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790B1 -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 Google Patents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790B1
KR100186790B1 KR1019950030585A KR19950030585A KR100186790B1 KR 100186790 B1 KR100186790 B1 KR 100186790B1 KR 1019950030585 A KR1019950030585 A KR 1019950030585A KR 19950030585 A KR19950030585 A KR 19950030585A KR 100186790 B1 KR100186790 B1 KR 10018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odem
level
signal
transmiss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966A (ko
Inventor
아라이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03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2Modulated-carrier systems analog front ends; means for connecting modulators, demodulators or transceivers to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모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송출 레벨 설 회로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고정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뎀 회로부 2 : AGC 회로
3, 8, 21~23 : 연산 증폭기 4~7, R1~R7, 30, 62~64 : 저항기
9 : 라인 트랜스 10 : 휴대 전화기
11 : 모뎀 12 : 송신부
13 : 수신부 18, 19 : 접속 케이블
C : 콘덴서 D1, D2 : 다이오드
N1~N3 : 노드 21, 22 : 포토커플러
23 : AND 회로 31 : MPU
32 : 제어부 33 : 레지스터
41, 42 : 커넥터 45 : 퍼스널 컴퓨터
51 : 모뎀 장치 52 : 어뎁터
66 : 3심 케이블
본 발명은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에 관한 것으로,구체적으로 말하면 교환 회선 또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타통신을 행할 때의 캐리어 송출 레벨을 설정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모뎀 장치를 휴대 전화나 교환 회선에 접속하고,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모뎀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교환 회선 또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교환 회선과 무선 회선이 구성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교환 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와 무선 회선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 방법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일반 모뎀 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래벨의 설정이 변경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교환 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 교환국까지의 거리에 따라 신호 감쇠가 생긴다. 따라서,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을 최적치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신호 감쇠량을 고려하여 감쇠량에 대응시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증가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교환 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모뎀 장치는 공장 출하시 예를 들면 -15dBm의 캐리어가 송출되도록 표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이 모뎀 장치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접속한 경우 모뎀 장치에서 교환국까지의 거리에 의존한 신호 감쇠량에 따라서 모뎀 장치 내의 송신부의 캐리어 송출 레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은 모뎀 장치가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공사 담당자 등의 유자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진다.
한편,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 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와 휴대 전화가 근거리에서 접속되므로 신호 감쇠량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최적 설정은 휴대 전화가 지정하는 입력 레벨의 범위에서 최대치로 설정하면 좋다.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모뎀 장치는 공장 출하시의 표준 설정에 의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예컨대 -51dBm까지 저하시키는 감쇠기 및 송출 임피던스가 600Ω인 저항기를 통하여 휴대 전화에 접속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송출 레벨을 모뎀 장치가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공사 담당자 등의 유자격자에 의해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모뎀 장치에서는 데이타 통신에서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이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시 조작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와같은 캐리어 송출 레벨 변경의 변경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은 공사 담당자 등의 유자격자에게 한정되며, 일반 이용자가 가볍게 휴대 전화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모뎀 장치에서 휴대 전화로의 신호로(信號路)에 신호를 고정적으로, 예를들면 36dB만큼 감쇠시키는 회로를 내장한 어댑터를 교환 회선에 접속된 모뎀 장치와 휴대 전화 사이에 접속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어댑터에서 휴대 전화로의 캐리어 송출 레벨도 변화되므로, 상기 종래예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 송출 레벨을 데이타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 범위 제 1항 기재의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고정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한 송출 레벨 설정 회로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가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고정레벨의 캐리어를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청구 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신호로에 설치된다.
청구 범위 제4항 및 제5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가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된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 범위 제6항 기재의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 회선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와, 상기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와, 데이타 통신을 상기 교환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가 송출되는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데이타 통신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회로로부터 고정 송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뎀 장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회로 내의 신호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장치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가진다.
청구 범위 제8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2회로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장치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가진다.
