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246B1 - 전기부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부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246B1
KR910010246B1 KR1019850001767A KR850001767A KR910010246B1 KR 910010246 B1 KR910010246 B1 KR 910010246B1 KR 1019850001767 A KR1019850001767 A KR 1019850001767A KR 850001767 A KR850001767 A KR 850001767A KR 910010246 B1 KR910010246 B1 KR 91001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ubular electrode
workpiece
conduct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019A (ko
Inventor
기요시 이노우에
마고또 오노우에
사다오 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자팍스 겐뀨소
기요시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58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018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7305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170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87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3282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자팍스 겐뀨소, 기요시 이노우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자팍스 겐뀨소
Publication of KR85000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400/00Moving mechanisms for tool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23H7/30Moving electrode in the feed dir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부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되고 배치된 주행도선(TW)의 부분단면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 부분을 상부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의 자동공급(AT)장치 부분의 절단 입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의 AT장치의 또다른 부분의 절단 입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AEC 장치의 투시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장치부분의 단면도.
제7a도 및 7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되고 배치된 TW의 다른 형태의 부분 단면 입면도.
제8도는 공급 통로내에서 포착할 수 있는 전선을 검출하기 위해 전선의 진행을 모니터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부식기계 3 : 전극도선
4 : 가공물 9,10 : 모터
24 : 가이드롤러 32 : 수집박스
37 : 하우징 39 : 왕복대
41 : 피니언 43 : 노즐
75 : 도구홀더 77 : 플랜지
85 : 척(chuck) 101 : 그리퍼
본 발명은 주행도선(TW) 전기부식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균일한 모우드로 도선을 자동으로 공급(AT)할 수 있는 개선된 TW 기계와 마찬가지로 TW 전기부식기계내의 도전성 가공물을 통과하는 전극도선을 공급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용어 ″전기부식″은 전기방전가공(EDM), 전기화학적 가공(EDM) 및 전기화학적 방전가공(ECDM)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전기가공처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용어 ″전극도선″ 또는 ″도선″은 얇고 연속적인 도선형태로 신장되어 있는 전극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형과 같은 신장된 전기부식전극과 같은 다른 유사한 어떤 형태로 포함한다.
TW 전기부식기계에 있어서, 연속적인 전극도선은 상기 기계상에 세트되며 공급수단에서 감는 수단으로 연속적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수단사이에 형성되는 도선의 연속적인 이동통로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송된다. 가이드 수단은 가공물 대향면에 통상 위치하여 절단영역을 횡단하는 직선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통로와 함께 배치되어 이송되는 도선을 유지시키며 절단영역내의 가공물과 기계적인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전극도선과 가공갭을 횡단하는 가공물사이에 연속펄스형인 전기가공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갭에는 물과 같은 가공유체가 넘쳐 흘러서 가공물로부터의 재질을 전기화학적으로 제거한다. 프로세스가 진행될때, 적절한 수치제어(NC) 유닛의 명령하에서 예정된 진행통로를 따라 전극도선의 축에 대해 가공물은 횡으로 위치하여 가공물내에 요구되는 절단이 일어난다.
TW 전기부식기계에는 일련의 분리된 작동으로 가공물내에 다수의 절단 또는 윤곽을 형성하기위한 기계가 요구되며, 상기 절단 또는 윤곽을 대부분 가공물내에서 시작된다.
이것은 어떤 일련의 TW 작동에 있어서 요구되는 절단 또는 윤곽과 관련된 최초 위치에서 가공물이 도선으로 ″관통″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목적으로, 가공물은 도선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위치에서 이미 형성된 통과 홀을 가져야 하며 기계상에 형성된 연속통로내에서 도선이 가공물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야 한다.
상기 관통은 작동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공물은 기계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재배치되어 설정된 직선통로와 함께 이미 형성된 통과홀과 일렬로 배치되어 도선이 이미 형성된 개시통과홀을 통해 방해되지 않는 통로를 따라 내부로 추진됨으로 자동적으로 관통된다(미합중국 특허출원 제3,891,819호). 종래의 개념에 따른 공지된 자동관통장치에서는 도선의 극단적인 두께(즉, 직경 또는 두께에 있어서 통상 0.4㎜ 이하) 및 본래의 탄성특성과 함께 결합된 자기-유지능력의 부족으로 어떤 어려움이 야기된다. 가끔, 도선은 이미 형성된 작은 통과홀 내부로 인입되기전에 전향되거나 또는 통과홀의 벽부분 및 다수의 이산된 가이드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필요한 관통통로내에서 포착된다. 따라서, TW 기계상에서 성공적으로 관통되기 위한 도선의 전향은 최적으로 90%가 되어야 하나 대부분은 이보다 훨씬 적게 된다. 통과홀을 미리 형성시켜야 할 필요성은 매우 효과적인 자동관통(AT) 및 TW 작동을 제공함으로 제거되며 TW 전기부식시스템에서의 종래의 관통 문제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해 상기 필요성을 제거하므로 해결된다.
본 발명은 전극도선을 TW 전기부식기계내의 가공물을 통해 관통시키는 새롭고 진보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따라서, 통과홀을 미리 형성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거할때 관통은 실제로 실패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성공율 변화는 99%이상).
본 발명은 매우 효과적인 새롭고 진보된 TW 전기부식 및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 제공하는 확실한 A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1개념으로 도선 공급수단과 도선을 감는 수단사이에서 소정의 연속적인 도선 주행통로에서 설정된 절단지역을 가진 주행도선 전기부식장치에 있는 도전성 가공물을 통해 전극도선을 관통시켜 전기부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1) 관형 전기부식전극을 직선인 도선 관통통로와 축상으로 일치시켜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상기 절단지역을 통해 연장시켜 배치하는 단계와 : 2)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도선을 상기 절단지역의 도선 주입구에서 관형 전기부식전극내로 주입시키는 단계와 : 3) 가공물을 상기 절단지역에서 상기 직선 통로와 일치된 상태로 주행 도선전기부식의 개시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 4) 관형전극을 상기 도선 관통통로를 따라 축상으로 진행시켜서 상기 개시위치에 있는 절단지역에서 가공물을 전기부식하여 상기 도선 주입구측과 도선출구 사이에서 가공물을 관통하는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 5) 관형 전기부식전극이 상기 가공물로부터 상기 직선통로를 따라 철회시키면서, 상기 가공물에서 가공된 상기 구경에서 부분적으로 도선을 남겨두는 단계와 : 6) 전극도선을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하여 도선이 관형전극밖으로 이동하여 나오게 하는 반면, 상기 구성내에서 도선이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상기 도선 출구에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상기 감김수단쪽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식방법.
본 발명의 제2개념으로 자동도선 관통기능을 가지며, 도선공급수단과 감김수단 및 상기 수단사이에서 도선 주행의 연속적인 소정의 통로에서 설정된 절단지역을 구비하며,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서 절단지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직선 도선 관통로를 구비하는 주행도선 전기부식장치에 있어서, 도전 가공물을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주행도선 전기부식의 개시위치는 상기 직선통로와 서로 일치하여 놓여져 있으며 ; 관형 전기 부식전극을 수납하며, 상기 전극을 상기 직선 도선 관통로와 축이 일치되게 지지하는 기구 고정기를 구비하여, 관형전극이 내부에 상기 기구 고정기를 통해 연장된 전극도선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도선을 상기 절단지역의 도선 주입구에서 상기 관형전극내로 삽입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구비하며 ; 상기 관형전극을 상기 직선 도선 관통로를 따라 가공물내로 진행시키는 상기 기구 고정기와 연관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그동안, 가공물은 절단지역의 상기 도선주입구와 상기 도선출구사이에서 가공물을 관통하는 구경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부식되며, 그후, 관형전극은 가공물로부터 철회되는 반면, 도선의 일부분이 가공된 구경내에 남아 있으며, 도선공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으로 부터 도선을 공급하는 상기 구동수단에 연관하여 작동하며 삽입된 도선이 상기 관형전극 외부로 이동해 나오도록 구동하고, 도선은 부분적으로 가공된 구경내에 남아 있으며, 상기 도선출구에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감김수단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형태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으로 단지 예로서 나타낸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명확해진다.
제1도는 적절한 형태로 배치된 자동 도선-관통시스템(3)이 있는 TW 전기부식기계(1)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장치는 전극도선(3)이 전기도전성 가공물(4)을 통해 관통되는 기계의 상태 및 내부구경(5)에서 시작되는 프로그램된 윤곽을 절단하기 위한 TW 전기부식작동을 시작하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구경(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3)의 관통과 동시에 형성된다. 도선은 0.05에서 0.5㎜의 직경두께를 가지며 통상 0.4㎜ 이하이다.
