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672B1 -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672B1
KR910009672B1 KR1019880013425A KR880013425A KR910009672B1 KR 910009672 B1 KR910009672 B1 KR 910009672B1 KR 1019880013425 A KR1019880013425 A KR 1019880013425A KR 880013425 A KR880013425 A KR 880013425A KR 910009672 B1 KR910009672 B1 KR 91000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in
level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93A (ko
Inventor
최춘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672B1/ko
Priority to US07/292,355 priority patent/US4989243A/en
Priority to GB8902565A priority patent/GB2223897B/en
Publication of KR90000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1Digital control of analo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3/00Details of the apparatus or circuits covered by groups H04L15/00 or H04L17/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득제어기 20 : 2선/4선 변환기
30 : 트랜스포머 40 : 대역통과필터부
50 : 증폭기 60 : 전압변환기
70 : 수신레벨감지부 80 : 마이크로 콘트롤러
본 발명은 모뎀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선로를 통한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송출레벨을 자동보상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과 같은 통신 시스템은 공중교환망(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 PSTN)에 접속하여 모뎀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격을 만족하는 데이터 억세스 어레인지멘트(Data Aeecss Arrangement : DAA)를 접속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공중교환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뎀은 CCITT규정 또는 Bell규정의 송출레벨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 CCITT규정 또는 Bell규정의 송출레벨은 전송선로의 이득레벨 감쇠량(-22dBm)을 감안하여 -10dBm±1dBm의 레벨로서 송출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수신측 모뎀의 수신레벨은 최소한 -43dBm의 이득레벨의 수신신호까지 수신복조토록 권고하고 있다.
현재의 대다수의 모뎀에 있어서 송출이득은 선로이득감쇠량(-33dBm)만을 감안하여 상기 규정된 송출이득 -10dB±1dBm으로 송출되는 신호의 이득 레벨을 일정하게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과 같이 송출이득을 -10dBm±1dBm으로 설정하여 공중교환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뎀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데이터 전송선로의 이득 감쇠량의 증가 및 감소에 따른 문제가 고려되지 않아 데이터 혼신 및 데이터 송수신 에러의 발생 빈도가 높은 문제가 있어왔다.
현재 상기 전송선로의 이득 감쇠량은 지역간의 공중교환 선로상태의 차이, 기후 및 환경변화에 따른 선로 상태의 변동으로 기인하여 증가 또는 감소된다.
따라서 송출이득을 일정레벨로 설정한다면, 공중교환 전송선로의 이득감쇠량에 따라 수신측(Remote Side)에서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치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선로의 이득 감쇠량이 매우 큰 경우라면 수신측의 모뎀에서는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레벨로 공중교환망의 전송선로를 통하여 전송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레벨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전송선로의 이득 감쇠량을 자동 보상하여 데이터를 송출토록 하는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선로를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수신레벨을 검출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회로도로서, 아나로그신호 출력단자(9) 및 입력단자(35)와, 전화선로접속단자(33)(34)와, 상기 전화선로 접속단자(33)(34)에 양단자가 접속되는 제1권선(32)과, 일측이 접지되며 타측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권선(32)으로 유기하는 제2권선(31)으로 이루어져, 제1, 제2권선(32)(33)간의 신호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트랜스포머(30)와, 상기 아나로그신호 출력단자(9)로부터의 송출신호 이득을 이득 제어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출력하는 이득제어기(10)와, 상기 이득제어기(10)의 출력을 저항(21)를 통해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와 접속된 궤환장치(22)에 의해 비반전 증폭 출력하는 연산증폭기(23)와, 상기 연산증폭기(23)의 출력단자와 접지사이에 접속되어진 저항(24)(25)와, 상기 연산증폭기(23)의 출력을 소정제한하여 상기 트랜스포머(30)의 제2권선(31)의 타측으로 출력하는 저항(26)과, 상기 제2권선(31)의 타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저항(27)을 통해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궤환저항(28)을 가지고 상기 