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24Y1 -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24Y1
KR920000824Y1 KR2019890018895U KR890018895U KR920000824Y1 KR 920000824 Y1 KR920000824 Y1 KR 920000824Y1 KR 2019890018895 U KR2019890018895 U KR 2019890018895U KR 890018895 U KR890018895 U KR 890018895U KR 920000824 Y1 KR920000824 Y1 KR 920000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upled
contact
auxiliary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735U (ko
Inventor
유연웅
Original Assignee
유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웅 filed Critical 유연웅
Priority to KR2019890018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24Y1/ko
Publication of KR910013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열대가 리벳과 접점편을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3a,b도는 본 고안 작용을 보인 작용도.
제4a,b,c도는 본 고안 크랭크판과 작동로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 요부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6 : 제1모우터
7 : 크랭크판 8 : 작동로드
P : 피치원 B : 중심선
S : 시작점 T : 체류점
L : 종료점
본 고안은 전기접점편과 리벳을 자동으로 이송 공급하여 이들을 서로 펀칭 결합하는자동 조립기에 있어서, 접점편 정열대에서 고정대의 보조다이 상면으로 이송되어 위치하고 있는 접점편을 승강대의 협지편으로 협지시에, 협지되는 접점편의 얇은 접점판과 다음 차례의 접점편에 결합되어 있는 얇은 접점판의 측면이 서로 중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원할한 협지작용 내지는 이송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서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조립을 할 수 있도록된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198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4479호, 동일출원임.)는 일정한 두께의 접점편을 점편정열대로 차례차례 이송시켜 보조다이 상면에 위치해 있는 접점편을 협지편이 협지한후 수직으로 들어올려 펀칭다이에 위치해 있는 리벳과 결합을 하는데에는 아무런 하자없이 순조롭게 협지와 이송의 자동작업이 이루어졌으나,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전기 접점편은 접점편에 얇은 접점판이 결합되어있는 관계로 고정대의 보조다이 상면에 위치되어 협지편에 의해 협지되려는 접점편의 얇은 접점판과 다음 차례의 접점편에 결합되어 있는 얇은 접점판이 제3a,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측면이 중첩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승강편과 협지편의 협지작용으로 보조다이 상면에 위치되어 있는 접점편을 협지한후 종래의 수단에 입각하여 수직으로 들어올릴때에는 다음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접점편의 접점판과의 중첩에 의해 간섭을 받게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협지되는 접점판의 접점판 측면이 찌그러지거나 아니면 다음 차례의 접점편들의 질서가 문란하게 되어 능율적이고 효과적인 자동작업이 되질 못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며 아울러 이들 접점판들의 접촉마찰에 의해 소음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접점편에 얇은 접접판을 결합하고 있는 전기접점의 자동조립 상태가 매우 불량하게 되는 폐단점등을 가지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폐단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첩 현상이 발생하여도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보조다이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는 접점편을 종래와 동일한 수단으로 협지편에 의해 일단 협지한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수단이 아니라 협지한직후 일단 수평직 이동을 하게한 다음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작용에 의해 받침대의 펀칭다이에 대기하고 있는 리벳과 자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의 우측으로 좌, 우측 지지판(2)(2')을 일정한 간격을 두어 입설 고정한 다음 그 사이에 안내레일(3)을 고정하여 이에 상측으로 좌, 우 이송대(4)를 결합하고 있는 이송편(4')을 이동 용이토록 결합한뒤 이송편(4') 사이 즉, 좌, 우 이송대(4)의 저부 중앙으로 지지축(5)을 결합하여 이 지지축(5)으로 우측지지판(2')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제1모우터(6)의 크랭크판(7)과 편심 결합되어 있는 작동로드(8)의 끝단을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되 제1모우터(6)에 결합되어 있는 크랭크판(7)의 피치원(P)과 중심선(B)의 좌측 교차점인 종료점(L)을 두고 종료점(T)과 90°각도의 하측 피치원(P)상에 시작점(S)을 그리고 시작점(S)과 45°각도의 하측 피치원상에는 체류점(T)을 분단 형성한뒤 좌, 우 이송대(4)의 상면에는 공압실린더(9)와 보조실린더(10 )를 나란히 고정하고 공압실런더(9)의 피스톤(9')과 보조실린더(10)의 보조피스톤(1 0')선단에는 승강대(11)의 타단을 고정하며 승강대(11)의 일단에 보조펀치(12)를 결합하고 있는 승강편(13)을 고정하고 승강편(13)의 후측에는 일단에는 협지편(14)을 중심편(14')으로 승강대(11)에 고정하되 승강편(13)과 협지편(14)사이에는 스프링( 15)을 탄설시키며 승강대 (11)의 저부에는 작은 공압 실린더(16)와 피스톤(16')을 결합하여 협지편(14)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된 접점편 공급부(17)의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8-보조다이, 19-밀착편, 20-탄지스프링, 21-리벳공급부, 22-리벳, 23-제2모우터, 24-좌,우이송대, 25-작동편, 26-받침대, 27-펀칭다이, 28-이송공, 29-에어프레스, 30-펀치, 31-공압호스, 32-접점편, 32'-통공, 32"-접점판, 33-리벳정열대, 34-접점편 정열대 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리벳공급통(도시안됨)가 접점편공급통(도시안됨)에 의해 리벳정열대(33)에 정열되어 있는 리벳(22)은 받침대(26)의 펀칭다이(27)로 공급되어지고 접점편 정열대(34)에 정열되어 있는 접점편(32)은 보조다이(8)로 제2도와같이 공급되어지는 것인바, 펀칭다이(27)로 공급되어지고 접점편 정열대(34)에 정열되어 있는 접점편(32)은 보조다이(8)로 제2도와같이 공급되어지는 것인바, 펀칭다이(27)의 이송홈(28)과 보조다이(18)의 상면에 1개씩의 리벳(22)과 접점편(32)이 위치되어지면 리벳공급부(21)와 접점편공급부(17)의 양 모우터(23)(6)가 회전을 하게된다.
