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41B1 -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 Google Patents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41B1
KR920000341B1 KR1019880006140A KR880006140A KR920000341B1 KR 920000341 B1 KR920000341 B1 KR 920000341B1 KR 1019880006140 A KR1019880006140 A KR 1019880006140A KR 880006140 A KR880006140 A KR 880006140A KR 920000341 B1 KR920000341 B1 KR 92000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urved
bearing
linear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276A (ko
Inventor
히로시 데라마찌
Original Assignee
히로시 데라마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데라마찌 filed Critical 히로시 데라마찌
Publication of KR88001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4Ball or roller bearings, e.g. with resilient rol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4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8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0Other type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19/502Other type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rolling elements in rows not forming a full cir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8Systems with a plurality of bearings, e.g. four carriages supporting a slide on two parall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3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69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n assembly of at least three major parts, e.g. an assembly of a top plate with two separate legs attached thereto in the form of bearing sho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 반쪽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7도는 궤도레일이 직선 궤도레일인 때의 제5도의 VII-VII단면도.
제8도는 궤도레일이 곡선 궤도레일인 때의 제5도의 VII-VII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덮개를 나타낸 이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단면도.
제12도는 덮개 피이스의 사시도.
제13도는 직선 궤도레일과 곡선 궤도레일로서 육상트랙형상으로 구성한 궤도레일을 갖는 부품 반송 시스템의 설명도.
제14도와 제15도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한 궤도레일을 나타낸 설명도.
제16도는 제2실시예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좌측 반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0도는 상기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16도와 같은 단면도.
제21도와 제22도는 상기 제2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제16도와 같은 단면도.
제23도는 제3실시예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좌측 반쪽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25도는 상기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24도와 같은 단면도.
제26도는 제4실시예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베어링 레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제29도는 상기 제4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26도와 같은 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베어링 레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제31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베어링 레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제33도는 상기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31도와 같은 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베어링 레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제35도는 제6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36도는 제35도의 베어링 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7도는 제7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나타낸, 제5도와 같은 단면도.
제38도는 종래의 곡선 안내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궤도레일 1a : 직선 궤도레일
1b : 곡선 궤도레일 2 : 베어링 본체
2a : 미끄럼대 2b : 덮개
3 : 보올 3a : 직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
3b : 곡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 4 : 궤도면
L-ar : 직선영역 C-ar : 곡선영역
5 : 부하 전주면 L-1d : 직선 부하역
C-1d : 곡선 부하역 6 : 무부하 순환로
6a : 무부하 보올구멍 6b : 보올방향 전환로
7 : 수평부 8 : 소매부
9 : 부하 보올홈 d : 보올의 직경
ℓ : 부하 보올홈의 개구폭 21 : 홈조부
22 : 홈형성 부재 23 : 끼움부
2a-A : 미끄럼대 본체 2a-B : 베어링 레이스
30a,30b : 미끄럼대 반쪽부 31 : 천판부재
32 : 장착볼트 33 : 미끄럼부재
34 : 덮개부재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공작기계나 공업용 로봇 또는 부품 반송 시스템등의 슬라이드부에 있어서, 기준으로 되는 어떤 기준위치로부터 다른 목적으로 되는 목적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물체를 직선적 및/또는 곡선적으로 안내할 수가 있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기준위치로부터 목적위치까지 물체를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직선 베어링에 대하여는, 종래로부터 다수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궤도레일에 따라서 미끄럼운동하는 베어링 본체가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각각 1조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미끄럼대로 구성되고, 높이 치수를 작게 설계할 수 있는 타입이나, 궤도레일에 따라서 미끄럼운동하는 베어링 본체가,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으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미끄럼대로 구성되고, 레이디얼 방향, 역레이디얼 방향 및 좌우 수평방향의 4방향의 하중을 균등하게 부하하고, 또는 레이디얼 방향의 하중을 중점적으로 부하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타입이나, 