저항(24)(25)간의 접속노드로부터의 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비반전 증폭하는 연산증폭기(29)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30)의 제2권선(32)의 입출력신호를 2선/4선 변환기(2 to 4 Hybrid:이하 “하이브리드”라 함)(20)와, 상기 연산증폭기(29)의 출력신호중 소정 제1대역신호와 소정 제2대역신호만을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제1, 제2대역통과 필터링 출력을 소정 증폭출력하는 증폭기(50)와, 상기 증폭기(50)의 증폭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압(Ⅵ)으로 출력하는 전압변환기(16)와, 소정 제1전원(VDD)와 제2전원(GND) 사이에 저항(71,72)이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1전원(VDD)을 고이득 레벨의 설정전압인 제1기준전압(V1)으로 분압 출력하는 제1분압회로와, 상기 제1전원(VDD)과 상기 제2권선(GND)사이에 저항(74,75)이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1전원(VDD)을 저이득 레벨의 설정 전압인 제2기준전압(V2)으로 분압 출력하는 제2분압회로와, 상기 제1기준전압(V1)과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출력전압(V1)을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하여 비교 출력하는 제1비교기(73)와, 상기 제1비교기(73)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Ⅵ)을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V2)을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비교출력하는 제2비교기(763)와, 상기 제1, 제2비교기(73)(76)의 출력을 부논리합(NOR)하여 출력하는 노아게이트(77)과,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78)로 구성되어 데이터 수신정보,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레벨 감지부(70)와, 상기 내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초기 세팅된 이득제어데이터를 상기 이득제어기(10)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레벨 감지부(70)의 데이터 수신정보, 데이터 수신 레벨 정보를 입력분석하여 상기 이득제어기(10)의 송출이득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득 제어 데이터를 가변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controller : Microprocessor)(80)로 구성된다.
미설명 참조부호 35는 모뎀(Modem)(도시하지 않았음)의 아나로그 수신 입력단자와 접속되는 라인이고, 상기 설명부호중 9는 상기 모뎀의 아나로그 신호 출력라인이다.
상기한 제1도중 이득제어기(10)는 라인(9)으로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의 송출이득을 송신이득 가변신호단자(TX0-TX3)로 입력되는 이득제어 데이터의 값에 따라서 제어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들면 단자(TX0-TX3)(TX0가 LSB, TX3가 MSB임)로 “0AH”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라인(9)로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의 송출 레벨의 이득을 -10dBm으로 제어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값 “0AH”의 증감에 따라 송출레벨의 이득을 증가 또는 감소 조절 출력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20)는 2선 4선 변환 회로로서 이는 2전화 라인을 이용하는 모뎀 통신기에서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로로서 상기 이득 제어기(10)의 출력 신호를 상기 트랜스포머(30)를 통해 전화라인 접속단자(33,34)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라인 접속단자(33,34)로부터 상기 트랜스포머(30)의 제2권선(31)의 출력을 모뎀의 아나로그신호 입력단자로 입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마이크로 콘트롤러(80)내에는 롬과 램영역을 내장하고 있으며, 입출력포트에는 래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콘트롤러(80)는 반도체 메이커인 인델사의 80C51이 사용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흐름도로서 초기 전송레벨(Transmission Level:이하 “T레벨”이라함)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 이득제어데이터 값을 설정하고 레지스터에 세이브하고, 상기 레지스터의 데이터 값을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제1단계와, 데이터 수신정보,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읽어들여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검색결과 데이터 수신상태일 때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선택하고 데이터가 수신이 아닐 때에 상기 제1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의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분석 결과가 정상데이터 수신레벨 정보일때에 데이터 레벨이 높은지 낮은지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검색결과 데이터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거나 낮다고 판단시에 초기 이득제어데이터를 인크리멘트 또는 디크리멘트하여 레지스터에 세이브하고 상기 레지스터에 세이브 이득제어 데이터 T레벨 제어데이터로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한 제1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1도의 각부회로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어지면, MPU(80)는 제2도의 (200)과정에서 T레벨의 이득제어데이터를 특정값인 OAH로 설정하고, 이를 내부 레지스터에 세이브한다(이때 상기 데이터 OAH는 아나로그의 송출 이득을 -10dBm으로 조절 출력하기 위한 초기 조절 값이다). 