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970B1 -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970B1
KR910008970B1 KR1019890011647A KR890011647A KR910008970B1 KR 910008970 B1 KR910008970 B1 KR 910008970B1 KR 1019890011647 A KR1019890011647 A KR 1019890011647A KR 890011647 A KR890011647 A KR 890011647A KR 910008970 B1 KR910008970 B1 KR 91000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rofield
dent
upper 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456A (ko
Inventor
요시오 니타
마사유끼 무라마스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구(mechanism)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A profiled reed dent)의 U형 오목부를 도시한 확대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오목부에서의 압력분포를 도시한 등압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서의 오목부를 도시한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 실시예 3에서의 오목부를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 실시예 4에의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리이드, 메이노즐 및 보조노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종래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종래 기구에서의 압력분포를 도시한 등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 2 : 슬레이
3 : 리이드호울더 4 : 리이드
5 : 리이드덴트 5A : 상변
5B : 내변 5C : 하변
5D : 상단부 6 : 오목부
7 : 씨날통로 8 : 메인노즐
9 : 보조노즐
본 발명은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A weft insertion system for an air jet loom)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리이드(reed)내에 형성된 씨날통로(weft passage)를 향해 보조공기를 분사하기 위하여 보조노즐이 부착된 씨날삽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8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 실시예에서 리이드(4)는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slay sword shaft)(1)의 축 C주위를 앞뒤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리이드(4)에는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profiled reed dent)(5)가 있고 각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에는 클로우드펠(cloth fell)을 향하여 바깥으로 열려있는 U형 오목부(6)이 형성되어 있다. 또 U형 오목부는 씨날삽입방향으로 뻗어있는 씨날통로(7)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직선 배치되어 있다. 보조노즐(9)도 씨날통로(7)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오목부에는 상단에서 오목부(6)를 한정하는 윗변(upper edge)(5A)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 C에서 바깥끝만 X까지의 거리 R1의 길이는 윗변(5A)의 내부끝단까지의 거리 R2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하여 씨날(weft yarn)이 씨날통로속에서 적당하게 비행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씨날통로가 일본국 특개소 57-14354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씨날통로의 형상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각각의 보조노즐 보조공기분사가 오목부(6)의 내변(inner edges)(5B)에 부딪혀서 씨날통로를 따라 씨날을 운반하는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리이드(4)가 후방운동을 하고 있을때 씨날삽입을 시작하여 리이드(4) 전방운동을 할때 씨날삽입을 끝내게 된다. 리이드(4)가 클로우드펠에서 먼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을때, 씨날통로내에서의 기류는 뒤에 남아서 씨날통로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씨날통로(7)의 경사진 윗변(5A)와 보조노즐(9)의 보조공기분사 둘다 이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또 씨날통로 밖으로 씨날이 날아가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보조공기분사는 씨날을 운반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준보다 더 강한 수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씨날은 씨날통로속에서 눌려지게 된다.
제9도는 U형 오목부(6)속에서의 압력분포를 나타낸다. 오목부속에 곡선은 보조노즐(9)중의 하나에서 멀리 떨어진 설정거리인 씨날통로구역속에서의 등압점을 연결하는 등압선이다. 오목부(6)속에서 압력이 가장 높은 최고압력점(Hp)은 개방끝단에서의 거리 ℓ1이 비교적 짧은 비교적 얕은 위치에 놓여있다. 일반적으로 씨날은 최고압점(Hp)부근에서 날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의 씨날통로속에서 씨날의 비행코오스는 너무 얕기때문에 씨날은 씨날통로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씨날통로의 종래 형상은 씨날이 탈선하는 경향이 비교적 높고 이와 같은 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공기가 소비된다고 하는 점에서 만족스런 것이 못된다.
