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280B1 -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280B1
KR0147280B1 KR1019900020253A KR900020253A KR0147280B1 KR 0147280 B1 KR0147280 B1 KR 0147280B1 KR 1019900020253 A KR1019900020253 A KR 1019900020253A KR 900020253 A KR900020253 A KR 900020253A KR 0147280 B1 KR0147280 B1 KR 014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able device
charging terminal
data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136A (ko
Inventor
이성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0002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280B1/ko
Publication of KR92001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28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데이타 전송방법은 제1도에서와 같이 충전단자와는 별도로 한개의 데이타 전송용 접속단자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필요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이 발생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충전단자만을 이용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데이타를 제4도의 플로우챠트에 의해 전송함으로써 접촉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제 1 도의 (a), (b)는 종래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a)는 고정장치의 구성도,
(b)는 휴대 장치의 구성도,
제 2 도의 (a), (b)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a)는 고정장치의 충전 및 데이타 전송 회로도,
(b)는 휴대장치의 충전 및 데이타 전송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데이타 포멧(format)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의 (a), (b)는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플로우 챠트로서,
(a)는 고정장치용 중앙처리장치의 플로우챠트,
(b)는 휴대장치용 중앙처리장치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앙처리장치(CPU) 200: 수신부
300: 코드 검출부 400: 송신부
500: 충전 및 데이타 전송부 600: 충전 및 데이타 입력부
700: 충전 전원 공급부 OPAmp1, OPAmp2: 연산증폭기
TR1, TR2: 트랜지스터 LED: 발광다이오드
D3, D4: 다이오드 C1~C5: 콘덴서
L1, D2: 코일 R1~R13: 저항
A, B, a, b: 충전단자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타 전송을 행하도록 하는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접속시켜 휴대장치의 충전건전지에 충전을 시켜 사용하였으며, 충전단자 이외의 데이타 전송용 단자를 추가하여 고정장치와 휴대장치 사이에 채널정보와 ID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전송가능하게 하였다.
제 1 도의 (a), (b)는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충전단자(A, B, a, b)외에 데이타 전송단자(C, c)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a)에는 휴대장치(b)에 내장된 충전건전지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다이오드(D1)와 저항(R1)이 중앙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장치(b)에는 충전건전지의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2)와 충전건전지가 중앙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있어서, 고정장치(a)의 충전단자(A, B)에 휴대장치(b)의 충전단자(a, b)를 접속시키면 고정장치(a)의 Vcc 전압이 저항(R1)과 다이오드(D1)를 거쳐 + 측 충전단자(A), (a)를 통과하여 다이오드(D2)를 거쳐 충전건전지로 바이패스 된다.
또한, 고정장치의 데이타송출단자(C)와 휴대장치의 데이타 입력단자(c)는 고정장치위에 휴대장치를 올려 놓는 순간에 접속되어 채널정보와 ID코드와 같은 필요한 데이타를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는 충전단자와는 별도로 데이타 전송단자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에 필요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이 발생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데이타 전송단자 없이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데이타를 전송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이타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고정장치는 통상의 안테나(ANT)를 통해 신호를 송, 수신하는 송, 수신부(400), (200)와, 수신부(200)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코드검출부(300)와, 검출된 코드를 인가받아 고정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를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데이타 송출단자와 충전검출단자에 저항(R1~R7), 콘덴서(C1~C2), 트랜지스터(TR1), 연산증폭기(OPAmp1), 코일(L1)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충전 및 데이타 전송부(500)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 및 데이타 전송부(500)내의 연산증폭기(OPAmp1)의 출력단자 및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는 충전단자(A), (B)로 구성된 충전 전원 공급부(700)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충전검출단자와 데이타 입력단자에 트랜지스터(TR2), 연산증폭기(OPAmp2), 저항(R8~R13), 다이도으(D3), (D4), 콘덴서(C4), (C5), 코일(L2) 및 충전건전지로 구성된 충전 및 데이타 입력부(600)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 및 데이타 입력부(600)내의 코일(L2) 및 콘덴서(C4)에는 충전단자(a)와 접지된 충전단자(b)로 구성된 충전전원공급부(700)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타 포멧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프리앰블코드(안정화코드)→6bits, (b)는 동작코드→4bits, (c)는 데이타코드→6bits를 나타낸 데이타 포멧이다.