베어링 본체를 구성하는 미끄럼대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단면이 대략 구형상의 미끄럼대 반쪽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궤도레일이 상기 미끄럼대 반쪽부에 대응하는 궤도대 반쪽부로 구성되어, 높이 치수를 작게하여 동시에 4방향의 하중을 균등하게 부하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세퍼레이트타입등,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기준위치로부터 목적위치까지, 물체를 곡선적으로 안내하는 수단에 대하여는, 종래 그리 고려되어 있지 않았으며, 예를들면 부품 반송 시스템등에 있어서, 주변의 기계 기구등과의 관계나 시스템 설계상의 관점에서 곡선적인 안내가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제3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궤도레일(101)을 원호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양견부에 대략 V자상으로 돌출한 돌조(102)를 형성하며, 한편 미끄럼대(103)에 대하여는 구형상의 테이블(104)의 4모서리에 각각 궤도레일(101) 외주측의 캠폴로어(105a)와 궤도레일(101) 내주측의 캠폴로어(105b)를 장착하고, 이들 캠폴로어(105a,105b)의 외륜(106) 외주에 형성한 대략 V자상의 전주홈(107)을 상기 궤도레일(101)의 각 돌조(102)에 나사맞춤시켜, 미끄럼대(103)를 궤도레일(101)에 따라서 곡선적으로 안내하도록한 곡선 안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캠폴로어(105a,105b)는, 통상, 그 외륜(106)이 지지축(108)의 축방향과 같은 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니이들 로울러(109)를 통하여 이 지지축(108)의 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08)과 직각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는 비교적 큰 하중을 부하할 수가 있으나, 지지축(108)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는 거의 하중을 부하할 수가 없으며, 이 지지축(108)가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부하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병용하든지, 아니면 이를 위한 수단을 조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캠폴로어(105a,105b)를 사용한 곡선 안내장치에서는 장치가 복잡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캠폴로어(105a,105b)의 외륜(106)과 궤도레일(101)의 돌조(102)의 사이에는, 돌조(102)측에 형성된 경사상방 또는 경사하방으로 향하는 궤도면과 외륜(106)의 전주홈(107)측에 형성된 경사하방 또는 경사상방으로 향하는 전주면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이 부분에서의 마찰 저항이 커서 고속 운전에는 부적합할뿐 아니라, 궤도레일(101)의 돌조(102)와 미끄럼대(103)의 각 캠폴로어(105a,105b)의 사이에 예압을 작용시키면 점점더 이 사이의 마찰저항이 커지므로 미끄럼운동의 정도의 향상과 강성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압을 작용시킬 수도 없고, 이와 같은 종류의 곡선 안내장치를 고정도로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의 캠폴로어를 이용한 곡선 안내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궤도레일과 이 궤도레일을 따라서 미끄럼운동하는 베어링 본체의 사이에서 레이디얼 방향, 역레이디얼 방향 및 좌우 수평방향의 4방향의 하중을 부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베어링 본체측의 부하전 주면과 궤도레일측의 궤도면과의 사이에서 각 보올이 거의 균등하게 하중을 부하함으로써 큰 하중을 부하할 수가 있으며, 또한 예압을 작용시켜서 접동운동의 정도의 향상과 강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곡선 베어링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원소 62-14132호).
그런데, 근년에 있어서의 공업기술의 진보에 따라, 물체를 기준위치로부터 목적위치까지 단지 직선적으로 또는 일정한 곡율의 곡선적으로 안내하는 것만으로써는 부족하며, 직선↔곡선, 직선↔곡선↔직선, 곡선↔직선↔곡선등, 직선안내와 곡선안내를 여러 가지 조합한 안내기구가 요구되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직선 베어링과 곡선 베어링을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궤도레일에 따라서 미끄럼운동하는 베어링 본체가 직선 베어링의 경우와 곡선 베어링의 경우가 다르므로 이들 직선 베어링과 곡선 베어링의 사이에서 물체의 주고 받음을 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주고 받음을 위하여 복잡한 기계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베어링 본체에 고정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이 주고 받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며, 직선 베어링과 곡선 베어링을 중합 조입하는 등, 복잡하고 규모가 큰 장치를 조입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관점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앞서 제안한 곡선 베어링을 더 한층 진보시켜, 하나의 베어링으로 직선안내와 곡선안내의 양쪽을 행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기준위치로부터 목적위치까지의 안내로서 직선안내와 곡선안내가 조합된 경우에도 물체의 주고 받는 작업을 하지 않고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안내 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궤도면을 갖는 궤도레일과, 상기 궤도면에 상대면에 상대면하는 부하 전주면과 이 부하 전주면의 양단을 무단에 접속하는 무부하 순환로를 갖는 무한궤도를 겸한 베어링 본체와, 이 베어링 본체의 무한궤도를 순환하고, 그 부하 전주면과 궤도레일의 궤도면의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하는 다수의 보올로써 되고, 상기 베어링 본체의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부하 전주면에는 직선 부하역과 소정의 곡율을 갖는 곡선 부하역을 형성하고,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직선 영역에서는 상기 직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로 하중을 부하함과 동시에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곡선 영역에서는 상기 곡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로 하중을 부하하도록 구성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도레일로서는, 그것이 보올을 통하여 베어링 본체를 안내하는 궤도면을 갖는 것이면 좋으며, 단지 직선상으로 형성된 직선 궤도레일이어도 또, 어떤 일정한 곡율로 원호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된 곡선 궤도레일이어도 또한, 직선상 부분과 곡선상 부분을 갖는 변형 궤도레일도 무방하며, 이들 직선 궤도레일, 곡선 궤도레일 및 변형 궤도레일을 무단 또는 유단에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 복합형 궤도레일이어도 무방하지만, 이들 궤도레일의 궤도면에 형성된 곡선 영역에 대하여는 그것이 일정한 방향으로 구불고 그리고 일정한 곡율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 상기 베어링 본체에 대하여는, 그것이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각각 1조의 부하 전주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부하 