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169B1 - "v"형 엔진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v"형 엔진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169B1
KR920001169B1 KR1019880011579A KR880011579A KR920001169B1 KR 920001169 B1 KR920001169 B1 KR 920001169B1 KR 1019880011579 A KR1019880011579 A KR 1019880011579A KR 880011579 A KR880011579 A KR 880011579A KR 920001169 B1 KR920001169 B1 KR 92000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intake
independent intake
surge tank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373A (ko
Inventor
무네유끼 오오가미
다께노리 오오스까
데쓰오 히라오까
고오이찌 하다무라
다이고오 가하꾸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고다도꾸 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22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6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229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677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고다도꾸 쇼오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05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1Resonance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47Plenum chambers; Resonance chambers or resonance pipes
    • F02B27/0252Multiple plenum chambers or plenum chambers having inner separation walls, e.g. comprising valves for the same group of cyl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형 엔진의 흡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기장치를 갖춘 ″V″형 엔진의 일부 측단면도.
제2도는 서어지 탱크 및 상부흡기 매니포울트의 일부 평단면도.
제3도는 제4도는 종래의 ″V″형 엔진의 흡기장치의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A : 제1뱅크
2B : 제2뱅크 3 : 격벽
4A :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 4B :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
6B1,6A2,6B3,6A4,6B5,6A6: 상부 독립흡기관
6B1′,6A2′,6B3′,6A4′,6B5′,6A6′ : 하부 독립흡기관
7A,7B : 실린더 헤드 10 : 실린더 블록
11,11 : 플랜지 12 : 상부 매니포울드
12′ : 하부 매니포울드
13B1,13A2,13B3,13A4,13B5,13A6: 독립흡기통로
17A,17B ; 공통흡기통로 18A,18B : 스로틀밸브
20 : 창 21 : 개폐밸브
본 발명은, “V”형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기의 동적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흡기계통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흡기관성, 공명등의 흡기의 동적효과 즉, 압력파를 이용하여 충진효율을 높이고, 이것에 의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흡기계통을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흡기계통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흡기계통에 발생하는 부력파를 반전시켜서 연소실내에 인도하기 위한 압력파 반전부분을 흡기계통에 설치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효과적인 터어닝으로 압력파를 연소실내에 인도하기 위하여, 상기한 반전부분 하류쪽에 필요길이의 흡기통로를 확보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흡기장치가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이런종류의 흡기계통을 소형화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안이 되어있는데, 예로는, V형 엔진의 경우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구성의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즉, 제3도의 구성에서는, 엔진(1)의 제1뱅크(2A)와 제2뱅크(2B) 사이의 위쪽 공간에, 격벽(3)에 의하여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 및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로 구분된 서어지 탱크(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왼쪽의 서어지 탱크(4A)에는,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를 형성하는 독립흡기관(6A)이 접속되며, 이 독립흡기관(6A)은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오른쪽의 제1뱅크(2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오른쪽의 서어지 탱크(4B)에는, 제2뱅크쪽 독립흡기통로를 형성하는 독립흡기관(6A)이 접속되며, 이 독립흡기관(6B)는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왼쪽의 제2뱅크(2B)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제3도의 구성에서는, 서어지 탱크(4A),(4B)가 병열로 설치되어 있어서, 서어지 탱크(4A),(4B)의 단면적을 너무 크게할 수 없으며, 또한, 독립흡기관(6A),(6B)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흡기통로의 곡률이 크기 때문에, 흡기저항이 증대하며, 높은 회전 구역에서의 흡기량을 확보함에 있어서 장해가 된다.
