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17B1 -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17B1
KR920000917B1 KR1019840007670A KR840007670A KR920000917B1 KR 920000917 B1 KR920000917 B1 KR 920000917B1 KR 1019840007670 A KR1019840007670 A KR 1019840007670A KR 840007670 A KR840007670 A KR 840007670A KR 920000917 B1 KR920000917 B1 KR 92000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ube
display window
display tub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349A (ko
Inventor
바크 기예스베르투스
요한네스 로리예 게르하르두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5000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제1도는 표시 스크린 둘레와 필렛을 가진 종래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
제2도는 필렛이 없이 표시관이 돌출 장치된 종래의 텔레비젼 셋트.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텔레비젼 셋트의 표시관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관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표시관의 표시창 연부분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창 2 : 캐비넷
3 : 원통형 외부 테두리 4 : 필렛
5 : 경계면 6 : 표시 스크린
본 발명은 목부분, 원추형 부분, 및 곡면을 지나 엔벨로프의 축에 평행한 가장자리 부분으로 변하는 정방형 표시창으로 구성된 엔벨로프를 구비하는 표시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표시창은 내부에 장방형 표시 스크린과 상기 목부분 안에서 최소한 하나의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표시관을 구비하는 영상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스크린이 3가지 색을 발생하는 형광 물질의 형광점 또 형광즐의 3가지 패턴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표시관은 칼러 표시관일 수도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문자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관 즉 D.G.D관(Data Graphic Display)과 같은 단색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관에서도 가능하다.
최근 표시관에 대한 개발은 예를들어 일렉트로닉 엔지니어링 저널(1982년 8월호 24페이지)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평면 표시창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 문헌에는 표시 스크린이 약간 원통형(barrel-shaped)의 외부 테두리가 있는 장방형표시 스크린을 가진 표시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약간 원통형 외부 테두리는 표시관의 안전성과 같은 엄격한 조건과 연관하여 필요할 수도 있다. 외부 윤곽선이 필렛에 의해 시청자로부터 부분적으로 가려지도록 캐비넷내에 표시관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큰 단점이 없다. 왜냐하면 필렛의 내부연부가 표시 스크린의 연부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시창이 캐비넷 너무 약간 돌출되게 장치된 (돌출동작) 표시관에 있어서는 필렛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거의 평면이 아닌 표시창 내부벽상의 장방형 표시 스크린은 상하 좌우에서 암흑부분을 만들며, 상기 암흑 부분은 폭이 일정하지 않아서 시청자의 양호한 시청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돌출 장착에 적합하고 상기 언급된 암흑부분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성이 충분한 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표시관은 곡면 부분 근처와 표시창의 외부 윤곽선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과 표시창이 다음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CD0.8R0.2
여기서 C는 0.015 내지 0.025 사이의 상수, D는 표시창 내부표면의 대각선, R은 표시창 내부표면의 곡율반경이다. C가 0.015보다 작으면, 표시관이 너무 약해지고 파괴 안전성의 문제가 생긴다. R가 0.025보다 크면 표시관의 벽이 너무 두꺼워지며, 표시관이 너무 무거워서 다루기가 곤란하다.