청구 범위 제9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8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면 전류로가 단락되는 커넥터와, 상기 전류로에 설치된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저항기의 단자전압이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 범위 제10항 기재의 모뎀 회로부의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회선 및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고정레벨의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한 모뎀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1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0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송신부의 캐리어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고정레벨의 캐리어를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청구 범위 제12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0항 또는 제11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가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신호로에 설치된다.
청구 범위 제13항 및 제14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가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된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 범위 제15항 기재의 모뎀 회로부의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회선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와, 데이타 통신을 상기 교환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가 송출하는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어수단은 데이타 통신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회로에서 고정 송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뎀 회로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모뎀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6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5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제1회로 내의 신호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회로부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청구 범위 제17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제15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제2회로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회로부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청구 범위 제18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 범위 17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면 전류로가 단락되는 커넥터와, 상기 전류로에 설치된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저항기의 단자 전압이다.
청구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회로를 이용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사용하는 회선에 최적의 레벨로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교환회선에 대한 현존의 회로에 덧붙여서 무선회선에 대한 회로를 추가할 뿐으로, 모뎀 회로부의 주요 부분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은 불필요하다.
청구 범위 제4항 및 제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무선회선에 대한 회로가 모뎀 장치에 접속되는 어댑터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청구 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9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를 휴대 전화기에 접속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타 통신에 무선회선이 사용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0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1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회로를 이용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사용하는 회선에 최적의 레벨로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교환회선에 대한 현존의 회로에 덧붙여서 무선회선에 대한 회로를 추가할 뿐으로, 모뎀 회로부의 주요 부분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은 불필요하다.
청구 범위 제13항 및 제1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무선회선에 대한 회로가 모뎀 장치에 접속되는 어댑터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청구 범위 제1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16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를 휴대 전화기에 접속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타 통신에 무선회선이 사용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대상인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1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출 레벨 설정 회로의 제1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뎀 장치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51 dBm으로 고정된다. 한편,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7 dBm ~-15 dBm으로 설정된다.
제1도에 도시된 모뎀 장치는 대략 모뎀 회로부(1), 자동이득제어(AGC)회로(2), 연산 증폭기(3,8), 저항기(4~7) 및 라인 트랜스(9)로 구성된다.
모뎀 회로부(1)는 대략 모뎀(11), 송신부(12) 및 수신부(13)로 구성된다. G는 접지를 나타낸다. 모뎀 회로부(1)자체로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모뎀 대규모 집적 회로(LSI)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도 및 후술하는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있어서, 모뎀 회로부(1)내의 수신부(13)에 대한 접속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AGC 회로(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연산 증폭기(21~23), 저항기(R1~R7), 다이오드(D1, D2) 및 콘덴서(C)로 구성된다. 예컨대, 저항기(R3~R5, R7)의 저항치는 20 ㏀이고, 저항기(R6)의 저항치는 10㏀ 이다. 또, 콘덴서(C)의 용량은 예컨대 10㎌이다.
예컨대, 저항기(4,7)의 저항치는 600Ω이고, 저항기(5,6)의 저항치는 10㏀이다. 노드(N1)는 접속 케이블(18)을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접속되고, 노드(N2)는 접속 케이블(19)을 통하여 교환회선(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모뎀 회로부(1)는 교환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의해 0 dBm ~ -15 dBm의 캐리어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연산 증폭기(21) 및 저항기(R1, R2)는 전압 제어 증폭회로를 구성하고, 이 전압 제어 증폭 회로는 통상 0 dB의 증폭기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전압 제어 증폭 회로는 모뎀 회로부(1)의 레벨 설정에 따라서 0 dBm ~ -15 dBm의 캐리어를 송출한다. 이 전압 제어 증폭회로가 출력하는 캐리어는 연산 증폭기(22, 23)에 의해 전파(全波) 정류되는 동시에, 연산 증폭기(23)에 접속된 콘덴서 C에 의해 평활화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23)의 출력은 전압 제어 증폭 회로의 출력 파형의 교류 전압 평균치가 된다.
연산 증폭기(2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 평균치는 상기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에 공급되어,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교류 전압 평균치가 클 때는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감쇠량이 커진다. 한편,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출력이 작아지면 교류 전압 평균치가 작아지고, 피드백 루프는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출력 레벨이 일정치가 되는 곳에서 평형 상태가 된다.