이 서어지 탱크(4A),(4B)의 단면적을 크게하고, 또한 독립흡기통로의 곡률을 작게 하기 위하여는, 흡기계통을 위쪽으로 내물려서 형성시키지 않을 수 없으나, 엔진(1)의 위쪽에는 본닛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계통의 위쪽으로의 내물리는 것은 가능한 작게 억제하지 않으면 않된다는 제약이 있으며, 따라서 제3도의 구성에서는, 흡기성능상의 요청과, 설계상의 요청의 양쪽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개소 62-916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독립흡기통로의 곡률을 크게하지 않고, 서어지 탱크하류쪽의 원하는 흡기통로 길이를 확보하고, 게다가 흡기계통의 위쪽으로의 내물리는 것을 작게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 구성은 도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엔진(1)의 제1뱅크(2A)의 위쪽으로, 격벽(3)에 의하여 위쪽의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와 아래쪽의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로 구분된 서어지 탱크(5)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위쪽의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에는,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를 형성하는 “C”자 형상으로 만곡한 독립흡기관(6A)을 접속하며, 아래쪽의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에는, 제2뱅크측 독립흡기통로를 형성하는 “L”자 형상으로 만곡한 독립흡기관(6B)을 접속하고 있다.
제4도의 구성에 의하면, 독립흡기통로의 만곡이 완만하게 되어 흡기 저항이 감소되며 또한 흡기계통이 조밀화 되는 잇점이 있지만, 흡기계통의 위쪽으로의 내물리는 것이 특히 제한되는 경우에는, 서어지 탱크(4A),(4B)의 단면형상이 편평하게 되며, 역시 높은 회전 구역에서의 흡기 저항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각 뱅크의 서어지 탱크를 기통배열 방향으로 직열로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경우, 각 기통의 독립흡기통로를 기통 사이에서 여하히 동일한 길이로 하며 또한 서어지 탱크를 포함하는 흡기계통을 조밀하게 설치하는 가가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4도의 구성을 다시 개량하여, 흡기저항의 저감과 흡기계통의 조밀화를 도모한 “V”형 엔진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V”형 엔진의 제1뱅크 및 제2뱅크의 각각에 대한 서어지 탱크를 제1뱅크의 위쪽에 있어서 기통배열 방향에 직열로 설치하는 동시에,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 및 제2뱅크쪽 독립흡기통로 중의 각 서어지 탱크의 바깥쪽의 끝부분으로부터 도출되는 독립흡기통로를, 각 서어지 탱크의 모퉁이 부분으로부터 일단 바깥쪽으로 연장시키고, 이어서 제1, 제2뱅크 사이로 향하여 만곡시켜서 제1뱅크 및 제2뱅크에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서어지 탱크를 직열로 설치한 것에 의하여, 흡기계통의 위쪽의 내물림을 크게하지 않고 각 서어지 탱크의 단면적을 크게 또한 대략 정방형의 단면형상을 취할 수 있으므로, 흡기계통의 소형화와, 서어지 탱크에 있어서의 흡기저항의 감소 및 압력 반전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탱크의 바깥쪽의 끝부분으로부터 도출되는 독립흡기통로를, 서어지 탱크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일단 바깥쪽으로 연장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서어지 탱크의 전체길이를 크게 하지 않고, 이 독립흡기통로의 만곡을 완만하게 하며, 또한 그 길이를 안쪽의 독립흡기통로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흡기의 동적 효과를 높혀서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뱅크 사이에서의 흡기충진 효율의 차에 의한 토오크 변동을 방지하고, 또한 독립흡기통로의 만곡을 완만하게 할 수 있으므로, 독립흡기통로의 흡기저항을 감소하여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V”형 6기통 엔진의 흡기장치의 부분측단면도이며, 제2도는 서어지 탱크 및 이 서어지 탱크와 일체화된 상부 흡기 매니포울드의 평단면도로서 1은 제1뱅크(2A)와 제2뱅크(2B)가 “V”자 형상으로 설치된 “V”형 엔진으로, 이 엔진(1)은 제1~제6의 6개의 기통을 가지며, 제2, 제4, 제6기통은 도면의 오른쪽의 제1뱅크(2A)에, 제1, 제3, 제5기통은 왼쪽의 제2뱅크(2B)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뱅크(2A),(2B)의 기통군은, 점화 순서가 연속하지 않는, 즉 흡기밸브가 열리는 시기가 오우버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뱅크(2A)는 제2뱅크(2B)에 대하여 제2도의 위쪽 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다.