가공물(4)은 작업대(7)상의 도전성 클램프(6)에 의해 고착되며, 다음에 기계(1)의 베이스(11)상의 X축 및 Y축 모터(9) 및 (10)에 의해 수평 X-Y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교차된 테이블(8)상에 고착된다. 기계(1)의 프레임은 베이스(11)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원주(12)를 구비한다. 원주(12)로부터 상부암(13) 및 하부암(14)이 수평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암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직경이 0.2㎜이며 청동으로 되어 있는 전극도선(3)은 회전축(15a)상에 부착되는 도선 저장릴(15)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회전축은 원주(12)상에 회전할 수 있게 고착되며 토오크모터(16)에 의해 회전하여 도선이 릴(15)로부터 유연하게 배출되게 한다. 도선(3)은 원주(12)상의 가이드롤러(17a),(17b) 및 (17c)상에 뻗어 있다. 다음에 도선은 가이드 롤러(18a)를 통해 장력롤러(19)와 (20) 사이로 인도되며 상부암(13)상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판(13a) 상의 가이드롤러(18b) 및 (18c)를 통해 인도된다. 롤러(19)는 직류모터(21)에 의해 구동되며, 롤러(20)는 도선을 통해 롤러(19)에 대향으로 압착되어 가이드롤러(18b) 및 (18c)와 함께 장력유닛을 구성한다. 장력롤러(19),(20)와 가이드롤러(18b)사이에 수평도선-가이드관(22) 및 감지기(23)가 위치하며, 이들의 작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장력유닛을 통과하는 도선(3)은 헤드 부재(69)상의 가이드롤러(24)에서 전환되어 가공물(4)을 통과하여 하부로 뻗어서 도선-활성화/가이드롤러(25)에서 전환되어 한쌍의 도선 견인롤러(27),(28), 신장된 관형 가이드(29) 및 한쌍의 추출롤러(30),(31)를 구비하는 도선-감는 시스템(26)을 통해 수평으로 뻗어서, 결국 수집 박스(32)내에 도달한다. 롤러(28)는 직류모터(33)에 의해 구동되며 롤러(27)는 도선(3)을 통해 구동롤러(28)에 대해 압축을 받아서 전방 견인력이 인가되어 도선 공급유닛(15)과 도선-죔유닛(26) 사이의 연속통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도선이 축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가공물(4)내의 TW-절단영역을 횡단하며 롤러(24)와 (25)사이에 형성되는 직선통로를 따라 도선이 공급된다. 도선 공급편에서의 장력롤러(19)는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20)와 함께 도선에 후방 견인력 또는 브레이킹력을 제공하여 도선(3)이 구동롤러(27) 및 (28)에 의한 견인력하에서 직선통로와 일치되게 신장되어 이동되게 한다. 추출가이드(30) 및 (31)은 모터(33)에 의해 롤러(27)와 함께 구동되어 도선이 관형 가이드(29)를 통해 밀려져서 수집박스(32) 내부로 향해 추출되도록 한다. 또, 전방으로 수렴되어 개방된 가이드부재(34) 및 (35)는 롤러(25)와 롤러(27),(28)사이에 위치하며 도선(3)의 자유종단부가 활성화롤러(25)에서 전향되어 견인롤러(27),(28) 및 풀링롤러(30),(31)가 상술된 관통작동을 양호하게 이행되게 한다. 상기 작동에 있어서, 죔유닛(26)의 롤러(27)는 수압 또는 유압드라이브(36)에 의해 약간 부상되어 도선종단이 죔유닛(26)으로 쉽게 인입되게 한다.
가공물(4) 상ㆍ하부에는 인접하는 하우징(37) 및 (38)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술한 직선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극도선(3)에 횡으로 되어 있으며 함께 동축으로 되어 있다. 하부하우징(38)은 암(14)의 종단부 내부 또는 종단부상에 지지되며, 반면에, 상부하우징(38)은 헤드부재(69)에 고착되는 수직부재(39)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하우징은 상부암(13)의 종단부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피니언(41)과 함께 맞물리는 랙(40)을 가진다. 피니언(41)은 모터(42)에 의해 회전하여 헤드부재(69)를 움직이며 수직왕복대(39)를 상하로 움직여서 가공물(4)의 상부 표면에 인접하는 하우징(37)을 수직으로 위치하게 한다.
상술된 장치내의 하부하우징(38)은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게 접합되는 ″이동노즐″(43)을 가져서 하우징(38)내의 유압하에서 제한된 정도로 가공물(4)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환형 다이아몬드 ″다이″ 가이드부품(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내부에 함께 접합되어 있는 ″다이″ 가이드부재(44)는 하우징(38)내에서 사용되어 도선(3)이 이동되어 노즐(43)로 활주할 수 있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동노즐(43)은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 개구와 동축이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블록(45)의 구경(45a)과 동축이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구경과 연속으로 되어 있으며, 곡선형인 내부표면(45b)을 가져서 가이드롤러를 따라 좁은 원호형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통로를 통해 구경으로부터 이동되는 도선(3)은 수렴가이드(34)를 거쳐 견인롤러(27) 및 (28) 내부로 인도된다. 가공유체(즉, EDM에서 이온화된 물)가 상승된 압력(즉, 6 내지 8㎏/㎠)하에서 공급되어 펌프(47)에 의해 소오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유체인입구(46)를 통과하여 하우징(38)에 도달하며 상부로 향해 이동노즐(43)을 통해 가공물(4)의 절단영역으로 향한다. 밸브유닛(48)은 절단영역 내부로 흘러 들어오는 가공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조정하기 위해 위치한다. 가공유체는 가이드부재(44), 가이드 블록(45) 및 활성화/가이드롤러(25) 및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도선(3)을 냉각시키기 위해 하우징(38)내에서 하부로 부분적으로 전환된다.
상부하우징(37)은 상부 도선-활성화유닛(51) 및 상부 정밀 가이드유닛(52)을 각각 사용하는 분리된 각막이(49) 및 (50)를 가진다. 도선 활성화유닛(51)은 도선(3)과 맞물리는 도전성 핀을 구비한다. 활성화핀(51)은 도선과 역시 맞물리는 도선 지지핀(53)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핀(51) 및 (53)은 유압 또는 기압드라이브(54)에 의해 결합되어서 TW 작동중에 도선(3)과 모두 맞물려서 상술된 직선통로로부터 간격을 가지며 자동관통(AT) 작동중에 예정된 위치내에 놓여진다. 정밀 가이드유닛(52)은 V형 노치 및 V형 돌출부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가이드부품(52a) 및 (52b)을 구비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에 전극도선(3)이 위치하게 한다.
상기 부품은 유압 또는 기압드라이브(55) 및 (56)로 대체될 수 있으며 TW 작동에서 도선(3)과 맞물려서 상술된 직선통로로부터 간격을 가지며 상술된 AT 작동중에 예정된 위치에 놓여진다. 두 간막이(49) 및 (50)는 각각 유체인입구(57) 및 (58)을 구비하며 상기 인입구 각각은 밸브유닛(59)을 통해 펌프(47)와 연결된다. 제1간막이(49)는 인입구(57)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인 가공유체로 채워지며, 상기 냉각수는 활성화 핀(51) 및 지지핀(53)을 냉각시킨 후 출구(60)를 통해 유출된다. 가공유체는 인입구(58)를 통해 퍼올려져서 적절한 압력(약 1㎏/㎠)하에서 제2간막이(50) 내부로 유입되어 하우징(37)의 하부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61)을 통해 하부로 향해 가공물(4)의 절단영역 내부로 유입된다. 도선(3)은 전방으로 수렴된 인입개구(62)를 통해 상부간막이(49) 내부로 유입되며, 간막이(49)와 (50) 사이의 통로(63)를 통해 이동하여 수렴되어 있는 노즐(61)로 부터 절단영역 내부로 유입된다. 인입개구(62), 통로(63) 및 출구노즐(61)은 서로 동축으로 되어서 상술한 직선통로와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크기가 상술한 관형 부식전극(64)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적절하게는, 인입개구(62) 및 통로(63)는 충분히 좁아서 관형전극(64)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활주할 수 있게 이동한다. 노즐(61)의 개구는 관형전극(64)주위에 제공되어 가공물(4) 내부로 나아가서 환형공간을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이 AT 작동에서 간막이(50)로부터 가공유체가 넘쳐 흐른다.
