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16B1 -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16B1
KR910007716B1 KR1019880008017A KR880008017A KR910007716B1 KR 910007716 B1 KR910007716 B1 KR 910007716B1 KR 1019880008017 A KR1019880008017 A KR 1019880008017A KR 880008017 A KR880008017 A KR 880008017A KR 910007716 B1 KR910007716 B1 KR 91000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
trunk
serial
ser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172A (ko
Inventor
홍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16B1/ko
Publication of KR90000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패드시스템 동기포트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패드시스템에서 동기포트의 이중화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포트 선택흐름도.
제7도는 제5도 각부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PU : 제어부 DEC : 디코더
SI01 : 직렬 입출력회로 FF1 : 플립플롭
B1-B1 : 버퍼 DR1-DR2 : 라인 드라이버/리시버
RS1-RS2 : RS2-232C케이블
본 발명은 패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를 이중화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공중망은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패킷 데이타망(PSDM : 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 여러 종류의 통신망이 실현되고 있으며, 이들 통신망은 각각 독립적인 통신 서어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공중 전화망(PSTN)은 음성 전화용으로 설계된 통신망으로서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통신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최근 저속의 데이타 통신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공중 데이타망(PSTN)은 데이타 전용 통신망으로서 보다 높은 품질의 고속 데이타 통신에 이용되고 있으며, 제한된 비동기형 가입자 터미날(또는 Host computer)은 전용선을 통하여 통신망과 연결된다. 패드시스템(Packet Assembler/Disassembler System)은 공중 데이타망 정합장치로서, 비동기형 가입자 터미널(또는 Host computer)을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패드(PAD) 시스템은 CCITT X.25프로토콜에 의해서 데이타를 패킷으로 전송 또는 수신하여 비동기형 터미널을 가진 사용자가 공중 데이타망의 뱅크(data bank)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제1도는 패드시스템에서 공중 데이타망과 접속되는 동기포트의 구성도로서,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synchronous port)가 RS-232C케이블을 통해 모뎀(MODEM)에 접속되고, 상기 모뎀이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되어 패드시스템과 공중 데이타망간의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와 같은 구성의 단일 동기포트를 이용하여 패드시스템이 공중 데이타망과 인터페이싱할시 공중 데이타망과 연결하는 선로의 불량으로 인하여 트렁크의 다운(Trunk Down)현상이 발생되면, 선로가 정상적으로 될 때까지 사용자는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데이타 서비스의 효율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도와 같이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를 이중화하여 공중 데이타망과 접속하였으며,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대한 상세회로도이다.
제3도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에 해당하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1-SI012)출력은 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1-DR12)의 드라이버를 통해 RS-232C케이블(RS11-RS12)로 인가되는데, 상기 드라이버(DR11,DR12)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1-SI012)의 TTL레벨의 출력을 RS-232C의 전송레벨인 제2전원의 ±12V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RS-232C케이블에 인가된 데이타는 도시하지 않은 모뎀을 통해 공중 데이타망으로 출력된다.
