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01B1 -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01B1
KR910009301B1 KR1019890014347A KR890014347A KR910009301B1 KR 910009301 B1 KR910009301 B1 KR 910009301B1 KR 1019890014347 A KR1019890014347 A KR 1019890014347A KR 890014347 A KR890014347 A KR 890014347A KR 910009301 B1 KR910009301 B1 KR 91000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xed
platform
riv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128A (ko
Inventor
유연웅
Original Assignee
유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웅 filed Critical 유연웅
Priority to KR101989001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301B1/ko
Publication of KR91000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리벳과 접점편을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2′ : 양모우터
5,5′ : 양측좌우이송대 6 : 작동편
7 : 받침대 8 : 펀칭다이
9 : 이송공 10 : 승강대
11 : 에어실린더 14 : 보조펀치
15 : 고정대 18 : 협지편
19 : 작은에어실린더 21 : 에어프레스
22 : 펀치 24 : 공압호스
본 발명은 모우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작동로드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는 좌, 우 이송대를 양측에 형성시키되 일측의 좌, 우 이송대에는 리벳을 작업 위치로 이송시켜주는 작동편을 고정하고 타측의 좌,우 이송대에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송할 수 있는 승강대를 결합하여 이 승강대의 작용에 의해 접점편을 협지하는 기능과 접점편을 리벳에 결합하는 기능을 유발토록하는 동시에 에어프레스의 작동으로 펀치가 하강하여 접점편을 결합한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는 리벳을 타격함으로서 접점편과 리벳을 자동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리벳의 이송공정과 접점편의 이송공정 그리고 접점편과 리벳의 결합공정 또한 펀칭 공정 등이 정해진 순서에 입각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동시에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작업인원이 필요 없는 상태에서 고품질의 접점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전기접점의 자동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접점을 얻기 위해서는 접점편을 별도로 제작한 후 이 접점편의 통공으로 리벳을 결합시켜야 전기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접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인바, 종래에는 리벳을 다이 위에 올려 놓고 작업자가 접점편의 통공을 다이의 리벳에 맞추어 결합한 다음 망치를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서 한 개 한 개의 접점을 완성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 다른 방법으로 망치 대신 펀칭기를 이용하는 수단이 현존해 있는 바, 이른 리벳을 펀칭기의 다이 위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접점편의 통공을 리벳에 작업자가 맞추어 결합한 다음 펀칭휘일을 회전시켜 리벳팅을 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리벳을 다이 위에 세우는 공정과 리벳에 접점편의 통공을 결합하는 공정 그리고 망치나 펀칭기에 의한 펀칭공정 등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리벳과 전기접점은 매우 작은 부품이므로 다루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공정 중에 발생하는 로스의 양이 많게 되어 비능률적이고 비효율적인 폐단점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며 사람들이 일일이 수동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어서 작업이 더디고 완성된 제품 자체도 동일하지 않아 각양각색의 제품을 결합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문제의 해결점이 시급한 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결점과 폐단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의 모우터에 의해 작동편과 승강대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고 승강대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접점편을 혐지시에는 승가대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협지편에 의해 협지함으로서 이들이 정해진 프로그래밍에 의해 이미 정해진 운동을 순서대로 행하게 되는 바,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기계 한 대 당 한 사람이 맡아 일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1초에 1개씩 접점을 결합하는 것이므로 작업자체가 매우 신속하고 항상 동일한 제품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완성시키는 것이므로 완성된 제품의 모양이나 성질 등이 동일하게 되어 정확한 접점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매우 효율적인 접점결합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의 좌,우측에 형성된 양모우터(2)(2′)의 크랭크판(3)(3′)에 편심 고정되어 있는 작동로드(4)(4′)의 타단을 좌,우 이송대(5)(5′)에 연결하여 양측 좌,우 이송대(5)(5′)의 좌,우 직선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결합한 후 일측의 좌,우 이송대(5) 상면에는 작동편(6)을 고정하여 받침대(7) 상측의 펀칭다이(8)에 천공된 이송공(9)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삽입하고 타측의 좌,우 이송대(5′) 상면에는 승강대(10)를 피스톤(12) 끝단에 고정하고 있는 에어실린더(11)를 안착 고정하여 승강대(10)의 상,하 승강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승강대(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편(13) 내부에는 보조펀치(14)를 결합하여 상측에 이송홈(15′)을 착홈하고 있는 고정대(1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승강편(13)의 후측으로 지지핀(16)과 삽입핀(17)을 하측에 결합 고정하고 있는 협지편(18)을 승강대(16)의 지부에 고정된 작은 에어실린더(19)의 피스톤(20) 운동에 의해 협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결합한 다음 기체(1)의 중앙 상측으로 에어프레스(21)를 결합시키되 저부로 노출되어 있는 펀치(22)가 받침대(7)의 펀치다이(8)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기체(1)에 고정되어 있는 공압제어기(23)의 공압호스(24)는 항상 공펀칭다이(8)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5-리벳, 26-접점편, 26′-통공, 26″-요공, 27-리벳정열대, 28-접점편칭정열대, 29-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리벳정열통(도시안됨)과 접점편칭정열통(도시안됨)에서 리벳(25)과 접점편(26)을 선별 정열하여 리벳정열대(27)와 접점편 정열대(28)로 제2도와 같이 이송공급을 하게 되는 것인 바, 리벳(28)은 받침대(7)의 상측에 천공되어 있는 이송공(9)으로 공급되어지고 접점편(26)은 고정대(15) 상측에 착홈되어 있는 이송홈(15′) 내부로 공급되어지면 양측의 모우터(2)(2′)가 모두 회전을 하게 된다. 먼저 일측의 모우터(2)가 회전되면서 크랭크판(3)을 회전시키게 되고 아울러 작동로드(4)가 크랭크판(3)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좌,우 이송대(5)를 제1도와 같이 밀게 된다. 따라서 좌,우 이송대(5)가 전진을 하게 되므로 이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편(6)도 받침대(7)의 이송공(9) 내부에서 직선 운동으로 전진을 하게 되는 것이어서 이미 받침대(7)의 이송공(9) 내부에 위치해 있는 리벳(25)을 펀칭다이(8)의 선단부 즉, 작업부위까지 제2도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이송시켜 일단 정지를 하게 된다.