즉 리벳공급부(21)에 결합되어 있는 제2모우터(23)의 회전에 의해 좌, 우 이송대(24)가 전진을 하게되므로 작동편(25)도 동일하게 전진을 하면서 이송공(28) 내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리벳(22)을 펀칭다이(27)의 중앙부로 운반 이동시켜준다.
이때 공압호스(31)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리벳(22)은 관성력이 발생치 않아 항상 정해진 위치에 정지를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접점편 공급부(17)의 제1모우터 (6)도 리벳공급부(21)의 제2모우터(23)와 동일하게 회전을 하여 작동로드(8)의 직선 운동에 의해 좌, 우 이송대(4)가 이송편(4')과 지지축(5)에 의해 안내레일(3)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한 것이고 좌, 우 이송대(4)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공압실 린더(9)와 보조실린더(10)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9')(10')의 승강 작용에 의해 피스톤(9')( 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대(11)의 상,하 승강작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어서 보조다이(18)의 상면에 대기하고 있는 접점편(32)을 협지할 수 있는 준비 자세로 돌입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작은 공압실린더(16)의 작동에 의히 피스톤(16')이 전진을 하면서 협지편(14)을 밀어주기 때문에 승강편(13)과 협지편(14)사이에 접점편(32)을 삽입시켜 협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작용은 선출원된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의 작용과 동일하다. 그러나 접점편(32)을 협지하여 들어올리는 작용은 상기한 선출원과 상이한 것으로 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모우터(6)의 크랭크판(7)의 피치원(P)에 표시된 시작점(S)에 작동로드(8)과 제4 b도와 같은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항상 이 사작점(S)에서부터 동작은 사작되는 것이다. 즉 크랭크판(7)의 시작점(S)에 작동로드(8)가 위치되어 있는 상태는 승강대(11)의 승강편(13)과 협지편(14)이 제5도와 같이 보조다이(18)의 상측에 위치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작동로드(8)가 시작점(S)에 일단 정지를 하고있는 상태에서 좌, 우이송대 (4)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공압실린더(9)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승강대(11)를 하강시키게 되고 아울러 승강편(13)과 협지편(14)이 제5도 실선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하강을 하여 협지판(14)의 끝단이 보조다이(18)의 측면에 결합되어있는 밀착편(19)을 하측으로 밀게되면 탄지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밀착편(19)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다이(18)에 안착되어있는 접점편(32)이 승강편(13)과 협지편(1 4) 사이로 삽입되어지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승강대(11)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는 작은 공압실린더(16)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16')을 전진시켜 협지편(14)을 중심편( 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스프링(15)을 압축하면서 접점편(32)을 압지하게 되는 것이다. 접점편(32)의 압지동작이 끝나면 곧이어서 제1모우터(6)에 전기가 인가되면서 작동을 개시하게 되고 크랭크판(7)이 회전하게되는 것인바, 이때 크랭크판(7)은 45°를 정회전하여 제4c도와같이 체류점(T)에서 정지를 하게되는 것이며 동시에 승강편(13)과 협지편(14)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32)도 승강편(13)과 협지편( 14)의 이동과 동일하게 수평적인 이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3a,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협지된 접점편(32)과 다음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접점편(32)에 결합되어 있는 얇은 접점판(32")들 끼리 중첩이 되어도 제3a도와같이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수평적 이동을 하게되는 것이므로 다음 차례로 기다리고 있는 접점편(32)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이와같이 일단 정해진 거리를 수평적 이동을 하여 제6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정지한 상태에서 공압실린더(9)에 의해 승강대(11)가 상승을 하게되고 아울러 승강편(13)과 협지편(4)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32)로 제7도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상승을 하여 정지를 하게되는 것이며 이때의 밀착편(19)은 탄지스프링( 20)의 탄력으로 상승하여 복귀되는 동시에 다음의 접점편(32)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접점편(32)이 상승한 후에는 다시 제1모우터(6)가 회전을 하면서 작동로드(8)을 체류점(T)에서 제4a도와 같이 135°역회전을 하여 종료점(L)에 위치되면 승강대( 11)의 협지편(14)과 승강편(13)에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32)도 제7도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 즉, 받침대(26)의 펀칭다이(27)상공으로 이동하여 일단 정지를 하게된다.