따라서 그렇게 많은 공기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씨날통로에서 씨날의 탈선을 줄일 수 있는 공기분사직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분사직기 기구는 솔레이소오드 샤아프트(1)과 같은 회동축 주위를 앞뒤로 회동할 수 있는 하나의 리이드로 이루어진다. 리이드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프로우필드덴트로 이루어져 있다. 덴트는 오목부가 씨날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배치된 각각의 오목부는 상하변(the upper and lower edges) 사이에서 뻗어있는 상변, 하변 및 내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의 상변은 회동축에서 상변위에 있는 미리 정해진 바깥점까지의 1차거리의 길이가 회동축에서 상변에 있고 바깥점에서 보다 내변에서 더 가까운 미리 정해진 내부점까지의 2차거리보다 더 적게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각각의 프로우필드덴트의 내변은 내변이 회동축을 통과하는 직선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교차하도록 경사진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내변이 뻗어있는 라인은 상변이 뻗어있는 라인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씨날통로속에서 기류중심의 위치는 씨날통로속에서 더 깊은곳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씨날이 씨날통로를 벗어나는 경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조노즐이 과도하게 공기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개의 슬레이(2)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에 고정됨과 동시에 리이드호울더(3)이 슬레이의 상단에 고정된다. 리이드(4)가 리이드호울더(3)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되고, 리이드(4)는 슬레이드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주위를 앞뒤로 회동한다. 리이드(4)에는 다수개의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5)가 있고 또 이덴트의 각각에는 하나의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다. 리이드덴트(5)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오목부(6)는 씨날삽입방향에 따라 뻗어있는 씨날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로(7)는 리이드(4)의 앞부분에 있는 클로우드펠을 향하여 바깥으로 열려있는 U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로(7)는 직기의 씨날삽입쪽에 위치한 씨날입구단에서 씨날삽입쪽의 반대쪽에 씨날수용쪽에 위치한 씨날출구단에 이르기까지 씨날삽입방향을 따라서 뻗어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씨날삽입시스템은 메인공기 분사노즐(8) 및 다수개의 보조노즐(9)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인노즐은 씨날통로(7)의 씨날삽입쪽에 배치되어 씨날통로(7)의 씨날입구단을 겨누게 된다. 보조노즐(9)은 리이드호울더(3)의 앞쪽에서 고정지지되어 있다. 보조노즐(9)은 씨날통로(7)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고 씨날통로(7)을 향하여 보조공기를 비스듬하게 분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멀티노즐형 씨날삽입시스템에 있어서, 메인노즐(8)은 씨날입구단에서 씨날통로(7)속으로 씨날 W를 방출한 후, 보조노즐(9)이 차례차례로 보조공기를 분출하는 방법에 의해 씨날 W의 전단(forward end)이 통로(7)의 씨날출구단에 이르도록 씨날 W의 전단을 몰아낸다.
리이드덴트(5)의 각 프로우필드 오목부(6)는 내변(5B)에 의한 안쪽위와 하단(5C)에 의한 아래쪽 위에서 상변(5A)에 의한 상단에서 서로 묶여있다. 상변과 하변(5A)(5C)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놓여있고 내변(5B)는 일반적으로 상변(5A)의 내단에서 하변(5C)의 내단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상단(5A), 하단(5C) 및 내단(5B)는 넘어진 U형으로 되어 수평으로 개구된다.
각각의 프로우필드덴트(5)의 상단(5A)은 다음 관계를 만족시키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점 X는 오목부(6)의 개구쪽 근처에 있는 상변(5A)에 놓여있는 미리 정해진 점(point)이고 내부점 Y는 내변(5B)근처 상변(5A)에 놓여있는 미리 정해진 점이다.
바깥점 X는 내부점 Y보다 내변(5B)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1차거리(반경) R1은 바깥점 X와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C)사이에 거리이다. 2차거리(반경) R2는 내부점 Y와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사이에 있는 거리이다. 이 실시예의 각 프로우필드덴트(5)의 상변(5A)에서 1차거리(R1)은 2차거리 R2보다 더 작다(R1<R2).
게다가 이 실시예의 각 프로우필드덴트(5)의 내변(5B)은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 C를 통과하는 직선 L에 대해서 경사져서 직선과 미리 정해진 각 "a"를 이룬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프로우필드덴트(5)의 내변(5B)은 각 "a"로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 C를 포함하는 평면에 교차하는 좁은 납짝벽을 구비한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경사부의 상단은 클로우펠이 놓여있는 평면의 앞쪽에 평면의 선단이 놓여있고 경사부의 하단은 앞쪽에 반대쪽에 있는 평면의 뒷쪽에 놓여있다. 씨날통로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변(5A)은 안쪽에서 개방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져있어, 리이드(4)가 회동운동하는 축 C로부터의 거리가 씨날통로(7)의 U형 개방쪽을 향하여 더 작게된다. 따라서 상변(5A)은 씨날통로(7)속에서 기류를 가두어 씨날삽입주기의 전반부에서의 리이드(4)가 후방으로 움직일때 기류가 특히 개방쪽에서 달아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변(5A)때문에, 씨날 W가 씨날통로밖으로 날리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내변(5B)은 씨날통로(7)에서 씨날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직선 L에 대하여 통로(7)의 개방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대고 있는 내변(5B)은 씨날통로(7)내에서 압력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제3도는 실시예 1의 씨날통로(7)내에서 얻어진 압력분포를 나타낸다. 제3도의 등압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가장 높은 최고압점(Hp)이 종래의 씨날통로에 의해 얻어진 최고압점의 위치보다 씨날통로의 내변(5B)에 보다 더 가깝고 통로의 개방단보다는 더 멀리 위치해 있다. 제3도에서 도시된 오목부(6)의 개방단에서부터 최고압점까지의 거리 ℓ2는 제9도에 도시한 종래의 씨날통로에서의 거리 ℓ1보다 더 길다. 따라서 씨날 W의 비행코오스를 보조노즐(9)의 공기분사압력을 높이지 않고 개방쪽에서부터 씨날통로(7)속으로 더 깊숙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1에서 각각의 오목부(6)의 내변(5B)은 실질적으로 상변(5A)에 수직이다. 상변(5A)와 하변(5B)사이에 형성된 각이 예각인 씨날통로에서 압력은 상변(5A)과 내변(5B)사이에 있는 모서리에서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벽면을 향해 씨날을 미는 힘이 갑자기 약해진다. 이와 같은 갑작스런 압력이 감소는 날카로운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지않는 이 실시예의 통로속에서는 예방된다.