이 때 작동편(6)이 리벳(25)을 물고 전진하다가 정지를 하게 되면 리벳(25)의 가속도에 의해 펀칭다이(8)의 선단부에 정확히 정지를 하지 않고 펀칭다이(8)를 이탈하여 굴러떨어지는 일이 있게 된다. 이러한 일을 없애기 위하여 기체(1)에 결합되어 있는 공압 제어기(23)의 공압호스(24)가 항상 펀칭다이(8)의 선단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고 있기 때문에 리벳(25)이 가속도에 의해 굴러 떨어지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작동편(6)이 계속 리벳(25)을 물고 펀칭다이(8)에 위치해 있는 상태는 일측의 모우터(2)가 일단 정지를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고 일측의 모우터(2)와 동일하게 회전을 하는 타측의 모우터(2′)도 크랭크판(3′)을 회전시키게 되고 아울러 작동로드(4′)가 크랭크판(3′)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좌, 우 이송대(5′)를 제1도와 같이 밀게 된다. 따라서, 좌,우 이송대(5′)가 전진을 하게 되므로 이에 고정되어 있는 공압실린더(11)와 승강대(10)도 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미 승강대(10)의 승강편(13)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펀치(14)는 고정대(15) 상측에 위치해 있는 상태이므로 이 때에는 협지작용을 먼저 하게된다.
즉 좌,우 이송대(5′)의 에어실린더(11)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12)을 하강시키게 되고 아울러 피스톤(12)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대(10)도 동일하게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며 승강대(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편(13) 내부의 보조펀치(14)도 제3도의 실선 위치에서 가는 가상선 위치로 하강을 하여 고정대(15)의 이송호(15′)에 위치되어 있는 접점편(26)의 통공부위를 일정한 압지력으로 접촉을 한 후에는 공압실린더(11)에 흡입되는 공기가 중단되어 일단정지를 하는 상태가 되고 곧이어서 승강대(10)의 저부에 결합되어 있는 작은공압실린더(19)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20)을 전진시키게 되므로 피스톤(20)은 협지편(18)을 밀게 된다.
따라서 협지편(18)이 제3도 가는 가상선 위치에서 굵은 가상선 위치로 이동을 하면서 협지편(18)의 지지핀(16)은 접점편(26)의 외벽을 지지하게 되고 삽입편(17)은 접점편(26)에 천공된 요공(26″)으로 삽입되어 보조펀치(14)와 함께 견고하게 협지한 상태가 된다.
협지 공정이 끝나면 접점편(26)을 협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좌,우 이송대(5′)의 공압 실린더(11)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승강대(10)를 상측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협지편(18)의 지지핀(16)과 삽입핀(17) 그리고 승강편(13)의 보조펀치(14)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접점편(26)도 협지된 상태로 제4도에 가는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후에는 공압실린더(11)에 흡입되고 있는 공기를 중단하는 상태에서 타측의 모우터(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좌,우 이송대(5)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즉, 제4도 가는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이동을 시킨 후 타측의 모우터(2′)는 일단 정지를 하게 되며 다시 좌,우 이송대(5′)의 공압실린더(11)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승강대(10)를 하측으로 제4도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하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보조펀치(14)의 끝단에 접촉되어 있는 접점편(26)의 통공(26′)이 이미 작동편(6)에 의해 펀칭다이(8)에 대기하고 있는 리벳(25)으로 삽입되어 지는 것이고 접점편(26)의 통공(26′)이 리벳(25)에 결합되어지는 순간 일측의 모우터(2)가 회전하면 리벳(25)을 잡고 있던 작동편(6)을 후퇴시키게 되어 타리벳(25)을 이송시킬 준비 위치로 원위치하게 된다.
