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38B1 -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38B1
KR940007038B1 KR1019840007669A KR840007669A KR940007038B1 KR 940007038 B1 KR940007038 B1 KR 940007038B1 KR 1019840007669 A KR1019840007669 A KR 1019840007669A KR 840007669 A KR840007669 A KR 840007669A KR 940007038 B1 KR940007038 B1 KR 94000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window
edge
tub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348A (ko
Inventor
베르투스 바크 기예스
요한네스 로리예 게르하르두스
Original Assignee
엔. 브리.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앰.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리.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 앰.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리.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5000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제 1 도는 표시 스크린 둘레에 필렛(fillet)을 가진 종래의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
제 2 도는 필렛이 없이 표시관을 돌출시켜 장치한 종래의 텔레비젼 셋트.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텔레비젼 셋트의 표시관 정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의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표시관의 표시창 테두리 및 연부분의 단면도.
제 6 도는 새도우 마스크가 측면 중심에 고정된 핀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 표시창의 후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창의 후면도로 새도우 마스크가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지지되어 있는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표시창의 모서리에 있는 지지구조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창 2 : 캐비넷
3 : 벽면 테두리 5 : 경계면
6 : 표시 스크린 7 : 암흑부
13 : 새도우 마스크 14 : 금속핀
16 : 탄성 바이메탈 스트립 18 : 개구
21 : 러그 24 : 지지스트립
38 : 노치 39 : 다이어프램
52 : 원추형 켐 54 : 스프링
65 : 곡면
본 발명은 칼러 표시관 및 이와 같은 표시관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표시관은 목부분, 원추형 부분 및 편평하거나 혹은 약간 볼록한 표시창으로 구성된 엔벨로프와(상기 표시창은 큰 커브 부분을 통해 상기 엔벨로프의 축에 사실상 평행인 테두리(skirt)로 바뀐다), 곡률 반경이 r인 제 1 의 큰 커브부분을 통해 상기 테두리의 내부 표면으로 바뀌는 표시창의 내부 표면과 그리고 제 2 의 큰 커브 부분을 통해 두께가 d인 테두리의 외부 표면으로 바뀌는 표시창의 외부 표면을 구비한다. 표시창은 최소한 하나의 칼러를 발광하는 발광물질과, 테두리에 고정된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 스크린의 정면에 배치된 칼러 선택 수단과 그리고 상기 목부분에 놓여 최소한 하나의 전자빔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장방형의 표시 스크린을 자체의 내부에 표함하고 있다.
최근의 표시관에 대한 개발은 일렉트로닉 엔지니어링 저널(1982년 8읠호 24페이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평면 표시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상기 책자에서도 장방형 표시 스크린을 가진 칼러 표시관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표시창의 외부 윤곽은 약간 원통형이다.
칼러 표시관에서, 칼러 선택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표시창의 길고 그리고 짧은 측부에 고정시키는것이 통상적이다. 지지수단은 일반적으로 테두리에 접합됨과 아울러 칼러 선택 수단에 연결된 탄성 금속 스트립의 관련 개구내로 각각 연장되는 금속핀으로 구성된다. 