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785Y1 - 시이트상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상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785Y1
KR910008785Y1 KR2019890003276U KR890003276U KR910008785Y1 KR 910008785 Y1 KR910008785 Y1 KR 910008785Y1 KR 2019890003276 U KR2019890003276 U KR 2019890003276U KR 890003276 U KR890003276 U KR 890003276U KR 910008785 Y1 KR910008785 Y1 KR 910008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rip
input device
heat seal
shaped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94U (ko
Inventor
고오지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상 입력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은 일실시예에 관한 시이트상 입력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이 B-B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에 관한 시이트상 입력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다른 종래예에 관한 시이트상 입력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그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상부시이트 6a : 히트 시일부
7 : 하부시이트 7a : 피상연출부
8 : 스페이서 9 : 도전성히트시일체
10 : 상부접점 11 : 배선패턴
12 : 하부접점 13 : 배선패턴
13a : 리이드선 15, 16 : 절입
20 : 콘넥터
본 고안은 상하의 시이트의 접점끼리가 스페이서를 거쳐 온.오프 동작하는 시이트상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 시이트의 배선패턴을 한쪽면에 집중시켜 콘넥터에 접속시키는 시이트상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부 접점측에 배선패턴과 하부 접점측의 배선패턴이 동일면상에 배선되어 있는 시이트상 입력장치는, 양면 접속 타이프의 고가인 콘넥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안쪽면 접속 타이프의 콘넥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시이트상 입력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의 시이트(1)를 둘로 접어 스페이서(2)를 개재하고 이 시이트(1)의 동일면에 형성한 상부접점(3) 및 하부접점(4)을 스페이서(2)의 개구부(2a)를 거쳐 접리자유롭게 대향시킴과 동시에 양접점(3, 4)으로부터 끌어낸 배선패턴(5)을 시이트(1)의 일단부(1a)상에 집중시킨것이 종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시이트상 입력장치는 시이트(1)의 접어겹쳐진 부분(1b)에 항상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시이트(1)와 스페이서(2)와의 접착부분이 박리되기 쉽다는 난점이 있으며, 특히 접어겹쳐진 부분이 외관에 나타나는 제품에서 접어겹쳐진 부분을 외측프레임등으로 누를 수 없는 경우에는 그다지 채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하여 제4도, 제5도의 평면도 및 요부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시이트를 사용하고 한쪽의 시이트의 돌출부분을 다른쪽의 시이트의 띠상 연출부에 전기적 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시이트상 입력장치는 접착부분이 박리할 위험성이 적다. 즉 이 시이트상 입력장치는 폴리에스텔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상부시이트(6)와 하부시이트(7)와의 사이에 스페이서(8)를 개재함과 동시에, 상부시이트(6)의 히트시일부(6a)를 도전성히트시일재(9)를 사용하여 하부시이트(7)의 띠상 연출부(7a)에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 띠상연출부(7a)를 콘넥터(20)에 끼워넣어 외부회로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부시이트(6)의 하면에는 카본, ITO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접점(10) 및 거기서부터 인출된 배선패턴(11)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부시이트(7)의 상면에도 하부접점(12) 및 거기서부터 인출된 배선패턴(13)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상부접점(10)과 하부접점(12)은 상기 스페이서(8)의 개구부(8a)내에 인출되어 접리자유롭게 대향하고 있다.
또 상부시이트(6)의 배선패턴(11)은 상기 히트시일부(6a)에 인출되어 있어 이 히트시일부(6a)에 위치하는 복수본의 배선패턴(11)을 각각 도전성 히트 시일재(9)를 거쳐 띠상 연출부(7a)상의 리이드선(13a)를 중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가압, 가열함으로써 각 배선패턴(11)은 대응하는 리이드선(13a)에 전기적 또 기계적 접속되고 있다. 또한 하부시이트(7)의 배선패턴(13)은 그대로 띠상 연출부(7a)상에 배선되어 있다.
