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83B1 -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83B1
KR910008083B1 KR1019880000100A KR880000100A KR910008083B1 KR 910008083 B1 KR910008083 B1 KR 910008083B1 KR 1019880000100 A KR1019880000100 A KR 1019880000100A KR 880000100 A KR880000100 A KR 880000100A KR 910008083 B1 KR910008083 B1 KR 91000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unit panel
frame member
prefabricate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174A (ko
Inventor
히데후미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도도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고가 요시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도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고가 요시네 filed Critical 도도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조립된 방에 대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개략 조립된 조립식 방의 일부를 절결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종단면의 요부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 횡단면의 요부 확대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기초프레임의 부설 구조를 표시하는 요부의 평면도, 입면도 및 사시도.
제7도는 유니트 판넬의 정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제7도의 Ⅷ-Ⅷ선 및 Ⅸ-Ⅸ선 단면도.
제10a도, 제10b도, 제10c도는 각각 제9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조립 건설위치에 응한 유니트 판넬의 구성상의 표시하기 위한 도면.
제11도는 유니트 판넬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클립부재의 사시도이며,
제12도는 제1도 T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니트 판넬 6 : 상부 프레임 부재
F : 건물 몸체의 바닥 P : 조립식 방
S : 실내공간
본 발명은 기존 설치된 건물 내부에 구축되는 물의 순환공간을 갖춘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몸체의 바닥위에 복수개의 유니트 판넬을 둘러 세워서 원하는 실내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빌딩의 몸체 건설후, 옥내공사를 수행핼 때 물이 순환하는 공간, 예컨데, 변기와 세면대가 욕조에 함께 설치되는 욕실이나, 남자용 및 여자용의 변기와 세면대가 복수 설치되는 화장실등의 공간은 공사 내용이 여러 가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전에 일괄하여 공장등에서 유니트화한 예컨데, 범용의 벽 판넬이나 변기 혹은 세면대 부착 판넬들의 유니트 판넬, 여기에 배관이나 기재등을 건물의 내부에 반입하여 유니트 판넬을 적당하게 둘러 건설함과 아울러, 배관이나 기재등을 설치하여, 소위 조립식 가옥의 인너 룸(inner room)을 새롭게 설치함으로써 수행되고, 이것으로써 시공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조립식 방은 그 실내공간의 측면이 상기 유니트 판넬로서 구획 형성되어 진다. 이 점이 실내공간의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니트 판넬을 건물의 몸체 벽부분에서 분리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는 예컨데,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소 60-105747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소망의 실내공간의 적당한 모서리 부재에 있어서 유니트 판넬들을 세워서 지지시키고, 이어서 여기에 연결되는 형태로 다른 유니트 판넬을 순차적으로 조립건설하여 가며, 조립하여 인접하는 유니트 판넬의 상부사이를 보강재로서 연결하여서 실내를 일주할 수 있는 부분의 결합 건설을 맞춘 단계에서 대향하는 판넬의 상부사이에 들보 부재를 가로질러서 올려놓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방의 유니트 판넬 조립방법은 건물 몸체의 바닥위에 구축되는 조립식 방의 실내공간을 단순히 3차원적인 넓이로서 파악하는 종전구식의 건축사상에 지나치게 구애되어 있어서, 조립식 방에의 특유한 속성, 즉 그 실내공간은 몸체쪽의 천정에 의하여 이미 상부한계가 정해져 있어서 자유로운 공간으로 구축되는 옥외 건축물과는 달리 유사 3차원적인 것을 잊고 있으며, 그 때문에 조립식 방의 벽면도 단순히 정면에서 보아 있는 그대로의 2차원적인 넓이로서 파악하고, 이러한 2차원면은 