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840B1 -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840B1
KR930010840B1 KR1019900019619A KR900019619A KR930010840B1 KR 930010840 B1 KR930010840 B1 KR 930010840B1 KR 1019900019619 A KR1019900019619 A KR 1019900019619A KR 900019619 A KR900019619 A KR 900019619A KR 930010840 B1 KR930010840 B1 KR 93001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06A (ko
Inventor
나상택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840B1/ko
Publication of KR9200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자동출력제어부의 세부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송신 출력제어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수신 안테나 2 : 수신부
3 : 복조기 4 : A/D 변환기
5 : 마이컴 6 : 자동출력제어부
7 : 송신부
본 발명의 셀룰러 시스템의 단말기인 카폰 또는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전계 지역에서 전화를 걸 경우, 또는 임의의 상대방이 찾아서 응답을 할 경우 맨처음 송신되는 최초메시지 또는 페이지 응답 메시지 송신시 수신신호강도를 체크하여 일정수준이하이면 이를 높여서 송출하여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송신 출력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폰이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를 걸거나 임의의 상대방이 찾아서 응답할 경우 맨처음 송신되는 최초메시지나 페이지 응답 메시지등을 송신할 때 레벨 0인 3[w](카폰), 0.6[W](휴대용 전화기)로 송신하였으나 단말기가 약전계 지역에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단말기에서 시스템 싸이트로 송신되는 출력은 시스템 싸이트에 미약한 신호로 도달하게될 뿐만 아니라, 약전계인 경우에는 전파경로에 장애물로 인하여 시스템 싸이트에서 단말기로 들어오는 데이터가 미약하게 도달되어 송출출력 역시 미약하거나 또는 데이터가 소멸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없거나 밧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약전계에서 전화를 처음으로 걸거나 받을 경우 수신신호 강도의 레벨을 체크하여 낮을 경우에는 전화기의 송신출력을 높여 통화율을 높이기 위한 전화기의 송신출력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제어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의 출력을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틀 변환수단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틀 변환수단의 출력값으로 약전계지역을 판단하여 약 전계지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되는 송신 출력레벨을 조정하는 자동 출력제어수단과, 상기 자동 출력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송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제어방법은, 상기 송신출력 제어장치에 적용되되, 대기시 안테나(1)를 통해 입력되어 디지틀 신호를 변환된 수신 수신 강도 값을 읽어들여 저장하고, 입력된 데이터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후, 현재의 입력데이터값이 기준값 보다 작은 약전계 지역의 경우에는 최대 송신 비트를 제1상태로 셋팅시키고, 입력 데이터 값이 기준값보다 큰 강전계 지역의 경우에는 최대 송신 비트를 제2상태로 셋팅하는 제2단계와, 송신시 최대 송신비트가 제1상태로 셋팅된 경우에는 최대 송신 출력데이터를 출력하고, 최대 송신 비트가 제2상태로 셋팅되었을 경우에는 정상 송신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상기의 데이터 송신후에는 최대송신비트를 상기의 제2상태로 셋팅시키는 제4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카폰 또는 휴대용전화기)의 송신출력 제어장치의 블럭도로서, 도면에서 1은 아테나, 2는 수신단, 3은 복조기, 4는 아날로그/디지틀 변환기(A/D)변환기, 5는 마이컴, 6은 자동출력 제어기, 7은 송신단을 각각 나타낸다.
우선 안테나(1)를 통해 입력되는 시스템 싸이트로 부터의 수신 강도를 표시하는 데이터 신호는 수신부(2)에서 수신된 뒤 복조기(3)에 제공된다. 복조기(3)에서 복조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틀 변환기(4)에 입력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레벨에 따른 디지틀 신호로 변환된 뒤 마이컴(5)에 입력된다. 여기서 마이컴(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램, 롬 및 입/출력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마이컴(5)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틀 변환기(4)에서 입력되는 디지틀 수신신호강도 표시 데이터를, 내부에 기준치로 저장하고 있는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약전계 지역에서는 송신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제어신호는 자동출력제어부(6)에 제공되어 그에 의해 송신출력레벨이 조정되고, 송신부(7)에 인가된다. 그러면, 송신부(7)는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제2도의 (a)는 마이컴에 의해 제어를 받아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자동출력 제어부(6)의 세부 연결구성도이고, 제2도의 (b)는 통화지역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신호의 파형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출력제어 전원 스위치, 12는 비교기, 13은 저역통과 필터, 14는 정류부, 15는 캐패시터를 각각 나타낸다.
