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85B1 -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85B1
KR910009385B1 KR1019880700487A KR880700487A KR910009385B1 KR 910009385 B1 KR910009385 B1 KR 910009385B1 KR 1019880700487 A KR1019880700487 A KR 1019880700487A KR 880700487 A KR880700487 A KR 880700487A KR 910009385 B1 KR910009385 B1 KR 91000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drive motors
pulleys
wire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817A (ko
Inventor
시라까와 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기 모리아
총합자동차안전공해기술연구조합
히로세 후꾸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16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15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6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1528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기 모리아, 총합자동차안전공해기술연구조합, 히로세 후꾸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7Safety-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설명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설명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전자 제어 작동기에 의해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운전 감각이나 연료 절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엔진 제어의 일환으로써 스로틀 밸브와 가속 페달의 기계적 연결을 없애고 가속기의 밞는 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한 신호와 다른 엔진 운전 상태 또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예를들면 엔진 회전수 신호, 기어 위치 신호등에 대응해서 스로틀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 제어 작동기에 의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전자 제어 작동기에 의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의 개폐는 엔진 운전 상태 또는 자동차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에 대응하여 가장 적합한 스로틀의 열려진 정도를 차례로 연산하는 연산 제어부로 되는 자동차 제어장치에서의 명령을 받아서 작동하는 구동 모터에 의해 행해지므로 자동차 주행중에 전자 제어 작동기가 동작 불능으로 되어도 자동차의 폭주를 방지하는 안전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안전 장치의 예로서, (1) 제어 장치시에 스로틀 밸브를 닫혀지는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을 스로틀 샤프트에 부착한 구성, (2) 제어 불능으로 되었을 때 전자 제어 작동기에서 스로틀 샤프트를 분리하는 전자기 클러치를 마련한 구성, (3) 리턴 스프링과 전자기 클러치를 조합시켜서 전자기 클러치의 분리시 리턴 스프링을 작용시키는 구성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5-1458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예에서는 한번 전자 제어 작동기가 동작 불능의 상태로 빠지면 차량의 폭주는 방지할 수 있지만 주행을 유지할 수 없어 수리하기 위한 소정의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신뢰성이 높고 동시에 고속응답성에도 우수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는 각각 독립해서 회전 구동하는 제1, 제2의 구동모터와 이들의 각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합성해서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력 변환기구를 마련하여 상기 제1, 제2의 구동 모터를 가장 적합한 스로틀의 열려진 정도를 차례로 연산하는 연산 제어부에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의 구동 모터가 동시에 불량이 되지 않는 한 스로틀 밸브의 개폐 동작이 제어 가능하여 양쪽의 구동 모터가 동작할 때는 스로틀 밸브의 동작 속도가 1개의 구동 모터의 경우보다 2배로 되어 안정성이 높고 저렴한 가격으로 응답성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를 포함한 전체의 구성도로 도면중 (1)은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공기 흡입관, (2)는 스로틀 밸브이다.
이 스로틀 밸브(2)는 밸브축(3)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밸브축(3)에는 디스크(4)가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4)의 홈에는 가속 와이어(5)가 걸려 있다. 가속 와이어(5)는 리턴 스프링(6)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6)은 밸브축(3)에 장착되고 그 한쪽끝은 디스크(4)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이 리턴 스프링(6)에 의해 스로틀 밸브(2)를 닫는 위치로 되돌리는 방향의 토오크를 밸브축(3)에 가하고 있다.
또 밸브축(3)에는 열려진 정도의 센서(8)이 부착되어 있다. 이 열려진 정도의 센서(8)은 스로틀 밸브(2)의 열려진 정도 A를 검출하는 것으로 그 검출 출력은 연산제어부(12)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7)은 작동기의 기반이다. 이 기반(7)에는 2개의 동일 특성의 구동 모터(71),(7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71),(72)의 회전 운동은 구동력 변환 기구(70)에 각각 독립해서 전달되어, 이 구동력 변환기구(70)에 있어서 가속 와이어(5)를 끌어 올리는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력 변환 기구(70)을 구체적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제2도에 도시한다.