전주면에 대응하는 무부하 보올통로를 갖는 미끄럼대와, 이 미끄럼대의 전후 양단에 장착되고, 상기 무부하 보올통로와 함께 무부하 순환로를 형성하는 보올방향 전환로를 갖는 한쌍의 덮개로써 구성된 타입의 것이어도, 또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량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부하 전주면에 대응하는 무부하 보올통로를 갖는 미끄럼대와, 이 미끄럼대의 전후 양단에 장착되고, 상기 무부하 보울통로와 함께 무부하 순환로를 형성하는 보올방향 전환로를 갖는 한쌍의 개체로써 구성된 타입의 것이어도, 또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부하 전주면에 대응하는 무부와 보올통로를 갖는 한쌍의 단면이 대략 구형상의 미끄럼대 반쪽부와, 이들 미끄럼대 반쪽부의 상면 사이에 가설되고 이들 한쌍의 미끄럼대 반쪽부를 서로 연결하는 천판부재와, 상기 각 미끄럼대 반쪽부의 전후 양단에 장착되고, 상기 무부하 보올통로와 함께 무부하 순환로를 형성하는 보올방향 전환로를 갖는 한쌍의 덮개로써 구성되어 있는 타입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에 있어서는, 베어링 본체가 궤도레일에 조입된때 부하 전주면을 전주하는 보올이 미끄럼대와 궤도레일과의 사이의 극간으로부터 탈락하지 않으면 좋지만, 바람직하기는 베어링 본체를 궤도레일로부터 절리하여도 보올이 탈락하지 않도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러기위한 수단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보올 유지기를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에 적어도 그 개구폭이 보올의 직경보다 작은 부하 보올홈을 형성하고, 이 부하 보올홈내에 부하 전주면을 형성하여 베어링 본체를 궤도레일로부터 절리하여도 보올이 탈락하지 않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하 보올홈을 형성하는 수단에 대하여도, 특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기는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으로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에 부하 보올홈을 일체로 형성하든지, 아니면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에 개구폭이 큰 홈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홈조부의 개구폭을 작게 하는 홈형성 부재를 장착하고, 이들 홈조부와 홈형성 부재로써 부하 보올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가, 수평부와 소매부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서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타입의 것인 경우나, 단면이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미끄럼대 반쪽부인 경우, 이들 부하 전주면에 대응하는 궤도면을 갖는 궤도레일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부하 전주면에 대하여는 그것이 서로 수속하는 방향으로 면하는 것이어도 또 반대로 서로 확개하는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전주면에 형성되는 직선 부하역과 소정의 곡율을 갖는 곡선 부하역에 대하여는, 부하 전주면을 그 길이방향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여기에 하나 또는 2개의 직선 부하역과, 하나 또는 2개의 곡선 부하역을 형성한다. 이때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가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각각 1조 또는 2조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타입의 것인 경우에는, 1측방의 부하 전주면에 대하여 예를들면 직선 부하역↔곡선 부하역↔직선 부하역, 곡선 부하역↔직선 부하역↔곡선 부하역과 같이 직선 부하역과 곡선 부하역이 교대로 위치하며,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부하 전주면에 관하여는 1측방의 부하 전주면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은 타측방의 부하 전주면으로써 형성된 곡선 부하역에 대면하도록 이들 직선 부하역과 곡선 부하역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 일방의 소매부에 한쌍의 부하 전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각 부하 전주면의 사이에는 직선 부하역과 곡선 부하역이 서로 같은 순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 본체의 미끄럼대가 단면이 대략 구형상의 미끄럼대 반쪽부인 타입의 경우에는, 그 부하 전주면에 대하여 예를들면 직선 부하역↔곡선 부하역↔직선 부하역, 곡선 부하역↔직선 부하역↔곡선 부하역, 직선 부하역↔곡선 부하역, 곡선 부하역↔직선 부하역등과 같이 상기 직선 부하역과 곡선 부하역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은데, 이들 베어링 본체의 한쌍을 조합하여 레이디얼 방향, 역레이디얼 방향 및, 좌우 수평방향의 4방향 하중을 부하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조합된 후의 베어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그 각 부하 전주면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가 곡선 부하역이 상기 미끄럼대가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각각 1조 또는 2조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타입의 베어링 본체의 경우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상기 부하 전주면에 형성하는 직선 부하역 및 곡선 부하역의 각각을 전주하는 보올의 수에 대해서는, 형성되는 베어링의 크기나, 재질,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 사용하는 보올의 크기등 여러 가지의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나, 길이방향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서 그 전후 양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보올 수의 합계와, 그 중간의 영역에 위치하는 보올 수를 대체로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일방의 부하 전주면측에서 하중을 부하하고 있는 보올 수와 타방의 부하 전주면측에서 하중을 부하하고 있는 보올수와의 밸런스를 취하고,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우멘트 하중을 대략 균등하게 부하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에 있어서, 그 베어링 본체의 부하 전주면에 형성된 곡선 부하역에 대해서는, 그 가상원 중심을 궤도레일에 형성된 곡선 영역의 가상원 중심에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베어링 본체측 부하 전주면의 곡선 부하역과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곡선 영역과의 사이를 전주하는 보올의 당율이 향상하며, 각 보올이 거의 균등하게 하중을 부하할 수 있게 되어 접동 운동이 원활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은, 그 베어링 본체의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부하 전주면에 직선 부하역과 소정의 곡율을 갖는 곡선 부하역이 형성되고, 베어링 본체가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직선 영역을 미끄러 운동할 때에는 상기 직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로 하중을 부하할 수가 있으며, 이로써 하나의 베어링으로 직선안내와 곡선안내의 양쪽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1)이 나타나 있다.