마이컴(5)에서의 약전계 지역을 판별하는 것은, 수신부(2), 복조기(3), 아날로그/디지틀 변환기(4)를 거쳐 시스템 싸이트로부터 계속 들어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캐리어의 크기가 정류되어 디지틀 신호로 바뀐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한 약전계, 강전계를 구분하는 기준값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수행한다. 즉,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의 값보다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값이 크면 강전계로 판단하고, 작으면 약전계 값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송신부(7)를 이루는 파워 앰프 모듈이 입력단(IN)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단(OUT)을 통해 안테나 측으로 전송할 경우, 안테나 측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캐패시터(15)를 통해 피드 백 되어 정류부(14)에 인가되어 직류성분으로 검출된다.
한편, 마이컴(5)에서는 현재의 통화지역의 판별에 따른 제어신호인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값을 제2도의 (b)와 같이 출력한다. 즉, 약전계로 판단한 경우는, (가)형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강전계로 판단한 경우는 (나) 형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마이컴(5)에서는 출력되는 PWM신호는 저역통과 필터(13)를 거쳐 출력된다. 상기 PWM신호가 저역 통과 필터(13)를 거쳐 출력되면 PWM파형의 펄스 듀레이션(Pulse Duration)에 의해 직류전압이 다르게 나오게 된다. 즉, (가) 신호가 (나) 신호보다 저역 통과 필터(13)를 거쳐 나오는 직류전압값이 더 크게 된다.
결구, 상기 저역 통과 필터(13)를 거친 신호와 정류부(14)를 거친 신호는 각각 후단에 연결된 비교기(12)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현재 출력되고 있는 신호가 정해진 출력보다 크면, 즉, 비교기(12)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이 비반전단자(+)로 들어오는 기준 직류전압 보다 크면 비교기(12)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이에 따라 출력제어 전운 스위치(11)가 오프(off)되어 캐리어를 증폭하는 송신부(7)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비교기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반대의 동작을 하여 상기 송신부(7)에 전원이 가해진다.
본 발명은 이렇게 송신부(7)의 인가전원을 온/오프 함으로써 송신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데, 상기 송신부(7)전원의 온/오프 타임은 수 마이크로 초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성메시지가 단절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스위치(11)는 기계적인 스위치로서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레큘레이터 IC나 파워 트랜지스터등의 송신부(7)전원인가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이럴 경우 비교기(12)의 출력은 상기 소자들의 바이어스단에 연결한다.
제3도는 마이컴이 수행되는 송신출력제어 방법의 처리흐름도이다.
우선, 대기시 마이컴(5)는 수신부(2)와 복조기(3)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에서 디지틀 신호로 변환된 수신 신호강도 데이터값을 읽어들여 이를 그의 내부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한 뒤 (101), 이 값과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한다(102), 이때 마이컴(5)은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도중에 이값이 일정한 기준값(예컨대 -105[dBm])이하인 경우 다시 말해서 전화기가 약전계 지역에 있을 경우, 최대 송신 비트를 "1"로 셋팅시키고(103, 104) 리턴하며, 입력되는 데이터 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즉 강전계 지역의 경우), 마이컴(5)은 최대 송신비트를 "0"으로 셋팅시킨 후(103, 105)다시 입력데이터값을 체크하도록 리턴한다.
이러한 입력 데이터 체크시에 사용자가 송신 키이를 눌러 전화를 걸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자동차 안으로 전화를 걸어올 경우 최초 메시지나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마이컴(5)은 현재의 최대송신메시지가 "1"로 셋팅되었나를 판단하는 바(201), 현재 셋팅된 송신메시지가 "1"일 경우(다시 말하면 약전계지역의 경우)마이컴(5)은 자동출력제어부(6)에 송신출력의 최대값 데이터(예컨대 카폰의 경우에는 4.5[W], 휴대폰의 경우는 0.9[W])를 출력하게 한다(202).
그러나, 현재 셋팅된 송신비트가 "0"일 경우, 자동출력 제어부(6)에는 보통때의 송신출력인 정상데이터값(예컨대 카폰의 경우 4.5[W], 휴대폰이 경우는 0.6[W])을 출력하게 한다(203).