어떻게 하든 연직방향으로 자체를 일으켜 세워서 3차원적인 넓이를 얻으려고 하고 있음에 불과하며, 그 결과, 실내 한둘레분의 조립건설을 맞추어서 판넬 상부 사이에 들보 부재를 가로지르기까지 유니트 판넬을 임시로 세워놓는 등의 번거롭고, 불안정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방의 유니트 판넬 조립 건설 방법상의 문제점을 유효하게 해결하고자 한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립식 방의 실내공간을 2차원적인 넓이로서 파악하여 그 벽면도 1차원적인 선의 연결로서 잡을 수가 있어서, 단순히 평면 기하학상의 선분의 집합으로서 레이 아웃하는 것만으로서되고, 조립식 방의 유니트 판넬을 자체 세운다고 하는 종래의 고정 관념에 사로잡힐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립건설도 간단하고 신속하며, 또한 충분한 안정성을 보유할 수 있는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 몸체의 바닥위에 복수개의 유니트 판넬을 주위에 설치하여 원하는 실내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먼저, 전술한 소망하는 실내공간의 평면에서 관찰한 형상에 맞추어서 상부 프레임 부재를 가설하여 놓고, 이어서 상기한 유니트 판넬을 이 상부 프레임 부재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어서 세우도록 하였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사전에 가설하여 놓은 상부 프레임 부재에 유니트 판넬을 계지(係止)하여 조립건설하는 것 뿐이므로, 유니트 판넬을 임시로 세워놓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가설은 원하는 실내공간의 평면 관찰한 형상에 맞추어 가면 좋고, 따라서 조립식 방을 2차원적인 면이 넓이로서 파악하고, 그 벽면을 1차원적인 선분의 연결로서 파악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설계가 용이할 뿐 아니라, 시공도 간단,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재 자체는 예컨데, 모서리 기둥 사이의 머리부분 연결재 혹은 별개의 지주나 몸체 벽부분 사이의 옆쪽 들보등으로서 어떻게라도 강도 설정등을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안정된 조립건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유니트 판넬이 조립된 조립식 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전체구조 및 상세한 구조의 설명을 행하고, 이어서 조립식 방의 조립순서를 전체적으로 설명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따라서 조립식 방의 전체구조의 설명을 행한다.
제1도는 개략 조립된 조립식 방의 일부를 절결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중 참조부호(P)는 조립식 방의 전체를 표시한다. 조립식 방(P)은 이미 건설된 미도시 빌딩 내에 배치한 룸 스페이스에 있어서, 건물 몸체의 바닥(F)위에 화장실등을 갖추어서 구축되고, 그 전체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1)과 이 프레임 구조물(1)의 측면에 따라서 조립건설되어서 조립식 방(P)내의 실내공간(S)을 옆쪽에서 구획 성형하는 적당한 종류의 유니트 판넬(2)…과 프레임 구조물(1)내에 윗쪽에서 걸어 설치되는 실내공간(S)의 윗면을 구획 형성하는 현수천정(3)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유니트 판넬의 참조번호(2)는 총칭적인 부호이며, 동일 종류의 판넬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구조물(1)은 소망의 실내공간(S)의 평면 관찰형상 즉,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방형상에 맞추어서 몸체의 바닥(F)위에 깔아서 두른 기초프레임(4)과 이 기초 프레임(4)의 모서리 부재(4a)…에 세워져 설치된 모서리 기둥으로서의 지주(5)…와 이들의 지주(5)…에 그 각 상부(5a)를 잇는 머리 부분 연결재로서 부착하여 고정설치되어 실내공간(S)의 평면에서 관찰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재(6)와 이 상부 프레임(6)의 대향하는 모서리 사이에 상부 보강재로서 적당한 갯수가 가설된 횡보(7)…로서 이루어지며, 새로운 상부 보강재로서 상부 프레임 부재(6)의 모서리의 양쪽 변 사이에 가로질러서 가설한 부싯돌 모양의 돌출보(8)… 및 평면에서 관찰하여 대략 3각형상의 코너플레이트(9)…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부재(6)는 제12도에 표시와 같이 상편부(上片部)(6a)의 끝부분을 45°로 절단하여 인접하는 상부 프레임재(6)과 계합함과 아울러 지주(5)가 들어가도록 하편부(6b)를 절단하여 나사등으로서 지주(5)와 결합시킨다.
이어서, 제2도 내지 제11도에 따라서 조립식 방(P)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르는 종단면의 중요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르는 횡단면의 중요부분 확대도이다.