이 베어링(A1)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궤도면(4)을 갖는 궤도레일(1)과, 상기 궤도면(4)에 상대면하는 부하 전주면(5)과 이 부하 전주면(5)의 양단을 무단에 접속하는 무부하 순환로(6)를 갖는 무한궤도를 갖는 베어링 본체(2)와, 이 베어링 본체(2)의 무한궤도내를 순환하고, 그 부하 전주면(5)과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하는 다수의 보올(3)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본체(2)는, 수평부(7)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8)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소매부(8) 내면측에는 내부에 각각 상기 부하 전주면(5)이 형성된 1조의 부하 보올홈(9)을 갖고 그리고 각 소매부(8)에는 상기 부하 보올홈(9)에 대응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부하 순환로(6)의 일부를 구성하는 무부하 보올구멍(6a)을 갖는 미끄럼대(2a)와, 이 미끄럼대(2a)의 전후 양단면에 장착되며 각 부하 보올홈(9)과 각 무부하 보올구멍(6a)의 사이를 연통연결하여 보올(3)의 무한 순환로(6)를 형성하는 보올방향 전환로(6b)를 갖는 한쌍의 덮개(2b)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부하 보올홈(9)은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에 의하여 접동대(2a)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d)보다 크며, 그리고 그 개구폭(ℓ)이 보올(3)의 직경(d)보다 작으며, 그 부하 보올홈(9)내에 형성된 부하 전주면(5)에 따라서 보올(3)이 자유로 전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베어링 본체(2)를 궤도레일(1)로부터 절리했을 때도 상기 부하 전주면(5)에 따라서 전주하는 보올(3)이 부하 보올홈(9)내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본체(2)의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각 부하 전주면(5)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방의 소매부(8)측에는 2개의 직선 부하역(L-1d)과 소정의 곡율을 갖는 하나의 곡선 부하역(L-1d)이 형성되고, 또 타방의 소매부(8)측에는 하나의 직선 부하역(L-1d)과 2개의 곡선 부하역(C-1d)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각 소매부(8)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L-1d)과 곡선 부하역(C-1d)은 그 일방의 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의 순이면 타방이 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의 순으로 배열되어서 서로 교대로 위치하며, 일방의 소매부(8)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L-1d)(곡선부하역(C-1d)은 타방의 소매부(8)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각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모든 곡선 부하역(L-1d)은 이들의 가장 원중심이 서로 일치해 있다. 그리하여 이들 직선 부하역(L-1d)과 곡선 부하역(C-1d)과는, 궤도 레일(1)측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에서는 상기 직선 부하역(L-1d)이 거기를 전주하는 보올(3a)을 통하여 하중을 부하하며 또 궤도레일(1)측 궤도면(4)의 곡선 영역(C-ar)에서는 상기 곡선 부하역(C-1d)이 거기를 전주하는 보올(3b)을 통하여 하중을 부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부하 전주면(5)에 형성하는 직선 부하역(L-1d) 및 국선 부하역(C-1d)의 각각을 전주하는 보올(3)의 수에 대하여는 그 배열이 3개↔7개↔3개로 되어 있으며, 일방의 부하 전주면(5)의 전후 양측에서 하중을 부하하고 있는 보올 수의 합계가 6개일 때 타방의 부하전주면(5)의 중간에서 하중을 부하하고 있는 보올 수는 7개로 되어 좌우의 밸러스가 취해져서 좌우 방향의 모우멘트 하중을 거의 균등하게 부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궤도레일(1)은 그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을 형성하는 직선 궤도레일(1a)과 그 궤도면(4)의 곡선 영역(C-ar)을 형성하는 원호상의 곡선 궤도레일(1b)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베어링 본체(2)가 이 곡선 궤도레일(1b)에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고 있을때는, 이 베어링 본체(2)측에 형성된 모든 곡선 부하역(C-1d)의 가상원중심은 상기 곡선 궤도레일(1b)의 가상원중심(제13도의 부호(o))에 일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대(2a)의 전후 양단면에 장착되는 각 덮개(2b)는 제9∼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미끄럼대(2a)측에 형성된 각 부하 보올홈(9)의 각 단부와 이들 각 부하 보올홈(9)에 대응하는 각 무부하 보올 구멍(6a)의 각 단부를 보올 방향 전환로(6b)에 의하여 연통 연결하며 보올(3)의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덮개 본체(11a)와 그 양 소매부에 장착된 한쌍의 덮개 피이스(11b)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덮개 본체(11a)는, 그 내면측에 깊이 방향에 있어서, 거의 반원상을 갖는 홈 구멍(12)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각 홈 구멍(12)의 개구연부에는 상기 덮개 피이스(11b)를 감입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단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덮개 피이스(11b)는, 상기 덮개 본체(11a)의 장착 단부(13)에 감착되어, 각 홈 구멍(12)와 함께 보올 방향 전환로(6b)를 형성하는 원주홈(14)을 갖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 각 덮개(2b)의 장착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끄럼대(2a)의 전후 양단부에 볼트 구멍(15)을 천설하고, 또 각 덮개(2b)에는 상기 볼트 구멍(15)에 각각 대응하는 단부 삽동 구멍(16)을 개설하여, 덮개(2b)축의 단부 삽통 구멍(16)으로부터 장착 볼트(17)를 삽통하며, 이 장착 볼트(17)를 미끄럼대(2a)측의 구멍(15)에 나사맞춤시켜서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제1도, 제4도, 제5도, 제7도, 제8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부호(18)은 각 궤도레일(1)에 천설되고, 이 궤도레일(1)을 여러 가지 기계장치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며, 또 부호(19)는 제13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바와같은 테이블(2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볼트가 나사맞춤하는 장착 구멍이다.