이 피드백 루프의 평형 상태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출력 레벨은 저항기(R1, R2)의 저항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항상 -9 dBm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9 dBm의 출력은 연산 증폭기(3)에 의해 36 dB 감쇠되고, 저항기(4) 및 노드(N1)를 통한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51 dBm으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뎀 회로부(1)의 교환 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관계없이 노드(N1)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고정치인 -51 dBm로 자동 설정된다.
한편, 모뎀 회로부(1)의 송신부(12)로부터 송출되는 0 dBm ~ -15 dBm의 캐리어는 연산 증폭기(8) 및 저항기(5, 6)로 구성되는 증폭회로와, 저항기(7)와, 라인 트랜스(9)를 통하여 노드(N2)로부터 교환 회선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 때문에, 모뎀 회로부(1)의 교환 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따라서 노드(N2)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은 -7 dBm ~ -15 dBm으로 설정된다. 또한, 모뎀 회로부(1)의 교환 회선용 송출 레벨은 종래와 같이 공사 담당자등의 유자격자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모뎀 회로부(1)에 접속된 모뎀 장치의 컨트롤러(도시 생략)를 통하여 수동으로 설정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을 위한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2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뎀 장치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2도 중,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51 dBm으로 고정된다. 한편,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7 dBm ~-15 dBm으로 설정된다.
제2도에 도시된 모뎀 장치는 대략 모뎀 회로부(1), 연산 증폭기(3, 8), 저항기(4, 7), 라인트랜스(9), 포토커플러(photocoupler)(21, 22) 및 AND회로(23)로 구성된다. 포토커플러(21, 22)는 교환회선로의 신호로에 설치되고, 이 신호로에 직류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신호로에 직류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는 경우, 모뎀 회로부(1)의 모뎀(11)은 AND 회로(23)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부(12)의 캐리어 송출 레벨을 고정치인 -9 dBm으로 자동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송출부(12)의 -9 dBm의 출력은 연산 증폭기(3)에 의해 36 dB감쇠되고, 저항기(4) 및 노드(N1)를 통한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51 dBm으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뎀 회로부(1)의 교환 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관계없이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노드(N1)에서의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고정치인 -51 dBm으로 자동 설정된다. 즉,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노드(N1)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고정치인 -51 dBm으로 자동 설정된다.
한편, 모뎀 회로부(1)의 송신부(12)로부터 송출되는 0 dBm ~ -15 dBm의 캐리어는 연산 증폭기(8)와, 저항기(7)와, 라인트랜스(9)를 통하여 노드(N2)로부터 교환회선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 때문에, 모뎀 회로부(1)의 교환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따라서, 노드(N2)로부터 캐리어 송출 레벨은 -7 dBm ~ -15 dBm으로 설정된다. 또한, 모뎀 회로부(1)의 교환 회선용 송출 레벨은 종래와 같이, 공사 담당자등의 유자격자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모뎀 회로부(1)에 접속된 모뎀 장치의 컨트롤러(도시 생략)를 통하여 수동으로 설정된다. 또,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교환 회선으로의 신호로에 직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AND회로(23)로부터의 설정신호는 모뎀 회로부(1)의 모뎀(11)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송신부(12)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을 고정치인 -9 dBm으로 자동 설정하는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을 위한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 3실시예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뎀 장치의 제3실시예에 적용된다. 제3도중,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교환회선에 대한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는 제3도에 있어서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51 dBm으로 고정된다.
제3도에 도시된 모뎀 장치는 대략 모뎀 회로부(1), 연산증폭기(3), 저항기(4, 30),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PU)(31) 및 커넥터(41)로 구성된다.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커넥터(41)는 커넥터(42)에 접속된다. 커넥터(41)와 커넥터(42)가 접속되면, 모뎀 회로부(1)의 송신부(12)로부터의 송신 캐리어가 연산증폭기(3) 및 저항기(4)를 통하여 커넥터(42)의 노드 N1보다 접속 케이블(18)을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대하여 출력된다. 한편, +5V의 전원과 접지 사이에 저항기(30)가 접속되고, 노드(N3)로부터 선택신호가 MPU(31)의 범용 포트(P)로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41)는 모뎀 장치측에 설치되고, 커넥터(42)는 휴대 전화기(10)에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18)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커넥터(41)를, 예컨대 모뎀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하고, 접속 케이블(18)을 생략하여 커넥터(42)를 휴대 전화기(10)측에 직접 설치해도 좋다.