도시된 전기부식(즉, EDM) 전력공급원(65)은 가공물(4)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전성 클램프(6)에 접속된 한단자(통상 양극) 및 암(66)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다른 단자(통상 음극)를 가지며, 제1접촉자(67a)는 한편에서는 도전성 핀(51)에 접속되어 가공물(4)상의 전극도선(3)을 활성화시키며 다른편에서는 도전성 가이드롤러(25)에 접속되어 가공물(4) 하부의 도선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전기부식전류가 가공갭을 횡단하여 주행도선(3)과 가공물사이로 흐르며 가공물(4)로부터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공유체가 상기 갭사이로 넘쳐 흐른다. 자동수치 제어유닛(68)은 모터(9) 및 (10)에 구동펄스를 제공하여 상부 및 하부 가이드유닛(52) 및 (44)사이에서 정확하게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전극도선(3)에 대해 가공물(4)이 프로그램된 통로를 따라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가공물(4)은 변위에 대해 프로그램된 통로에 대응하는 윤곽으로 전기부식되어 절단된다.
가공물(4)내에 프로그램된 윤곽을 가공하기 위한 상술된 TW 작동 전 및 가공물 또는 다수의 가공물내에 분리된 윤곽을 가공하기 위한 연속적인 TW 작동사이에서, 도선(3)이 윤곽의 예정된 출발위치에서 가공물을 통해 관통되어 내부가 절단된다. AT 작동이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이행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되며 도시된 장치(70)와 함께 설치되어 있는 장치(2)는 가공물(4)내에 최초의 구경을 형성시킬 필요성을 제거시킨다.
장치(70)는 수직왕복대(71)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왕복대는 여기에 고착되는 수직너트(72)를 가진다. 너트(72)는 헤드부재(69)에 회전할 수 있게 고착되는 리드스크류(73)와 맞물린다. 리드스크류(73)는 스테핑모터(74)에 의해 구동되며 왕복대(71)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장치(7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장치(70)는 하부종단부에 관형전극(64)이 확실하게 내부에 수용되게 하는 척(chuck) 유닛(76)과 도구홀더(75)를 가진다. 원통형 관형전극(64)은 외부직경이 0.5㎜에서 2㎜까지이며 내부직경은 도선(3)이 인도되어 도선(3)이 잘못 배치되지 않고 내부로 통과되는 크기를 가진다. 예로서, 관형전극(64)은 도선(3)이 0.2㎜ 직경을 가질때 외부직경 1㎜ 및 내부직경 0.3㎜를 가진다. 적절하게는, 원통형 관형전극(64)의 내ㆍ외부직경은 ¼에서 ½의 비를 가진다. 전극(64)의 내부직경에 대한 도선(3)의 직경비는 0.5 내지 0.9가 적절하다.
도구홀더(75)는 직류모터(79)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78)과 맞물리는 기어로 된 플랜지(77)를 가지며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80)과 회전할 수 있게 저어널 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도구홀더(75)는 중앙에 구경이 있으며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83) 및 (84)을 각각 가지는 두 소실(81) 및 (82)을 구비한다. 끝이 가늘어진 견부를 가지는 부재(84)는 중앙에 구경을 가지는 고무접합부(86)를 통해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척(85)상에 위치하며 스프링(87)상에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관형전극(64)은 상부로 수렴되는 중앙개구(88)를 통해 척(85)으로 삽입된다. 압력유체는 인입구(89)를 통해 소실(82)의 벽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내부 및 피스톤(84)으로 유입되어 피스톤이 하부운동을 하여 탄성접합부(86)를 압축한다. 따라서 삽입된 관형전극(64)이 부분으로 형성된 척(85)과 확실하게 클램프된다. 상부 소실(83)은 가압 가공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유체는 적절하게 이온화된 물이며, 클램프된 관형 전극(64)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피스톤(83)은 소실(83)내에서 활주할 수 있게 유지되어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며 고무접합부(90)를 수용한다. 가공유체가 펌프(92, 제1도)에 의해 인입구(91)를 통해 유입되므로, 피스톤(83)은 약간 위로 부상하여 탄성접합부(90)를 압축하여 피스톤(83)의 하부종단면 하부에 통로를 형성시켜, 퍼올려진 가공유체가 도구홀더(75)내의 중앙에 형성된 유체통로(93)를 거쳐 상기 통로를 통과하게 한다. 밸브유닛(94, 제1도)은 소실(83)내부로 퍼올려진 가공유체의 압력 및 관형전극(64)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구홀더(75)는 전기적으로 도체이며 플랜지(77)는 접촉자(6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브러쉬(95)에 의해 접촉되어, 암(66)이 접촉자(67b)와 맞물릴때, 브러쉬(95)는 전기부식 전력원(65)의 전극단자에 접속되어 관형전극(64, 제1도)을 활성화시킨다.
제1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장치(70)는 한쌍의 롤러(96) 및 (97)(세라믹으로 조성되어 있음)를 또 지탱하며 도선(3)이 헤드부재(69)상의 가이드롤러(24)로부터 하부로 향하게 한다. 롤러(96)는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도선(3)과 맞물려서 고착되며 반면에 롤러(97)는 전자기 작동기(98)에서 변위될 수 있어서 고정된 롤러(96)에 대하여 도선과 맞물리거나 풀어진다. 롤러(96)에는 레버(99)가 제공되어 수동으로 도선과 맞물리게 하거나 풀어지게 한다. 또, 장치(70)에는 한쌍의 그리퍼(101) 및 (102)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그리퍼는 롤러(96),(97)로부터 전방으로 수렴된 도선가이드(100)를 통과하여 뻗어있는 도선(3)을 수용할 수 있게 작용하며 전선이 관형전극(64) 내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히팅코일(107)은 하부그립(102) 하부에 위치하며 도선주위에 위치하여 전력공급원(108)에 의해 활성화되어 도선이 충분히 당겨져서 절단되도록 온도 600℃의 국부가열이 행해진다. 그리퍼(101) 및 (102)는 각각의 죠(Jaw)부 또는 핑거부(101a),(101b) 및 (102a),(102b)쌍을 가지며 상기 쌍은 도선(3)을 감고 풀어지게 하는 전자기 조정자(103)에 의해 작동된다. 상술된 장치에 있어서, 하부그리퍼(102)는 적절한 위치에서 수직으로 고착되며, 반면에 상부 그리퍼(101)는 또다른 전자기 작동기(105)에 의해 상하로 움직인다. 작동에 있어서, 상부 그리퍼(101)는 예정된 스트로크 d만큼 수직으로 왕복한다.
각각의 상하 주기에 있어서, 최상부 위치에 존재할때의 그리퍼(101)는 작동자(103)에 의해 작동되어 도선(3)을 파지하며, 그리퍼(102)가 도선(3)을 풀때는 작동기(105)에 의해 하부로 움직이게 작동한다. 이때 스트로크 d는 2㎜이다. 그리퍼(101) 및 (102)가 작동하여 파지력 10㎏ 내지 20㎏으로 도선(3)을 파지하며 이때 위치 정확성은 ±0.05㎜이다. 그리핑시스템(101)-(105)은 도선이 5 내지 15m/min의 비율로 진전되도록 작동한다.
상술한 AT 작동에 있어서, 도선은 ″초기관통″ 또는 ″재관통″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관통에 있어서, 공급릴(15)로부터의 도선의 자유종단부는 장치(70)상의 하부 그리퍼(102)와 도구홀더(75) 사이에 놓여지게 고정된다. 공급릴(15)로부터의 도선은 롤러(17a)-(17c) 및 (18c) 상부에서, 장력롤러(19)와 (20) 사이로 인도되어 가이드관(22)을 통과하여, 가이드롤러(18b),(18c) 및 (24) 상부에서 개방된 상부 그리퍼(101)를 통과하여, 접촉센서(106) 개구 및 개방된 하부 그리퍼(102)로 인도된다. 관형전극(64)은 AEC(자동전극변환)유닛(110)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구홀더(75)와 고정된다. 상기 유닛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 가공물(4)은 적절한 위치에서 세트되어 프로그램된 TW-전기부식 윤곽의 초기위치가 관형전극(64)을 통과하는 상술한 직선통로와 일렬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 접속에 있어서, 헤드부재의 수직위치는 가공물(4)의 두께에 종속되어 상부 하우징(37)의 노즐(61)이 가공물(4)의 상부 표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장치(70)는 관형전극(64)의 전방종단부가 하우징(37)의 상부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수직위치에 놓여진다.