따라서, 이 제1실시예의 베어링(A1)에 의하면, 예를들면 제13도에 나타낸바와같이, 복수의 직선 궤도레일(1a)과 복수의 곡선 궤도레일(1b)을 조합시켜 옥상 트랙 형상의 궤도레일(1)을 구성하고, 이 궤도레일(1)의 적절한 위치에는 예를들면 부품의 주고받음을 하는 스테이션(S1∼S4)을 배설하고, 상기 궤도레일(1)에 따라서 미끄럼 운동하는 베어링 본체(2)에는 각각 테이블(20)을 장착하고, 이들 각 베어링 본체(2)를 궤도레일(1)에 따라서 접동시킬 때, 궤도레일(1)의 직선 영역(L-ar)에는 각 베어링 본체(2)의 상기 직선 부하역(L-1d)을 전주하는 각 보올(3a)에서 하중을 부하시키며, 또 궤도레일(1)의 곡선 영역(C-ar)에서는 각 베어링 본체(2)의 상기 곡선 부하역(C-1d)을 전주하는 각 보올(3b)에서 하중을 부하시킬 수가 있으며, 이로써 각 베어링 본체(2)에 하중을 부하시키면서 이 베어링본체(2)를 직선 영역(L-ar)과 곡선 영역(C-ar)을 갖는 궤도레일(1)에 따라서 주회시킬 수가 있으므로, 각 베어링 본체(2)에 장착되어서 주회하는 테이블(20)과 각 스테이션(S1∼S4)과의 사이에서 부품의 주고 받음을 행하는 반송 시스템을 조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직선 궤도 레일(1a)과 복수의 곡선 궤도레일(1b)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궤도레일(1)에 대하여는, 상기 제13도에 나타낸바와같은 육상 트랙 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대략 4각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와권 형상으로 구성하는 동,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2)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라서,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2a)의 각 소매부(8) 내면측에는 각각 상하 한쌍의 부하 보올홈(9a,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부하 보올 홈(9a,9b)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대(2a)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d)보다 크며, 그리고 그 개구폭(ℓ)이 보올(3)의 직경(d)보다 작게되어 있으며 또한 그 일방측 즉,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하의 부하 보올홈(9a,9b)내에 형성되는 부하 전주면(5)이 각각 45°의 각도로 경사하여 그면 방향이 서로 90°의 각도에서 교차하도록, 서로 수속하는 방향으로 면해있으며 레이디얼 방향, 역레이디얼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하중을 균등하게 부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의 베어링(A2)에 있어서, 각 소매부(8)에 있어 그 상방에 위치하는 좌우의 무한궤도 및 하방에 위치하는 좌우의 무한 궤도는 각각 그 부하 보올홈(9a,9b)내에 형성되는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과 곡선 부하역(C-1d)의 관계가 상기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관계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각 소매부(8)의 일방측, 즉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하의 무한궤도에 있어서의 그 부하 보올홈(9a,9b)내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L-1d)과 곡선 부하역(C-1d)의 관계는 그 상방의 무한궤도의 부하 전주면(5)이 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의 순이면 하방의 무한궤도의 부하 전주면(5)도 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의 순으로 배열되어서 상하 같은 배열로 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의 베어링(A2)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C-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8도 내지 제20도는, 상기 제2실시에의 변형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2)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6도의 경우와 다르게,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2a)의 각 소매부(8)내면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부하보올홈(9a,9b)은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보다 크며, 그리고 그 개구폭이 보올(3)의 직경보다 작게되도록 미끄럼대(2a)에 형성된 홈조부(21)와 이 미끄럼대(2a)에 장착된 홈 형성부재(22)에 의하여 형성되며, 또 각 소매부(8)에 형성된 상하한쌍의 무부하 보올 구멍(6a)의 간격이 부하 보올 홈(9a,9b)의 간격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변형에의 베어링(A2)도, 상기 제16도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제21도 및 제22도는 상기 제2실시예이외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6도 및 제18도 내지 제20도의 경우와 다르게, 이들 변형예의 경우에는,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2a)의 내면측에 넓은 폭의 홈조부(21)가 형성되며, 이 홈조부(21)의 각 코우너부에 각각 부하 전주면(5)이 형성됨과 동시에, 미끄럼대(2a)의 내면측에는 베어링 본체(2)를 궤도레일(1)로부터 절리한때 각 부하 전주면(5)으로 부터 보올(3)이 탈락함을 방지하기 위한 보올 유지기(22a)가 홈 형성 부재(22)로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22도의 경우에는 무부하 보올 구멍(6a)도 상기 홈조부(21)와 보올 유지기(22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23도 및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3)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나, 그 소매부(8)의 일방측 즉,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하의 부하 보올홈(9a,9b)내에 형성되는 부하 전주면(5)이 각각 45°의 각도로 경사하여 그 면 방향이 서로 90°의 각도로 이산하도록, 서로 확개하는 방향으로 면하고 있으며, 레이디얼 방향, 역레이디얼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하중을 균등하게 부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3실시예의 베어링(A3)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5도는 상기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3)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23도의 경우와 다르게,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2a)의 각 소매부(8)내면측에 형성되는 상하 한쌍의 부하 보올홈(9a,9b)은, 그 내경의 보올(3)의 직경보다 크고, 그리고 그 개구폭이 보올(3)의 직경보다 작게되도록 미끄럼대(2a)에 형성된 홈조부(21)와 이 미끄럼대(2a)에 장착된 홈 형성 부재(2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베어링(A3)도, 상기 제23도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운동 할 수가 있다.