MPU(31)는 제어부(32) 및 레지스터(33)를 포함한다. 제어부(32)는 퍼스널 컴퓨터(45)에 접속되어 있고, 모뎀 회로부(1) 내의 송신부(12)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치 등을 공급받고, 설정치를 제어부(32)의 내부 레지스터에 격납한다. 또, 제어부(32)는 미리 송신부(12)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소정의 고정치를,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45)로부터 설정하여 그 소정의 고정치를 내부 레지스터에 격납한다. 제어부(32)는 커넥터(41)를 통하여 MPU(31)의 범용 포트(P)에 공급되는 선택신호에 따라서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설정치를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고정치를 레지스터(33)에 격납한다. 레지스터(33)에 격납된 값은 제어부(32)의 제어하에 독출되고 모뎀 회로부(1)내의 송신부(12)에 공급되며, 송신부(12)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레지스터(33)로부터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교환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커넥터(41)는 커넥터(42)에 접속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노드(N3)는 접지되지 않고, 제어부(32)는 노드 (N3)로부터의 로우레벨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45)로부터의 설정치를 레지스터(33)에 격납한다. 따라서, 이 경우, 송신부(12)는 설정치에 기초한 레벨의 송신 캐리어 레벨을 출력하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회로를 통하여 노드 N2로부터 7 dBm ~ -15 dBm의 캐리어가 교환회선에 대하여 출력된다.
한편,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커넥터(41)는 커넥터(42)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노드(N3)는 접지되고, 제어부(32)는 노드(N3)로부터의 저항기(30)의 단자전압, 즉, 하이레벨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고정치를 레지스터(33)에 격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송신부(12)는 소정의 고정치에 기초한 -9 dBm의 송신 캐리어 레벨을 자동적으로 그리고 고정적으로 출력하고, 커넥터(42)의 노드(N1)로부터는 고정치인 -51 dBm의 캐리어가 휴대 전화기(10)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는 없으며,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을 위한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은 커넥터(41)의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MPU(31)는 모뎀(11)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서로서도 좋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MPU(31)내의 제어부(3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단계 S1은 퍼스널 컴퓨터(45)로부터의 송출 레벨의 설정치를 제어부(32)의 내부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단계 S2는 퍼스널 컴퓨터(45)로부터의 통신 개시 명령을 제어부(32)의 내부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단계 S3는 MPU(31)의 범용 포트(P)에 공급되는 선택 신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정한다. 단계 S3의 판정 결과가 하이레벨인 경우, 단계 S4에서 내부 레지스터로부터 독출한 설정치를 레지스터(33)에 격납한다. 한편, 단계 S3의 판정 결과가 로우레벨인 경우에는 단계 S5에서 내부 레지스터로부터 독출한 예컨대 -15인 소정의 고정치를 레지스터(33)에 격납한다.
단계 S4 또는 단계 S5 이후, 단계 S6은 레지스터(33)에 격납된 값을 독출하여 송신부(12)로 공급한다. 단계 S7은 데이타 통신을 개시하여 단계 S8에서 데이타 통신의 종료가 확인되면 처리는 단계 S2로 되돌아가고, 퍼스널 컴퓨터(45)로 부터의 다음 통신개시 명령을 기다린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4실시예를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출 레벨 설정회로의 제4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뎀 장치의 제4실시예에 적용된다. 제5도중,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이 -51 dBm으로 고정된다.