또는,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기초프레임의 부설구조를 표시하는 중요부분의 평면도, 입면도 및 사시도, 제7도는 유니트 판넬의 정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제7도의 Ⅷ-Ⅷ선 및 Ⅸ-Ⅸ선 단면도, 제10a도, 제10b도, 제10c도는 각각 제9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조립건조 위치에 응한 유니트 판넬의 구성상의 차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11도는 유니트 판넬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클립부재의 사시도이며, 제12도는 제1도 T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기초프레임(4)은 조립식 방(P)의 평면관찰 형상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깔려 둘러쳐져 있어서,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제2도에 표시와 같이 아래 프레임으로서의 기대(10)에 폭 방향으로 목재(11)가 덮어 씌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대(10)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보는 바와 같이, 등을 기대는 긴 의자 모양의 하부 프레임 부재(13)…를 그 길이방향으로 필요한 수를 벌려넣고, 인접하는 것들을 서로 맞추어서 합치는 방식에 의하여 볼트(14)…로서 접합하여 구성된다. 각 하부 프레임 부재(13)는 거의 외부로 향한 L자형상 단면의 각부(脚部)(13a)와 거의 내부로 향한 L자형상 단면의 좌부(13b)로서 구성되며, 각부(13a)는 그 바깥쪽으로 절곡된 기편(基片)(13c)이 매립된 볼트(15)…를 개재하여 몸체쪽의 바닥(F)에 계지되어 있다.
기초프레임(4)의 모서리부(4a)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부재(13),(13)는 그들의 좌부(座部)(13b),(13b)의 윗쪽으로 각 기립편(起立片)(13d),(13d)가 서로 면이 같은 상태로서 만날 수 있도록 한편쪽의 좌부(13b)에 그 단면에 따라서 기립편(13d)을 돌려 놓는 형상으로 종결되도록 된 절곡부재(13e)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하부 프레임 부재(13)는 그 기편(13c)에 천설된 관통구멍(16)의 윗쪽에 너트(17)가 용접되어 있으며, 이 너트(17)에 나합시킨 봉나사(18)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가능토록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 부재(13)의 높이 조절후, 바닥(F)과의 사이에 끼움쇠(19)을 넣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타일등의 마무리부재(20)와의 사이에 접속부분(21) 충전을 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쪽의 바닥(F)과 바닥 마무리부재(20)와의 사이를 개재하여 장설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방수 시이트 주변부분을 하부 프레임 부재(13)의 각부(13a)와 폭으로 되는 목재(11)와의 사이에 세워올리도록 한다.
기초 프레임(4)의 각 모서리부(4a)는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들어간 모서리로 되어있어서 여기에 세워서 설치되는 지주(5)의 설치구조는 네모서리 모두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지주(5)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모서리부(4a)의 한쪽의 하부 프레임 부재(13)의 기편(13c)위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고, 거의 W자 형상의 단면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앙의 직각부(5a)의 양쪽변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3)의 좌부 기립편(13d)과 그 절곡부(13e)에 외부에서 당접하고, 각각 나사(22) 및 나사(23)에 의하여 안쪽에서 봉합되고 있다. 그 중앙직각부(5b)의 양쪽 가장자리는 각각 바깥쪽으로 90°절곡되어 플랜지(5c),(5d)로 되어 있으며, 한쪽의 플랜지(5c)에는 나사(24)에 의하여 자리맞춤핀(25)이 결착되어 있다.
한편, 각 지주(5)의 상부(5a)에는 용접 또는 나사로 고정하여 부착하는 등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 부재(6)의 끝부분이 고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부재(6)는 제2도에 표기되는 것과 같이 실내(S)쪽으로 향한 상편부(6a) 및 바깥쪽으로 향한 하편부(6b)와 그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대(帶)상 본체부(6c)로 구성되며 단면이 거의 Z자 형상의 강재로서 상편부(6a)에는 횡보(7)의 단부가 재치되어 나사(26)에 의하여 아래쪽에 봉합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프레임 구조물(1)이 견고하게 구축되고, 그 기초프레임(4)과 상부 프레임 부재(6)와의 사이에 실내(S)쪽에서 유니트판넬(2)…이 조립건설되어 있다.