이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71),(72)의 축에 각각 워엄 기어(73),(74)가 고정되어 있다. 워엄 기어(73),(74)에 각각 워엄 휘일(75),(76)이 맞물려져 있다.
이 워엄 휘일(75),(76)과 각각 일체적으로 풀리(77),(7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77),(78)은 기반(7)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풀리(77),(78)과 제 3의 풀리(80)사이에 와이어(79)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79)의 양끝은 풀리(77),(78)에 고정되어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의 풀리(80)은 와이어(79)와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3의 풀리(80)의 중심축(81)은 기반(7)에 마련된 홈(82)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중심축(81)에 후크(33)이 끼워 맞추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 후크에 가속 와이어(5)의 한쪽끝이 고정되어 있다. 가속 와이어(5)의 다른쪽 끝은 디스크(4)의 홈에 감겨져 있다.
한편 운전 상태 검출 센서(9)에서 자동차의 운전 상태로써 예를들면 엔진 회전수 N, 주행 속도 V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엔진 회전수 N과 주행 속도 V는 상기 연산 제어부(12)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속 페달(10)의 밟는 량은 가속량 검출 센서(11)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속량 검출 센서(11)로 검출한 밟는 량도 연산 제어부(12)로 송출하게 되어 있다.
이 연산 제어부(12)는 운전 상태 검출 센서(9) 및 가속량 검출 센서(11)에서의 입력을 얻어, 이들 입력 신호의 값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연산 처리를 행하여 스로틀 밸브(2)의 목표량의 열려진 정도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로틀이 열려진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8)의 출력 신호와 비교하여 그 편차량에 따라 구동 모터(71),(72)로 회전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 모터(71),(72)의 회전력은 각각 독립으로 워엄 기어(73), 워엄 휘일(75) 및 워엄 기어(74), 워엄 휘일(76)을 경유하여 풀리(77),(78)에 작용한다.
이 2개의 풀리(77),(78)사이에 걸쳐진 와이어(79)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끝부분이 각 풀리(77),(7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면에 있어서 풀리(77)를 우회전, 풀리(78)를 좌회전시키면 와이어(79)는 각 풀리에 감겨지고, 따라서 이 와이어와 접촉상태를 배치된 제3의 풀리(80)은 위쪽으로 끌어 올려지게 된다.
풀리(77)쪽의 와이어 이동 속도를 V1, 풀리(78)쪽의 외이어(79)의 이동 속도를 V2로 하고(V1,V2에는 방향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3의 풀리(80)의 이동 속도를 V0으로 하면
Figure kpo00001
의 관계가 성립한다.
예를들면, 이동 속도 V1과 V2가같으면 제3의 풀리(80)은 회전하지 않고 와이어(79)와 같은 속도로 이동하고, 이동 속도 V1과 V2사이에 속도차가 있으면 회전하면서 평균 속도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3의 풀리(80)이 이동하면 이것에 부착되어 있는 후크(83)을 거쳐서 가속 와이어(5)가 잡아 당겨서 결국 스로틀 밸브(2)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구동부에 대해서 연산 제어부(12)는 열려진 정도의 센서(8)에서 검출한 가속의 열려진 정도 A, 엔진 회전수 N, 자동차의 속도 V의 정보에서 스로틀 밸브(2)의 목표량의 열려진 정도를 산출하여 스로틀 밸브(2)의 열려진 정도와 열려진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8)의 출력 신호의 편차가 0이 되도록 구동 모터(71),(72)에 회전 명령을 부여한다.
이 회전 명령을 구동 모터의 동작 모드에 따라 회전의 방향, 통전(회전), 비통전(정지), 브레이킹등의 내용을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에서는 구동 모터(71),(72)가 동시에 동작 불량이 되지 않는 한 스로틀 밸브(2)의 개폐동작이 제어 가능하여 양쪽의 구동 모터(71),(72)가 동작할 때는 스로틀 밸브(2)의 동작 속도가 1개의 구동 모터인 경우보다 2배로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력 변환 기구(70)의 구체적인 구동으로서 워엄 기어(73),(74), 워엄 휘일(75),(76), 풀리(77),(78),(80) 및 와이어(79)를 사용한 것을 도시했지만 특히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3도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71),(72)에 의해 각각 워엄 기어(73),(74)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워엄 기어(73),(74)는 각각 구동 모터(71),(72)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다.