제5도에 있어서, 모뎀 장치(51)는 교환회선에 대하여 캐리어를 송출하는 주지의 구성을 가지는 장치이다. 따라서, 모뎀 장치(51)로부터는 예컨대 7 dBm ~ -15 dBm의 캐리어가 송출된다. 이 모뎀 장치(51)로부터 송출되는 캐리어는 어댑터(52)및 3심 케이블(66)을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 어댑터(52)는 모뎀 장치(51)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치인 -51 dBm의 캐리어를 3심 케이블(66)을 통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어댑터(52)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의 트랜스(61), 저항기(62~64) 및 AGC회로(2)로 구성된다. ACC회로(2)는 제1도에 도시된 AGC회로(2)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자 TX로부터는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출력되고, 단자 G는 접지되며, 단자 RX는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들의 단자 TX, G, RX는 3심 케이블(66)의 선에 대응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AGC회로(2)내의 피드백 루프의 평형 상태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 증폭회로의 출력 레벨은 제1도에 도시된 저항기(R1, R2)의 저항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항상 -9 dBm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제어 증폭회로의 -9 dBm의 출력은 연산 증폭기(3)에 의해 36dB 감쇠되며, 저항기(4) 및 노드(N1)를 통한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51 dBm으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뎀 장치(51)의 교환회선용 송출 레벨의 설정에 관계없이 3심 케이블(66)로부터의 캐리어 송출 레벨은 항상 고정치인 -51 dBm으로 고정 설정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타 통신에서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캐리어 송출 레벨의 변경을 위한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휴대 전화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한 데이타 통신의 경우에만 모뎀 장치(51)를 어댑터(52)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접속함으로써,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어댑터(52)를 휴대 전화기(10)측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10)에 의한 무선회선을 통한 데이타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모뎀 장치(51)를 접속 케이블을 이용하여 어댑터(52)에 접속하면 좋다.
또, 어댑터(52)를 모뎀 장치(51)측에 설치해도 좋다. 즉, 모뎀 장치의 제4실시예에서는 모뎀 장치(51)가 어댑터(52)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이 경우, 모뎀 장치(51)의 출력과, 어댑터(52)를 통한 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AGC 회로(2)는 모뎀 장치(51)와 휴대 전화기(10)를 접속하는 신호로에 설치되면 좋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 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회로를 이용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사용하는 회선에 최적의 레벨에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교환 회선에 대한 현존의 회로에 덧붙여서 무선 회선에 대한 회로를 추가할 뿐으로 모뎀 회로부의 주요 부분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은 불필요하다.
청구 범위 제4항 및 제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무선 회선에 대한 회로가 모뎀 장치에 접속되는 어댑터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청구 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 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 회선에 최적의 고정 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9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를 휴대 전화기에 접속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타 통신에 무선회선이 사용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0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 이 무선회선에 최적의 고정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1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회로를 이용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사용하는 회선에 최적의 레벨에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교환 회선에 대한 현존의 회로에 덧붙여서 무선 회선에 대한 회로를 추가할 뿐으로 모뎀 회로부의 주요 부분의 대폭적인 설계 변경은 불필요하다.
청구 범위 제13항 및 제1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무선 회선에 대한 회로가 모뎀 장치에 접속되는 어댑터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청구 범위 제1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지 않고, 또 신호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신호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동 전화기의 무선 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행하는 경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무선 회선에 최적의 고정 레벨의 신호가 항상 출력된다.
청구 범위 제16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청구 범위 제1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를 휴대 전화기에 접속할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데이타 통신에 무선회선이 사용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회선의 종류를 의식하여 캐리어 송출 레벨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 송출 레벨을 데이타 통신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8)

  1.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장치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고정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고정 레벨의 캐리어를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신호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6.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 회선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와, 상기 모뎀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와, 데이타 통신을 상기 교환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가 송출하는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데이타 통신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회로에서 고정 송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뎀 장치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회로 내의 신호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장치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회로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장치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면 전류로가 단락되는 커넥터와, 상기 전류로에 설치된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저항기의 단자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출 레벨 설정 회로.