″재관통″의 경우에 도선(3)은 관형전극(64) 및 TW로 가공된 가공물(4)을 통과하여 공급릴(15)과 수집상자(32) 사이에 연속되는 통로를 따라 뻗어있다. 이 경우, 롤러(96)는 다시 롤러(97)로부터 떨어져서 고정되며, 그리퍼(101) 및 (102)는 도선이 풀어지는 위치에 존재하며 관형전극(64)으로부터의 도선은 핀(43) 및 (44)과 상부 하우징(37)내의 상부 정밀 가이드부재(52a) 및 (52b)와 접촉되게 뻗어서, 가공물(4, TW 절단윤곽 종단부)을 통과하여 하부 하우징(38)을 통과하여 롤러(23) 상부에서 감는 장치(26) 내부로 향한다. 재관통 작동은 상술한 직선 통로내에서 가공물(4)의 상부 도선을 절단함으로 시작된다. 상술된 장치(3)에 있어서, 도선은 가열코일(107)에 의한 열에 의해 절단되며 코일(107)은 전력공급원(108)에 의해 일시적으로 활성화되어 하부 그리퍼(102)와 도구홀더(75) 사이에서는 도선을 절단하기에 충분한 국부열이 진전된다. 견인롤러(27) 및 (28)는 모터(33)에 의해 구동되어 관형전극(64), 상부 하우징(37), 가공물(4), 하부 하우징(38)등을 통과하여 전방 절단 도선부를 진전시켜 수집상자(32) 내부로 추출되게 한다. 공급편상의 도선의 절단 자유 종단부는 도구홀더(75)상에 즉시 놓여진다. 그후, 가공물(4)은 리세트 되거나 또는 새로운 가공물(4)이 수평(X-Y) 위치에서 재배치되어 요구되는 TW-전기부식 윤곽의 프로그램된 초기위치는 관형전극(64)을 통해 뻗어있는 직선도선 관통통로와 일렬로 배치된다.
AT 작동의 연속적인 필수단계인 초기관통 및 재관통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6) 및 (21)와 그리퍼(101) 및 (102)가 작동되나, 모터(33)는 구동되지 않는다. 모터(21)은 장력롤러(1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위해 구동되며 도선은 관형가이드(22)와 가이드롤러(18b) 사이에서 늦추어져서 약간 아래로 걸려 있다. 모터(16)는 공급릴(15)내의 도선이 견인롤러(19) 및 (20)에 의해 야기되는 견인력에 의해 풀어진다. 그리퍼(101) 및 (10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작동되어 각각의 진전 스토로크동안 길이 d 만큼 도선이 간헐적으로 진전된다. 따라서, 도선(3)의 자유종단부는 도구홀더(75)를 통해 내부에서 클램프 되어 있는 관형전극(64) 내부로 삽입된다. 도선의 자유종단부가 직선통로를 따라 진전되므로, 관형가이드(22) 및 가이드롤러(18b) 사이의 도선부는 진전도선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도선이 접촉감지기(23)와 접촉될때까지 점차적으로 부상한다. 상기 감지기가 도선과 접촉할때, 롤러(1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급릴(15)로부터 관형가이드(22)를 넘어서 도선을 분배한다.
따라서, 도선 전방 드라이브(19)-(21)는 접촉감지기(22)에 제어하에서 간헐적으로 구동되어, 분배된 도선이 그리피(101),(102)의 느슨해진 도선을 유지하며 그리퍼가 도선을 간헐적으로 유연하게 진전되도록 한다.
도선은 그리퍼(101),(102)에 의해 인입되어 전길이 또는 주어진 정도의 길이만큼 관형전극(64) 내부로 인입되어, 관형전극(64)이 가공물(4)을 전기부식적으로 관통할때 상술한 도선(3)의 종단부는 가공물의 하부표면을 넘어서거나 또는 하부에 놓여진다.
관형전극(64) 내부로 입입되는 도선(3)은 작동자(103) 및 (104)에 의해 도선-파지상태로 셋트되는 그리퍼(101) 및 (102)의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장치(70) 또는 왕복대(71)에 클램프된다. 또, 작동기(98)는 작동하여 롤러(96)가 고정된 롤러(97)와 확실히 맞물리게 하며 이들 사이가 클램프되게 한다. 모터(74)는 서어보-제어 모우드로 구동되어 왕복대(71)를 움직여 관형전극(64)이 상술한 직선통로를 따라 하부로 움직여 가공물(4)로 향한다. 모터(16) 및 (21)는 도선이 공급릴(15)로부터 계속 분배되도록 작동하여 도선이 장치(70)와 함께 진전되게 한다.
하우징(37)에 있어서, 핀(51) 및 (53)은 작동기(54)에 의해 철회되어 관형전극(64)과 접촉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52a) 및 (52b)도 작동기(55) 및 (56)에 의해 역시 철회되나 이것은 제한된 정도이며 통로를 따르는 선형운동을 인도한다. 펌프(92)는 작동하여 가압가공유체(입구에서의 압력 60㎏/㎠)를 도구홀더(75)를 통해 관형전극(64) 내부로 공급하여, 유체가 개방 종단부를 통해 넘쳐 흐르도록 한다.
펌프(47)는 가공유체(입구측에서 압력 5㎏/㎠)가 노즐(61)을 통해 가공물(4)상에 공급되도록 작동한다. 암(66)은 접촉자(67a)와 맞물리도록 셋트되어 EDM 전력원(65)으로부터 관형전극(64) 및 가공물(4)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관형전극(64)은 서어보 구동모터(42)에 의해 가공물(4)내로 진전되며 전기부식적으로 가공물로부터의 잔여물을 제거시켜 내부에 구경(5)을 형성한다. 인입개구(62), 통로(63) 및 확장된 정밀 가이드유닛(52)은 효과적으로 관형전극(64)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가공물(4) 내부를 통해 진전되어 전극(64)이 측방으로 편향되어 신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공유체는 도구홀더(75)로부터 관형전극(64) 외부로 계속 넘쳐 흘러서 가공물(4)로 유입되며, 전기부식 매체로 사용되어 가공잔여물을 제거시키며 관형전극을 냉각시킨다. 하우징(37) 내부로 유입되는 가공유체는 관형전극(64) 및 가이드유닛(5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며 관형전극이 진전되도록 유체베어링으로도 역시 사용된다. 또, 노즐(61)은 관형전극(64) 주위에 환형유체 흐름을 야기시켜서 가공영역내에 관형전극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가공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세정 및 냉각작용을 강화시킨다. 가공물(4)내에 구경(5)이 형성되는 동안에, 관형전극(64)이 축주위에서 신속하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회전방향은 대향방향으로 약 270°이다.
상기 전극회전은 일정하며 동적인 세공작용과 함께 한편으로는 구경형성비를 강하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관형전극(64)상에서의 도선용해를 방지할 수 있다. 관형전극(64)은 하우징(37)에 인접하여 삽입되거나 추출된 후에 회전이 시작되어, 자유 종단부가 하우징(34) 내부로 관통되기 전인 자유공간내에서 움직이는 동안 자유 종단부는 요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구경(5)의 전기부식적 형성에 있어서, 가끔 다음과 같은 가공조건이 요구된다. 즉, 더 높은 피이크전류 및 전기펄스의 더 짧은 기간이 요구된다. 이것은 구경 형성비인 잔유물 제거비를 높이기 위해 마모되는 전극이 많아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 도선의 전길이가 처음부터 관형전극(64)을 통해 뻗어서 셋트되어 있을때, 관형전극(64)의 하부 종단부로부터 실제 길이는 상기 전극내부로부터 이동되는 도선종단부의 관련길이(상기 길이는 실제로 부식된 관형전극의 레벨에 도달함)와 함께 부식되어 마멸된다. 가공물(4)을 통한 관형전극(64)의 진전거리는 두께보다 훨씬 큰 것이 요구된다. 관형전극(64) 길이의 부식마멸 또는 감소의 정확한 길이를 확실하게 알 수 없을때는 가공물(4)내에서 구경이 끝이나는 관형전극의 절단통과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도에 있어서, 접촉감지기(111)가 가공물(4) 하부에 도시되어 있으며 유압 또는 기압작동기에 의해 움직이도록 설계되어서 AT 작동에 있어서 감지부분은 관형전극(64)의 축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감지기(111)에도 펌프(113)에 의해 가공유체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가공유체는 가압하에서 개구(114)를 통해 가공물(4) 영역을 향한다.
상기 영역은 관형전극(64)이 가공물(4)을 관통하여 내부구경(5)에서 끝나는 영역이다. 관형전극(64)이 가공물(4)을 관통할때 공기가 가공갭내로 유입되어 부식추출은 불안정하게 되어 완전한 절단통과를 방해하며, 형성되는 구경의 질을 저하시켜 도선의 과도한 마멸을 야기시켜 관형전극상에 용해가 일어나게 한다.
상기 문제는 구경종단 영역내로 유입되는 가공유체의 보조흐름을 사용함으로 극복될 수 있다. 밸브유닛(115)은 펌프(113)와 유닛(111)의 입구부 사이에 위치하여 노즐(114)을 통과하여 흐르는 보조가공유체의 유입압 7㎏/㎝을 조정한다.
