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29Y1 -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29Y1
KR910007929Y1 KR2019890003242U KR890003242U KR910007929Y1 KR 910007929 Y1 KR910007929 Y1 KR 910007929Y1 KR 2019890003242 U KR2019890003242 U KR 2019890003242U KR 890003242 U KR890003242 U KR 890003242U KR 910007929 Y1 KR910007929 Y1 KR 910007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late
interior
shap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163U (ko
Inventor
신수현
Original Assignee
신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현 filed Critical 신수현
Priority to KR2019890003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929Y1/ko
Publication of KR900017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상태도로써 천정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틀 2, 2' : 내장판재
2a, 2'a : 내향만곡부 2b, 2'b : 하단면
3 : 탄성결속부재 3a, 3'a : 외향만곡부
3b : 하단면 4 : 결속요구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을 장식하기 위한 내장재의 설치 구조에 대한 것으로, 장식미를 제고함과 동시에 그 시공을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 내장공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판상의 천정판이나 벽판체를 통상적인 방법인 나사못등을 이용하여 접합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해 왔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나사못의 머리부분이 표출되어 실내 장식 본래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으며, 일편으로 접착제에 의한 본드 시공방식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그 견고성이 확실치 않아 안전사고상 이를 기피하게 되는 등의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들어 이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유형의 루버타입이 안출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까다로와 실효를 거두기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써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2-1247호의 경우는 결속틀에 형성된 한쌍의 결속돌편에 끼워지는 알루미늄판체의 결속을 위한 수단으로써 두 판체 사이에 호형상의 탄성판재를 끼워 넣어 알루미늄 조립판체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결속수단으로써는 결속틀에 조립된 알루미늄 판체를 하향 돌설된 눌름돌기의 역할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알루미늄 판체의 결속이완을 야기 시키게 되는등 실사용상의 문제는 물론, 시공상의 어려움으로 실제 시공이 이루어지질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84-4266호의 경우에 있어서도 호형 돌출편에 끼워전 판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판재의 양단에 외향 절곡부를 형성시키고, 그 사이의 평판상의 이음새 판재를 끼워 넣어 판재의 결속토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방식 역시 거의 탄성력이 결여된 팡판상의 이음새 판재(결속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판재간의 결속강도가 저하됨은 물론 각 판재간의 조립간격이 일정치 않을 경우에는 일정 폭을 갖는 이음새 판재를 가지고는 판재를 원만하게 결속할 수 없어 원만한 시공을 기대할수가 없게 되는 것이며, 또한 판재의 외향 절곡부와 이음새 판재가 결속시 선접촉을 이루게 됨으로써 결속강도의 저하요인으로 작용되며, 긴 부재인 이음새 판재의 끼움조립이 용이치 않는등의 결점과 특히 시공 완료된 상태의 각 판재 사이에는 커다란 골이 형성되어 외관미를 크게 해치게 되고, 사용중 도색이 바래거나 먼지가 끼일 경우 이의 청소 및 새로운 도색 작업이 곤란한 등의 사용상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시공자나 수용자들로 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내장식용 내장재가 갖는 설치 구조상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결속력이 우수한 천정장식재를 제공할 목적으로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 및 천정장식을 실내 장식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결속요구(4)(4')가 대응 형성된 ㄷ자형 결속틀(1)을 천정이나 벽면에 병렬 설치하여 상기 결속틀(1)의각 결속요구(4) 사이에, 양단으로 호형상의 내향 만곡부(2a)(2'a)가 형성된 내장판재(2)(2')를 끼워 넣은후, 각 내장판재(2)(2')의 내향만곡부(2a)(2'a) 사이에 ""와 같이 양단에 호형상의 외향만곡부(3a)(3'a)가 형성된 역사다리꼴상의 탄성 결속부재(3)를 탄삽하여 각 내장판재(2)(2')의 탄성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장판재(2)(2')의 하단면(2b)(2'b)과 탄성 결속부재(3)의 하단면(3b)이 수평면 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기초 천정면이나 벽면에 본 결속틀(1)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본 장식재를 구성하는 기초골격인 ㄷ자형 결속틀(1)을 제2도에서와 같이 기초면(5)에 심어진 앵카(6)를 사용하여 설치하거나 기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벽면 및 천정면에 고정시킨다.
즉, 결속틀(1)의 양측 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속요구(4)(4')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다수개의 결속틀(1)을 병렬 설치한다.