제 4 도의 (a)는 고정장치용 중앙처리장치의 플로우챠트이고, (b)는 휴대장치용 중앙처리장치의 플로우챠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의 (a)는 고정장치의 데이타 전송 회로도로서, 충전 전원 공급부(700)내의 충전단자(A), (B)에 제2도의 (b)와 같은 휴대장치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VDD전압은 분압저항(R4), (R3)에 의해 분압되어 중앙처리장치(100)의 충전검출단자에 하이신호를 공급하고, 만일 휴대장치가 연결된다면 충전단자(B)에 충전건전지 전압을 제외한 전압이 걸리게 되어 트랜지스터(TR1)가 도통상태가 되어 분압저항(R4), (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은 도통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에미터단자를 통해 바이패스됨으로써 중앙처리장치(100)의 충전검출단자는 로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저항(R7)과 발광다이오드(LED)는 충전상태임을 표시하여 주는 동시에 충전전류를 조절한다.
고정장치(a)의 중앙처리장치(100)가 충전상태임을 인식하면 데이타 송출단자로 데이타를 내보내고, 송출단자에서 나온 데이타가 저항(R1), (R2)과 콘덴서(C1)를 통해 연산증폭기(OPAmp1)의 입력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에 인가되면, 연산증폭기(OPAmp1)는 인가받은 해당 데이타를 연산증폭하여 충전전원공급부(700)내의 충전단자(A)를 통해 휴대장치(b)의 충전전원 공급부(700)내의 충전단자(a)로 구형파신호 형태로 송출한다.
여기서 코일(L1)은 데이타에 의해 VDD가 영향을 받지 못하도록 교류성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충전단자(a)로 구형파 신호가 송출되면 해당 구형파 신호는 충전 및 데이타 입력부(600)내의 콘덴서(C4)에 의해 교류성분만 통과되어 연산증폭기(OPAmp2)의 입력반전단자(-)에 저항(R12)을 통해 인가된다.
이때 저항(R13)과 콘덴서(C5)는 기준전압을 형성하여 연산증폭기(OPAmp2)의 출력에 저항(R12)을 통한 구형파로 재현시켜 중앙처리장치(100)의 데이타 입력 단자에 인가한다.
또 충전전류는 코일(L2)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가 도통상태로 된다.
이때, 충전전류는 저항(R8)과 도통된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단자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중앙처리장치(100)의 충전 검출 단자를 로우상태를 만들어 중앙처리장치(100)가 충전상태임을 파악하여 데이타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그리고 충전전류는 다이오드(D3)를 통해 충전건전지에 충전되어 휴대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D3는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이고, D4는 과펄스 유입방지용 다이오드, L2는 신호차단코일, R11은 로드저항이다.
다음에 충전후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4도의 (a), (b)의 플로우챠트에 의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충전을 목적으로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에 연결하면 두개의 충전단자(A, B), (a, b)가 서로 접속되어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100)에 충전중임을 알려준다(단계 101).
고정장치의 중앙처리장치(100)는 충전시간이 30초경과인가 아닐가를 파악하여(단계 102), 30초경과이면 데이타신호를 휴대장치로 송출한다.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100)는 고정장치로부터 데이타 입력이 있는가 없는가를 파악하여(단계 103), 데이타 입력이 있으면 데이타 신호를 분석한 후 메모리 소자에 입력하여(단계 104), 미리 프로그램된 순서에 의해 동작 또는 데이타값을 변환시킨다.
고정장치가 휴대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게 되면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의 데이타는 동일해져서 서로 통신을 하게된다.
