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018Y1 -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018Y1
KR200151018Y1 KR2019930030533U KR930030533U KR200151018Y1 KR 200151018 Y1 KR200151018 Y1 KR 200151018Y1 KR 2019930030533 U KR2019930030533 U KR 2019930030533U KR 930030533 U KR930030533 U KR 930030533U KR 200151018 Y1 KR200151018 Y1 KR 200151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ircuit board
display device
auxiliar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32U (ko
Inventor
정해동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30030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18Y1/ko
Publication of KR950020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그 가장자리에 단자부가 마련된 액정표시소자와 액정표시소자의 배면에 설치된 보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부와 보조회로기판이 시그널 단자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보조 회로기판과 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액정표시소자와 회로기판의 조립에 따른 구조를 간단하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제1도는 종래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제1(a)도는 정면도이고,
제1(b)도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제2(a)도는 정면도이고,
제2(b)도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플랙스블 케이블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액정표시소자 30 : 보조 회로기판
40 : 커넥터 50 : 본딩층
본 고안은 액정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소자와 이를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랙시블 케이블이 개량된 액정표시소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는 비 발광성 화상표시소자로서, 각종 전자기기에 화상표시수단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11)와 이 액정표시소자(11)의 배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회로기판(12)과, 이 보조 회로기판(12)의 단자와 상기 액정표시소자(11)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랙스블한 제1커넥터(13)와, 상기 보조 회로기판(12)의 단자와 주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제2커넥터(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는 상기 액정표시소자(11)의 단자와 보조 회로기판(12)의 단자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13)와 보조 회로기판(12)과 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2커넥터(1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게되며 제1,2커넥터(13)(14)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2커넥터(13)(14)의 별도 제작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생상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2커넥터(13)(1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정표시소자의 단자와 회로기판의 연결에 따른 구조를 간간하게 할 수 있으며, 연결작업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가장자리에 단자부가 마련된 액정표시소자와 액정표시소자의 배면에 설치된 보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부와 보조회로기판이 시그널 단자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표시패널 조립체는 제2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단자부(21)을 가지는 액정표시소자(20)의 배면에 보조 회로기판(30)이 고정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액정표시소자(20)의 단자부(21)와 보조 회로기판(30)의 시그널 단자(31)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회로기판(30)과 주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커넥터(40)가 설치된다.
이 커넥터(40)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제3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20)와 보조 회로기판(30) 사이에 위치되어 액정표시소자(20)의 단자부(21)와 보조 회로기판(30)의 시그널 단자(31)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41)와, 상기 시그널 단자와 주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4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41)은 그 전극패턴의 양 단부는 각각 액정표시소자(20)의 단자부(21)와 보조 회로기판(30) 하면의 시그널 단자(31)와 대향되도록 제1연결부(41)의 상하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회로기판(30)이 시그널 단자(31)과 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연결부(45)는 상기 제1연결부의 보조 회로기판(30)의 단자와 접촉되는 부위와 인접되는 부위에 상기 보조 회로기판(30)의 인출 시그널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의 상하면에는 본딩층(50)이 형성되어 액정표시소자와 보조 회로기판(30)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조립체는 액정표시소자(20)와 보조 회로기판(30)은 그 상하면에 본딩층(50)이 도포된 커넥터(40)에 의해 상호 부착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이들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합수단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는 제1연결부(41)에 의하여 액정표시소자(20)의 단자부와 보조 회고기판(30)의 시그널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연결부(45)에 의해 보조 회로기판(30)과 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므로 액정표시소자(20)와 회로기판(30)의 접속에 따른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조립체의 커넥터는 제2연결부(45)의 일부만이 외부로 돌출하게 되므로 커넥터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 액정표시 패널 조립체는 액정표시소자와 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따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그 커넥터에 의해 액정표시소자와 회로기판이 접속되므로 그 두께를 매우 얇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

  1. 그 가장자리에 단자부가 마련된 액정표시소자와, 액정표시소자의 배면에 설치된 보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부와 보조회로기판이 시그널 단자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보조 회로기판과 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가지는 켜넥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조립체.
KR2019930030533U 1993-12-29 1993-12-29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KR200151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33U KR200151018Y1 (ko) 1993-12-29 1993-12-29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33U KR200151018Y1 (ko) 1993-12-29 1993-12-29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32U KR950020432U (ko) 1995-07-26
KR200151018Y1 true KR200151018Y1 (ko) 1999-07-15

Family

ID=1937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533U KR200151018Y1 (ko) 1993-12-29 1993-12-29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267B2 (en) 2008-06-13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267B2 (en) 2008-06-13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32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1875B2 (ja) 液晶表示装置
US6870590B2 (en) Electrooptical unit with a flexible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JPH0151033B2 (ko)
JPH0430631Y2 (ko)
US6945789B2 (en) Display module
EP109630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6172731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reinforcing plate between circuit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970705774A (ko)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KR200151018Y1 (ko) 액정 표시소자 조립체
JP2864612B2 (ja) 半導体装置
JP2598432Y2 (ja) 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3747484B2 (ja) フィルム配線基板およびその接続構造
JPH04313731A (ja) 液晶表示装置
JP3018436B2 (ja) 液晶表示装置
JPH0643472A (ja) 回路接続ユニット
JP2715767B2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ト基板
KR940012710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커넥터에 필터를 결합시키는 방법
JP3693782B2 (ja) 液晶表示装置
JPS6419324A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940008339Y1 (ko) 액정표시패널의 조립체
JPH0414949Y2 (ko)
JP3254586B2 (ja) 液晶パネルの実装方法
KR970001580Y1 (ko) 접착 실리콘 고무
JPH0729531U (ja) 液晶表示装置
JPH0718336U (ja) フレキシブルフィルムの装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