실시예 1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5A), 내변(5B) 및 하변(5C)의 각각은 실제로 직선이나 상변(5A)과 내변(5B)사이의 상부 모서리와 내변(5B)와 하변(5C)사이에 있는 하부 모서리는 각각 둥글게 되어있다. 제2도에 도시한 거리 LH는 상변(5A)의 바깥점 X와 내변(5B)이 있는 평면사이의 거리이다. 점 X는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1)의 축(C)으로부터의 거리가 최소인 점이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거리 LH는 7~13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하여 실시예 1의 상변(5A)은 벽면이 일반적으로 수평면에 놓이게 하고 내벽(5B)은 수평면에 수직인 일반적으로 수직평면에 놓이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변(5C)은 내변(5B)이 뻗어있는 수직평면과 약 90°이거나 그보다 더 큰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인 벽면을 가지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씨날삽입기구는 실시예 1과 같고 단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서로 다르다. 실시예 2에서 각 프로우필드덴트(5)의 상변(5A)은 납짝하지 않고 근사하게 곡선으로 되어있다. 실시예 2의 씨날통로에 의해 얻어진 효과는 실제적으로 실시예 1의 효과와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 각 덴트(5)의 내변(5B)에는 경사진 상단부(5D)와 상단부(5D)의 하단에서 아래로 뻗은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변의 상단부(5D)는 실제로 납짝하고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보조노즐(9)중의 하나의 보조공기 분사방향을 나타내는 직선 NL이 내변(5B)의 상단부(5D)에 실제로 수직이 된다. 보조공기는 라인 NL을 통과하고 씨날삽입방향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경사진 평면위에 있는 직선을 따라서 내변(5B)의 경사진 상단부(5D)를 향하여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출된다. 보조노즐(9)에 의하여 보조공기가 방출되는 선은 내변(5B)의 상단부(5D)의 납짝한 벽면을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에 놓인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거리 R1은 R2보다 더 작고 직선 L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변(5B)의 상단부(5D)에서 교차한다. 상단부(5D)는 순환흐름이 통로(7)에 형성되지 못하게 하여 씨날통로(7)에서 씨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 4에서 리이드(4)는 클로우드펠을 향하여 앞으로, 기대고 있던 기댄 위치에서 리이드호울더(3)에 고정되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만족시키게 된다. 상변과 내변(5A)(5B) 사이의 각은 직각이거나 둔각이다. 실시예 4에서, 리이드(4)나 덴트(5)의 직선후면에 대하여 내변을 경사지게 할 필요는 없다. 리이드(4) 그 자체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이드(4)의 하단과 함께 리이드호울더(3)의 꼭대기에서 형성되는 홈속으로 밀어넣어지는 1개 이상의 쐐기부재의 형상으로 슬레이(2)와 리이드호울더(3)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리이드(4)에는 리이드덴트(5)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 프레임부재와 리이드덴트(5)의 하단을 고정하고 리이드호울더(3)에 고정된 하단 프레임부재가 있다. 각 덴트(5)에서 오목부(6)는 앞쪽에 형성되고 각 덴트의 뒤쪽은 직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씨날삽입시스템은 공기의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씨날통로로부터 씨날의 이탈을 막을 수 있어 효율과 에너지절약 측면에서 유익하다.