상기 공중 데이타망에서 인가되는 데이타는 모뎀 및 RS-232C케이블(RS11-RS12)을 통해 라인 드라이버/리시버(DR11-DR12)의 리시버에 인가되며, 상기 리시버에서는 제2전원의 ±12V 레벨을 갖는 RS-232C케이블(RS11-RS12)의 데이타를 제1전원의 TTL레벨로 변환하여 직렬 입출력회로(SI011-SI01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패드시스템은 두개의 입출력회로(SI011-SI012)로 이중화된 동기포트를 구현하는데, 입출력회로(SI011)를 사용시에는 입출력회로(SI012)는 대기 상태로 동작한다. 이때 선로 상태의 불광으로 인하여 입출력회로(SI011)가 동작할 수 없는 경우 트렁크 를 복구하기 위하여 패드시스템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복구 루틴을 수행하며, 일정시간 이상 복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트렁크 다운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트렁크 다운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인위적으로 입출력회로(SI012)로 절체하여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해야 했으며, 순간적인 선로 상태 불량으로 인한 트렁크 다운일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었으므로 데이타서비스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를 이중화하여 트렁크 다운시 자동적으로 대기중인 동기포트로 절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시스템의 이중화 동기포트 구성도로서 하나의 동기포트내에 A, B입출력회로를 구성하고, 이들을 모뎀을 통해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시킨 후 선로 상태를 검사하며, 선로 이상 발생시 대기중인 포트로 자동 절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상세회로도로서, 패드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PU)와, 상기 제어부(CPU)의 제어하에 패드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동기 데이타 및 공중 데이타망에서 전송한 동기 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와; 상기 제어부(CPU)의 제어하에 트렁크 절체를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DEC)와, 상기 디코더(DEC)에서 클럭신호 발생시 상기 제어부(CPU)의 출력 데이타(D0)에 의해 트렁크 상태가 정상상태일시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트렁크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시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FF1), 상기 입출력회로(SI01)와 동기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제1트렁크를 선택하는 제1버퍼(B1)와,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제2트렁크를 선택하는 제2버퍼(B2)오, 상기 제1 및 제2버퍼(B1-B2)의 출력을 전송레벨의 제2전원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공중 데이타망의 전송 데이타를 제1 및 제2버퍼(B1,B2) 레벨의 제1전원으로 변환하는 라인 드라이버/리시버(DR1,DR2)로 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의 선택흐름도로서, 제1트렁크가 정상상태인가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정상일시 공중 데이타망에 제1트렁크를 접속한 후 상기 제1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불량일시 트렁크 복구 루틴을 수행한 후 복구된 경우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복구되지 않을시 제2트렁크를 선택한 후 상기 제2트렁크의 상태를 검사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정상일시 공중 데이타망에 제2트렁크를 접속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불량일시 트렁크 복구 루틴을 수행한 후, 복구된 경우 상기 제5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 6과정에서 복구되지 않을시 제1트렁크를 선택한 후 상기 제1과정으로 진행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7도는 트렁크 절체시의 동작파형도로서, (7A)는 디코더(DEC)의 출력파형도이며, (7B)는 제어부(CPU)의 D0 출력파형도이고, (7C)는 플립플롭(FF1)의 출력파형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4, 5, 6, 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절체과정을 살펴본다.
시스템 초기화 및 선로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플립플롭(FF1)은 "하이" 상태의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제1버퍼(B1)가 인에이블되어 제1동기포트(RS1)와 연결되므로 제1트렁크를 선택하게 되며 제2버퍼(B2)는 디스에이블 상태이므로 제2동기포트(RS2)에 연결된 제2트렁크는 대기상태가 된다. 따라서 직렬 입출력회로(SI01)에서 동기 데이타 출력시는 제1버퍼(B1)을 통해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Linebriver/Receiver)(DR1)의 드라이버측에 인가되며, 상기 드라이버에서 TTL레벨의 제1전원 데이타를 RS-232C의 전송레벨의 제2전원 레벨을 갖는 데이타로 변환한다. 상기 제2전원 레벨의 데이타는 제1동기포트(RS1)로 인가되어 RS-232C케이블(RS1)을 통해 모뎀으로 인가되며, 모뎀은 제1트렁크를 통해 수신 데이타를 공중 데이타망측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공중 데이타망에서 데이타를 수신하는 경우, 제2전원 레벨의 데이타가 RS-232C케이블을 통해 제1동기포트(RS1)로 수신되며, 상기 수신데이타는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의 리시버측으로 인가되어 제1전원 레벨의 데이타로 변환된 후 제1버퍼(B1)를 직렬 입출력회로(SI01)의 수신측에 인가된다. 