금속 스트립은 엔벨로프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칼러 선택 수단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구조는 표시창의 테두리와 칼러 선택 수단의 테두리 사이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함이 분명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표시창의 테두리의 내부 윤곽은 칼러 선택 수단의 테두리의 윤곽보다 약간 더 원통형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표시관이 캐비넷내에 배치되고, 표시관의 외부 원주가 필렛에 의해 자로부터 차단된 경우, 필렛의 내연부가 표시 스크린의 연부에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표시관의 표시창을 캐비넷을 지나 약간 돌출시켜(이른바 끼워맞춤장치(push-through mounting)함), 이 결과 필렛이 사용될 수 없는 경우 장방형 표시창의 내부벽상의 장방형 표시 스크린은 영상 표시관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좌우에서 암흑 영역을 형성시키는바, 이 암흑 영역은 상기 표시관의 폭을 변화시켜 시청자의 양호한 시청을 방해한다. 이와 같은 원치않는 효과는 표시창의 외부 윤곽 및 표시창 테두리의 외부 윤곽이 표시창 테두리의 내부 윤곽보다 더 원통형이 되도록 구성됨으로 해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끼워서 장치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그리고 시청자들의 시청을 방해하는 암흑 영역을 나타내지 않는 표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부분과, 원추형 부분 및 편평하거나 혹은 다소 커브져 있는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엔벨로프를 구비하는 칼러 표시관이 제공되는바, 상기 표시창은 크게 커브진 곡면 부분을 통해 상기 표시관의축에 사실상 평행인 테두리로 변함과 아울러 최소한 하나의 칼러를 발광하는 밭광물질을 표함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관은 또한 테두리의 모서리에서 고정된 지지수단으로 상기 표시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된 칼러 선택 수단과 그리고 상기 목부분에 제공되어 최소한 하나의 전자빔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표시창의 내부 표면은 곡율 반경이 r인 제 1 의 큰 곡면을 통해 상기 테두리의 내부 표면으로 바뀌고, 상기 표시창의 외부 표면은 제 2 의 큰 곡면을 통해 상기 테두리의 외부 표면으로 바뀌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변이와 유사하게 두께 d를 갖고, 표시 스크린의 발광물질의 경계와 표시창 테두리의 외부면 사이의 표시관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거리 D는 표시창의 원주 주위에서 사실상 같으며, r≤10mm일때 다음 조건[(D-d)/r]≤1이 만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에 있어서, 어디서나 동일한 폭을 가진 상당히 좁은 암흑부가 표시 스크린의 장방성을 강조하는 장방형 표시 스크린의 둘레에 생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좁은 암흑부가 어디서나 거의 같은 폭을 갖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양호한 영상을 제공하게 한다. 특히, 상기 암흑부는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여러개의 직선 칼럼의 수에 대한 왜곡을 일으키지 않는다. 작동중이 아닌 표시관에서, 어디서나 같은 폭을 가진 표시 스크린 상의 좁은 암흑부는 미적인 설계에 도움을 준다. 장방형 외부 테두리를 가진 표시관은 실제적으로 편평한 표시창과 원통형 테두리를 가진 표시관과 비교하여 볼때 안정성과 역학적인면에서 내파 안전성의 손실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험과 비교 계산에서 나타났다
본 발명은 표시창의 테두리와 칼러 선택 수단의 테두리 사이의 표시 스크린 4 모서리에서 존재하는 넓은 공간을 양호하게 이용한다. 표시창의 장방형 내부 테두리와 칼러 선택 수단의 테두리 장방형 테두리로 인해 공간의 이득이 상기 장방형의 측면 중심에 대해 최소한 인자 2가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공간 이득은 효과적으로 사용되는바, 따라서 공지된 표시관과 대조하여 불때 표시 스크린의 발광물질 경계면은 표시창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표시창에서 표시 스크린의 가장 적당한 크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것은 표시 스크린의 발광물질 요소 사이의 검은 매트릭스 물질을 가진 표시관에서 상당히 중요하며, 상기 매트릭스 물질은 표시 스크린의 발광물질 경계를 지나서 연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또한 상기 매트릭스 물질이 없이, 발광물질의 경계면을 넘어 연장되기 위해 발광물질상에 알루미늄 막(금속 백킹)이 제공된 표시관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실제로 전자의 경우,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지 않을시 넓은 불균일 암흑부가 형성되며, 후자의 경우,(표시창의 테두리에 의해 발생된 암흑부분에 둘러싸인) 불균일한 밝은 부분(알루미늄)이 형성된다.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칼러 선택 수단의 지지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편평한 표시창과 표시창의 곡율반경이 근 표시관에서도 필요하다. 