또한, 제26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4)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나, 그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2a)가 양 소매부(8)내면측에 감합 홈(23)을 갖는 미끄럼대 본체(2a-A)와, 이 미끄럼대 본체(2a-A)의 감합 홈(23)내에 감착되는 한쌍의 베어링 레이스(2a-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베어링 레이스(2a-B)에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보다 크고, 그리고 그 개구폭이 보올(3)의 직경보다 작은 상하 한쌍의 부하 보올 홈(9a,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4실시예의 베어링(A4)도,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9도 및 제30도는, 상기 제4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4)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6도의 경우와 다르게, 베어링 본체(2)의 미끄럼대(2a)에 형성되는 무부하 보올 구멍(6a)이 미끄럼대 본체(2a-A)측의 홈조(6a-A)와 베어링 레이스(2a-B)측의 홈조(6a-B)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베어링(A4)도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또, 제31도 및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5)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3실시에의 경우와 같으나, 그 베어링 본체(2)을 구성하는 미끄럼대(2a)가 양 소매부(8) 내면측에 감합 홈(23)을 갖는 미끄럼대 본체(2a-A)와, 이 미끄럼대 본체(2a-A)의 감합 홈(23)내에 감착되는 한쌍의 베어링 레이스(2a-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베어링 레이스(2a-B)에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보다 크고 그리고 그 개구폭이 보올(3)의 직경보다 작은 상하 한쌍의 부하 보올 홈(9a,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5실시예의 베어링(A5)도,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33도 및 제34도는, 상기 제5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5)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1도의 경우와 다르게, 베어링 본체(2)의 미끄럼대(2a)에 형성되는 무부하 보올 구멍(6a)이 미끄럼대 본체(2a-A)측의 홈조(6a-A)와 베어링 레이스(2a-B)의 홈조(6a-B)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베어링(A4)도, 상기 제5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제35도 및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실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6)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게, 베어링 본체(2)가 한쌍의 앵글러형 베어링 부재인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와 서로 평행으로 위치하는 이들 한쌍의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의 상면의 사이에 장착 볼트(32)에 의하여 가설되어서 이들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을 서로 연결하는 천판 부재(3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일방의 미끄럼대 반쪽부(30a)의 상하 한쌍의 부하 전주면(5)이 각각 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 1d)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하면, 타방의 미끄럼대 반쪽부(30b)의 상하 한쌍의 부하 전주면(5)은 각각 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의 순으로 배열되어 천판 부재(31)에 의하여 베어링 본체(2)에 조립되었을 때는, 일방의 미끄럼대 반쪽부(30a)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직선 부하역(L-1d)(곡선 부하역(C-1d)은 타방의 미끄럼대 반쪽부(30b)의 부하 전주면(5)에 형성된 곡선 부하역(C-1d)(직선 부하역(L-1d)과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제6실시예에 있어서, 각 미끄럼대 반쪽부(30a,30b)는 각각 상하 한쌍의 부하 보올 홈(9) 및 무부하 보올 구멍(6a)을 갖는 점동 부재(33)와 그 양단에 장착되고 상하 한쌍의 보올 방향 전환로(6b)를 갖는 한쌍의 덮개부재(3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하 보올 홈(9)은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에 의하여 미끄럼 부재(33)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보올(3)의 직경(d)보다 크고 그리고 그 개구폭(ℓ)이 보올(3)의 직경(d)보다 작고 이 부하 보올 홈(9)내에 형성된 부하 전주면(5)에 따라서, 보올(3)이 자유로 전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베어링 본체(2) 즉 미끄럼대 반쪽부(30a,30b)를 궤도레일(1)로부터 절리했을때도 상기 부하 전주면(5)에 따라서 전주하는 보올(3)이 부하 레일 홈(9)내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제6실시예의 베어링(A6)도,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궤도레일(1)의 궤도면(4)의 직선 영역(L-ar) 및 곡선 영역(C-ar)을 각각 베어링 본체(2)에 형성한 부하 전주면(5)의 직선 부하역(L-1d) 및 곡선 부하역(C-1d)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제6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베어링 본체(2)를 구성하는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의 부하 보올 홈(9)에 대하여는, 제18∼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의 미끄럼 부재(33)측에 형성되는 홈조부와 이 미끄럼 부재(33)에 장착되는 홈 형성부재에 의하여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7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A7)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6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으나, 각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부하 전주면(5)이 서로 확개하는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제6실시예의 경우와 반대의 관계를 갖는 것이다. 