Claims (7)

  1. 미리 정해진 회동축에서 앞뒤로 회동할 수 있는 리이드를 포함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는 각각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프로우필드리이드덴트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우필드덴트는 상기 오목부들이 하나의 씨날통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오목부는 상변, 하변 및 상기 상변과 하변사이에 뻗어있는 내변에 의해 윤곽이 정해지고, 각각의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상변은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상변에 놓여있는 바깥점까지의 1차거리의 길이가 상기 회동축에서 상기 상변에 놓여있음과 동시에 상기 바깥점보다 상기 내변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는 내부점까지의 2차거리의 길이보다 더 작고, 각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내변이 상기 회동축을 통과하는 직선과 미리 정해진 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내변은 상기 상변이 뻗어있는 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선을 따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상변과 내변은 90°이거나 또는 90°보다 더 큰각으로 서로 교차하는 직선을 따라서 각각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공기를 상기 씨날통로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씨날통로를 따라 배치되는 보조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노즐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평면에 놓여있는 직선을 따라 보조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각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내변은 상기 경사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면을 가지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가 회동할 수 있는 하나의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와 상기 리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슬레이소오드 샤아프트에 고정된 하나의 리이드호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우필드덴트의 각각이 하단에서부터 상기 회동축과 상기 프로우필드덴트의 상기 하단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을 따라 상단으로 뻗어있도록 상기 리이드가 상기 리이드 호울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KR1019890011647A 1988-08-16 1989-08-16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KR910008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02760 1988-08-16
JP63202760A JP2660556B2 (ja) 1988-08-16 1988-08-16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456A KR900003456A (ko) 1990-03-26
KR910008970B1 true KR910008970B1 (ko) 1991-10-26

Family

ID=1646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647A KR910008970B1 (ko) 1988-08-16 1989-08-16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89646A (ko)
JP (1) JP2660556B2 (ko)
KR (1) KR910008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6634B1 (it) * 1993-10-27 1997-01-09 Nuovo Pignone Spa Pettine perfezionato per telaio tessile ad aria
JP3366490B2 (ja) 1994-07-05 2003-01-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DE59914449D1 (de) * 1998-06-10 2007-09-20 Picanol Nv Webblatt und Lamelle
US6039088A (en) * 1998-09-30 2000-03-21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 Reed assembly with angled dents
US6039087A (en) * 1998-09-30 2000-03-21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 Reed assembly
US6019139A (en) * 1998-09-30 2000-02-01 Stell Heddle Mfg. Co. Weaving reed having reinforced dents
US6079453A (en) * 1998-10-30 2000-06-27 Palmetto Loom Reed Company, Inc. Reed with reed dents having modified chin sections
JP3961318B2 (ja) * 2002-03-14 2007-08-2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CN112582148A (zh) 2019-09-30 2021-03-30 日立金属株式会社 变压器
JP7298537B2 (ja) * 2020-05-12 2023-06-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サブノズル噴射方向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952A (en) * 1969-08-07 1974-06-25 G Vermeulen Jet operated weaving machine
NL7701916A (nl) * 1976-02-27 1977-08-30 Scheffel Walter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inbrengen van de inslag bij een weefgetouw.
CH649586A5 (de) * 1981-03-05 1985-05-31 Rueti Ag Maschf Blattzahn fuer duesenwebmaschinen und unter verwendung des blattzahns hergestelltes web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60556B2 (ja) 1997-10-08
US4989646A (en) 1991-02-05
JPH0253935A (ja) 1990-02-22
KR900003456A (ko) 199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970B1 (ko)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US5588470A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an air jet loom having reed pieces with recessed weft guide openings
KR100634900B1 (ko) 기계식 직조기용 보조노즐
CA1096272A (en) Device for inserting a weft yarn in jet operated weaving machines
US4458732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weft into a shed by jetting fluids in a jet loom
JPS6113568Y2 (ko)
JP2623701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S5926688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KR850001113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US4516610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weaving loom
JP3357278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JP2829704B2 (ja) 流体噴射織機の緯糸安定化装置
JPH0410228Y2 (ko)
JPS5947745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ガイド装置
JPH0345969Y2 (ko)
WO2000061846A1 (fr) Peigne pour metier a jet d'air et metier a tisser a jet d'air
JPS5947057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S595337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226983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S5943414Y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空気噴射装置
JPS5925893Y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840000451Y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가이드 집합체
CZ269095A3 (en) Open weft picking channel
JPH0280645A (ja) エアージェットルーム用筬
JP2003027353A (ja) 空気噴射式織機用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