유니트 판넬(2)은 제7도 내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립하였을때에 내부쪽, 즉, 실내(S)쪽으로 오는 벽장부(27)와 외측, 즉, 몸체의 벽(W)쪽으로 오는 프레임(28)으로 이루어진다. 벽장부(27)는 프레임(28)에 고정부착된 하부 바닥판(29)과 타일등 기타의 적당한 표면 마무리재(30)를 보유하고, 그 사이에는 심재(31)를 개재하여 장설함과 아울려, 정면에서 관찰하여 즉, 실내(S)쪽에서 보아 좌우의 옆쪽 가장자리에 따라서 스페이서(32),(33)가 삽착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부(28)는 체널재를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시켜서 구성되고, 벽장부(27)를 보전, 지지하는 창틀모양의 보강용 프레임부(34)와 그 윗쪽으로 돌출하는 계지 프레임부(35)로서 구성된다. 보강용프레임(34)는 판넬(2)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좌우의 수직 가로대(36),(37)사이에 맨 하단의 하부 가로대(38)와 윗쪽 복수단의 옆쪽으로 가로지른 목재(34a)…를 걸치고 이들 사이에 결합구(34b)…를 넣어서 구성되며, 하부 가로대(38)는 윗쪽으로 개구한 C형상의 채널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 프레임부(35)는 그 최상단의 상부 가로대(39)을 보유함과 아울러, 이 상부 가로대(39)과 상기한 보강용 프레임부(34)의 최상단의 옆쪽으로 가로지른 목재(34a)와의 사이에 중앙결합구(35a)와 그 좌우에 설치된 뒷쪽에의 옵셋 결합구(40),(40)를 갖추고, 상부 가로대(39)는 그 표면쪽의 측편상부(39a)가 거의 7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뒷쪽의 측편상부(39b)가 수평방향 내부로 절곡되어서 전체 횡단면이 대략 G자 형상의 윗쪽으로 향한 채널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판넬(2)은 제10도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그 조립건설 위치에 의하여 구성이 다소 차이가 있어서, 기초프레임(4)의 모서리부(4a)이외의 장소에 조립건설되는 유니트 판넬(2a)은 제10a도와 같이 좌우의 스페이서(32,(33)의 바깥 가장자리의 인접된 판넬과의 절결계속부(32a),(33a)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좌우의 세로 가로대(36),(37)의 어느 것이든지 모두 조립 건설할때에 있어서의 판넬 폭 방향 외부쪽의 각 측편(36a),(37a)의 첫 부분(36b),(37b)를 거의 7자 형상으로 안쪽으로 절곡하여 거의 G자 형상의 횡단면으로 한 뒷쪽이 열려진 채널로 되어 있다.
한편, 기초 프레임(4)의 각 모서리부(4a)의 양변에 조립건설되는 유니트 판넬(2b,2c)은 모서리부(4a)의 실내(S)쪽에서 보아서 우측 변쪽으로 오는 편의것(2b)이 제10b도와 같이, 지주(5)와의 접촉하는 쪽이 즉, 판넬 정면에서 관찰하여 좌측에 있어서 장방형 단면의 스페이서(32')와 판넬 폭방향 안쪽으로 벌어진 C채널형상의 세로 마루끝 가로대(36')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한 유니트 판넬(2a)과 다르며, 또 모서리 부재(4a)의 좌측 변쪽으로 오는 편의 판넬(2c)은 제10도(c)와 같이 이 판넬(2c)의 지주(5)와의 접촉하는 쪽 즉, 그 정면에서 보아서 우측의 스페이서(33')가 장방형 단면을 보유하고, 같은쪽의 세로 가로대(37')이 판넬 폭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진 C채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각 유니트 판넬(2)은 보강용 프레임부(34)의 하부 가로대(38)를 나사(41a)와 칼러(41b)로 구성되는 위치결정겸 위치고정용 부재(41)에 의하여 하부 가로대(38) 밑바닥면의 도면 미도시의 개구를 개재하여 폭으로되는 목재(11)의 하부 가로대(13)의 좌부(座部)(13b)의 윗쪽으로서의 절곡연입부(折曲延入部)(11a)와 아울러, 그 좌부(13b)에 윗쪽에서 장착하고, 또 다시 계지 프레임부(35)의 옵셋 결합구(40)를 상부 프레임부(6)의 본체부(6c)에 작은나사(42)로서 실내(s)쪽에서 봉합부착 하는 것에 의하여 계지하여 조립된다, 또, 도면중, 부호 43은 유니트 판넬(2)을 뒷쪽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강재이다.