엔진(1)은 그 실린더 블록(10)의 위부분에 제1뱅크(2A) 및 제2뱅크(2B)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뱅크쪽 실린더 헤드(7A) 및 제2뱅크쪽 실린더 헤드(7B)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엔진(1)은 DOHC 형으로 구성되며, 각 실린더 헤드(7A),(7B)에는 각각 2개씩의 캠축(8)이 부착되어 있다. 9A,9B는 실린더 헤드 커버이다. 서어지 탱크(5)는, 제1뱅크쪽 실린더 헤드(7A)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통배열 방향, 즉 엔진(1)의 출력축 방향으로 긴 상자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서어지 탱크(5)의 내부는 출력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격벽(3)에 의해 2분할되어 있으며, 대략 정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와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가 출력축 방향에 직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도에서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같이,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는, 제1뱅크(2A)의 오프셋 방향에 대응하고,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에 대하여 제2도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에는, 상부 독립흡기관(6A2),(6A4),(6A6)의 한쪽끝이 격벽(3)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정렬하여 접속되며, 또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에는, 상부 독립흡기관(6B1),(6B3),(6B5)의 한쪽끝이 바깥쪽으로부터 격벽(3)쪽을 향하여 순서대로 정열하여 접속되며, 이들 6개의 상부 독립흡기관(6B1),(6A2),(6B3),(6A4),(6B5),(6A6)의 다른쪽 끝은 순서대로 공통의 플랜지(11)에 접속되어서, 상부 흡기 매니포울드(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독립흡기관의 부호의 뒤에 붙인 소문자는 이것에 접속되는 기통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플랜지(11)의 아래면에는 하부 매니포울드(12′)의 플랜지(11′)의 윗면에 밀착되며, 이 플랜지(11′)에 위끝이 접속된 하부 매니포울드(12′)의 하부 독립흡기관(6B1′~6A6′)중, 하부 독립흡기관(6A2′),(6A4′),(6A6′)은 제1뱅크쪽 실린더 헤드(7A)에 접속되며, 또 하부 독립흡기관(6B1′),(6B3′),(6B5′)은 제2뱅크쪽 실린더 헤드(7B)에 접속되며, 각각 독립흡기통로(13B1),(13A2),(13B3),(13A4),(13B5),(13A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매니포울드(12′)의 상부 독립흡기관에 대하여는, 제1도에서 6A2′와 6B3′만이 표시되어 있다. 14는 연료분사 밸브이다.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와 제1뱅크쪽 실린더 헤드(7A)를 열결하고 있는 상·하부 독립흡기관(6A2→6A2′),(6A4→6A4′),(6A6→6A6′)은 “C”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C”자 형상으로 만곡된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를 구성하는 상부 독립흡기관(6A2),(6A4),(6A6)중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의 격벽(3)쪽과는 반대쪽의 끝부분, 즉 바깥쪽 끝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독립흡기관(6A6)은,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의 모서리 부분의 경사진 기벽(15A)으로부터 이 기벽(15A)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각도를 두고 일단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제1, 제2뱅크(2A),(2B) 사이를 향하여 만곡되어 플랜지(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독립흡기통로(13A6)를 (13A4)와 동일하게 서어지 탱크(4A)의 제2뱅크쪽의 벽면으로부터 도출하고자 하려면 그 정도만큼 서어지 탱크(5)를 길게하지 않으면 않되는 바,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서어지 탱크(5)를 길게하지 않고 독립흡기통로(13A6)의 통로길이를 다른 독립흡기통로의 통로길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독립흡기통로(13A6)의 만곡을 완만하게 하고 있다.
다시,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의 격벽(3)에 인접하는 기벽(16A)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기벽(16A)으로부터 독립흡기관(6A2)이 기벽(16A)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각도를 두고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쪽에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와 제2뱅크용 실린더 헤드(7B)를 연결하고 있는 상·하부 독립흡기관(6B1→6B1′),(6B3→6B3′),(6B5→6B5′)중,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의 격벽(3)쪽과는 반대쪽의 끝부분, 즉 바깥쪽의 끝부분 접속되어 있는 독립흡기관(6B1)도, 상기한 독립흡기관(6B6)과 동일하게,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A)의 모서리 부분의 경사진 벽부분(15B)으로부터 이 기벽(15B)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각도로써 일단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계속하여 제1, 제2의 뱅크(2A),(2B) 사이를 향하여 만곡되어서 플랜지(11)에 접속하고 있다.