이후 MPU(80)는 상기 (200)과정에서 레지스터에 세이브된 이득제어데이터(OAH)를 (201)과정에서 출력포트 P2(P2.0-P2.3)를 통해 이득제어기(10)의 송신이득 가변신호단자(Tx0..Tx3)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201)과정에서 마이컴(10)의 초기 T레벨의 이득 제어 데이터 “OAH”를 출력하면 이득제어기(10)의 송신 이득 가변 신호단자(TX0-TX3)로는 2진수(LSB 0101 MSB)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의 이득제어기(10)는 라인(9)로부터 아나로그 신호입력단자(TIN)로 입력되는 아나로그의 전송신호의 이득을 상기 이득제어 데이터에 따른 이득(-10dBm)으로 조절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이득제어기(10)는 송신이득 가변신호단자(TX-TX3)로 입력되는 이득제어 데이터(“0000”-“1111”)에 의해서 0dBm--15dBm의 16단계 이득 가변범위를 가지며, 초기에는 MPU(80)의 초기 이득 설정 데이터(OAH)에 의해 입력신호를 -10dBm의 이득레벨로서 제어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뎀내의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신호가 출력라인(9)에 실려진다면, 이는 이득제어기(10)의 동작에 의해 -10dBmdm의 이득 레벨로서 제어되어 출력라인(9)에 실려 전송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도의 (202)과정을 수행한 MPU(80)는 (203)과정에서 입력포트 포트 P1(P1.0-P1.3)를 읽어들이고, (204)과정에서 입력포트(P1.0)의 입력논리가 “하이”인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MPU(80)의 입력포트 P1(P1.0-P1.3)에는 전화라인 접속단자(33, 34)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이득레벨을 감지하여 수신신호의 여부 수신레벨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레벨 감지부(70)의 출력이 인가된다. 상기 MPU(80)의 입력포트 P1중 포트(P1.0)에는 수신 신호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수신 정보가 입력되며, 포트(P1.1)로부터 포트(P1.3)까지는 수신 레벨 데이터 정보가 입력된다.
초기 상태에는 전화라인 접속단자(33,34)를 통하여 상대방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가 아님으로 수신되는 신호는 없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작하는 수신레벨 감지부(70)내 인버터(78)는 논리 “하이”상태의 데이터 수신정보(수신신호 없음)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204)검색과정에서 포트(P1.0)로 입력되는 논리가 “하이”라면 MPU(80)는 현재 교환망의 전송선로 즉, 전화라인 접속단자(33,34)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없음을 인지하고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편 모뎀(Remote Modem)과 상호 연결 접속하기 위해서 제1도의 회로를 내장하는 호출측 모뎀(Originate Modem)의 유저가 다이얼링을 실행하게 되면, 상기 다이얼링은 NCU(Network Control Unit)(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교환기로 전송된다. 상기 다이얼 신호를 입력하는 교환기는 입력 다이얼링 정보를 분석하여 상대편 모뎀(Remote Modem)으로 링(Ring)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링신호를 수신하는 상대편 모뎀(피호출측 모뎀)은 링 신호의 입력에 응답(Hook off)하여 호출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톤 0”(Answer tone)(2100HZ)를 CCITT 또는 Bell규정에서 권고된 송출레벨(-10dBm)신호로서 송출하게 된다.
상기 피호출측 모뎀으로부터 송출되는 “응답톤 0”(2100HZ) 상기 피호출측 모뎀과 교환망간에 접속된 전송선로(전화라인)과 교환망과 호출측 모뎀 사이에 접속된 전송선로(전화라인)을 통해 호출측 모뎀(Originate Modem)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피호출측 모뎀으로부터 -10dBm의 송출 이득으로 전송되는 “응답톤 0”(2100HZ)은 전송선로를 통해 제1도의 단자(33,34)로 입력되며 이는 트랜스포머(30)의 제1권선(32)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트랜스포머(30)의 제1권선(32)으로 입력되는 “응답톤 0”의 송출이득은 상기한 전송선로의 선로 저항에 의해 감소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신호의 이득이 감소되어 트랜스포머(30)의 제1권선(32)으로 입력된 상대편의 “응답톤 0”은 제2권선(31)으로 유기되며, 상기 유기되는 신호는 저항(27)을 통해 연산증폭기(29)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연산증폭기(29)는 궤환장치(28)에 의한 소정 증폭이득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모뎀의 아나로그신호 입력라인(35)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고군 대역통과 필터(41)와 저군 대역필터(42)에 입력한다. 이때 상기 고군 대역통과 필터(41)는 피호출측인 상대편 모뎀(Remote Modem) (Answer side)에서 송출되어 입력되는 “응답톤 0”(2100HZ)을 필터링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저군 대역필터(42)는 호출측 모뎀으로부터 송출되는 “응답톤 1”(1050HZ)을 필터링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저군 대역필터(42)는 제1도의 시스템이 피호출측 모뎀에 사용되었을 때 호출측 모뎀으로부터 송출되는 “응답톤 1”(낮은쪽 채널의 신호로서 약 1050HZ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피호출측인 상대편 모뎀이 링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송출한 “응답톤 0”(2100HZ)은 고군 대역통과 필터(41)에 의해 필터링되어 증폭기(50)로 입력되어진다. 