그런데 기초프레임(4)의 각 모서리부(4a)의 양변에 위치하는 유니트 판넬(2b),(2c)내부의 실내(s)쪽에서 보아서 우변쪽의 것(2b)은 다른 장소의 유니트 판넬(2a)(2c) 틀려서 제3도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정면에서 관찰하여 좌측 즉, 지주(5)쪽의 수직 가로대(36')에 변이같은 산(山)형상의 결하부재(44)의 한쪽의 변부(44a)가 나사(45)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변부(44a)에는 구멍(46)이 천설되고, 지주(5) 한쪽의 플랜지부(5c)의 자리맞춤핀(25)에 헐겁게 끼워져서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결합부재(44)의 다른쪽 변부분(44b)은 나사(47)에 의하여 지주(5)의 다른쪽의 플랜지부(5d)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 변부(44b)에 나사(48)에 의해 설치된 돌출부(49)에 의하여 모서리부(4a)의 좌측변쪽의 유니트 판넬(2c)이 정면에서 관찰하여 우측의 수직 가로대(37')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조립건설시 인접하는 유니트 판넬(2),(2)끼리는 각각 좌우 어느것인가 대응하는 쪽의 수직 가로대(36),(37)를 상대방쪽과의 결합부재로서 서로 제공하게 되고, 그 사이를 클립조인트(50)가 접합하고 있다. 클립조인트(50)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관찰하여 장방형의 연결부(50a)와 이 연결부(50a)의 한쪽의 옆 가장자리에서 폭방향 내부에 가깝게 뒷쪽으로 절곡된 계지편(50b)과 연결부(50a)의 다른쪽의 옆쪽 가장자리에서 뒷쪽으로 일단 폭방향의 안쪽으로 가깝게 절곡되고, 이어서 바깥쪽에 가깝게 절곡된 탄발 계지편(50c)으로서 구성된 거의 U자형상의 단면 부재이며, 연결부(50a)의 중앙에 앞쪽이 돌출한 손가락 접촉부(50d)를 갖추고 있으며, 이 부분을 누름으로써 인접하는 유니트 판넬(2),(2)의 수직 가로대(36),(37) 한쪽의 계지편(50b)을 삽입함과 동시에 다른방향으로 다른쪽의 계지편(50c)을 삽입하고, 그것으로서 손가락 접촉부(50d) 상하의 나사구멍(50e),(50f)에서 도면 미도시의 나사를 삽입하여 수직가로대(36),(37)에 걸어 고정하고, 세로방향의 수개소를 클립조인트(50)로 연결하여 유니트 판넬(2),(2)끼리 접합시킨다.
또한, 이상에서 언급된 유니트 판넬(2)의 좌우의 위치관계는 편의적인 것으로서 상기한 설명에 집착할 필요는 없고, 예컨데, 좌우가 전체적으로 바꾸어지더라도 지장은 없다.