실제로 편평한 표시창의 경우, 예를들면 표시 스크린 앞에 짧은 거리에서 새도우 마스크 형태로 배치된 칼러 선택 수단은 편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표시관의 작동중 새도우 마스크의 표면상에서 발생되는 온도차는 편평한 새도우 마스크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국소 또는 전체를 팽창시켜서 표시된 영상에서 저질의 칼러 결점을 일으킬 것이다. 측면의 중심에서 새도우 마스크를 지지하는 기계적인 견고성에 있어서 새도우 마스크의 테두리는 마스크 자체보다 더 두꺼운 판형 재질의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또한 새도우 마스크의 테두리에서 전자의 반사를 방지하는다이어프램을 형성한다. 이러한 것은 전체내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테두리와 새도우 마스크 사이에서 보다 빨리 온도차를 만든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새도우 마스크 자체의 두께에 맞게 채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모서리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기계적 견고성은 상기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상기 후자의 이유로 인해,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칼러 선택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었다.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칼러 선택 수단을 지지하는 다른 장점은 지지구조 자체가 간단한 수단으로 구성될수 있다는 것이다. 표시 스크린의 방향에서 새도우 마스크의 변위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의 열 팽창을 보상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종래에는 바이메탈 소자를 이용하여 표시창의 테두리에 접합된 핀에 새도우 마스크를 고정한다. 모서리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 소자는 간단한 금속 스트립으로 대치될 수 있으며, 모서리에서 상기 소자의 가로방향은 상기 모서리 쪽으로 편향된 빔에 실제적으로 수직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예를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이다.
표시창(1)을 가진 표시관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지지수단에 의해 캐비넷(2)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표시관은 약간 원통형의 외부 테두리를 가진 다소 장방형인 표시창(1)의 내부벽에 장방형 표시 스크린을 구비한다. 상기 결과로 언해, 폭이 변하는 암흑부(7,7')가 표시 스크린(6)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렛(4)에 의해 덮혀 있다. 상기 필렛의 내연부(4γ)는 시청자에게 표시창의 내부 벽상의 표시 스크린(6)의 발광물질 가시 경계를 형성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사용된 형태의 표시관이 사용된 텔레비젼 셋트의 투시도이다. 상기 셋트에서, 표시창(1)이 캐비넷(2)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것이 이른바 표시관의 끼워맞춤 장치 방식이다. 상기 방식의 표시관 장치에서, 제1도를 참고로 기술된 필렛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점선(5)에 의해 구분된 것의 장방형이 아닌 표시창의 내면 벽상에 있는 장방형 표시 스크린(6)은 표시된 영상의 상,하 좌우에서 암흑부분(7,7') 또는 밝은 부분을 만들며, 상기 부분은 그 폭이 변하여 시청자에게 양호한 시청을 방해한다. 부분(7,7')은 매트릭스 관에서는 암흑부분이 되며 매트릭스 재질이 사용되지 않은 관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밝은 부분(7,7')이 된다. 왜냐하면 발광물질은 경계면 넘어 존재하는 알루미늄은 시청자에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은 제 2 도의 셋트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표시관의 정면도인 제 3 도에서 보다 명확히 나타나 있다. 51cm의 대각선 표시창을 가진 표시관에서, 표시 스크린(6)의 경계(5)(점선)으로 표시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표시창의 외부 테두리(3)까지의 거리는 18.3mm(화살표 a로 표시되어 있음)이었고, 긴변의 중심에서는 26.6mm(화살표 b)이고, 짧은 변의 중심에서는 23.8mm(화살표 c)였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의 정면도로써, 표시창(9)의 외부 테두리(8)는 표시 스크린(11)의 발광물질 경계면(10)과 실제로 평행하다.상기의 결과로 인해, 폭이 균일한 암흑부(11)가 장방형 표시 스크린(11)의 둘레에서 얻어진다.