상기 고군 대역통과 필터(41)에서 필터링 출력되는 “응답톤 0”(2100HZ)을 입력한 증폭기(50)는 이를 소정 레벨의 신호를 하여 전압변환기(60)에 입력시킨다. 전압변환기(60)는 증폭기(5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톤 0”(2100HZ)(교류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AC to DC Converting)하여 수신신호에 대한 정류 전압 VI를 라인(79)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응답톤 0”(2100HZ)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한 신호임으로서 수신된 “응답톤 0”(2100HZ)의 이득 레벨은 상기 전송선로의 선로 저항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 변환기(60)로부터 출력되는 정류전압 VI의 레벨은 증폭기(50)에서 출력되는 “응답톤 0”의 이득 레벨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전압변환기(60)로부터 출력되어 라인(79)에 실린 정류전압(VI)는 제1비교기(73), 제2비교기(76) 각각의 반전, 비반전단자(-)(+)와 인버터(78)에 입력된다.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정류전압 VI를 반전단자(-)로 입력한 제1비교기(73)는 제1전압(VDD)을 소정 저항비에 의해 저항(71)(72)의 접속노드로부터 분압 출력하는 제1기준전압(V1)를 비반전단자(+)로 입력함으로서 상기 두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출력라인(101)로 출력한다.
또한편, 제2비교기(76)는 상기 제1전압(VDD)을 소정 저항비의 관계로 직렬 접속된 저항(74)(75)의 접속노드로부터 분압 출력하는 제2기준전압(V2)를 반전단자(-)로 입력함으로서 입력되는 두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출력라인(10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제2기준전압(V1)(V2)의 레벨은 각각의 분압저항(71)(72)와 (74)(75)을 적절히 설정하여 수신 과도레벨과 수신과소 레벨로 설정한다. 즉, 전송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신호 레벨의 이득이 -43dBm을 최적 수신상태 레벨이라고 가정할때에, 제1기준전압(V1)의 이득을 -42dBm의 레벨로 제2기준전압(V2)의 이득은 -45dBM의 레벨 설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제1기준전압(V1)과 제2기준전압(V2)은 수신되는 아나로그 신호의 레벨 이득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편으로부터 송출되는 “응답톤 0”(2100HZ)이 전압변환기(60)에서 직류전압으로 정류되어진 정류전압 V1가 라인(79)에 실리게 되면, 상기 제1,제2비교기(73)(76)은 수신신호를 소정 레벨로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각각 MPU(80)의 입력포트(P1.3, P1.2)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들어 전압변환기(60)의 정류전압 V1의 출력레벨이득이 -44dBm일 경우에는 제1,제2비교기(74)(76)가 “하이”논리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그러므로 노아게이트(77)은 수신신호레벨이 제1,제2기준전압(V1)(V2)사이에 있는 최적 상태라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를 출력라인(103)를 통해 MPU(80)의 입력포트(P1.2)에 입력시킨다. 만약, 전압변환기(60)의 정류전압 VI의 출력레벨이득이 상기 제1기준전압(V1)보다 크면 제1비교기(73)의 출력이 “로우”로 되고, 크거나 제2기준전압(V2)보다 낮은 상태이면, 제2비교기(76)의 출력이 “로우”로 됨으로서 노아게이트(77)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류전압(V1)가 제1기준전압(V1)보다 크거나 제2기준전압보다 낮은 상태이면 노아게이트(77)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인버터(78)는 전압변환기(60)의 정류전압 V1을 반전하여 출력라인(104)로 출력함으로서 MPU(80)의 입력포트(P1.0)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MPU(80)은 제2도의 (204)과정에서 입력포트(P1.0)의 신호입력 검색판단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있다고 판단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색하기 위하여 (205)과정에서 입력포트(P1.0)의 입력 논리가 “하이”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205)검색과정에서 노아게이트(77)의 출력상태가 액티브 “로우”라하면 MPU(80)는 수신되는 신호 레벨상태가 적절하다고 프로그램(program)상에서 판단하고, 전술한 (201)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한편, 아나로그 신호 수신라인(35)를 통한 신호를 입력하는 모뎀은 “응답신호 0”을 복조하여 모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이를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는 모뎀을 제어하여 “응답톤 0”(2100HZ)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톤 1”(1050HZ)를 아나로그 신호라인(9)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아나로그신호 출력라인(9)의 신호는 MPU(80)의 이득제어데이터에 의한 이득으로 이득제어기(10)내에서 제어되어 출력라인(92)에서 실리게 된다. 상기 출력라인(92)의 신호는 2선 4선변환기인 하이브 리드(20)와 트랜스포머(30)를 통해 전송로인 전화라인으로 전송된다.