이하, 현수된 천장(3)의 현수되어 설치된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천정(3)은 천장판넬을 순차적으로 펄쳐넣는 이른바 시스템 천장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재(6)의 대향하는 변사이에 가설된 적당한 갯수의 횡보(7)의 복수개소에 있어서, 횡보(7)의 횡방향 C채널형상의 아래쪽 가장자리부(7a)에 설치된 후크부재(51)에 의하여 볼트(5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또한, 이 볼트(52)에 상하의 너트(53),(54)에 의하여 높이의 조절이 자재롭게 설치된 행거(55)를 개재하여 외부마루받이(56)위의 적당한 부분에 클립부재(57)를 필요한 수 만큼 부착하여 이 클립부재(57)에 의하여 상기 외부마루받이(56)와 평면에서 관찰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서 적당한 갯수를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외부마루(58)를 개재하여 소요갯수의 천정판넬(59)를 매달아 넣고 있으며, 그 바깥가장자리는 둘레마루(60)에 의해 지지되며, 둘레마루(60)은 나사(61)에 의하여 각 유니트 판넬(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서 이루어진 조립식 방(P)은 조립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건물 몸체의 바닥(F)위에 소망하는 실내공간(S)의 평면에서 관찰한 형상에 따라 먹줄을 치고, 매설된 볼트(15)의 중심내기를 행하여 볼트구멍을 뚫고, 볼트(15)를 설치한다. 그 후, 하부 프레임 부재(13)를 설치한 볼트(15)에 계합시키면서 깔아넣어 나가고, 동시에 폭으로 되는 목재(11)를 씌워서 부착함과 아울러, 높이조절용 볼트(18)에 의하여 위치를 정하고, 끼움쇠(19)를 넣어서 상응하는 너트등을 죄어서 삽입한다.
이어서 기초프레임(4)의 각 모서리부재(4a)에 있어서, 지주(5)하부의 중앙직각부(5b)를 나사(22),(23)로서 하부 프레임 부재(13)에 봉착하여 지주(5)를 설치하여, 인접하는 지주(5),(5)의 각 상부(5a),(5a)사이에 상부 프레임 부재(6)의 대응하는 변을 나사 고정등에 의해 가설한다.
본 실시예는 실내의 형상이 간단하며, 따라서 상부 프레임 부재(6)를 전체둘레를 가설을 종료한 단계에서 횡보(7)를 상부 프레임 부재(6)의 대향하는 변사이에 가로질러서, 양쪽끝을 고정한다. 이때 돌출보(8) 및 코오너 플레이트(9)도 부착고정하여 놓는다.
실내 형상이 복잡한 경우나, 실내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 부재를 적당한 변까지 가설한 단계에서 대응하는 횡보를 가로 건너질러 놓고, 그 부분의 돌출보나 코오너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놓고,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둘레 전체의 시공을 완료한다. 또 모서리의 틈이 큰 장소에서는 적당한 중간위치에도 지주를 세워 설치한다.
또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가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 기둥으로서 지주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며, 예컨데, 별도로 설치된 적당한 지주 혹은 몸체쪽의 벽부분을 이용하여 가설하여도 좋으며, 중요한 것은 이렇게 하여 가설된 상부 프레임 부재에 의하여 원하는 실내공간의 평면 관찰 형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면 지장이 없다. 따라서 그 건설방법, 강성, 강도등을 어떻게라도 설정할 수가 있다.
이상에 의하여 프레임 구조물(1)이 구축된다. 또한 반입경로의 형편상 판넬 부재(2)의 조립건설 후에는 외부마루받이(56)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경우나, 천정판넬(59)를 매다는 것이 곤란한 경우, 기타 이 단계에서 천정(3)의 시공을 행하여 놓는 것은 지장이 없다.
이어서 유니트 판넬(2)을 기초 프레임(4)위에 부착하여 설치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6)에 계지하여 각각 조립건설하여 둘러쌓아 나간다. 유니트 판넬(2)을 펼쳐넣는 것은 기초프레임(4)위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시작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형편상 모서리부(4a)부터 행하는 것으로 한다.