제 3도에 대응하는 a,b 및 c의 값은 각각 19.5mm, 20.9mm 및 20.0mm가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에 있어서, 암흑부의 폭 변화는 1.5mm 미만이어서, 잘 보이지 않는다. 종래의 표시관에서는 상기변화가 8mm 이상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귀찮은 효과를 일으킨다. 외부 테두리(8)의 변은 약 6.5mm의 곡율 반경을 갖는다.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도시된 표시관의 표시창(9)의 테두리 부분(63)의 단면도이다. 표시창(9)의 내부 표면(64)은 곡율 반경이 r인 크게 커브진 곡면(65)지나 테두리(63)의 내부 표면(66)으로 바뀐다. 곡면(65)의 곡율 반경 r은 3 내지 10mm 사이이며, 여기에서는 약 8mm이다. 표시 스크린(11)의 발광물질 경계면(10)과 테두리(63)의 외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D로 표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20.0mm이며 반면 d로 표시된 테두리(63)의 두께는 약 14.5mm이다. 통상적으로 r≤10mm일때, 다음 조건 즉 [(D-d)/r]≤1이 만족된다. 통상의 얇은 알루미늄 막(도시않됨)은 표시 스크린(11)의 발광물질 위에 증착된다. 곡면(65)의 작은곡율 반경과 표시 스크린(11)의 발광물질 연장으로 인해서, 알루미늄 막은 표시관의 정면으로부터 아주 좁은 연부형태로 보인다. 매트릭스 관의 경우 경계면(10)을 지나 연장된 알루미늄 막 부분은 검은 매트릭스재질에 의해 시청자의 눈으로부터 숨겨진다. 상기의 경우 암흑부(12)는 극히 작은 정도로 넓어지게 되는 것을 제 4 도에서 불 수 있다.
제 6 도는 종래 표시창(1)의 후면도로서, 새도우 마스크(13) 형태의 칼러 선택 수단이 표시창(1)의 측면중앙에 접합된 금속핀(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13)는 탄성 바이메탈 스트립(16)이 용접된 테두리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립 각각은 자유 단부(17)에서 금속핀(14)이 연장되는 개구(18)를 갖는다. 새도우 마스크(13)의 테두리(15)와 표시창(1)의 테두리 사이에서 상기 지지구조를 위해 필요한 공간 때문에,폭이 변하며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형성되는바, 그 이유는 표시 스크린(6)의 발광물질의 장방형 경계(5)가 표시창(1)의 내부 테두리(20)를 따라 충분히 근접하게 제공될 수 없기 때문이다. 표시창의 모서리에 지지수단을 배치하므로써, 표시창상에 가장 적당한 크기의 표시 스크린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구조가 제 7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제 7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표시창의 후면도를 보인 것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지지구조가 실현될 수 있는 지지구조중의 하나로써, 네델란드 왕국 특허출원 제83 02 182호에 공지되어 있다. 금속핀(50)은 표시창(9)의 테두리(20) 모서리에 접합된다. 원추형 캠을 가진 굴대(51)가 핀(50)의 자유 단부에 있다. 칼러 선택 수단은 많은 개구(42)를 가짐과 아울러 테두리(41)를 구비하는 얇은 새도우 마스크(40)에 의해 형성된다.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테두리(41)에서 전자의 반사를 방지하는 다이어프램(39)이 테두리(41)에 연결된다. 마스크(40)와 다이어프램(39) 사이에서 팽창의 차를 피하기 위해 이들 둘은 모두 거의 같은 두께(150μm)의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2개의 러그(37)를 가진 지지스트립(37)은 다이어프램(39)의 모서리에서 연결되어 있다. 얇은 편평한 탄성소자(25)는 2개의 좁은 러그(21)를 통해 러그(3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 소자(25)는 가로 방향으로 보강된 굽힘단부(26)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 소자는 또한 모서리 방향으로 편향된 전자빔에 수직이다 새도우 마스크(40)의 열팽창으로 인해 단 하나의 러그(21)만이 굽혀진다. 소자(25)의 나머지 부분은 편평하다. 따라서 소자(25)는 러그(37)에 연결된 단부 주위에서만 피봇팅한다. 지지스트립(24)으로부터 떨어진 단부 근방에서, 슬롯형 개구(25)가 편평한 탄성소자(25)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개구(27)는 개구(29)를 가지고 있으며, 소자(25)에 연결된 판(28)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힌다. 이제 판(28)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평한 탄성소자(25)에 있는 슬롯형 개구(27) 이외에, 2개의 개구(30,31)가 나타나 있는데 이곳을 통해 도면에서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선 스프링(34)의 굽힘 단부(32,33)가 연장된다. 도선 스프링(34)의 다른 단부(35)는 지지스트립에 연결된 굽힘 러그(36)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선 스프링(34)은 지지스트립(24)과 이 지지스트립(24)에서 떨어진 편평한 탄성소자(25) 사이에서 팽팽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34)은 편평한 탄성소자(25)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게 되어 있다. 지지스트립(24)은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어뷰트먼트를 구비하고 있어서 화살표(60) 방향으로 탄성소자(25)의 피복 운동을 제한한다.