만약, 전술한 제2도(205)과정에서 입력포트(P1.1)의 입력논리가 인액티브 “하이”라고 판단되면, MPU(80)는 수신레벨이 적정 수신 레벨보다 과대 수신 레벨인지 과소 수신 레벨인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입력포트(P1.2)의 입력논리를 (206)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제2도(206)과정 수행결과 입력논리가 “하이”라면 MPU(80)는 수신되는 신호레벨이득이 과대하다고 판단하고, (207)과정에서 초기 세팅된 T레벨값 (OAH)를 증가시키어 내부 레지스터에 세이브한다. 이후 아나로그 수신라인(35)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톤 1”(1050HZ)이 송출되어지는가를 제2도(209)과정에서 검색한다. 이때 상기 (209)의 검색은 아나로그 출력라인(9)으로 출력되는 변조기의 출력을 파형 정형하여 MPU(80)에 입력시킴으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실행하는 이유는 이전에 세팅된 T레벨의 이득값으로서 상대 모뎀에 신호를 송출하여야만 상기 상대편의 모뎀도 송출레벨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신신호레벨이 과도한 이득레벨로서 수신될 때 이득제어데이터 즉 T레벨값을 증가(Increment)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이득제어기(10)의 출력이 부(-)의 전송레벨이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초기 T레벨값(OAH)일때에 이득제어기(10)는 -10dBm레벨로써 신호이득을 조절하여 출력하고, T레벨값이 OAH에서 “OBH”로 증가되었을 때에 상기 이득제어기(10)의 출력은 -11dBm의 이득레벨로서 출력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도 (209)과정에서 변조된 아나로그 신호가 송출되었다면, MPU(80)는 내부레지스터에 세이브된 T레벨값을 포트(Port2 : P2.0-P2.3)으로 출력하고 (203)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따라서 차기의 전송될 신호는 이득이 조절 출력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2도(206)과정에서 입력포트(P1.2)로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라 판정되면, MPU(80)는 (208)과정에서 초기에 설정된 T레벨값(OAH)를 감소(Decrement)하여 레지스터에 세이브하고 (209)(210)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대편 모뎀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수신 레벨 이득이 과소 일때에는 송출 이득을 증가시키어 변조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전송신로의 상태에 따른 이득변화를 검출하여 송출레벨을 자동조절출력함으로서 선로의 상태 변화에 관계없이 최상의 이득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써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뎀의 핸드쉐이크 신호로서 송출이득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호출측과 수신측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반송파의 이득을 검출하여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의 기술에 종사하는 자라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뎀의 핸드쉐이크 신호로써 송출이득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호출측과 수신측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반송파의 이득을 검출하여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의 기술에 종사하는 자라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상호간 통신하는 통신시스템의 송출레벨을 전화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송신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조절출력함으로서 전화선로 상태변화에 따른 감쇠량을 보상할 수 있다.