상기 관계를 만족하는 장방형 외부 테두리를 가진 표시관은 평면 표시관과 원통형 외부 테두리를 가진 공지된 표시관과 비교하여 볼 때 역학적 부하 및 안정성 등의 파괴안전도가 줄어들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험과 비교 계산해서 입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어디서나 폭이 일정하며, 표시 스크린의 장방형을 강조하는 장방형 표시 스크린 둘레에 상당히 좁은 암흑부가 생긴다. 뿐만 아니라 어디서나 폭이 일정하며 작동중에는 시청자에게 양호한 시청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연부는 예를들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된 여러개의 직선과 같은 왜곡을 일으키지 않는다. 작동중에 있지 않은 표시관에서는 표시 스크린의 둘레에서는 동일한 폭을 가진 좁은 암흑부는 시각적으로도 아름답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이다. 표시창(1)을 가진 표시관이 캐비넷(2)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지지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표시관은 약간 원통형 외부 테두리를 가진 거의 장방형이 아닌 표시창(1)의 벽상에 표시 스크린(6)을 구비한다. 그 결과, 폭이 일정하지 않은 암흑부가 표시 스크린(6)의 둘레에 형성되어 필렛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필렛의 내부연부(4)는 시청자에게 표시창(1)의 내부벽상에 있는 표시 스크린(6)의 형광물질을 볼 수 있는 경계를 형성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사용된 형태의 표시관이 있는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이다. 이 경우 표시창(1)은 캐비넷을 지나 약간 돌출되어 있다. 소위 말하는 표시관이 돌출 장착을 말한다. 상기 제1도를 참고로 기술된 필렛을 사용하여 표시관을 장치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거의 장방형이 아닌 표시창(1) 내부벽에 있는 점선(5)에 의해 둘러싸인 장방형 표시 스크린(6)은 표시된 영상의 상하 좌우에서 폭이 일정하지 않은 암흑부 또는 밝은 부분(7,7′)을 만들어 시청자의 양호한 시청을 방해한다. 매트릭스 물질이 사용되지 않은 표시관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밝은 부분(7′)이 생긴다. 왜냐하면 형광 물질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는 알루미늄은 시청자에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은 제2도의 셋트에 사용된 표시관의 정면도인 제3도에서 보다 명확히 나타난다. 장방형 표시창의 외부 대각선이 51㎝인 표시관에서, 표시 스크린(6)의 경계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표시창의 외부 테두리(3)까지의 거리는 18.3㎜이며(화살표 a로 표시되어 있음), 긴변과 짧은 변의 중심에서는 26.6㎜와 23.8㎜이다(화살표 b와 c로 표시되어 있음).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의 정면도로, 표시창(9)의 외곡선(8)은 실제로 표시 스크린(11)의 형광 물질 경계면(10)에 평행하다. 이 결과 폭이 일정한 암흑부(12)가 장방형 표시 스크린(11)의 둘레에 생긴다. 표시창과 곡면 근처 가장자리 부분과 표시창의 전체 외곡선 부분 두께 d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d=CD0.8R0.3(1)
여기서 C는 0.015와 0.025 사이의 상수, D는 표시창의 대부표면대각선, R은 표시창의 내부표면 곡율반경이며 상기 관계가 만족되면 파괴에 대한 안전성도 얻을 수 있다.
제3도에 대응하는 a, b 및 c의 값은 19.4, 20.9 및 20.0㎜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에 있어서, 암흑부의 폭변화는 1.5㎜보다 작으며, 거의 식별할 수 없다. 공지된 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변화는 8㎜이며, 이것은 불필요한 효과를 유발한다. 외부 곡선(8)의 측면은 약 6.5m의 곡율반경을 갖는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표시관의 표시창(9) 가장자리 부분(13)과 연부의 단면도이다. 표시창(9)의 두께와 곡면부분(13)의 각 측면 가장자리(8)는 d와 같으며 상기 두께가 14.8㎜인 표시관에서는 D=590㎜, R=1460㎜이며 상수 c는 0.021이다. 예컨대, D=510㎜, R=1350㎜ 및 상수 c=0.021인 표시관에 대해, 그 두께는 13.5㎜이다.
상기에 대한 참고는 네덜란드왕국 특허출원 제8304178호, 제8304179호 및 제8304181호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2)

  1. 목부분, 원추형 부분, 및 곡면(13)을 지나 엔벨로프의 축에 평행한 가장자리 부분(8)으로 변하는 장방형 표시창(1)으로 구성된 엔벨로프를 구비하는 표시관으로써, 상기 표시창이 내부에 장방형 표시 스크린(11)과, 상기 목부분에서 최소한 하나의 전자빔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표시관에 있어서, 곡면부분 근처 및 표시창의 외부 윤곽선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 및 표시창이 다음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두께 d=CD0.8R0.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C는 0.015 내지 0.025 사이의 상수, D는 표시창 내부표면의 대각선, R은 표시창 내부표면의 곡율반경인 칼러 표시판.
  2.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같은 표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KR1019840007670A 1983-12-06 1984-12-05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KR920000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304180A NL8304180A (nl) 1983-12-06 1983-12-06 Beeldbuis en beeldweergeef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beeldbuis.