그러나,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종래구조는 한쪽의 시이트의 히트시일부(6a)를 다른쪽의 시이트의 띠상 연출부(7a)측에 돌출시켜 양자를 접착하므로 이 띠상 연출부(7a)의 길이 치수로서 콘넥터(20)에 끼워넣기 위하여 필요한 치수(ℓ1)에 히트 시일부(6a)를 접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치수(ℓ2)를 가한 길이가 요구되어 결과적으로 띠상 연출부(7a)가 바람직하지 않게 길어져버렸다. 즉 상기한 종래구조는 접착부분이 박리할 위험성이 적으나 제품이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고 접착부분의 신뢰성도 높은 시이트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넥터 장착용의 띠상 연출부를 가지는 한쪽의 시이트에 접착되는 다른쪽의 시이트의 연부에 해당 접착개소에 인접하는 절입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본 고안은 띠상 연출부를 가지는 한쪽의 시이트에 접착되는 다른쪽 시이트의 해당 접착개소가 절입을 설치하므로서 설상(舌狀)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자체의 복원력으로 접착강도가 약해질 염려가 없고 또 이 접착개소가 띠상 연출부보다 바로 앞에 접착하면 좋으므로 띠상 연출부의 길이치수를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며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시이트상 입력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이 B-B선 단면도이고, 앞서 설명한 제4도, 제5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상부시이트(6)의 히트시일부(6a)의 양측에는 절입(15, 16)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절입(15, 16)에 의하여 히트시일부(6a)가 변영자유도가 큰 설상을 나타내므로 이 히트시일부(6a)를 하부시이트(7)측에 압압하여 접착해도 히트시일부(6a)자체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접착력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만큼 작다. 또 이 히트시일부(6a)에 배선되어 있는 복수본의 배선패턴(11)은 각각 하부시이트(7)의 띠형상연출부(7a)근방에 형되어 있는 복수본의 리이드선(13a)에 도전성 히트시일재(9)를 거쳐 전기적 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 리이드선(13a)은 하부접점(12)으로부터 배선된 배선패턴(13)과 함께 띠상 연출부(7a)상에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히트시일부(6a)는 설상이더라도 띠상 연출부(7a)측에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띠상 연출부(7a)의 길이치수로서는 콘넥터(20)에 끼워넣기 위하여 필요한 치수가 확보되어 있으면 좋다. 그밖에 특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의 구성은,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시이트(6)의 연부의 히트시일부(6a)의 양측에 절입(15, 1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시이트(7)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히트시일부(6a)의 복원력이 접착강도틀 약화시킬 염려가 없고, 또 히트시일부(6a)가 띠상 연출부(7a)측에 돌출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띠상 연출부(7a)의 길이치수를 대폭으로 단축할 수가 있고, 따라서 종래품과 동등의 기능으로 보다 소형의 시이트상 입력장치가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트시일부의 양측에 절입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히트시일부를 시이트의 모서리부에 설치하면 절입은 한측만이면 좋다. 또 접착수단으로서 도전성 히트시일재 이외의 도전성 접착재료를 사용했을 경우나 상부시이트에 콘넥터 장착용의 띠상 연출부를 설치할 경우 등에도 본 고안이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시이트상 입력장치는 콘넥터 장착용의 띠상 연출부를 가지는 한쪽의 시이트에 접착되는 다른쪽의 시이트의 연부에 해당 접착개소에 인접하는 절입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접착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띠상 연출부를 짧게 할 수가 있고, 그 때문에 제품을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페이서를 거쳐 적층한 상하 한쌍의 시이트의 대향면에 접점 및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양시이트의 상기 접점기리가 접리자유롭게 대향시켜져 있음과 동시에 이들 양시이트의 일부를 도전성의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접착함으로써 한쪽의 시이트의 띠상 연출부에 다른쪽의 시이트 배선패턴을 도출하고 이 띠상 연출부의 콘넥터를 장착하여 사용되는 시이트상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상 연출부를 가지는 한쪽의 시이트에 접착되는 다른쪽의 시이트 연부에 해당 접착개소에 인접하는 절입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상 입력장치.
KR2019890003276U 1988-06-14 1989-03-24 시이트상 입력장치 KR9100087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77749U JPH02124U (ko) 1988-06-14 1988-06-14
JP88-77749 198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94U KR900001594U (ko) 1990-01-18
KR910008785Y1 true KR910008785Y1 (ko) 1991-11-04

Family

ID=3130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276U KR910008785Y1 (ko) 1988-06-14 1989-03-24 시이트상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24U (ko)
KR (1) KR9100087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16A (ko) * 2020-07-03 2022-01-11 (주)기흥기계 보조 베드에 로터리 테이블이 설치된 복합가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0659B1 (ja) * 2016-06-07 2017-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16A (ko) * 2020-07-03 2022-01-11 (주)기흥기계 보조 베드에 로터리 테이블이 설치된 복합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4U (ko) 1990-01-05
KR900001594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302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part
US5642090A (en) Chip fuse
US4155615A (en) Multi-contact connector for ceramic substrate packages and the like
EP0353421A3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CA1174759A (en) Electrical circuit package
US3706065A (en) Electric contact arrangement
JPH11167971A (ja) 電子機器
US4493952A (en) Membrane switch having integral switch tail insulator
TW502271B (en) Sheet having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KR960042771A (ko) 커넥터(Connector) 판넬(panel)용 단편 차폐 구조물
KR910008785Y1 (ko) 시이트상 입력장치
KR950013330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4658104A (en) Printed wiring board
US4385213A (en) Switch and component attachment to flexible printed circuitry
JPH11317130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600276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3836990B2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JP3949394B2 (ja) 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構造及び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方法
JP3825169B2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KR200151018Y1 (ko)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GB2130019A (en) Flexible circuit board
KR940012710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커넥터에 필터를 결합시키는 방법
JP3859517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との接続方法
KR940004654Y1 (ko) 표시장치의 인쇄회로기판용 ic 테이프
JP3789680B2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