Claims (3)

  1.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모뎀이 아나로그 신호출력단자(9) 및 아나로그신호 입력단자(35)와, 제1권선의 양단이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일측이 접지되고 타측이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2권선으로되어 제1권선과 제1권선의 신호 임피던스를 매칭하고 상호 입력을 유기 접속하는 트랜스포머(30)와, 상기 아나로그 신호출력단자(9)의 아나로그 신호이득을 소정의 이득제어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조절 출력하는 이득제어기(10)와, 상기 이득제어기(10)의 출력신호를 소정증폭하여 상기 제2권선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권선으로부터의 출력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아나로그신호 입력단자(35)로 입력시키는 2선 4선변환기(20)와, 상기 아나로그 신호 입력단자(35)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제1·제2대역신호의 신호로 각각 필터링 출력하는 제1,제2대역통과필터로 구성된 대역통과 필터부(40)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40)로부터 필터링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증폭 출력하는 증폭기(50)와상기 증폭기(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정류 출력하는 전압변환기(60)와, 과대, 과소 수신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제2기준전압(V1)(V2)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정류전압(V1)과 상기 설정된 제1,제2기준전압(V1)(V2)의 상호 비교에 의해 과대, 정상, 과소 수신레벨 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수신레벨 정보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 수신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레벨 감지부(70)와, 초기 이득제어데이터를 상기 이득제어기(10)에 입력시키고 상기 데이터 수신레벨 감지부(70)의 수신상태 정보, 수신레벨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초기 이득 제어 데이터를 가변하여 이득제어기(10)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8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레벨 감지부(70)는 소정 제1전원(VDD)와 제2전원(GND)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전원을 고이득 레벨의 설정 전압인 제1기준전압(V1)을 분압 출력하는 제1분압회로와, 상기 제1전원전압(VDD)과 제2전원전압(GND)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저이득 레벨의 설정 전압인 제2기준전압(V2)을 분압 출력하는 제2분압회로와, 상기 제1기준전압(V1)과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출력전압(VI)을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비교 출력하는 제1비교기(73)와, 상기 제1비교기(73)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Ⅵ)을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V2)을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비교출력하는 제2비교기(763)와, 상기 제1, 제2비교기(73)(76)의 출력을 부논리합(NOR)하여 출력하는 노아게이트(77)과,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78)로 구성되어 상기 전압변환기(60)의 출력(VI)으로서 데이터 수신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정류 출력전압(VI)와, 제1,제2기준전압(V1)(V2)을 상호비교하여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80)에 입력시키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송출 신호레벨 자동 보상회로.
  3. 모뎀과 아나로그 신호를 전화라인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상기 모뎀에 입력시키는 아나로그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신호 이득을 소정의 이득제어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조절 출력하는 이득 제어기(10)와, 상기 아나로그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신호 수신 상태 정보와 수신 신호 레벨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 레벨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수신 레벨 상태 감지수단의 신호 수신상태정보와 수신 레벨 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득제어기(10)로 입력되는 이득 제어 데이터를 가변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80)를 구비한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 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송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 이득 제어 데이터값을 설정하여 레지스터에 세이브하고, 상기 레지스터의 데이터 값을 상기 이득제어기(10)의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1단계와, 데이터 수신정보,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읽어들여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검색결과 데이터 수신상태일 때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를 선택 입력하고 데이터가 수신이 아닐때에 상기 제1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의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분석결과가 정상 데이터수신레벨 정보일 때 상기 제1단계의 설정 이득 제어 데이터를 이득제어 데이터로 출력하고, 비정상 데이터 수신레벨 정보일때에 수신신호 레벨이 높은지 낮은지를 검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검색결과 에 따라 초기 이득제어 데이터를 인크리멘트 또는 디크리멘트하여 레지스터에 세이브하고 소정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레지스터의 전송레벨 제어데이터를 상기 이득제어기(10)인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송출 신호 레벨 자동 보상방법.
KR1019880013425A 1988-10-14 1988-10-14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KR91000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25A KR910009672B1 (ko) 1988-10-14 1988-10-14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US07/292,355 US4989243A (en) 1988-10-14 1988-12-30 Automatic compensation system of transmission level in MODEM
GB8902565A GB2223897B (en) 1988-10-14 1989-02-06 Automatic compensation of transmission level in mod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25A KR910009672B1 (ko) 1988-10-14 1988-10-14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93A KR900007193A (ko) 1990-05-09
KR910009672B1 true KR910009672B1 (ko) 1991-11-25

Family

ID=1927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425A KR910009672B1 (ko) 1988-10-14 1988-10-14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89243A (ko)
KR (1) KR910009672B1 (ko)
GB (1) GB2223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742A (en) * 1990-01-12 1993-02-16 Codex Corporation Circuitry for interfacing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to a communication channel
FR2674083B1 (fr) * 1991-03-14 1994-01-07 Bull Sa Emetteur-recepteur pour liaison bidirectionnelle, circuit integre l'incorporant et application a la communication entre unites d'un systeme informatique.