최초에 지주(5)의 한쪽의 플랜지부,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S)쪽에서 보아 우측의 플랜지부(5c)에 자리맞춤핀(25)을 고정하여 놓는다. 한편 대응하는 유니트 판넬(2), 즉, 동일지주(5)의 실내(S)쪽 에서 보아 우측으로 오는 유니트 판넬(2b)에 부착되고, 그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수직가로대(36')에 나사(45)로서 접축부재(44)를 고정하여 놓는다. 그리고, 이 유니트 판넬(2b)을 기초 프레임(4)위에 놓고, 그 프레임(4)의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미끌어지게 넣어서 결합부재(44)의 양변부(44a),(44b)를 지주(5)의 양쪽 플랜지부(5c),(5d)에 각각 겹쳐 맞추고, 그때에 결합부재(44)의 실내(S)쪽에서 보아 우변부(44a)의 구멍(46)에 전기한 자리맞춤핀(25)을 삽입시키고, 이 판넬(2b)을 밀어 삽입하는 방향의 상하 좌우방향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어서 결합부재(44)의 좌변부(44b)를 지주(5)의 좌측의 플랜지부(5d)에 나사(47)로서 고정하여 동 판넬(2b)을 밀어 넣는 방향에서 본 전후방향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 결합부재(44)의 좌변부(44b)의 자리맞춤핀(49)은 이 시점에서는 이미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후, 모서리부(4a)의 다른편쪽 즉, 좌측에 있는 유니트 판넬(2c)을 동일하게 기초프레임(4)에 따라 밀어넣고, 그 정면에서 관찰한 우측의 수직가로대(37')를 상기한 자리맞춤핀(49)에 걸어서 부착한다. 이것으로서 각 판넬(2b),(2c)의 하부가로대(38)를 위치결정 고정용 부재(41)에 의하여 기초프레임(4)위에 고정하고, 이어서 뒷쪽에의 옵셋트부재(40)를 나사(42)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주재(6)의 본체부(6c)에 봉착한다.
기초프레임(4)의 모서리부(4a) 이외의 장소에 오는 유니트 판넬(2a)의 조립건설은 먼저, 판넬(2a)의 하부가로대(38)를 상기한 부재(41)에 의하여 기초프레임(4)위에 고정하고, 이어서 옵셋트부재(40)를 상부 프레임 부재(6)에 고정하고, 이로서 그 판넬(2a)과 여기에 인접한 좌우의 어느하나 또는 양쪽의 위치에 이미 조립되어 있는 유니트 판넬(2)과의 각 대응하는 수직 가로대(36),(37) 사이를 클립조인트(50)로 결합하여 행한다.
이상에 의하여 조립식 방(P)의 실내공간(S)의 측면이 구획 형성된다.
이어서, 천장(3)을 이하의 요령으로서 현수설치하여 실내공간(S)의 윗면을 구획 형성한다.
먼저, 후크부재(51)에 볼트(52)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 볼트(52)에 너트(53),(54)로서 행거(55)를 걸어서 고정한 것을 소요로 하는 갯수 만큼 준비하여 놓고, 이들을 각 횡보(7)의 하부 둘레부분(7a)에 걸어 잡아 당기고, 소정 간격으로 걸어 설치한 후, 외부마루받이(56)를 행거(55)에 끼워나가고, 평면에서 관찰하여 정(井)자틀의 격자형상의 천정에 매달아 설치하는 틀의 결합체를 얻는다. 이점이 후크부재(51)에만, 또는 후크부재(51)에 볼트(52) 및 너트(53),(54)를 부착한 것을 먼저 걸어놓고, 다른 것은 외부마루받이(56)에 부착된 상태에서 반입하여 후크부재(51)쪽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은 지장이 없다.
이어서, 클립부재(57)를 외부마루받이(56)에 걸어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마루(58)를 매달아 넣고, 천정 판넬(59)을 펼쳐넣어 나간후, 천정판넬(59)의 바깥 가장자리는 유니트 판넬(2)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둘레마루(60)에 지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유니트 판넬(2)을 조립하여 갈때에 기초 프레임(4)를 로어(lower) 프레임으로 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6)를 어퍼(upper)프레임으로 하는 결합건설 구조가 결합건설 시공에 앞서 구축되기 때문에, 임의의 장소의 유니트 판넬(2)의 조립을 기초 프레임(4)의 모서리부(4a)에 국한하지 않고, 그 임의의 위치에서 시작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시공이 신속할 뿐 아니라, 옆쪽으로 부터의 연장하여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점이 간단한 작업으로 족하고, 또한 각 지주(5)가 상하의 프레임(4),(6)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모서리 기둥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부터 원하는 실내공간(S)에 따른 조립식 방 전체의 강고한 프레임 구조물(1)이 구축되므로 조립할때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조립시공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구조물이라고 할지라도 본 발명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유용한 구조물의 일예로서 들고 있음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본래의 주제는 조립식 방을 윗쪽에서 보아 2차원적인 넓이로서 파악하여 그 벽면을 1차원적인 선의 연결로서 포착하는데 있으며, 그 구상화의 한 방법이 