그다음 상기 각 결속요부(4)와 결속요구(4) 사이에 양단으로 내향 만곡부(2a)(2'a)가 형성된 판상의 내장판재(2)(2')를 끼워 넣은후 결속요구(4)에 삽입된 각 내장판재(2)(2')의 호형상 내향만곡부(2a)(2'a) 사이에, 양단으로 호형상의 외향만곡부(3a)(3'a)가 형성된 역사다리꼴상의 ""형 탄성결속부재(3)를 제3도와 같이 탄삽시켜 내장판재(2)(2')가 결속틀(1)의 결속요구(4)(4')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결속시키게 되면, 천정 및 벽면내장이 완료되는 것으로, 각 내장판재(2)(2')는 특정의 고정 수단없이 그 사이사이에 끼워지는 탄성 결속부재(3)에 의하여 간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결속틀(1)에 끼워지는 내장판재(2)(2')간의 원만한 결속을 위하여 내장판재(2)(2')의 양단에 호형상의 내향만곡부(2a)(2'a)를 형성하고, 결속틀(1)의 결속요구(4)에 삽입된 각 내장판재(2)(2')의 호형상 내향만곡부(2a)(2'a) 사이에, 양단으로 호형상의 외향만곡부(3a)(3'a)가 형성된 탄성결속부재(3)를 역사리꼴상으로 탄삽토록 함으로써, 탄성결속부재(3)의 탄성범위가 매우 넓어 각 내장판재(2)(2')간의 간격이 일정치 아니하여도 이를 충분히 지지결속 할수가 있으며, 또한 내장판재(2)(2')와 탄성결속부재(3)의 결속부 위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호형상의 만곡부(2a)(2'a)(3a)(3'a)에 의하여 곡면접촉이 이루어지지 때문에 결속도의 강하를 가져올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탄성결속부재(3)를 내장판재(2)(2')의 높이와 대등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형상을 역사다리꼴상으로 구성하여 양내장판재(2)(2') 사이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완료후 각 내장판재(2)(2')의 하단면(2')(2'b)과 탄성결속부재(3)의 하단면(3b)이 서로 일치되는 관계로 벽면이나 천정면의 외관미를 좋게 함은 물론 사용중 먼지가 끼지 않고, 새로운 도색작업시에도 그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등 매우 우수한 고품위의 실내 장식재를 제공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ㄷ자형 결속틀(1)에 내장판재(2)(2')를 끼워넣어 별도의 결속부재(3)를 이용 각 내장판재(2)(2')의 결속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된 벽면 및 청정장식용 실내장식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결속틀(1)의 결속 요구(4)(4')에 삽입된 내장판재(2)(2')의 호형상 내향만곡부(2a)(2'a) 사이에, 양단으로 호형상의 외향 만곡부(3a)(3'a)가 형성된 역사다리꼴상의 ""형 탄성결속부재(3)를 탄삽 결속하여 내장판재(2)(2')의 하단면(2b)(2'b)과 탄성결속부재(3)의 하단면(3b)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장식재 설치구조.
KR2019890003242U 1989-03-23 1989-03-23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KR910007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242U KR910007929Y1 (ko) 1989-03-23 1989-03-23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242U KR910007929Y1 (ko) 1989-03-23 1989-03-23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163U KR900017163U (ko) 1990-10-05
KR910007929Y1 true KR910007929Y1 (ko) 1991-10-10

Family

ID=1928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242U KR910007929Y1 (ko) 1989-03-23 1989-03-23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290A1 (ko) * 2011-12-13 2013-06-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천정 및 벽용 패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290A1 (ko) * 2011-12-13 2013-06-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천정 및 벽용 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163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929Y1 (ko)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JPH0420087Y2 (ko)
JPH0619737Y2 (ja) 連窓における方立連結部構造
JPH031567Y2 (ko)
JPH05302425A (ja) 建築板材取り付け装置
JPH0323934Y2 (ko)
JP2584932Y2 (ja) ハンギングパネル
JP3058385U (ja) 壁パネルおよび組立てパネルの目地部構造
JP2668814B2 (ja) 衛生室ユニット
JPH051541Y2 (ko)
JPH0637155Y2 (ja) 化粧縁材の取付構造
JPH062390A (ja) パネル取付装置
JPH031586Y2 (ko)
RU96103191A (ru) Зашивка судового помещения
JP2551198Y2 (ja) 屋根構造
JP3004185B2 (ja) 方形パネル用クリップおよび方形パネルの目地取付装置
JPH0320421Y2 (ko)
JP3012099U (ja) カーポートのサイドパネル取付け構造
JPH0316324Y2 (ko)
JPH0744647Y2 (ja) 間仕切り壁の面板取付用枠
JP2529949Y2 (ja) 目地板の取付装置
JPS5846210Y2 (ja) コ−ナ連結構造
JP3670501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JPS6339729Y2 (ko)
JPH082303Y2 (ja) 建築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