또, 중앙의 독립흡기관(6B3)은, 제1뱅크(2A)쪽의 독립흡기관(6A2)의 “C”자 형상 만곡부의 안쪽에 숨겨진 상태로 빠져 나가서 플랜지(11)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에의 격벽(3)에 인접하는 기벽(16B)도 경사져 형성되며, 이 기벽(16B)으로부터 독립흡기관(6B5)이 기벽(16B)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각도로서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쪽에 연장되며, 제1뱅크(2A)쪽의 독립흡기관(6A2),(6A4)의 “C”자 형상 만곡부분의 안쪽에 숨겨진 상태로 빠져나가서 플랜지(11)에 도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서어지 탱크(5)는, 6개의 독립흡기관(6B1~6A6) 및 상부 플랜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 및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는, 격벽(3)의 위치에서 각각 공통의 흡기통로(17A),(17B)에 연이어 통하며, 각 공통의 흡기통로(17A),(17B)에는, 각각 스로틀밸브(18A),(18B)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또한 상류쪽에서 합류하여 1개의 주흡기통로를 구성하여서 공기 정화기(도시를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와 제2뱅크쪽 서어지 탱크(4B)를 구분하는 격벽(3)에 창(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창(20)에 개폐밸브(2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밸브(21)를 엔진의 운전구역에 따라서 개폐하여서 낮은 회전구역에서는 닫히고 높은 회전구역에서는 열리게 되는 양 서어지 탱크(4A),(4B) 사이를 연이어 통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흡기밸브가 열린 시기에, 오우버랩하는 여러개의 각 기통에 접속되는 흡기통로의 합류점을 변화시켜, 이것에 의하여 엔진의 넓은 회전구역에 있어서 양호한 관성과급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격벽(3)에 인접하는 기벽(16A),(16B)이 상기한 바와같이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하여, 개폐밸브(21)가 열린때의 흡기저항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V”형 엔진의 흡기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인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뱅크용 서어지 탱크(4A)와 제2뱅크용 서어지 탱크(4B)를 기통배열 방향, 즉 엔진(1)의 출력축 방향에 직열로 설치한 것에 의하여, 흡기계통의 위쪽으로 내물리는 것을 크게 하지 않고 각 서어지 탱크(4A),(4B)의 단면적을 크게 또한 대략 정방향의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으므로, 흡기계통의 소형화와 서어지 탱크(4A),(4B)에 있어서의 흡기저항의 감소 및 압력반전효과의 향상과 엔진의 높이를 가능한 낮게할 수 있으며 독립흡기통로(13A2)의 만곡을 적게함과 동시에 독립흡기통로(13B3)를 (13A2)의 바깥쪽으로 우회시켜 설치할 경우는 독립흡기통로(13B3)가 (13A2)의 만곡부분의 안쪽으로 숨겨진 상태로 빠져 나가 설치되며, 또한, 독립흡기통로(13B5)를 (13A2) 및 (13A4)의 만곡부의 안쪽을 숨어 빠져 나가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서어지 탱크(5)를 길게 하지 않고 각 독립흡기통로(13B1~13A6)의 만곡을 완만하게 하면서 모든 독립흡기통로(13B1~13A6)의 통로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뱅크 사이에서의 흡기 충진 효율차에 의한 토오크 변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독립흡기통로(13B1~13A6)에 있어서의 흡기 저항을 적게할 수 있으며, 또한 흡기의 동적 효과를 높여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V”형 엔진의 제1뱅크 및 제2뱅크에 대하여 각각 서어지 탱크가 설치된 한쪽의 서어지 탱크로부터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가 도출되어 상기한 제1뱅크의 각 기통에 접속되며, 다른쪽의 서어지 탱크로부터 제2뱅크쪽 독립흡기통로가 도출되어 상기한 제2뱅크의 각 기통에 접속되어 있는 “V”형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2개의 서어지 탱크(4A,4B)를 엔진의 기통배열 방향으로 직열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한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4,13A6) 