또 피니온(750),(760)의 중심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반(7)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피니온(750),(760)의 한쪽끝은 워엄 기어(73),(74)에 각각 맞물려져 있음과 동시에 피니온(750),(760)의 다른쪽 끝은 랙(770),(780)과 각각 맞물려져 있다. 이렇게 하여 워엄 기어(73),(74), 피니온(750),(760), 랙(770),(780)에 의해 2개조의 피니온과 랙이 구성되어 있다.
이 랙(770),(780)은 각각 기반(7)위를 그 랙(770),(780)의 긴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기어(800)이 랙(770),(78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랙(770),(780)과 맞물려져 있다. 이 기어(800)의 중심축(81)은 기반(7)에 마련한 홈(82)에 끼워 맞추어져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어(800)의 중심축(81)에 후크(83)이 끼워 맞추어져 있고, 또 후크(83)에 가속 와이어(5)의 끝부분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에 도시한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 모터(71),(72)의 회전력은 각각 독립으로 워엄 기어(73),(74)에서 한쪽 끝에 워엄 휘일을 갖는 피니온(750),(760)을 거쳐서 랙(770),(780)에 작용한다. 따라서 랙(770),(780)은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기어(8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랙(770),(780)에 의해 좌우에서 끼워진 상태로 맞물려 있으므로 랙(770),(78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랙(770),(780)의 이동 속도를 방향도 포함해서 V1,V2로 하고(예를들면 도면에 있어서 위쪽을 정으로 하고, 아래쪽을 부로한다) 기어(800)의 이동 속도를 V0으로 하고 대향하는 2개조의 기억 규격이 동일하면
Figure kpo00002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로틀 밸브(2)를 조작하는 수단으로써, 가속 와이어(5)와 디스크(4)를 사용했지만 링 결합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제1, 제2의 1쌍의 구동 모터(71,72), 상기 제1, 제2의 구동 모터(71,72)의 회전 운동을 합성해서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력 변환 기구(70), 상기 구동력 변환 기구(70)에 의해서 전달되는 직선 운동에 의해 개폐작동하여 엔진의 출력을 가변하는 스로틀 밸브(2)와 상기 스로틀 밸브(2)의 열려진 정도의 정보와 자동차의 운전 상태 정보와 가속기의 밟는 량에서 상기 스로틀 밸브(2)의 목표량이 열려진 정도를 산출하여 스로틀 밸브(2)의 열려진 정도와 열려진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8)의 출력 신호의 편차 0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터(71,72)에 회전 명령을 부여하는 연산 제어부(1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변환 기구(70)은 상기 제1, 제2의 구동 모터(71,72)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워엄 기어(73,74)를 거쳐서 구동되는 제1,제2의 풀리(77,78), 상기 제1, 제2의 풀리(77,78)사이에 양끝이 고정되어 감기가 가능한 와이어(79)와 상기 제1, 제2의 풀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79)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 중심축(81)이 기반(7)에 마련된 홈(82)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제3의 풀리(80)을 갖고, 상기 제3의 풀리(80)의 움직임에 의해 스로틀 밸브(2)를 개폐 조작하도록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변환 기구(70)은 제1, 제2의 구동 모터(71,72)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제1, 제2의 워엄 기어(73,74), 한쪽끝이 상기 제1, 제2의 워엄 기어(73,74)에 각각 맞물려져 있음과 동시에, 다른쪽 끝이 랙(770,780)에 각각 맞물려져 있는 제1, 제2의 피니온(750,760)과 상기 제1, 제2의 피니온(750,760)에 각각 맞물려져 있고, 기반(7)상을 각각 그들의 긴쪽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들의 사이에 기어(800)이 배치되어 그들과 맞물려져 있는 제1, 제2의 랙(770,780)을 갖고, 상기 기어(800)의 동작에 의해 스로틀 밸브(2)를 개폐조작하도록한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KR1019880700487A 1986-09-12 1987-09-10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KR910009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16295 1986-09-12
JP61216295A JPS6371527A (ja) 1986-09-12 1986-09-12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61216346A JPS6371528A (ja) 1986-09-12 1986-09-12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61-216346 1986-09-12
PCT/JP1987/000670 WO1988002063A1 (en) 1986-09-12 1987-09-10 Throttle valve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817A KR880701817A (ko) 1988-11-05
KR910009385B1 true KR910009385B1 (ko) 1991-11-14

Family

ID=2652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487A KR910009385B1 (ko) 1986-09-12 1987-09-10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09214A (ko)
EP (1) EP0313659B1 (ko)
KR (1) KR910009385B1 (ko)