새도우 마스크(40)는 핀(50)의 원추형 캠(52)상에, 개구(29)를 가진 판(28)의 탄성소자(25)를 배치하여 표시창에서 지지된다. 표시창(9)에 대해 새도우 마스크(40)의 위치는 탄성소자(25)에 의해 상기 방식처럼 완전히 고정된다. 핀(50)은 팽팽한 도선 스프링에 의해 핀상에 고정된 탄성소자(25)의 판에 대해 수직이다. 도선 스프링(34)은 진동 발생후 탄성소자(25)가 핀(50)의 캠(52)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개구(30,31)는 개구(27)의 중심과 일직선으로 도선 스프링(34)의 굽힘단부(32,33)가 걸린다. 스프링(34)의 장력이 인가되는 점은 캠(52)의 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스프링(54)은 캠(52)에 대해 소자(25)의 위치가 변하는 결과로 인해 소자(25)상에서 모멘트를 나타낼 수 없다. 탄성소자(25)는 표시창(9)의 모서리를 향해 편향된 전자빔에 실제로 수직인 각도로 새도우 마스크(40)에 연결되어 있다. 새도우 마스크(40)가 팽창되었을 때, 새도우 마스크(40)와 표시창(9) 사이에서 칼러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작은 거리가 필요로 된다. 탄성소자(25)는 사실상 피봇 가능하게 새도우 마스크(4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후자는 팽창의 경우 표시 스크린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판(28)은 핀(50)의 배치에 있어서 가능한 공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판(28)은 스프링(34)의 굽힘 단부(32,33)가 연장되어 통과하는 2개의 노치(38)를 구비한다. 스프링(34)의 굽힘 단부(32,33)가 판(28)에 저어널되어 있다. 그래서 개구(29)는 탄성소자(25)에 있는 슬롯형 개구(27)에 대해 정확한 높이에서 유지되며, 판(28)은 소자(25)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캠(52)상에 판(27)을 배치한 후, 상기 판(27)은 탄성소자(25)에 연결된다. 그 결과, 개구(29)의 위치는 원추형 테두리 부분(52)의 위치와 정확히 대응되게 한다. 판(20)이 여유가 없게 배치되었을때 탄성소자(25)에서 컴(52)과 개구(27)의 위치 차이로 인해 새도우마스크(40)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표시창(9)에서 탄성소자(25)를 가진 마스킹 링(23)이 지지된 후, 마스크(40)는 간격 지그가 삽입된 표시창(9)내에 놓이고 다음 다이어프램(23)이 마스크(40)의 테두리 부분에 응접된다.
표시창(9)이 상기 방식대로 새도우 마스크와 정합되도록 제공된 후, 상기 표시창에는 종래의 방식으로 표시 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시관을 사용하여, 표시창(9)의 테두리 부분(23)과 새도우마스크(40)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현재까지 알려진 표시관에서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창의 내부 테두리를 실제로 장방형으로 만들수 있고 표시창 발광물질의 장방형 경계(10)가 내부 테두리(43)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테두리는 점선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표시창(9)의 내부 표면(45)이 3 내지 10mm의 곡율 반경을 가진 곡면(44)으로 바뀐다. 표시 스크린(11)의 발광물질 경계(10)는 실제로 상기 내부 테두리와 일치한다.