  10. 모뎀 회로부의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회선 및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의 신호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고정 레벨의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송신부의 캐리어 송출 레벨에 관계없이 고정 레벨의 캐리어를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신호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득 제어회로는 상기 모뎀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에 설치된 어댑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5. 모뎀 회로부의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교환회선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에 대한 송출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와, 데이타 통신을 상기 교환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가 송출하는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데이타 통신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무선회선을 통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회로로부터 고정 송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모뎀 회로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회로 내의 신호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며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뎀 장치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회로부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회로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부의 캐리어 송출 레벨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뎀 회로부에 공급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면 전류로가 단락되는 커넥터와, 상기 전류로에 설치된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저항기의 단자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장치.
KR1019950030585A 1995-02-17 1995-09-19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KR100186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9820A JPH08223310A (ja) 1995-02-17 1995-02-17 送出レベル設定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モデム装置
JP95-029820 199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966A KR960032966A (ko) 1996-09-17
KR100186790B1 true KR100186790B1 (ko) 1999-05-15

Family

ID=1228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585A KR100186790B1 (ko) 1995-02-17 1995-09-19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887026A (ko)
JP (1) JPH08223310A (ko)
KR (1) KR100186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13B1 (ko) * 2001-10-26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상태조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583A (en) * 1998-04-14 2000-05-23 Gateway 2000, Inc. Modular, reconfigurable components methods for wireless data transfer between a computer and a communications system
WO2007034842A1 (ja) 2005-09-20 2007-03-29 Jap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Nmr検出セル、nmr測定方法及びnmr測定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5889B1 (fr) * 1986-03-14 1988-05-06 Havel Christophe Dispositif d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dans une station emettrice-receptrice de radiocommunication
KR910009672B1 (ko) * 1988-10-14 1991-1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JPH0399571A (ja) * 1989-09-12 1991-04-24 Aiwa Co Ltd 端末装置の送出レベル調整方法
JPH04290366A (ja) * 1991-03-19 1992-10-14 Hitachi Telecom Technol Ltd モデム信号送出レベル自動設定方式
JPH04296156A (ja) * 1991-03-25 1992-10-20 Tokyo Electric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3011383B2 (ja) * 1992-02-28 2000-02-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電話機を使用したパソコンデータ通信方式
JPH05327791A (ja) * 1992-05-18 1993-12-10 Fujitsu Ltd Icカード型モデム装置とそのデータ通信方法
EP0841807A3 (en) * 1992-11-12 1998-11-18 Canon Kabushiki Kaisha A portable facsimile apparatus into which a document or a recording sheet is manually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13B1 (ko) * 2001-10-26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상태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966A (ko) 1996-09-17
JPH08223310A (ja) 1996-08-30
US6330276B1 (en) 2001-12-11
US5887026A (en) 199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023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US6765439B2 (en) Impedance matching for a power amplifier system
US536755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used with an adaptor unit having a hand-free circuit
US60384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owering an accessory
EP0775430B1 (en) Arrangement for adapting a signal level in a mobile phone
US5799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the clock rate and data transfer rate of phone-line powered modems.
US5265154A (en) Telephone controller apparatus
KR960700585A (ko) 무선전화장치(radio telephone equipment)
JPH10145248A (ja) 送信電力を調整する回路
KR950007973B1 (ko) 휴대용 무선송수신기의 고주파 출력레벨 보상회로
US6704414B2 (en) Telephone line extension
KR910009672B1 (ko) 모뎀의 송출신호 레벨 자동 보상회로 및 방법
WO2004036779A1 (en) Use of power detection to control rx/tx switching
KR100186790B1 (ko)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EP0030228A2 (en) Speech networks for telephone sets
US7409195B2 (en) Wireless modem
EP0435664A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of different kinds
US5247704A (en) Burst mode transmitter/receiver unit
EP0388895A2 (en) Variable transmission power type transmitter
US4723278A (en) Voice circuit of telephone
KR930010840B1 (ko)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JP4298961B2 (ja) 送信機の電力を制御する調整装置
KR910003391B1 (ko) 반이중 음성 송수신회로
JP2002261650A (ja) 送受信装置
KR100195114B1 (ko) 데이터의 선로 감쇄량 자동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