WO (1) WO1988002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033A (en) * 1987-07-27 1989-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Throttle valve controller
DE9012436U1 (ko) * 1989-11-28 1992-01-02 Siemens Ag, 8000 Muenchen, De
GB2251887A (en) * 1991-01-11 1992-07-22 Rover Group A rotary valve actuator mechanism
DE4126770A1 (de) * 1991-08-13 1993-02-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euergestaenge mit motorbetriebener uebersteuereinrichtung fuer drosselklappen, insbesondere in ansauglei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US6176219B1 (en) * 1999-04-22 2001-01-23 Tony C. Culbertson Engine throttl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9107A (en) * 1927-05-09 1928-05-08 Gen Electric Automatic controller
DE2709164A1 (de) * 1977-03-03 1978-09-07 Vdo Schindling Geschwindigkeitsregel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JPS5445468A (en) * 1977-09-19 1979-04-10 Hitachi Seiko Ltd Drive controller
JPS55154606A (en) * 1979-05-21 1980-12-0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nput fetch system for sequence controller
JPS59122742A (ja) * 1982-12-28 1984-07-1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S59190445A (ja) * 1983-04-11 1984-10-2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クセル制御装置
JPS60190626A (ja) * 1984-03-09 1985-09-28 Hitachi Ltd 絞弁制御装置
JPS60216036A (ja) * 1984-04-11 1985-10-29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紋弁装置
JPS618441A (ja) * 1984-06-22 1986-01-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内燃機関のアクセル制御装置
JPS61215436A (ja) * 1985-03-20 1986-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2505738B2 (ja) * 1985-09-27 1996-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ロツトル制御装置
JP2505412B2 (ja) * 1986-04-04 1996-06-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S6385234A (ja) * 1986-09-29 1988-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US4809656A (en) * 1987-04-14 1989-03-07 Nippon Cable System Inc. Actuator for automatic crui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3659A1 (en) 1989-05-03
EP0313659A4 (en) 1988-12-01
WO1988002063A1 (en) 1988-03-24
US4909214A (en) 1990-03-20
KR880701817A (ko) 1988-11-05
EP0313659B1 (en) 199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071A (en) Throttle valve controlling apparatus employing electrically controlled actuator
JPS63208632A (ja) 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KR900006239B1 (ko) 스로틀밸브(throttle valve)제어장치
KR900003945B1 (ko) 스로틀밸브 제어장치
KR910009385B1 (ko)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US485647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ottle valve
KR910009726B1 (ko) 엔진의 드로틀밸브(throttle valve) 제어장치
JPS6035141A (ja) スロットルバルブの制御方式
JPS6385231A (ja) 機関の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S61215436A (ja)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S6371527A (ja)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H01227825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100217673B1 (ko) 무인자율주행 차량용 차속제어장치
JPS6371528A (ja)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S6355333A (ja) スロツ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S62101847A (ja) スロツトル開度制御装置
JPH0212097Y2 (ko)
JPS63272927A (ja) 機関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H0634586Y2 (ja) スロツトルアクチユエータ
JPS63208631A (ja) 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S6355332A (ja) 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JPH01262332A (ja) 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S63297740A (ja) エンジンの絞り弁制御装置
JPH06123351A (ja) 変速制御方法
JPH0374527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