관형전극(64)이 가공물(4)을 관통할때, 내부에 구경이 완성되며, 감지기(107)와 접촉하기 시작하며, 상기 감지기는 모터(74)상의 제어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작동하여 관형전극(64)을 약간 들어 올린다. 이때 관형전극 종단부는 여전히 구경 아래에 위치한다. 즉, 가공물(4)의 하부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비록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관형전극(64)은 완성된 구경내의 하부 종단부에 위치하도록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작동기(112)는 관형전극(64)의 전면으로부터 이동되도록 작동되어, 도시된 정지위치로 돌아가며, 감지기 유닛(111)은 관형전극(64)의 종단부를 넘어선 도선전극(3)의 또 다른 방해되는 통로를 가진다. 제어회로는 또한 EDM 전원공급장치(65)를 차단하여 펌프(113)를 작동불능케 한다.
다음, 조립체(70)에서, 모터(79)는 관형전극(64)의 회전을 멈추기 위해 정지된다. 작동기(98)는 도선을 분리시키기 위해 롤러(96)를 후퇴시키며, 작동기(104)는 파지장치(102)가 도선을 분리시키도록 한다. 감아들이는 부분에서, 롤러(26)는 작동기(36)에 의해 약간 들어 올려져 롤러(77) 사이에서 들어오는 도선(3)의 자유단부가 용이하게 들어가게 한다. 파지장치(101,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물(4)를 관통하는 관형전극(64)을 통해 도선이 진행하도록 작동한다. 그래서, 관형전극(64)의 단부에 있는 도선(3)의 자유단부는 하부하우징(38)을 통해 노즐(43)내로 들어가며, 하부 정밀도선 안내부(44)와, 롤러(25)상의 굴곡안내부(45b)와 안내개구(34)를 통해 롤러(27,28) 사이에 들어간다. 상기 단계에서, 관형전극(64)과 하우징(37)에는 작동유체를 밀어 넣어 관형전극(64)과 도선의 주변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여 도선의 단부가 노즐(43)을 통해 하부 정밀도선 안내부(44)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선은 도선의 자유단부가 예를들어 롤러(27,28)에 도달할때까지 파지장치(101,102)에 의해 진행된다. 그래서, 전기적 감지회로가 도선을 통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롤러(25,28)사이에서)될 수 있으며 도선의 단부가 롤러(27,28) 사이를 통과할때, 작동기(103 내지 10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파지장치(101,102)과 도선분리 상태로 되게 하고, 원래의 최고 위치 또는 대기위치로 파지장치(102)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동시에 작동기(36)를 작동 시켜서 롤러(27,28)가 모터(33)와 결합되도록 되어 도선은 롤러(27,28)에 의해 진행하고, 안내개구(35)와 안내관(29) 및 방출롤러(30,31)를 통해 이동하여 수합을 위해 상자(32)에 들어간다.
상술된 작동의 변형에 있어서 도선이 기구고정기(75)를 통해 들어갈때, 관형전극(64)내로 제한된 연장부분이 삽입되어 관형전극(64)의 부식에도 불구하고, 도선의 부식을 최소화시킨다. 상기의 경우 도선의 단부(부식이 되었거나 또는 부식이 되지 않는)는, 관형전극(64)이 가공물(4)를 통과하여 보어(5)의 하부 개구를 지나서 최하부 위치에 도달했을때, 가공물(4)의 하부 표면 아래서, 그리고 하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서, 또는 상부 표면위에서, 도선의 굵기에 따라 관형전극(64)에서 수직 레벨로 놓일 수 있다. 다음 도선은 전술된 바와 같이 파지장치(101,102)에 의해 관형전극(64)을 통해 진행하여, 도선의 단부가 감아들이는 부분(26)을 향해 배치된다. 또 다른 변형에 있어서, 가열코일(107) 또는 도선(3)을 자르는 절단기의 앞의 TW 작동 후 관형전극(64)의 하단부와 가공물(4)의 사이, 예를들어 하우징(37)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서 도선은 절단이 발생되었을때 이미 관형전극(64)을 통해 삽입되어 있어서, 파지장치(101,102)의 한 도선의 재 삽입이 필요치 않게 된다. 보어(5)가 가공된 다음, 파지장치(101,102)가 도선(3)의 진행을 시작하는 지점에서 도선 단부의 정확한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장치는 전술된 통로에서 도선이 연속적으로 진행할때까지 도선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킨다.
롤러(27,28)는 연속적인 도선(3)을 공급릴(15)로부터 상자(32)내로 전달되게 하는 모터(33)에의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펌프(92)는 작동유체가 관형전극(64)내로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정지된다. 모터(74)는 조립체(70)를 복귀시키기 위해 작동되며, 관형전극(64)을 도시된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밸브(48)는 개방되고, 펌프(47)는 작동상태에 유지된다. 암(66)은 접촉부(67a)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되며, 전압공급부(65)는 TW 작동을 하도록 작동되어, 연속적인 도선(3)이 관통하는 구멍으로 시작하여 가공물(4)을 전기부식적으로 절단하기 시작한다. 장력가감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13a)에서, 모터는 반시계방향으로 장력유지롤러(19)가 제어된 회전을 하도록 스위칭되어 있어서, 롤러(19,20)는 충분한 장력으로 도선(3)을 제공하는 도선 브레이킹과 같은 작용을 하고, 인출롤러(27,28)에 의해 강하게 당겨지는 가운데서 롤러(24,25) 사이의 직선통로와 일치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한다. 접촉감지기(23)는 수평도선안 내부(22)와 롤러(18b) 사이에서 도선의 느슨함을 검출하여 모터(21)가 구동되게 하고, 연속적인 통로에서 도선에 대해 브레이킹 작용을 유지시킨다. 가공물(4)에서 TW-전기부식은 보어가공 시작에서 최종 예정 위치에 도달될때까지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NC 유닛(68)의 명령하에서 진행된다.
장치는 또한 관형전극(64) 이동하게 하고, 수차례의 TW 작동후 부식되어 길이가 짧아지면 저장된 새로운 전극중의 하나를 자동적으로 대체시키는 AEC 유닛(110)을 포함한다. 제1도에 도시된 AEC 유닛(110)은 헤드부재(69)에 의해 지지된다. 제5도에 있어서, 유닛(110)은 슬라이더(122)를 지지하는 브래킷(121)을 포함하며, 슬라이드(122)는 브래킷(121)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한다. 브래킷(111)은 베이스(123)에 고정되어 있으며, 베이스는 슬라이더(122)에 가로로 연장된 수평 람(124)에 의해 헤드부재(69)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122)는 슬라이더(122)를 움직이기 위해 베이스(123)상에 지지된 직류모터(127)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피니온(126)과 맞물려 있는 래크(125)를 갖는다.
브래킷(121)은 다수의 수직 관형전극(64) 예를들어 30개 정도를 가진 매거진(128)을 지탱하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의 프레임(129)내에서 세로로 보관되어 있다. 전극(64)은 예를들어 구리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거진(128)은 L형 하형연장부(130)를 가지어 매거진상의 관형전극(64)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스프링(131)이 프레임(129)에 삽입되어 관형전극(64)을 슬라이더(122)쪽으로 밀어서, 상기 전극이 프레임(129)내의 적정위치에서 유지되게 한다. 프레임(129)은 슬라이더(122)에 인접한 곳에서 개구(132)를 가지며, 관형전극(64)이 하나씩 나올 수 있게 하고, 조우 또는 파지장치(133)에 의해 파지되어 슬라이더(122)의 전방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파지장치(134)는 슬라이더의 단부를 향해 슬라이더(122)상에 장치되어 있으며, 다음에 기술될 기능을 가지고 작동한다. 슬라이더(122)는 공동형이고, 2개의 크랭크장치(135,136)을 지지하며, 후단부에서는 직류모터(135,136)가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는 각 크랭크장치(135,136)를 통해 파지장치(133,134)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상기 파지장치(133)는 매거진(128)에서 나온 하나의 관형전극(64)을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전극을 기구고정기(75)에 전달한다. 또한 브래킷(139)은 베이스(123)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암(140)을 지탱하고 있으며 상기 암은 단부에서 길다란 케이싱(141)을 지탱하고 있어서 기구고정기(75)로부터 나온 사용된 관형전극을 수용한다. 암(140)은 수직핀(142)상에서 추축상태로 되어 있으며, 브래킷(140)에 있는 전자석 작동기에 의해 회전하여 케이싱(141)을 전극 수납위치로 가져가거나 철회한다.