이 제7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직선미끄럼 운동 및 곡선 미끄럼 운동이 가능할뿐 아니라, 상기 제6실시예와 같이 미끄럼대 반쪽부(30a,30b)의 부하 보올 홈(9)을 미끄럼 부재(33)측에 형성되는 홈조부와 이 미끄럼 부재(33)에 장착되는 홈 형성 부재에 의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은 하중을 부하하면서 직선 궤도레일 및 곡선 궤도레일에 따라서 각각 직선 안내 및 곡선 안내할 수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9)

  1. 길이 방향으로 연하여 형성된 궤도면을 갖는 궤도레일과, 상기 궤도면에 상대면하는 부하 전주면과, 이 부하 전주면의 양단을 무단에 접속하는 무부하 순환로를 갖는 무한 궤도를 구비한 베어링 본체와, 이 베어링 본체의 무한 궤도내를 순환하고, 이 부하 전주면과 궤도레일의 궤도면과의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하는 다수의 보올으로써된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본체의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부하 전주면에는 직선 부하역과 소정의 곡율을 갖는 곡선 부하역을 형성하고,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직선 영역에서는 상기 직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에서 하중을 부하함과 동시에, 궤도레일측 궤도면의 곡선 영역에서는 상기 곡선 부하역을 전주하는 보올에서 하중을 부하함을 특징으로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를 구성하는 미끄럼대가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를 갖고, 하측면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각각 1조의 부하 전주면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3.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를 구성하는 미끄럼대가, 수평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부터 수하하는 소매부를 갖고 하면측에 요부를 갖는 단면이 대략 문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소매부의 내면측에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4.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를 구성하는 미끄럼대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을 갖는 단면이 대략 구형상의 미끄럼대 반쪽부와 이들 한쌍의 미끄럼대 반쪽부의 상면 사이에 가설되는 천판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5.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에는 적어도 그 개구폭이 보올의 직경보다 작은 부하 보올 홈이 형성되고, 이 부하 보올 홈내에 부하 전주면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6. 제5항에 있어서, 부하 보올 홈이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에 의하여 베어링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7. 제5항에 있어서, 부하 보올 홈이 베어링 본체에 형성된 홈조부와 이 베어링 본체에 장착된 홈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8.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이 서로 수속하는 방향으로 면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9.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부하 전주면이 서로 확개하는 방향으로 면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KR1019880006140A 1987-05-25 1988-05-25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KR920000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5806 1987-05-25
JP62125806A JPS63293319A (ja) 1987-05-25 1987-05-25 直線及び曲線兼用ベア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276A KR880014276A (ko) 1988-12-23
KR920000341B1 true KR920000341B1 (ko) 1992-01-11

Family

ID=1491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140A KR920000341B1 (ko) 1987-05-25 1988-05-25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44624A (ko)
JP (1) JPS63293319A (ko)
KR (1) KR920000341B1 (ko)
DE (1) DE3817694A1 (ko)
FR (1) FR2615917B1 (ko)
GB (1) GB2208086B (ko)
IT (1) IT1217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6955A1 (fr) * 1991-05-31 1992-12-04 Faveyrial Maurice Robot manipulateur cartesien incorporant des moyens de transmission a courroie.