그리고 펀칭다이(27)에는 이미 리벳공급부(21)에 결합되어 있는 제2모우터(2 3)의 회전에 의해 좌, 우 이송대(24)의 작동편(25)이 작동을 하여 펀칭다이(27)의 이송공(28)에 공급되어있는 리벳(22)을 펀칭다이(27)의 중앙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접점편공급부(17)의 좌, 우이송대(4)에 안착되어있는 공압실린더(9)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승강대(11)를 하강시키는 것이므로 승강편(13)과 협지편(14)도 하강을 하게되며 이에 따라 접점편(32)도 하강을 하여서 접점판(32")의 선단에 천공된 통공 (32')이 리벳(22)에 제8도와 같이 삽입되어 지게 되고 곧 이어서 기체(1) 상측의 에어프레스(29)가 작동을 하여 펀치(30)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강한 타결력을 승강편(1 3)내부의 보조펀치(12)를 타격함으로서 접점판(32")의 통공(32')에 삽입되어있는 리벳(22)의 끝단을 리벳팅을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완성된 전기접점을 얻을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1초에 1개씩의 접점편을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며 모든 동작은 센서와 콘트롤 박스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신속한 작업과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협지편과 승강편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과 승강편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을 종래와 같이 보조다이에서 직접 상측으로 수직적인 들어올림이 아니라 일단 수평적인 이동을 하고난 직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작용에 의해 접점판끼리의 측면이 중첩되는 사례가 발생하여도 이에 굴하지 않고 지속적인 작업을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기체(1)의 우측으로 좌, 우측 지지판(2)(2')을 일정한 간격을 두어 입설 고정한 다음 그 사이에 안내레일(3)을 고정하여 상측으로 좌, 우 이송대(4)를 결합하고 있는 이송편(4')을 이동 용이토록 결합한뒤 이송편(4')사이 즉, 좌, 우 이송대(4)의 저부 중앙으로 지지축(5)을 결합하여 이 지지축(5)으로 우측지지판(2')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제1모우터(6)의 크랭크판(7)과 편심 결합되어있는 작동로드(8)의 끝단을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되 제1모우터(6)에 결합되어 있는 편심판(7)의 피치원(P)과 중심선(B)과의 좌측교차점인 종료점(L)을 두고 종료점과 90°각도의 하측 피치원(P)상에는 시작점(S)을 그리고 시작점(S)과 45°각도의 하측피치원상에는 체류점(T)을 분단 형성한뒤 좌, 우 이송대(4)의 상면에는 공압실린더(9)와 보조실린더 (10)를 나란히 고정하고 고압실린더(9)의 피스톤(9')과 보조실린더(10)의 보조피스톤 (10')선단에는 승강대(11)에 타단을 고정하여 승강대(11)의 일단에 보조펀치(12)를 결합하고 있는 승강편(13)을 고정하고 승강편(13)의 후측에는 일단에 협지편(14)을 중심편(14')으로 승강대(11)에 고정하되 승강편(13)과 협지편(14)사이에는 스프링( 15)을 탄설시키며 승강대(11)의 저부에는 작은 공압실린더(16)와 피스톤(16')을 결합하여 협지편(14)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된 접점편공급부(17)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KR2019890018895U 1989-12-14 1989-12-14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KR920000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95U KR920000824Y1 (ko) 1989-12-14 1989-12-14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95U KR920000824Y1 (ko) 1989-12-14 1989-12-14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735U KR910013735U (ko) 1991-07-30
KR920000824Y1 true KR920000824Y1 (ko) 1992-01-31

Family

ID=1929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895U KR920000824Y1 (ko) 1989-12-14 1989-12-14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8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73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11844B (zh) 一种矽钢片冲压生产线
CN109768311A (zh) 一种燃料电池电堆的装配设备
KR20040049128A (ko) 자동 리벳팅 머신
CN216370934U (zh) 一种汽车扶手座的磁铁压扣装置
KR920000824Y1 (ko)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CN219496554U (zh) 一种成品测试治具
CN110434269B (zh) 具有翻转结构的锻造装置
CN209632000U (zh) 一种板件的进料机构
CN215316380U (zh) 电机铁芯焊接装置
CN211102388U (zh) 定位装置及焊接设备
CN113084533A (zh) 双根同步穿角码机
CN114435946B (zh) 一种机械传动送料装置
KR910009301B1 (ko)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CN111469423B (zh) 一种叠板堆与橡胶堆的自动组装设备
JPS61176422A (ja) 曲げ加工装置
CN214742566U (zh) 一种自动压合机
CN109822284A (zh) 一种升降机自动化焊接系统
CN219408197U (zh) 一种模板上下料设备
CN219151945U (zh) 一种网篮底网的焊接线
CN214979091U (zh) 一种注射笔按钮组装压装机构
CN115008415B (zh) 一种清洁刷体自动组装设备
CN216759112U (zh) 一种活塞的定向送料机构
CN210175297U (zh) 一种翻转机构
CN217859334U (zh) 一种核动力用大功率钢框架焊接设备
CN213379792U (zh) 碳刷连续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