본 발명은 네델란드왕국 특허출원 제81 02 182호에 기재된 새도우 마스크의 지지구조에 대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네델란드왕국 특허출원 80 40 173호 및 80 03 609호와 같은 지지구조도 또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네델란드왕국 특허출원 제83 04 178호 및 83 04 180호,83 04 181호 등을 참고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표시창(9) 및 테두리(63)를 갖는 엔벨로프와, -여기서, 상기 테두리(63)는 표시관 축에 거의 평행이고, 표시창(9)의 내부 표면(64)은 곡률 반경이 r인 제1의 크게 커브진 곡면(65)에 의해 상기 테두리(63)의 내부 표면(66)으로 바뀌고, 상기 표시창(9)의 외부 표면은 제2의 크게 커브진 곡면에 의해 상기 테두리(63)의 외부 표면으로 바뀌며, 상기 테두리(63)는 상기와 같은 변화로 두께 d를 갖고, 상기 표시창(9)은 그 내부 표면(64)상에 적어도 하나의 칼러를 발광하는 발광물질을 표함하고 있는 장방형 표시 스크린(11)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표시 스크린(11) 전면에 위치된 칼러 선택 수단(40)을 포함하고 있는 칼러 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표시관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거리 D가 유지되어, 이 거리 D는 상기 표시관(11)의 상기 발광물질의 경계(10)와 상기 표시창(9)의 상기 테두리(63)의 상기 외부 표면 사이에서 측정되고 그리고 상기표시창(9)의 원주를 통해 거의 동등하게 크며, 따라서 상기 반경 r이 10mm와 같거나, 이보다 작고, 그리고
    Figure kpo00001
    는 1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르 하는 칼러 표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23)의 모서리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 스크린(11)의 전면에 칼러 선택 수단(40)을 위치시키는 지지수단(50)을 더 구비하는 칼러 표시관.
  3. 캐비넷과, 표시창(9), 표시관 및 표시관 축에 거의 평행인 테두리(63)를 갖는 엔벨로프를 포함하며,상기 표시창의 내부 표면(64)은 곡률 반경이 r인 제1의 크게 커브진 곡면을 통해 상기 테두리(63)의 내부 표면(66)으로 바뀌고, 상기 표시창(9)의 외부 표면은 제2의 크게 커브진 곡면을 통해 상기 테두리(63)의 외부 표면으로 바뀌며, 상기와 같은 변화로 테두리(63)는 두께 d를 갖고, 상기 표시창(9)은 그 내부 표면(64)상에 적어도 하나의 칼러를 발광시키는 발광물질을 갖는 장방형 표시 스크린(11)을 구비하며,상기 표시 스크린(11)의 전면을 칼러 선택 수단(40)이 위치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스크린(11)의 상기 발광물질의 경계(10)는 상기 표시창의 상기 테두리(63),(23)의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거리 D이고, 상기 거리 D는 상기 표시관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축정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창의 원주를 통해 거의 동등하게 크며, 상기 표시창이 상기 캐비넷에 있는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그리고 상기 반경 r이 10mm와 같거나 이보다 작고, 그리고
    Figure kpo00002
    는 1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19840007669A 1983-12-06 1984-12-05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KR940007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304179A NL8304179A (nl) 1983-12-06 1983-12-06 Kleurenbeeldbuis en weergeef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kleurenbeeldbuis.