작동에 있어서, 모터(127)는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더(122)를 진행시키도록 구성되어 파지장치(133)가 기구고정기(75)에 있는 상기 유체작용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사용후의 관형전극과 결합되게 한다. 작동기(135,137)는 파지장치(133)가 사용된 관형전극을 단단히 파지하도록 하며, 모터(74, 제1도)는 조립체(70)를 들어올리기 위해 구동되고, 거리(D) 만큼 떨어진 기구고정기(75)가 사용된 관형전극을 기구고정기(75)의 척(76)분리시키며, 파지장치(133)에 전달한다. 다음 슬라이더(122)는 케이싱(141)위의 파지장치(133)로부터 적정위치로 모터(127)에 의해 철회된다. 파지장치(133)는 작동기(137,135)에 의해 클램프 상태가 풀려서, 사용된 관형전극을 방출하여 상기 전극이 케이싱(141)내로 들어가게 한다. 다음 암(140)이 작동기(143)에 의해 회전하여 매거진(128)으로부터 파지장치(133)에 의해 전달될 새로운 관형전극(64)의 통로부터 케이싱(141)을 이동시킨다. 슬라이더(122)는 슬라이더(122)에 인접하여 보관된 관형전극(64)중 하나를 가지고 있는 매거진(128)에 파지장치(133)가 돌아올때까지 계속하여 철회된다.
다음 슬라이더(122)는 거리(L) 만큼 진행하여, 파지된 관형전극(64)을 기구고정기(75) 바로 아래까지 가져간다. 암(140)은 다시 뒤로 회전하여 케이싱(141)을 원래 위치로 가져간다. 모터(74, 제1도)는 조립체(70)를 낮추기 위해 작동되며 다음 기구고정기(75)가 관형전극(64)을 척(76)에 삽입 클램프되게 한다. 다음 작동기(137,135)는 파지장치(133)가 클램프 상태인 관형전극을 분리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그와 동시에 슬라이더(122)는 원래의 대기위치에 복원된다.
파지장치(134)는 AT 또는 WT 작동에서, 관형전극(64)에 끼어드는 도선단편을 파지하여 버린다. 예를들어, AT 작동은 혹시 도선(3)의 단부를 감아들이는 부분(27)내로 가져가는 것이 실패할때도 있어서, AT 작동의 재시도가 필요할 때도 있다. 상기의 경우, 기구고정기(75) 아래의 슬라이더(122) 상에 지지된 파지장치(134)가 작동기(138,136)에 의해 작동되어 관형전극(64)이 파지장치(133)에 의해 척으로부터 제거된 후 도선을 파지한다. 다음 가열코일은 전원공급(108)에 의해 활성화되어 기구고정기 위에서 도선(3)을 절단한다. 슬라이더(122)는 모터(127)에 의해 철회되어 파지장치(134)가 도선을 끌어내어 기구고정기와 관형전극(64)내로 연장시킨다. 파지장치(134)는 다음 도선을 버리기 위해 방출한다.
AT 작동에서 실패의 경우는 완전히 없앨 수 없으며, 도시된 장치는 관통시키는 통로에서 상기와 같은 실패를 모니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도선(3)의 자유단부는 통로의 어느곳에서 끼일 수도 있어서, 도선 진행수단(101 내지 105)의 연속된 작동에도 불구하고 통로를 따라 도선을 관통진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촉 감지기(106)와 연관된 카운터(116)는, 도선(3)의 진행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전기적 감지회로(117)는 접촉부(67b)와 도전롤러(25)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선(3)의 자유단부가 롤러(25)와 접촉할때, 회로(117)는 전기적 신호(Aℓ)를 발생한다. 카운터(116)는 도선의 단부가 롤러(25)에 도달할때까지 파지장치(101,102)가 공급하여야 하는 도선의 길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레벨에 계수가 도달되었을때 전기적 신호(A2)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논리회로(118)는 카운터(116)와 감지회로(117)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A2)를 수신하기 전에 신호(A1)에 응답하여, 롤러(25)의 직선통로 상부를 통해 도선이 연속적으로 관통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논리회로(118)는 신호(A1)와 신호(A2)를 수신하지 못하였을때, 파지장치(101,102)를 작동하지 않게 하고, 조립체(70)를 원래 위치에 복원시키는 실패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한편으로, 파지장치(101)는 자체에 포함된 압력감지 부품을 가지어, 도선을 진행시키는데 파지장치(101)가 받은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감지회로를 통해 제공한다. 만약 도선이 끼일려고 할때는 부하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그래서, 감지된 신호의 크기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될때, 관통작동을 중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이 재시도를 할 수 있게 한다.
관형전극(64)을 가지고 가공물(4)을 통해 전기부식적인 보어형성을 하는 동안 및 그후에 도선이 끼일 가능성은 전기부식하는 관형전극과 함께 이동할때, 전기부식적인 보어형성이 끝난 후 전극을 빼낼때, 0.5 내지 5㎜ 크기로 축을 따라 도선을 왕복시켜서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결국, 장치에서, 도시된 파지장치(101)는 작동기(105)에 의해 작동되어 도선을 상술된 도선진행 싸이클에서 신속히 또는 완만하게 파지하는 동안 왕복시킨다. 관과 함께 도선의 왕복효과는 특히 전극이 가공물(4)을 관통할때, 즉 가공잔유물 방출이 안정스럽게 되지 않고, 전극단부 근처에 배치된 도선단부에 역효과를 미치는 곳에서의 가공물을 관통할때 괄목할만하다. 가공의 불안정과 가공물(4)을 관통하는 관형 전극(64)에서 도선의 단부가 끼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부식방전의 전기적 변수를 변화하여, 보다 높은 부식을 전극(64)당하도록 가공조건을 만든다면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극극성을 변화하여 가공물(4)이 캐소드가 되게 한다. 또한, 방전펄스의 피크전류가 증가될 수도 있고, 방전펄스의 펄스지속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공유체(비이온화 유체)의 보조흐름을 관형 전극(64)의 단부가 가공이 끝난 보어를 나오는 가공물(4)의 하부표면상에서 가압된 상태로 향하게 한다.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다른 장치에 있어서, 관형 전극(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4)의 측면에서 하부가 기구고정기(7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쪽에 있는 관형전극의 상부에서는 상기 전극을 통해 도선이 들어간다. 제7a도에서 하부하우징(238)을 통해 지지된 관형 전극(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부식적으로 가공물(4)을 관통하여, 가공물내에서 보어(5)가 만들어진다. 보어의 전기부식 가공에서, 하부정밀 안내부(244)는 안내개구가 확대되어 관형 전극(64)이 하우징(238)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상기 하우징내에서, 도선 활성화 핀(151)과 도선 고정핀(152)은 관형 전극(64)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재배치된다. 또한 핀(151)은 EDM 전원 공급부(65)에 연결되어 관형 전극(64)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다시 하우징에는 가공유체가 주입되어 노즐(243)을 통해 절단지역으로 향하여, 관형 전극에 대해 환형흐름을 이루며, 가공유체는 관형 전극(64)을 깨끗이 씻어낸다. 관형 전극(64)이 보어의 최상부 위치에 도달하여 멈추었을때, 상부안내롤러(24)위의 공급릴(15)로부터 연장된 도선(3)의 자유단부는 상부 하우징(237)의 주입개구 바로위에 놓이며,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201,202)에 의해 지지된다. 롤러는 모터(205)에 의해 회전되어 도선을 도선활성화 핀(151)과 도선 고정핀(253) 사이의 좁은 하향수렴 안내개구(153)내로 들어가게 하며, 상기 핀은 공간이 확대되도록 철회되어 상기 핀 사이에서 도선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되고, 정밀 도선안내부(253)는 역시 안내개구가 확대되어 상단부 개구를 통해 관형 전극(64)이 들어가게 한다. 다음 하우징(237)은 가공유체가 공급되어 유체를 고속흐름을 발생하여 도선이 관형전극(64)내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모터(205)는 도선을 연속적으로 진행시켜 관형전극(64)내로 들어가게 하며, 도선의 단부가 도선을 감아들이는 수단(226)에 도달할때까지, 하부 안내롤러(225)위로 진행시킨다. 다음 관형 전극(64)은 하부로 철회되어 대기상태로 된다. 부품(151,152,251,253,244,252)는 안내롤러(244,225) 사이의 직선 통로를 따라 연장된 도선(3)과 결합된 상태로 되어 제7b도에 도시된 상태를 만든다. 그래서, AT 작동은 끝이나고, 다음 시작될 TW 작동을 가능케한다. TW 작동의 마지막에서 가열코일(207)은 전원 공급부(208)에 의해 활성화되어 하우징의 상부에서 도선(3)을 절단한다.