이러한 데이터의 출력후, 최초메시지 또는 페이지 응답 메시지 데이터가 송신될 수가 있는바, 이러한 송신의 완료후에 마이컴(5)은 밧데리 전류소모를 위해서 최대 송신 비트를 "0"으로 반드시 셋팅시켜둔다(205). 다시 말하면 맨처음 송신되는 데이터가 시스템 싸이트에 도달하여야만 통화로가 형성되고, 이후의 송신시는 음성 신호가 송신되어 데이터를 송신할 때 처럼 최대 레벨로 송신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밧데리 전류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이후의 송신시는 보통의 레벨로 출력하도록 최대 송신 비트를 반드시 "0"으로 셋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송신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된다(206).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약전계에서 전화를 처음으로 걸거나 받을 경우 수신신호강도의 레벨을 체크하여 낮을 경우에는 전화기의 송출출력(데이터값)을 높여 통화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안테나(1)를 통해 시스템 싸이트로부터 전송되어온 수신강도를 표시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2)과, 상기의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수단(3)과, 상기의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틀 변환수단(4)과, 상기의 디지틀 신호로 변환된 수신신호 강도표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약전계 지역에서는 송신출력을 높여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수단(5)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5)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되는 송신출력레벨을 조정하는 자동 출력제어수단(6) 상기의 자동 출력제어수단(6)의 제어를 받아 송신출력을 증폭하여 상기의 안테나(1)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수단(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전화기의 송신출력 제어장치.
  2. 안테나(1)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2)과, 상기 수신수단(2)에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수단(3)과, 상기 복조수단(3)의 출력을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틀 변환수단(4)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틀 변환수단(4)의 출력값으로 약전계지역을 판단하여 약전계 지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5)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5)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되는 송신출력레벨을 조정하는 자동 출력제어수단(6), 상기 자동 출력제어수단(6)의 제어를 받아 송신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수단(7)을 구비한 전화기의 송신출력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송신출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시 안테나(1)를 통해 입력되어 디지틀 신호를 변환된 수신 신호 강도값을 읽어들여 저장하고, 입력된 데이터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1단계(101 내지 103)와, 상기 제1단계(101 내지 103) 수행후, 현재의 입력데이터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약전계 지역의 경우에는 최대 송신 비트를 제1상태로 셋팅시키고, 입력데이터값이 기준값보다 큰 강전계 지역의 경우에는 최대 송신 비트를 제2상태로 셋팅하는 제2단계(104, 105)와, 송신시 최대 송신비트가 제1상태로로 셋팅된 경우에는 최대 송신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최대 송신 비트가 제2상태로 셋팅되었을 경우에는 정상 송신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단계(201 내지 203)와, 상기 제3단계(201 내지 203)수행후, 상기의 데이터 송신후에는 최대 송신 비트를 상기의 제2상태로 셋팅시키는 제4단계(204, 205)를 구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송신 출력 제어방법.
KR1019900019619A 1990-11-30 1990-11-30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KR93001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619A KR930010840B1 (ko) 1990-11-30 1990-11-30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619A KR930010840B1 (ko) 1990-11-30 1990-11-30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06A KR920011106A (ko) 1992-06-27
KR930010840B1 true KR930010840B1 (ko) 1993-11-12

Family

ID=1930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619A KR930010840B1 (ko) 1990-11-30 1990-11-30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445B1 (ko) * 1992-12-03 2000-01-15 구자홍 셀룰라폰의 출력신호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06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0585A (ko) 무선전화장치(radio telephone equipment)
US6639465B2 (en) Dynamic bias for a power amplifier
US8055236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of a signal emitted by a mobile terminal and increasing the autonomy of the mobile terminal
US4304969A (en) Power circuit for loudspeaker telephone
KR910005651B1 (ko) 무성통신장치
CN1148979C (zh) 选择呼叫/接收装置
KR930010840B1 (ko)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DE4001810C2 (de) Energiesparschaltung in einer mobilen Vorrichtung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US5247704A (en) Burst mode transmitter/receiver unit
JPH09181799A (ja) 携帯電話機
JPH0695651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186790B1 (ko) 송출 레벨 설정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뎀 장치
KR0144202B1 (ko) 통신기기의 자동 송신출력 조절장치
US4750203A (en) Subscriber telephone set with amplified loudspeaker reception with reduction of gain in the case of an insufficient power supply
US6088599A (en) Fixed subscriber unit
JPS60182228A (ja) 無線電話装置
KR1004561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고출력증폭기출력조절장치
KR100198281B1 (ko)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 장치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KR940008777B1 (ko) 전화기의 자동재다이얼 제어회로 및 방법
KR200368938Y1 (ko)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JPH04137933A (ja) フェージング検出方式
KR920006139B1 (ko) 미스온-훅 상태에 대한 경고음 발생과 재착신가능 회로 및 방법
KR0147280B1 (ko)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KR100258860B1 (ko) 전화선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