MY110609A (en) * 1993-06-30 1998-08-29 Harris Corp Carbon microphone interface for a modem
US5602869A (en) * 1993-10-18 1997-02-11 Paradyne Corporation Adaptive transmit levels for modems operating over cellular
WO1995014345A1 (en) * 1993-11-15 1995-05-26 Qualcomm Incorporated A method for handling unrecognizable command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5555300A (en) * 1994-03-07 1996-09-10 Gutzmer; Howard A. Telephone handset microphone level adjustment
US5541990A (en) * 1994-07-05 1996-07-3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ensated hybrid
US5528685A (en) * 1994-07-08 1996-06-18 At&T Corp. Transformerless hybrid circuit
US5455859A (en) * 1994-11-28 1995-10-03 Gutzmer; Howard A. Telephone handset interface for device having audio input
JPH08223310A (ja) * 1995-02-17 1996-08-30 Fujitsu Ltd 送出レベル設定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モデム装置
US5822426A (en) * 1995-06-06 1998-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lanced hybrid circuit
US6343126B1 (en) 1996-03-27 2002-01-29 Hello Direc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nalog telephone apparatus to a digital, analog or hybrid telephone switching system
US5912964A (en) * 1996-03-27 1999-06-15 Hello Direct, Inc. Adaptive telephone handset interface
US5892823A (en) * 1996-03-27 1999-04-06 Hello Direct, Inc. Smart interface technology
US6169762B1 (en) 1997-05-30 2001-01-02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face devices providing electrical isolation
US7031454B1 (en) 1997-11-06 2006-04-18 Hello Direc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telephone apparatus to a digital, analog or hybrid telephone switc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898B2 (ja) * 1977-12-31 1985-09-19 株式会社リコー 送受信回路
FR2485842B1 (fr) * 1980-06-30 1988-02-26 Cit Alcatel Dispositif de separation des voies emission et reception d'une transmission de donnees en duplex integral
JPS5916431A (ja) * 1982-07-19 1984-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線4線系変換回路
JPS59115633A (ja) * 1982-12-22 1984-07-04 Toshiba Corp 情報伝送方式
FR2595889B1 (fr) * 1986-03-14 1988-05-06 Havel Christophe Dispositif d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dans une station emettrice-receptrice de radiocommunication
JPS6318826A (ja) * 1986-07-11 1988-01-26 Oki Electric Ind Co Ltd モデムの送出レベル調整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23897B (en) 1993-08-11
GB2223897A (en) 1990-04-18
GB8902565D0 (en) 1989-03-22
KR900007193A (ko) 1990-05-09
US4989243A (en)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672B1 (ko)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US4161633A (en) Subscriber line/trunk circuit
KR830000247B1 (ko) 전류제한 가입자 선로 피드회로
US5946393A (en) Data access arrangement
US4103118A (en) Autobalance hybrid circuit
US4352962A (en) Tone responsive disabling circuit
EP0781029B1 (en) Noise suppressing circuit
US4608464A (en) Interface circuit interconnecting a bidirectional two-wire line with unidirectional four-wire lines
US55331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tone optimization
FI63141B (fi) Elektronisk telefonkrets
CN101248589A (zh) 用于回声消除的路径变化检测器
US5771262A (en) Impedance adapter for network coupler cable
GB2072465A (en) Telephone transmission circuit
EP0130553A2 (en) Improvements in telephone instruments
US4377730A (en) Tone elimination circuit
JP4318132B2 (ja) Dc機器及び送信経路較正を含むハンドセットポートインターフェース
US4856058A (en) Office line interface circuits
GB2174573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186790B1 (ko)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JPS6282880A (ja) 信号音検出装置
CA2281772C (en) Method for automatically matching the levels of the signals exchang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323618B2 (ja) 通信装置
JP2547649B2 (ja) 電話会議装置
JP2756129B2 (ja) データ端末装置
JP3913467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