제7a도 및 제7b도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만약 도선(3)의 자유단부가 끼인다면, 관통통로의 어느곳에서도 검출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감지장치는 도선이 끼였을때 이용될 수 있으며, 도선(3)을 진행시키는 롤러(201,202)를 구동하는 모터(205)의 토크의 변화를 일으킨다. 모터(205)는 숫자가 도선이 진행될 길이를 나타내는 펄스의 숫자에 의해 구동된다. 인코더(155)는 롤러(201)의 샤프트와 연관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며, 회전의 비율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킨다. 카운터(156)는 인코더(205)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계수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다른 카운터(157)는 모터(205)에 공급될 펄스를 계수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도선이 진행하고 있는 동안, 카운터(156,157)은 계수가 서로 일치한다. 그러나, 도선의 단부가 통로의 어느곳에서 끼여 있을때, 모터(205)와 롤러(201)에 의한 토크는 증가한다. 따라서, 인코더(155)에 의해 발생된 펄스의 비율과 카운터(156)에 의해 계수된 펄스의 비율이 감소한다. 논리회로(158)는 카운터(156,157)에 연결되어 서로의 계수 레벨이 일치하지 않을때, 모터(205)를 정지시키거나, 가열기(207)를 활성화시켜 도선을 하우징(237)의 상부에서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그래서 시스템이 관통 작동을 다시 시작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특정예를 참고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4)

  1. 도선 공급수단과 도선을 감는 수단 사이에서 소정의 연속적인 도선 주행통로에서 설정된 절단 지역을 가진 주행도선 전기부식 장치에 있는 도전성 가공물을 통해 전극도선을 관통시켜 전기 부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1) 관형 전기부식 전극을 직선인 도선 관통 통로와 축상으로 일치시켜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상기 절단지역을 통해 연장시켜 배치하는 단계와 ; 2)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도선을 상기 절단지역의 도선주입구에서 관형 전기부식 전극내로 주입시키는 단계와 ; 3) 가공물을 상기 절단지역에서 상기 직선 통로와 일치된 상태로 주행도선 전기부식의 개시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 4) 관형 전극을 상기 도선 관통통로를 따라 축상으로 진행시켜서 상기 개시위치에 있는 절단 지역에서 가공물을 전기부식하며 상기 도선주입구측과 도선출구 사이에서 가공물을 관통하는 구경을 형성하는 단계와 ; 5) 관형전기 부식 전극이 상기 가공물로부터 상기 직선 통로를 따라 철회시키면서, 상기 가공물에서 가공된 상기 구경에서 부분적으로 도선을 남겨두는 단계와, 6) 전극 도선을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하여, 도선이 관형 전극 밖으로 이동하여 나오게 하는 반면, 상기 구경내에서 도선이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상기 도선 출구에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상기 감김수단쪽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4)는 관형 전극에서 부분적으로 도선이 삽입된 단계(2)를 유지시키면서 관형 전극을 진행시키는 단계(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3. 제2항의 방법에 있어서, 삽입된 도선은 관형전극내에서 유지되며, 관형 전극과 함께 단계(4′)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4. 제3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4′)이전에 관형전극과 함께 도선이 단계(4)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선을 관형전극과 고정된 관계로 클램핑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5. 제3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은 도선의 단부가 단계(4′)를 거치면서, 관형전극의 단부에 놓여 있으며, 단계(5,6)에 이어지는 단계(4′)의 마지막에서 도선의 단부가 구경을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6. 제3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4′)에서는 관형전극과 도선이 모두 부식을 당하며, 도선은 관형전극의 단부가 부식되는 부근에서 부식되어 도선의 부식된 단부가 단계(5,6)에 이어지는 단계(4)의 마지막에서 가공구경을 넘어서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7. 제3항의 방법에 있어서, 관형 전극은 단계(4)중에 부식되고, 도선도 전기적으로 부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선은 단계(2)에서 삽입되어 도선이 부식되지 않고 단계(5,6)에 이어지는 단계(4′)의 마지막 부분에서 가공된 구경을 넘어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8. 제2항의 방법에 있어서, 관형 전극은 단계(4)동안 부식되며 단계(2)에서 삽입된 도선의 단부는 관형전극내에서 유지되어 단계(5,6)로 이어지는 단계(4′)를 통과하는 동안 관형전극의 부식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부식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9. 제4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은 단계(5,6)에 이어지는 단계(4′)의 마지막에서 가공된 구경을 통해 나올때까지 관형전극내에서 유지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0. 제2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이 단계(4′)에서 진행하는 관형 전극내에서 유지되어 관형전극이 가공물을 관통할때 도선의 나머지 끝부분이 가공된 구경을 통해 나와서 단계(5,6)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1. 제2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은 단계(4′)에서 진행하는 관형 전극에서 유지되므로, 도선의 단부는 관형전극이 가공물을 관통할때 가공된 구경속에서 놓여 있으며, 그 다음, 단계(5,6)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2.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가 부분적으로 단계(5)보다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3.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는 도선의 단부가 단계(5)전에 감김수단에 도달될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4.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가공 유체는 관형전극을 통해 단계(4′)에서 형성된 구경내로 도선주변으로 들어가 씻어내며, 보어가 가공된 후, 도선의 단부가 전극단부로부터 좁은 통로내로 상기 감김수단을 향해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도선을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5. 제14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가공을 마무리하는 동안 관형 전극이 나오는 가공물의 표면상에 상기 도선의 출구쪽으로부터 가공유체의 보조흐름을 지향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6. 제15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관형전극이 나오는 적당한 시간 간격에 맞추어 도선이 축을 따라 왕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7. 제15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관형전극이 나오는 적절한 시간간격인 전기부식 조건을 설정하여 전기부식이 신속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8. 제14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관형전극이 하우징수단을 통해, 가공물내로 진행하는 동안 안내수단에 의해 측면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안내되며, 가공유체를 상기 하우징 수단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가공물을 관통하는 상기 관형전극을 둘러싸는 가공유체의 흐름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19. 제14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관형전극을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번갈아 주기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0.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는 공급수단내에서 나온 도선이 소정의 증가 진행 길이에 달할때까지 상기 직선 통로를 따라 관형전극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1.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는 상기 직선통로에 있는 가공물의 하부위치에서, 도선의 관통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도선의 단부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2.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는 도선의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감김 수단에서 도선의 단부 도달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3. 제12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단계(6)이전에 상기 직선통로에서 가공물을 넘어 소정의 위치에서 관형전극의 단부가 도착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4. 제14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다음, 그리고 단계(6)이전에 관형전극의 단부가 가공된 구경을 지나서 놓여 있는 동안 관형전극을 일시적으로 철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5. 제1항의 방법에 있어서, 관형전극은 상기 도선의 출구측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단계(4)에서 상기구경을 형성하는 동안, 가공물을 통해 상기 도선의 측에서 진행하며, 그 다음 도선이 단계(2)에서 관형전극의 주입구측에서 삽입되고, 다음 단계(5)로 이어지는 단계(6)에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6. 제25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4)는 가공유체가 관형전극을 통해 가공물에서 형성되고 있는 구경내로 흘러들어가며, 관형전극은 안내수단에 의해 측면편향이 되지 않도록 안내되면서 하우징 수단을 통해 가공물내로 진행하고, 가공유체를 상기 하우징수단내에 공급하여 가공물을 관통하는 상기 관형 전극 둘레에 가공유체의 흐름을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7. 제25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은 단계(2)에서 도선 주입구측의 하우징수단에 있는 안내수단을 통해 관형전극내로 삽입되며, 단계(4)에서 상기 도선의 주입구측으로 가공유체를 넣어서 관형전극이 나오는 가공물의 면상에서 가공유체의 보조흐름을 생기게하고 단계(2)에서 상기 관형전극내로 들어가는 도선의 단부가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상기 보조흐름을 도선의 주변에서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8. 제1항 또는 제25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선 통로에서 도선이 끼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단계(6)에서 공급된 도선의 단부를 모니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29. 제1항 또는 제25항의 방법에 있어서, 단계(6)에서 공급된 도선의 순간적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단계(2)에서 도선의 삽입부와 상기 감김수단 사이의 연속적인 통로에서 도선이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30. 제1항의 방법에 있어서, 도선은 상기 관형전극과 가공물의 사이위치에서 절단에 의해 단계(2)에서 삽입되며, 도선은 관형전극과, 단계(3)이전에 상기 공급부와 감김수단 사이의 상기 연속적인 통로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방법.