그리고 데이타에는 사용하지 않는 채널정보와 아이디(ID)코드정보가 포함된다.
MCA(주파수 공용방식)방식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는 일정한 시간을 단위로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무선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잡음이 없고 혼신없는 채널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고정장치가 인식한 채널정보를 휴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위에 열거한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또 휴대장치가 어떠한 이유로든지 ID코드가 상실되면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는 통화가 불가능하므로 휴대장치를 고정장치위에 얹어 충전하는 동안 휴대장치에 ID코드를 전송하여 충전목적과 동시에 데이타 전송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단자를 사용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타 전송용 단자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정장치로 부터의 데이타를 휴대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접촉불량감소는 물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고정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 신호를 휴대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에서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있어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충전중임을 인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충전시간이 소정시간 경과하면 상기 고정장치가 충전단자를 통해 데이타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송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이후 휴대장치가 입력받은 상기 데이타 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2. 고정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 신호를 휴대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에서의 데이타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자체의 충전단자에 휴대장치의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휴대장치에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휴대장치의 충전이 진행중 인지의 여부를 자체의 중앙처리장치에 알려주고, 자체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 신호를 자체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송하여 상기 휴대장치의 충전단자에 입력시키는 충전 및 데이타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장치는, 자체의 충전단자에 고정장치의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아 자체의 충전 건전지를 충전시키되 충전 진행중인지의 여부를 자체의 중앙처리장치에 알려주고, 상기 고정장치의 충전단자로부터 자체의 충전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타 신호를 자체의 중앙처리장치에 입력시키는 충전 및 데이타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및 데이타 전송수단은, 고정장치의 충전단자에 휴대장치의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휴대장치의 충전 진형여부를 고정장치의 중앙처리장치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통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한 충전 검출에 따라 고정장치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고정장치의 충전단자를 통해 전송하는 연산 증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및 데이타 입력수단은, 휴대장치의 충전단자에 고정장치의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자체의 충전 건전지에 대한 충전 진행여부를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통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고정장치의 충전단자로부터 휴대장치의 충전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타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휴대장치의 중앙처리장치에 입력시키는 연산 증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KR1019900020253A 1990-12-10 1990-12-10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KR014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253A KR0147280B1 (ko) 1990-12-10 1990-12-10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253A KR0147280B1 (ko) 1990-12-10 1990-12-10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36A KR920014136A (ko) 1992-07-30
KR0147280B1 true KR0147280B1 (ko) 1998-08-17

Family

ID=1930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253A KR0147280B1 (ko) 1990-12-10 1990-12-10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2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36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4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owering an accessory
KR930002083B1 (ko) 무선 전화장치
US10847979B2 (en)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464894B1 (ko) 시분할 다중 액세스 송신기용 전력 인터페이스 회로
GB2332575A (en) Supply circu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923605B2 (en) Electronic apparatus
EP0328069A2 (en) Radio fax transmission
US6586967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data signal output at voltage level of the device coupled thereto
KR0147280B1 (ko) 무선전화기에서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타 전송방법 및 장치
US3283074A (en) Voice-controlled communication system
US5247704A (en) Burst mode transmitter/receiver unit
US7343175B2 (en) Peak current control in wireless network interface devices
US4164709A (en) Signal priority device
JP2006211622A (ja) 充電機能付無線機
KR100725861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와 배터리의 끊어짐을검출하는 방법
KR950003321B1 (ko) 무선전화기의 데이타 송수신장치
KR0144202B1 (ko) 통신기기의 자동 송신출력 조절장치
JP4368551B2 (ja) エネルギ抽出装置を有する無線通信装置
KR200179173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930010840B1 (ko)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JP2002261650A (ja) 送受信装置
JPH062187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160777A (ja) 無線送信電力制御方式
KR920007542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내, 외부 안테나 전환장치
KR20000044464A (ko) 휴대폰 분실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