NL8304180 198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349A KR850004349A (ko) 1985-07-11
KR920000917B1 true KR920000917B1 (ko) 1992-01-31

Family

ID=1984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670A KR920000917B1 (ko) 1983-12-06 1984-12-05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80077A (ko)
JP (1) JPS60124337A (ko)
KR (1) KR920000917B1 (ko)
CA (1) CA1218406A (ko)
DE (1) DE3443498A1 (ko)
ES (1) ES8604005A1 (ko)
FR (1) FR2556130B1 (ko)
GB (1) GB2151075B (ko)
IT (1) IT1178680B (ko)
NL (1) NL83041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900B2 (ja) * 1992-01-31 2001-06-04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US5568011A (en) * 1995-02-15 1996-10-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faceplate panel
JP3520695B2 (ja) * 1996-10-30 2004-04-1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US6680565B2 (en) 1997-04-12 2004-01-20 Samsung Sdi Co., Ltd. Cathode-ray tube
US6774553B2 (en) 1997-04-12 2004-08-10 Samsung Sdi Co., Ltd. Cathode-ray tube
TW529054B (en) 1997-04-12 2003-04-21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Cathode-ray tube
DE19941571C1 (de) * 1999-09-01 2001-02-15 Schott Glas Bildschirm und Vorrichtungen zu seiner Herstellung
AU2003202746A1 (en) * 2002-03-14 2003-09-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ar projection system
US7154215B2 (en) * 2003-09-05 2006-12-26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capable of reducing stre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052A (en) * 1960-03-10 1963-05-07 Philco Corp Cathode ray tube faceplate construction
DE1614578A1 (de) * 1966-09-01 1970-11-05 Loing Verreries Verfahren zum Einsetzen und Befestigen eines planen Bildschirmes in dem Koerper einer Kathodenstrahlroehre
FR2088918A5 (ko) * 1970-04-29 1972-01-07 France Couleur
GB1358161A (en) * 1970-06-11 1974-06-26 Pilkington Brothers Ltd Cathode ray tubes
FR2204038B2 (ko) * 1972-10-25 1978-03-03 France Couleur Ste
JPS5550337B2 (ko) * 1973-05-21 1980-12-17
NL7406378A (nl) * 1974-05-13 1975-11-17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cha- duwmasker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kleurde beelden en buis vervaardigd volgens deze werk- wijze.
JPS59165350A (ja) * 1983-03-09 1984-09-18 Toshiba Corp 陰極線管
US4786840A (en) * 1983-02-25 1988-11-22 Rca Licensing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 faceplate panel with a substantially planar periphery
IT1174058B (it) * 1983-02-25 1987-07-01 Rca Corp Tubo a raggi catodici con curvature differenti lungo gli assi maggiore e minore
US4839556A (en) * 1983-02-25 1989-06-13 Rca Licensing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conto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6130A1 (fr) 1985-06-07
IT8423859A0 (it) 1984-12-03
JPS60124337A (ja) 1985-07-03
CA1218406A (en) 1987-02-24
JPH0531252B2 (ko) 1993-05-12
US4580077A (en) 1986-04-01
FR2556130B1 (fr) 1988-07-08
GB8430480D0 (en) 1985-01-09
GB2151075A (en) 1985-07-10
IT8423859A1 (it) 1986-06-03
IT1178680B (it) 1987-09-16
ES538208A0 (es) 1986-01-01
ES8604005A1 (es) 1986-01-01
KR850004349A (ko) 1985-07-11
GB2151075B (en) 1987-04-15
DE3443498A1 (de) 1985-06-20
NL8304180A (nl) 198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917B1 (ko) 칼러 표시관 및 영상 표시 장치
US4812709A (en) Privacy screen for a color cathode ray display tube
KR910002761B1 (ko) 음극선관
EP0146926B1 (en) Shadow mask type color picture tube
KR910009990B1 (ko) 칼라 표시관
KR920001873B1 (ko) 칼라 표시관
DE69114313D1 (de) Elektronenstrahlröhre mit gekrümmtem Bildfenster und Farbbildwiedergabeanordnung.
CA2168062A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Faceplate Panel
JP2928035B2 (ja) 陰極線管
KR950009855A (ko) 프로젝터용 음극선관
KR940007038B1 (ko)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JPH04215237A (ja) 陰極線管および表示装置
KR100258051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47113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포함한 음극선관
KR0129772Y1 (ko) 음극선관
JP20003416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77624B1 (ko) 음극선관
KR940004075Y1 (ko) 칼라음극선관
WO1996019899A3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thode ray tube
KR910007946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0177125B1 (ko) 칼라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EP0516218B1 (en)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display window
KR19990000255A (ko) 멀티미디어용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N1014477B (zh) 彩色显示管
JPS64687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