  31. 자동 도선 관통 기능을 가지며, 도선 공급수단과 감김수단 및 상기 수단사이에서 도선주행의 연속적인 소정의 통로에서 설정된 절단지역을 구비하여,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서 절단지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직선 도선 관통로를 구비하는 주행도선 관통로를 구비하는 주행도선 전기부식장치에 있어서, 도선 가공물을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주행도선 전기부식의 개시위치는 상기 직선 통로와 서로 일치하여 놓여져 있으며 ; 관형 전기부식 전극을 수납하며, 상기 전극을 상기 직선 도선 관통로와 축이 일치되게 지지하는 기구고정기를 구비하여, 관형전극이 내부에 상기 기구고정기를 통해 연장된 전극 도선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도선을 상기 절단지역의 도선 주입구에서 상기 관형 전극내로 삽입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구비하며 ; 상기 관형전극을 상기 직선 도선관통로를 따라 가공물내로 진행시키는 상기 기구 고정기와 연관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그 동안, 가공물은 절단지역의 상기 도선 주입구와 상기 도선출구 사이에서 가공물을 관통하는 구경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부식되며, 그 후, 관형전극은 가공물로부터 철회되는 반면, 도선의 일부분이 가공된 구경내에 남아 있으며, 도선 공급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도선을 공급하는 상기 구동수단과 연관하여 작동하며 삽입된 도선이 상기 관형전극 외부로 이동해 나오도록 구동하고, 도선은 부분적으로 가공된 구경내에 남아 있으며, 상기 도선출구에서 상기 연속적인 통로에 있는 감김수단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2.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고정기는 도선의 주입구측에 놓여 있으며,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나온 도선을 수용하는 상기 안내수단의 부분을 구성하는 것과 연관된 주입 안내 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3.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관형전극의 측면 편향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통로를 가진 하우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통로는 다수의 변위 가능한 안내부품으로 형성되어 TW 전기 부식동안 도선의 안내 이동에 충분한 크기로 상기 안내 개구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4. 제33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고정기는 도선 주위를 흐르며 관형전극을 통해 가공물에서 형성되는 상기 구경내로 가압된 가공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5. 제34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고정기는 관형 전극을 고정기내에서 단단히 고정하여 상기 고정기내의 가압 유체에 견딜 수 있는 유체 주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6. 제34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안내 수단과 접촉하는 가공유체의 흐름을 만들기 위해 가공유체를 공급하는 내부 유체통로를 가지며, 관형 전극에 대해 환형 통로를 형성하는 출구노즐은 유체 흐름을 가공물의 방향으로 흐르게하여, 상기 구경의 전기부식 형성에서 관형전극의 가공유체 흐름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7. 제36항의 장치에 있어서, 가공 유체와 접촉하며 하우징수단을 통해 진행하는 동안 상기 도선 관통로와 일치된 축에 대해 상기 관형전극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8. 제32항의 장치에 있어서, 관형전극을 통해 가공물에서 형성되는 구경내로 가압상태의 가공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기구 고정기에 연결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직선 통로와 일치하는 축에 대해 관형 전극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기구 고정기에 연결된 수단을 구비하며, 하우징 수단은 관형전극의 측면편이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직선통로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다수의 안내통로를 가지며, 가압 가공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출구, 유체통로 및 유체주입구는 상기 유체통로에서 회전하는 관형 전극과 접촉하는 가공 유체의 흐름을 만들며, 상기 흐름을 출구를 통해 가공물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가공물의 상기 구경을 전기부식하는 회전전극을 외부로 흘러나오는 가공유체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39. 제38항의 장치에 있어서, 회전을 위한 상기 수단은 서로 반대 방향의 소정 회전각도로 관형전극을 주기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0. 제38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는 가공물내로 진행하기 위한 전의 관형 전극을 위한 상기 하우징수단의 주입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1. 제40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도선활성화 부재 및 도선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변위가능하여 가공물의 TW 작동을 위해 도선과 결합할 수 있으며, 관형전극이 하우징 수단을 통해 가공물내로 진행할때, 상기 직선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정밀 도선 안내 수단은 TW 전기 부식중 도선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공물에서 구경이 형성될때 관형전극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는 간격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2. 제4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는 도선 활성화 부재와 도선지지부재가 제거되어 상기 정밀안내 수단에서 공간이 확대될때, 상기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3. 제4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선 활성화 및 도선 지지 부재의 셋트와 상기 도선 정밀안내수단은 상기 하우징 수단에의 분리된 방에서 수용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통로는 상기 방사이에 배치된 안내 개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4. 제34항, 또는 제36항, 또는 제38항의 장치에 있어서, 가공물내로 진행하는 관형 전극이 가공물을 관통하여 상기 도선 출구쪽으로 들어가는 시간동안 최소한 작동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관형전극이 도선출구에서 나오는 곳의 가공물면상에서 가공유체의 보조 흐름을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5. 제44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흐름을 향하게 하는 수단은 가공물을 통한 상기 구경의 가공 마무리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6. 제45항의 장치에 있어서, 감지를 위한 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관형전극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가공된 보어의 밖으로 나와 진행하는 관형전극의 단부에 의해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접촉 감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7.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관형전극을 통해 상기 연속적인 통로를 따라 상기 감김 수단쪽으로 향해 도선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동안 작동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8. 제46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제1 및 제2파지 장치를 포함하며, 제1작동기는 도선을 파지 또는 분리시키는 제1파지 장치를 작동시키며, 제2작동기는 도선을 파지 또는 분리시키는 제2파지 장치를 작동시키며, 제3작동기는 상기 직선 통로를 따라 소정의 제1 및 제2위치 사이의 거리와 같은 소정의 부분을 왕복운동을 시키기 위해 제1파지 장치를 작동시키며, 제1파지 장치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도선을 파지하는 동안 작동하며, 반면 제2파지 장치는 각왕복운동의 1/2싸이클의 거리와 같은 길이로 상기 직선 통로를 따라 도선을 공급하기 위해 도선을 분리시키고, 제1파지 장치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도선이 분리되어 있는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며, 반면 제2파지 장치는 왕복운동의 다른 1/2 싸이클에서 도선을 파지하고, 제1, 제2 및 제3작동기를 명령하는 수단은 소정의 횟수로 상기 싸이클을 반복하여, 도선이 상기 길이와 상기 횟수의 곱만큼의 거리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49. 제47항의 장치에 있어서, 도선을 클램핑하는 수단은 기구 고정기와 고정관계를 이루어 도선은 관형전극내에서 관형전극과 함께 움직이며, 반면 후자는 가공물내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50. 제49항의 장치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은 최소한 상기 파지장치 수단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51. 상기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가공물을 지나 직선통로의 단부에서 도선의 단부 도달을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52.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김수단에서 도선의 단부 도달을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53.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선통로에서 도선의 끼임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직선통로를 따라 도선의 단부가 진행하는 것을 모니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54. 제3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고정기는 도선의 출구측에 놓여 있으며, 가공물을 관통하는 관형전극의 단부를 통해 상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도선을 받아 들이는 상기 안내수단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연관된 주입구 안내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식 장치.
KR1019850001767A 1984-03-28 1985-03-19 전기부식장치 KR910010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58333 1984-03-28
JP59058333A JPS60201828A (ja) 1984-03-28 1984-03-28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JP59-58334 1984-03-28
JP58.333 1984-03-28
JP59073050A JPS60217020A (ja) 1984-04-13 1984-04-13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JP59-73050 1984-04-13
JP59087714A JPS60232828A (ja) 1984-05-02 1984-05-02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JP59-87715 1984-05-02
JP59-87714 1984-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19A KR850007019A (ko) 1985-10-30
KR910010246B1 true KR910010246B1 (ko) 1991-12-24

Family

ID=2729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767A KR910010246B1 (ko) 1984-03-28 1985-03-19 전기부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2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019A (ko) 198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189A (en) Automatic wire-threading with a tubular electrode in a TW-E machine
JPS63168B2 (ko)
JPS5943256B2 (ja) 電気腐食加工方法及び装置
JP2686796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自動ワイヤ供給方法
KR900008139B1 (ko) 와이어 커트형 방전 가공장치
EP0021715B1 (en) Electric discharge machines
JPH0622764B2 (ja) 切抜部自動取り外し等の作業を行なうロボット装置を備えた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H0346246B2 (ko)
JP4550614B2 (ja) ワイヤ電極の挿通方法および自動結線装置
EP0581493B1 (en) Wire re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cut electroerosion apparatus
KR910010246B1 (ko) 전기부식장치
US468634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setting a wire electrode in an operating setup on an electroerosion machine
JP3725220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に於けるワイヤ電極挿通方法
EP0076661B1 (en) A wire electrode gripping member for use in a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EP0159361A1 (en) Wire electrode clamping mechanism for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S61168427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電極に給電する装置
JP2566764B2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用自動通線装置
JPS6263018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電極断線位置検出方法
JPS61142021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JPH0480770B2 (ko)
JPH0321286B2 (ko)
JPH0545368B2 (ko)
CN114905103A (zh) 一种数控线切割加工设备及其自动穿丝方法
JPS60232828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SU131187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