JPH0650333A (ja) * 1992-07-30 1994-02-22 Nippon Seiko Kk リニアガイド装置
JP3242487B2 (ja) * 1993-04-23 2001-12-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3176002B2 (ja) * 1993-09-24 2001-06-11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駆動ユニット
US5575565A (en) * 1993-11-08 1996-11-19 Nippon Thompson Co., Ltd. Rolling guide unit
JP3745369B2 (ja) * 1994-03-23 2006-02-15 Thk株式会社 リテーナを使用しない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のボール・ホールダ
DE19519400A1 (de) * 1995-05-26 1996-11-28 Schaeffler Waelzlager Kg Wälzführungsanordnung mit einer bogenförmigen Führungsschiene
US5809834A (en) * 1996-06-14 1998-09-22 Mrba Company Motion roller bearing assembly
US6327778B2 (en) * 1997-10-29 2001-12-11 Nippon Bearing Co., Ltd. Method for mounting a linear sliding device
DE19921872A1 (de) * 1999-05-11 2000-11-23 Rexroth Star Gmbh Führungsvorrichtung
US6338573B1 (en) 1999-06-09 2002-01-15 Thk Co., Ltd. Universal guide device and moving table device using same
JP2001241437A (ja) * 2000-02-29 2001-09-07 Nippon Thompson Co Ltd 曲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EP1148262B1 (de) * 2000-04-22 2004-08-04 INA-Schaeffler KG Linearwälzlager
JP4004873B2 (ja) * 2001-09-21 2007-11-07 Thk株式会社 案内装置のシール装置及び案内装置
DE10327641B4 (de) * 2003-06-20 2006-04-13 Franke & Heydrich Kg Segmentlager zur radialen und axialen Lagerung eines Schlittenteils an einem Führungsteil
US7401978B2 (en) 2003-08-25 2008-07-22 Nsk Ltd.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EP2067148B1 (en) * 2006-09-18 2011-06-2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electromagnetic energy transfer
JP2010006534A (ja) 2008-06-26 2010-01-14 Fanuc Ltd 物品搬送装置
DE102009031624B4 (de) * 2009-07-03 2011-04-07 Aktiebolaget Skf Lageranordnung
US10030700B2 (en) 2012-09-13 2018-07-24 Thk Co., Ltd. Guiding body and motion-guid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DE102015201500B3 (de) * 2015-01-29 2016-04-07 Aktiebolaget Skf Linearlager
DE102015216376B4 (de) * 2015-08-27 2017-11-23 Aktiebolaget Skf Führungswagen für Linearführung
CN105570297A (zh) * 2016-02-01 2016-05-11 嘉兴海菱达精密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滑块
GB2555141A (en) * 2016-10-21 2018-04-25 Accuride Int Ltd A sliding support assembly
US10612590B2 (en) 2018-01-24 2020-04-07 New-Field Energy, LLC Buoyancy-enhanced helical loop driv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0460A5 (ko) * 1968-12-21 1971-06-18 Coll Antonio
JPS5815651A (ja) * 1981-07-17 1983-01-29 Niigata Eng Co Ltd 機械加工装置
DE3139934A1 (de) * 1981-10-08 1983-04-28 Skf Kugellagerfabriken Gmbh Waelzlager fuer laengsbewegungen
JPS58130122U (ja) * 1982-02-26 1983-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ラ
JPS59208218A (ja) * 1983-05-11 1984-11-26 Hiroshi Teramachi 旋回ベアリング
GB8404448D0 (en) * 1984-02-20 1984-03-28 Hepco Slide Systems Ltd Slide
DE3438059A1 (de) * 1984-10-17 1986-04-24 Maho Werkzeugmaschbau Babel Einstellbare fuehrung fuer relativ bewegbare teile von insbesondere werkzeugmaschinen
JPS62101914A (ja) * 1985-10-30 1987-05-12 Tsubakimoto Seiko:Kk 旋回ベアリング
JPH06214132A (ja) * 1993-01-14 1994-08-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の配線切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276A (ko) 1988-12-23
JPS63293319A (ja) 1988-11-30
JPH0353497B2 (ko) 1991-08-15
GB2208086B (en) 1991-03-06
FR2615917B1 (fr) 1993-09-24
GB8812375D0 (en) 1988-06-29
DE3817694A1 (de) 1988-12-15
DE3817694C2 (ko) 1991-07-04
FR2615917A1 (fr) 1988-12-02
GB2208086A (en) 1989-02-22
US4844624A (en) 1989-07-04
IT1217720B (it) 1990-03-30
IT8820734A0 (it) 198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41B1 (ko) 직선 및 곡선 겸용 베어링
KR100316422B1 (ko) 미끄럼운동안내장치및그의유단부전동체체인
US5431498A (en) Linear motion bearing
US4582369A (en) Linear motion ball bearing
KR860001687B1 (ko) 직선접동용 베어링
US7465094B2 (en) Linear guide apparatus
KR100702377B1 (ko) 자재안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테이블 이송장치
US6547437B2 (en) Curvilinear motion guide units
JPS6014618A (ja) クロス直線ベアリングユニツト
KR890004031B1 (ko) 직선 운동용 보올 베어링
US4579395A (en) Roller bearing and feed table for linear sliding motion
US4692037A (en) Roller bearing for an infinite rectilinear motion
JPH1130233A (ja) 直線運動案内装置
JPS63186028A (ja) 曲線摺動用ベアリング
US5094549A (en) Linear roller bearing assembly
EP0551516A4 (ko)
US4572591A (en) Ball bearing arrangement for longitudinal movement on a shaft or the like
KR860001682B1 (ko) 직선접동 베어링
US3844628A (en) Anti-friction ball bearing assembly
KR860001684B1 (ko) 무한직선운동용 굴림대 축받이
KR960014637B1 (ko) 직선 슬라이딩 운동용 베어링
US5207510A (en) Linear ball bearing assembly
JPH0461973B2 (ko)
JPS626983Y2 (ko)
JPH06280870A (ja) 曲線摺動用ベア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