및 제2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B1,13B3,13A5)를 서어지 탱크옆벽으로부터 각 뱅크(4A,4B)의 실린더 헤드(7A,7B)에 향하여 아래쪽으로 또한 상호 반대방향으로 만곡연장 설치하여, 각각 각 기통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의 흡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 및 제2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B1,13B3,13B5) 중 각 서어지 탱크(4A),(4B)의 바깥쪽의 끝부분쪽에서 도출되는 독립흡기통로(13A6,13B1)을, 각 서어지 탱크의 끝부분쪽에서 일단 바깥쪽으로 연장시켜, 이어서 상기한 제1, 제2뱅크(4A,4B) 사이에 향하여 만곡시켜서 상기한 제1뱅크(4A) 및 제2뱅크(4B)에 접속, 또한 나머지의 독립흡기통로(13A2,13A4,13B3,13B5)는 각각 서어지 탱크(4A),(4B)의 옆면에서 뱅크 사이에 만곡연장되어 각각 각 기통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엔진의 흡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서어지 탱크(4A),(4B)를 한쪽의 뱅크(2A)의 위쪽에 설치하는 동시에, 한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를 서어지 탱크(4A)로부터 뱅크 안쪽에서 또한 아래쪽에 향하여 기통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아, “C”자 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한쪽의 뱅크(2A)쪽의 실린더 헤드(7A)에 접속하며, 또한 다른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B1,13B3,13B5)를 상기한 한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의 “C”자 형상 만곡부의 안쪽을 숨어 빠져나가서 다른쪽의 뱅크(2B)의 실린더(7B)에 접속하여서 된 “V”형 엔진의 흡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서어지 탱크(4A,4B)를 한쪽의 뱅크(2A)의 상측에 설치하며, 각 뱅크의 독립흡기통로 중, 각 서어지 탱크(4A,4B)의 바깥쪽의 끝부분쪽에서 도출되는 독립흡기통로(13A6,13B1)를 각 서어지 탱크의 뱅크 안쪽 모서리 각 부분의 경사진 벽부분(15B,16B)에서 직각을 이루는 각도로 바깥쪽에 연장하는 동시에, 각 서어지 탱크(4A,4B)의 안쪽 끝부분쪽으로부터 다른 서어지 탱크 방향으로 도출되는 독립흡기통로(13B5-13A2)와 서어지 탱크(4A,4B)와의 접속부분을 도출방향으로 접속면이 향하도록 기벽(16A,16B)를 경사형성하여서 된 “V”자형 엔진의 흡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서어지 탱크(4A,4B)를 한쪽의 뱅크(2A)의 위쪽에 설치하는 동시에, 한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를 서어지 탱크(4A)로부터 뱅크 안쪽에서 또한 아래쪽에 향하여 기통배열 방향에서 보아, “C”자 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한쪽의 뱅크(2A)쪽의 실린더 헤드(7A)에 접속하며, 또한 다른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B1,13B3,13B5)를 상기한 한쪽의 뱅크쪽 독립흡기통로(13A2,13A4,13A6)의 “C”자 형상만곡부분의 안쪽을 숨어 빠져나가서 다른쪽의 뱅크(2B)의 실린더(7B)에 접속하여서 된 “V”형 엔진의 흡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엔진(1)이 각 뱅크(2A),(2B)로 서로 착화가 행하여지는 “V”형 6기통 엔진으로 각 서어지 탱크(4A),(4B)가 공통의 격벽(3)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그 격벽(3)에는 연이어 통하는 구멍(창)(20)이 형성되며, 그 연이어 통하는 구멍(20)에는,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1)가 설치하여서 된 “V”형 엔진의 흡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 독립흡기통로는 상부 독립흡기관(6B1,6A2,6B3,6A4,6B5,6A6)과 하부 독립흡기관(6B1′,6A2′,6B3′,6A4′,6B5′,6A6′)는 서어지 탱크(4A,4B)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독립흡기관(6B1′,6A2′,6B3′,6A4′,6B5′,6A6′)은 상부 흡기관과 접속되는 하부플랜지(11′)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그 하류끝은 각 실린더 헤드(7A,7B)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여서 된 “V”형 엔진의 흡기장치.
