-optische inrichting voor de electro-dynamische regeling van de positie van een stralingsvlek.
JPS6124820U (ja) * 1984-07-13 1986-02-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S6145424A (ja) * 1984-08-08 1986-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動型アクチユエ−タ
JPH042420Y2 (ko) * 1984-09-28 1992-01-28
JPS61187025U (ko) * 1985-05-13 1986-11-21
US4673261A (en) * 1985-05-16 1987-06-16 Alessi Industries, Inc. Motion control apparatus for precise repeatable positioning
KR900004619B1 (ko) * 1985-10-23 1990-06-30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대물렌즈 구동장치
JPS62107446A (ja) * 1985-11-05 1987-05-1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2109237A (ja) * 1985-11-08 1987-05-20 Canon Inc 光ヘツド装置
JPS6283224U (ko) * 1985-11-11 1987-05-27
JPS62141646A (ja) * 1985-12-17 1987-06-25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2175935A (ja) * 1986-01-30 1987-08-01 Canon Inc 光学系駆動装置
NL8600437A (nl) * 1986-02-21 1987-09-16 Philips Nv Electro-optische inrichting.
US4956833A (en) * 1986-03-31 1990-09-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bjective driv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apparatus
NL8602564A (nl) * 1986-10-13 1988-05-02 Philips Nv Electro-optische aftastinrichting.
JP2541963B2 (ja) * 1987-02-27 1996-10-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614043B2 (ja) * 1987-04-13 1997-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S63191422U (ko) * 1987-05-26 1988-12-09
JPH0750528B2 (ja) * 1987-06-25 1995-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448238A (en) * 1987-08-19 1989-02-22 Canon Kk Optical system driving device
JP2536436Y2 (ja) * 1988-05-25 1997-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107485A (en) * 1988-10-27 1992-04-21 Eastman Kodak Company Double solenoid focus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H02216627A (ja) * 1989-02-15 1990-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ヘッド
US5111339A (en) * 1989-04-28 1992-05-05 Canon Kabushiki Kaisha Lens actuator
US5136558A (en) * 1989-06-20 1992-08-04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Two axis electromagnetic actuator
US5265079A (en) * 1991-02-15 1993-11-23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141300A (en) * 1989-06-20 2000-10-31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actuator including lens assembly with optical axis having symmetric suspensory forces acting thereon and optical disc system including same
JPH03122826A (ja) * 1989-10-05 1991-05-24 Canon Inc アクチュエータ
US5182738A (en) * 1989-11-10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Objective lens actuator using a balance weight therein
US5416640A (en) * 1989-11-24 1995-05-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actuator
US5319497A (en) * 1990-01-12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ens drive device with lens holder carrying drive flux generating magnets
JPH04114325A (ja) * 1990-09-04 1992-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5313332A (en) * 1990-11-16 1994-05-17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Flexure suspension for two axis actuator
US5808980A (en) * 1991-02-15 1998-09-15 Discovision Associates Seek actuator for optical recording
US6236625B1 (en) 1991-02-15 2001-05-22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current monitoring circuit with controller for laser dr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5729511A (en) *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US5677899A (en) 1991-02-15 1997-10-14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moving carriage assembly from initial position to target position relative to storage medium
US6069857A (en) * 1991-02-15 2000-05-30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improved circuitry for performing blank sector check on readable disc
US5177640A (en) * 1991-10-08 1993-01-05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Two-axis moving coil actuator
US5381288A (en) * 1992-06-16 1995-01-10 Applied Magnetics Corporation, Inc. Center moment suspension assembly
JPH07244862A (ja) * 1994-03-07 1995-09-19 Sankyo Seiki Mfg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6434087B1 (en) 1995-01-25 2002-08-13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as coil and light source to process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US5748578A (en) * 1995-01-25 1998-05-05 Discovision Associates Colpitts type oscillator having reduced ringing and improved optical disc system utilizing same
US5920539A (en) * 1995-01-25 1999-07-06 Discovision Associate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emissions having a groove on an external surface for pass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6091684A (en) * 1995-01-25 2000-07-18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rotational rate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970017502A (ko) * 1995-09-29 1997-04-30 배순훈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
EP0783119B1 (en) 1995-12-27 2000-07-05 Sony Corporation Biaxial actuator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7100331B2 (en) 2002-06-03 2006-09-05 Walter Wayne Nehring Directional flow flashing
US6851133B1 (en) 2002-12-11 2005-02-08 Walter Wayne Nehring Mold resistant shower enclosure
DE102015111281A1 (de) * 2015-07-13 2017-01-19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für ein Kraftfahrzeug mit induktiver Heizeinrichtung, Kameraanordnung sowie Kraftfahrzeug
CN111641771B (zh) * 2020-06-30 2021-07-30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相机模块、具有拍摄功能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4550A (en) * 1972-12-07 1974-06-04 Gen Electric Motor arrangement and lubrication system for oscillatory compressor
FR2294605A1 (fr) * 1974-12-13 1976-07-09 Thomson Brandt Transducteur electrodynamique
NL176315C (nl) * 1976-05-12 1985-03-18 Philips Nv Optische aftastinrichting.
JPS53108403A (en) * 1977-03-04 1978-09-21 Sony Corp Mirror supporting device for video disc
US4349265A (en) * 1979-12-17 1982-09-14 Canon Kabushiki Kaisha Support structure for the aperture signal transmitting means in a camera lens assembly
JPS57120240A (en) * 1981-01-16 1982-07-27 Sony Corp Optical disk player
JPS57178233A (en) * 1981-04-27 1982-11-02 Sony Corp Supporting structure of optical system
JPS57210456A (en) * 1981-06-22 1982-12-24 Sony Corp Objective le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34665A (en) 1984-08-15
DE3343712C2 (ko) 1992-10-08
JPS59104735A (ja) 1984-06-16
CA1250469A (en) 1989-02-28
DE3343712A1 (de) 1984-06-14
GB2134665B (en) 1986-05-08
GB8332621D0 (en) 1984-01-11
FR2537734B1 (fr) 1987-07-31
US4571026A (en) 1986-02-18
JPH0350336B2 (ko) 1991-08-01
KR840007466A (ko) 1984-12-07
FR2537734A1 (fr) 198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62B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US8379337B2 (en) Lens drive device
KR100195313B1 (ko) 카메라용 렌즈경통
KR940022111A (ko) 전자구동장치 및 전자구동장치를 이용한 포커스 제어장치
KR920002028Y1 (ko) 광 픽업
KR900006182B1 (ko) 전기 기계 변환기
KR900018942A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960019134A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00719471B1 (ko) 구동 장치, 광학 기기 및 촬상 장치
KR870006531A (ko) 대물 렌즈 구동장치
US10898066B2 (en) Light adjustment apparatus and optical equipment mounting light adjustment apparatus thereon
KR960014988A (ko)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JPH0349137B2 (ko)
JPH0435816B2 (ko)
US11181811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S6057569B2 (ja) 可動鏡装置
KR850001554A (ko) 광 학 픽 업
JPS61107543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910003737Y1 (ko) 광학 픽업
JPH045058Y2 (ko)
KR0141786B1 (ko) 광픽업 구동장치
JP4141943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159905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JPS59231744A (ja) 対物レンズ装置
JPH05322502A (ja) 速度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