접점편(26)은 계속 하강하여 통공(26′)이 리벳(25)에 결합 완료가 되면 리벳(25)의 끝단에 보조펀치(14)가 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협지편(18)의 지지핀(16)과 삽입핀(17)은 계속 접점편(26)을 펀칭다이(8)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체(1) 상측이 에어프레스(21)의 구동에 의해 펀치(22)가 하강하면서 보조펀치(14)를 타격하게 되며 보조펀치(14)에 전해진 타격력으로 리벳(25)을 제5도와 같이 리벳팅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접점편(26)에 리벳(25)의 결합이 완료되면 승강대(10)의 저면에 결합된 작은 공압 실린더(19)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20)을 당기게 되고 협지편(18)은 스프링(29)의 탄성으로 접점편(26)을 탈협지하면서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대(10)는 상기한 바와 반대 작용으로 원위치하여 다른 접점편(26)을 협지하기 위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본 발명은 일측의 모우터가 회전함으로서 발생되는 작동편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리벳의 공급작용과 타측 모우터의 회전에 의해 승강대의 직선 운동 또한 승강대의 에어실린더에 의한 승강대의 상, 승강작용 또한 협지판에 의한 협지 작용등이 순서에 입각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로스의 량이 극소로 적어지며 1초에 1개씩 신속하게 결합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어 인건비의 절약과 정확한 접점을 양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기체(1)의 좌,우측에 형성된 양모우터(2)(2′)의 크랭크판(3)(3′)에 편심 고정되어 있는 작동로드(4)(4′)의 하단을 좌,우 이송대(5)(5′)에 연결하여 양측 좌,우 이송대(5)(5′)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결합한 후 일측의 좌,우 이송대(5) 상면에는 작동편(6)을 고정하여 받침대(7) 상측의 펀칭다이(8)에 천공된 이송공(9)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삽입하고 타측의 좌,우 이송대(5′) 상면에는 승강대(10)를 피스톤(12) 끝단에 고정하고 있는 에어실린더(11)를 안착 고정하여 승강대(10)의 상,하 승강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승강대(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편(13) 내부에는 보조펀치(14)를 결합하여 상측에 이송홈(15′)을 착홈하고 있는 고정대(1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승강편(13)의 후측으로 지지핀(16)과 삽입핀(17)을 하측에 결합 고정하고 있는 협지편(18)을 승강대(10)의 저부에 고정된 작은 에어실린더(19)의 피스톤(20) 운동에 의해 협지작용을 할 수 있도록 결합한 다음 기체(1)의 중앙 상측으로 에어프레스(21)를 결합시키되 저부로 노출되어 있는 펀치(22)가 받침대(7)의 펀칭다이(8)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기체(1)에 고정되어 있는 공압제어기(23)의 공압호스(24)는 항상 펀칭다이(8)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의 자동조립장치.
KR1019890014347A 1989-10-06 1989-10-06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KR91000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47A KR910009301B1 (ko) 1989-10-06 1989-10-06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47A KR910009301B1 (ko) 1989-10-06 1989-10-06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128A KR910009128A (ko) 1991-05-31
KR910009301B1 true KR910009301B1 (ko) 1991-11-09

Family

ID=1929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347A KR910009301B1 (ko) 1989-10-06 1989-10-06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3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128A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08444B (zh) 一种能够实现极片自动上料的纽扣电池碰焊机
KR100485120B1 (ko) 자동 리벳팅 머신
CN109382655B (zh) 一种角磨机的机身装配生产线
KR910009301B1 (ko)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장치
CN217433735U (zh) 汽车球笼切割用圆切机
CN109385761B (zh) 一种自动上料装置
JPS596985Y2 (ja) フアスナ−締結機のフアスナ−部品供給装置
CN216133726U (zh) 一种电阻套管机构
CN212144394U (zh) 一种自动供料的抽芯铆钉铆接机
CN212498046U (zh) 一种避免进料发生偏移的大型切割机上料用定位机构
CN2437462Y (zh) 一种平移取料机械手
JPS6359807B2 (ko)
JPH0620687B2 (ja) 軸受の圧入方法、及び、軸受の圧入装置
CN112958742A (zh) 一种托盘手柄自动铆接机及其工作方法
CN113084032A (zh) 一种新型冲孔加垫片钉扣一体机
CN207467728U (zh) 一种批量切割堆码艾柱设备
JPH06297258A (ja) 部品移送装置
KR920004662Y1 (ko) 전기 접점의 자동 조립기
CN108453162A (zh) 一种自动取料冲压设备
CN217044348U (zh) 一种气动导轨加工用可前后送料的冲床
KR920000824Y1 (ko) 전기접점의 자동조립기용 접점편 공급장치
CN217754214U (zh) 一种硬盒包装机电控组件
CN207787396U (zh) 一种自动取料冲压设备
CN218084120U (zh) 自动上下料模压机
CN219393989U (zh) 一种线材输送压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