KR1019880011579A 1987-09-08 1988-09-07 "v"형 엔진의 흡기장치 KR920001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22976 1987-09-08
JP???62-222977 1987-09-08
JP62222976A JPH0676774B2 (ja) 1987-09-08 1987-09-08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62-222977 1987-09-08
JP62222977A JPH0676775B2 (ja) 1987-09-08 1987-09-08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62-222976 198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73A KR890005373A (ko) 1989-05-13
KR920001169B1 true KR920001169B1 (ko) 1992-02-06

Family

ID=2652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79A KR920001169B1 (ko) 1987-09-08 1988-09-07 "v"형 엔진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19087A (ko)
KR (1) KR920001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6125A (ja) * 1990-03-31 1991-12-1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5092284A (en) * 1990-09-10 1992-03-0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ntrol valve arrangement for engine
GB9102121D0 (en) * 1991-01-31 1991-03-13 Jaguar Cars Air indu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263440A (en) * 1993-04-05 1993-11-23 Ford Motor Company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14126A (ja) * 1994-06-29 1996-01-16 Honda Motor Co Ltd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DE19539078A1 (de) * 1995-10-20 1997-04-24 Mann & Hummel Filter Saugrohr
US6095105A (en) * 1999-03-01 2000-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lenum/runner module having integrated engine valve cover
US6161513A (en) * 1999-03-01 2000-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lenum module having a runner pack insert
US6092498A (en) * 1999-03-01 2000-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integrated intake manifold
US6089199A (en) * 1999-03-01 2000-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ir cleaner module having integrated engine valve cover
US7004137B2 (en) * 2003-12-10 2006-02-28 Nissan Motors Co., Ltd V-type multiple-cylinder air intake device
JP4301074B2 (ja) * 2004-05-12 2009-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7137381B1 (en) 2005-04-13 2006-11-21 Ricardo, Inc. Indirect variable valve actua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135141A (ko) * 2017-06-09 2018-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흡기조절장치
JP6881185B2 (ja) * 2017-09-25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1863A (en) * 1954-05-26 1956-11-27 Porsche Kg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ake manifold therefor
US4513699A (en) * 1983-02-22 1985-04-30 Autoipari Kutato Es Fejleszto Vallalat Intake gas resonanc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649871A (en) * 1984-03-22 1987-03-17 Mazda Motor Corporation Intake system for V-type engine
JPS61149519A (ja) * 1984-12-21 1986-07-08 Nissan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路装置
JPH0350283Y2 (ko) * 1985-04-09 1991-10-28
JPH075249Y2 (ja) * 1985-04-11 1995-0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路装置
KR900000143B1 (ko) * 1985-10-04 1990-01-20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V형 엔진의 흡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73A (ko) 1989-05-13
US4919087A (en) 199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169B1 (ko) "v"형 엔진의 흡기장치
KR900000143B1 (ko) V형 엔진의 흡기장치
JP2639721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
JP2778727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676774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428888B2 (ko)
US6357411B1 (en)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541964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676775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523127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842059B2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US4938177A (en) Intake system of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43461Y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210257Y2 (ko)
JPH0730696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520420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609297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構造
US4471615A (en) Turbo and inertia supercharger
JPH0749769B2 (ja) V型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H0541827B2 (ko)
JPH078814Y2 (ja) エンジンの吸排気管構造
JPH11200968A (ja) スラント型多気筒内燃機関における吸気装置
JPH0768906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3329405B2 (ja) 2バルブエンジンの吸気制御構造
JPS6029638Y2 (ja) 縦型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