원하는 실내공간의 평면 관찰형상에 맞추어서 상부 프레임 부재를 가설하는 것으로 되어서 나타내고, 유니트 판넬의 자립을 불필요로 하는 좋은 결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점, 예컨데, 상부 프레임 부재가 그 측면관찰에 있어서, 어떠한 형상 혹은 고저의 차를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본 발명 방법의 실시상 본질적인 방해로 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몸체의 바닥위에 유니트 판넬을 건설하여 원하는 실내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조립식 방의 유니트 판넬 조립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한 소망의 실내공간의 평면 관찰 형상에 맞추어서 상부 프레임 부재에 계지하여 둘러 세우도록 하였으므로 조립식방의 실내공간을 2차원적인 넓이로서 파악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그 벽면도 1차원적인 선의 연결로서 족하여 단순히 평면 기하학상의 선분의 집합으로서 레이아웃하는 것만으로서 끝나고, 세삼스레 조립식 방의 유니트 판넬을 자립시킨다고 하는 종래의 고정관념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그 조립건설도 간단 신속하고, 또한 충분한 안정성을 갖추도록 할 수가 있는 등 다대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실내공간(S)의 평면 관찰 형상에 맞추어 기초프레임(4)을 설치하고, 이 기초프레임의 모서리부(4a)에 지주(5)를 설치하고, 옆에서 만나는 지주(5)의 상부사이에 상부 프레임 부재(6)를 가설(架設)하고, 이 상부 프레임 부재(6)상에 횡보(7)를 가로질러 놓고, 상기 기초 프레임(4)과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6) 사이에 실내쪽으로부터 유니트 판넬을 건설 확장하여 두르고, 상기 횡보(7)에 현수천정(3)을 현수하고. 이 현수 천정(3)의 가장자리를 유니트 판넬의 상부에 설치한 둘레마루(60)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의 조립방법.
KR1019880000100A 1987-01-12 1988-01-09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KR910008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4775 1987-01-12
JP62004775A JPS63176545A (ja) 1987-01-12 1987-01-12 プレフアブル−ムのユニツトパネル建付け方法
JP?62-004775 1987-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174A KR880009174A (ko) 1988-09-14
KR910008083B1 true KR910008083B1 (ko) 1991-10-07

Family

ID=1159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100A KR910008083B1 (ko) 1987-01-12 1988-01-09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76545A (ko)
KR (1) KR9100080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182A (en) * 1975-10-08 1977-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osable diaper reinfor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76545A (ja) 1988-07-20
KR880009174A (ko)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069A (en) Free standing wall
RU2397295C2 (ru) Каркас для здания
EP0485317B1 (en) Prefabricated modular construction
KR910008083B1 (ko) 조립식 방(prefab room)의 조립방법
JP3775792B2 (ja) 災害時用折り畳み式トイレ
JPS6253660B2 (ko)
JP2003049484A (ja) 木造住宅の建築方法
JP3019502U (ja) 耐震避難室付き家屋
JP2537255B2 (ja) プレファブ式トイレの組立方法
JP2656941B2 (ja) トイレの組立構造
JPH0738501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間仕切壁
JPH047791B2 (ko)
JPS63184668A (ja) プレフアブル−ムの天井パネル吊設方法
JP2614008B2 (ja) 家屋の構造
JPS6355272A (ja) 大型トイレル−ム
JP2537257B2 (ja) プレファブ式トイレの組立方法
JPH0722402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入隅部の建付構造
JPH0640760Y2 (ja) 壁パネル
JPH0617923Y2 (ja) プレファブル−ムの壁パネル建付構造
JP6371212B2 (ja) 外壁材保持ブラケット及びユニット式建物
JPS63147033A (ja) プレフアブル−ムの組立方法及び構造
JPH0727305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壁パネル上部連結構造
JP2549132B2 (ja) プレファブ式トイレの組立方法
JPH01169060A (ja) プレファブ式トイレの組立方法
JP3022472U (ja) 玄関ユニット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