NL8304179 198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348A KR850004348A (ko) 1985-07-11
KR940007038B1 true KR940007038B1 (ko) 1994-08-03

Family

ID=1984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669A KR940007038B1 (ko) 1983-12-06 1984-12-05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39636A (ko)
JP (1) JPH0646548B2 (ko)
KR (1) KR940007038B1 (ko)
CA (1) CA1220809A (ko)
DE (1) DE3443497C2 (ko)
ES (1) ES538207A0 (ko)
FR (1) FR2556129B1 (ko)
GB (1) GB2151074B (ko)
IT (1) IT1178679B (ko)
NL (1) NL83041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7738A1 (en) * 1989-03-13 1990-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5568011A (en) * 1995-02-15 1996-10-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faceplate panel
USRE38450E1 (en) 1997-02-06 2004-03-02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panel for a cathode ray tube
US5982085A (en) * 1997-12-23 1999-11-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shadow mask mounting system
GB9905830D0 (en) * 1998-03-26 1999-05-05 Asahi Glass Co Ltd Glass panel for an implosion-protected type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052A (en) * 1960-03-10 1963-05-07 Philco Corp Cathode ray tube faceplate construction
GB1358161A (en) * 1970-06-11 1974-06-26 Pilkington Brothers Ltd Cathode ray tubes
FR2204038B2 (ko) * 1972-10-25 1978-03-03 France Couleur Ste
JPS5550337B2 (ko) * 1973-05-21 1980-12-17
NL161915C (nl) * 1973-06-14 1980-03-17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met kleurselectie-elektrode.
CA1065003A (en) * 1975-05-05 1979-10-23 Albert M. Morrell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line-screen structure
JPS5210768U (ko) * 1975-07-11 1977-01-25
NL7514975A (nl) * 1975-12-23 1977-06-27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kleurde beelden.
JPS5311569A (en) * 1976-07-19 1978-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Stripe-type color picture tube
JPS6015243Y2 (ja) * 1976-09-25 1985-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受像管
NL7907596A (nl) * 1979-10-15 1981-04-21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NL8004173A (nl) * 1980-07-21 1982-02-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NL8004174A (nl) * 1980-07-21 1982-02-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NL8102182A (nl) * 1981-05-04 1982-12-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US4839556A (en) * 1983-02-25 1989-06-13 Rca Licensing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conto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6129B1 (fr) 1988-07-08
ES8604006A1 (es) 1986-01-01
KR850004348A (ko) 1985-07-11
ES538207A0 (es) 1986-01-01
IT1178679B (it) 1987-09-16
NL8304179A (nl) 1985-07-01
GB2151074B (en) 1987-05-07
IT8423858A0 (it) 1984-12-03
DE3443497A1 (de) 1985-06-20
IT8423858A1 (it) 1986-06-03
JPS60124336A (ja) 1985-07-03
GB8430479D0 (en) 1985-01-09
DE3443497C2 (de) 1997-11-20
FR2556129A1 (fr) 1985-06-07
CA1220809A (en) 1987-04-21
US4639636A (en) 1987-01-27
JPH0646548B2 (ja) 1994-06-15
GB2151074A (en) 198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43809A (ja) 架張型のシャドウマスク及びこれを採用したカラー陰極線管
GB2097996A (en) Shadow mask support arrangement for a colour display tube
KR940007038B1 (ko) 칼러 표시관 및 칼러표시장치
EP0146926B1 (en) Shadow mask type color picture tube
JPS622430A (ja) カラ−受像管
TW460893B (en) Color selection means for color display tubes and color display tubes provided with the same
KR100301321B1 (ko) 칼라음극선관
KR920001873B1 (ko) 칼라 표시관
KR10038521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373176B1 (en)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grid structure
US5252889A (en) Color CRT with means for correcting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US3581135A (en) Color tube electron shield having outwardly bowed edges directed toward viewing screen to minimize seal edge interference
TW563158B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low expansion tension mask attached to a higher expansion frame
KR10032206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JP2928035B2 (ja) 陰極線管
KR100906507B1 (ko) 고팽창 프레임에 부착되는 저팽창 텐션 마스크를 갖는 컬러 수상관
US7045940B2 (en) Holder for cathode ray tub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675127B2 (ja) 投写型表示装置
TW442820B (en) Color picture tube
JP2529956B2 (ja) カラ−受像管
US6294864B1 (en) Color cathode-ray tube with shadow mask having L-shaped bi-metallic springs
KR100728202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S633418B2 (ko)
KR940005266Y1 (ko) 음극선관 내의 마스크프레임
KR200160607Y1 (ko) 칼라수상관의 스프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