이때 제1트렁크의 선로 상태가 불량 상태가 되면, 통해 직렬 입출력회로(SI01)는 제어부(CPU)로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선로 불량상태임을 알려준다. 상기 제어부(CPU)가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여 선로 불량을 인지하면, 일정시간 트렁크 복구 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트렁크 복구 과정에서 일정시간내에 트렁크가 복구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CPU)는 제2트렁크로 절체하기 위하여 디코더(DEC)를 통해 플립플롭(FF)의 출력이 "로우" 데이타를 가지게 한다. 상기 데이타에 의해 플립플롭(FF1)은 "로우" 상태의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제1버퍼(B1)는 디스에이블되어 제1동기포트(RS1)와의 데이타 통신로가 절단되고, 제2버퍼(B2)가 인에이블되어 제2동기포트(RS2)와 연결되므로 제2트렁크로 자동 절체된다. 이후 패드시스템과 공중 데이타망간의 데이타 전송은 제2트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트렁크 절체과정을 제5도-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CPU)는 (601)단계에서 제1트렁크의 선로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는 제1버퍼(B1) 및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를 통해 제1동기포트(RS1)와 연결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는 상기 제1동기포트(RS1)와 연결되는 제1트렁크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CPU)로 알려주게 된다. 즉, 상기 제1트렁크가 선로 불량상태이면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는 제어부(CPU)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알려준다. 따라서 상기 (601)단계에서 제 1트렁크의 선로 상태가 정상이면, 상기 제어부(CPU)는 디코더(DEC)로 특정어드레스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플립플롭(FF1)은 전상태와 동일하게 "하이"레벨의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2버퍼(B2)는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며, 제1버퍼(B1)는 인버터(IG1)를 통해 "로우" 신호로 반전된 제1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버퍼(B1)는 상기 제1동기포트(RS1)와의 데이타 통신로를 형성하므로 직렬 입출력회로(SI01)과 제1트렁크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하게 되며, 제어부(CPU)는 (602)단계에서 제1트렁크를 공중 데이타망에서 접속시켜 데이타 서비스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CPU)가 출력하는 데이타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직렬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1버퍼(B1)로 인가되며, 상기 제1버퍼(B1)를 출력하는 직렬 데이타는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의 해당하는 드라이버(TX1)측으로 인가되어 제2전원 레벨의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1동기포트(RS1)로 인가되므로, 모뎀을 통해 제1트렁크로 데이타가 출력된다. 반대로 제1트렁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는 상기 제1동기포트(RS1)를 통해 인가되고,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의 리시버(RX1)를 통해 TTL레벨의 제1전원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1버퍼(B1)로 인가되며, 제1버퍼(B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병렬 데이타 형태로 변환되어 제어부(CPU)로 인가된다.
그러나 상기 (601)단계에서 제어부(601)가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포트인 제1트렁크가 불량상태임을 인지하면, 상기 제어부(CPU)는 (603)단계에서 제1트렁크에 대해 일정시간 트렁크 복구 루틴을 수행한다. 이때 일정시간내에 제1트렁크가 복구되면, (602)단계에서 진행하여 현재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제1트렁크가 일정시간 동안 선로 불량상태가 되더라도 제1트렁크가 공중 데이타망에 연결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604)단계에 일정시간 동안 트렁크 복구 루틴 수행후에도 제1트렁크가 복구되지 않으면, 제어부(CPU)는 (605)단계에서 디코더(DEC)로 특정 어드레스를 출력하며, 제2트렁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데이타(D7-D0)중 D0비트를 (7B)와 같이 제2제어 데이타인 "로우" 데이타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DEC)는 상기 제어부(CPU)가 출력하는 특정 어드레스값에 의해 (7A)와 같은 디코딩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플립플롭(FF1)은 (7A)와 같이 상기 제어부(CPU)를 출력하는 D0비트 데이타를 데이타 입력단자(D)로 수신하게 되므로, (7B)와 같은 디코더(DEC) 출력이 클럭단자(CK)에 인가되는 순간 (7C)와 같은 "로우" 상태의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제1버퍼(B1)는 인버터(IG)를 통한 "하이" 신호가 인에이블 단자로 인가되므로 디스에이블되므로 제1동기포트(RS1)와의 통로가 전달되어 대기상태가 되며, 제2버퍼(B2)의 인에이블단자는 "로우" 레벨의 제2제어신호가 인가되므로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제2동기포트(RS2)에 연결된 제2트렁크가 연결되므로 트렁크 절체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제어부(CPU)는 (606)단계에서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제2트렁크의 선로 상태가 정상태인가 검사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직렬 입출력회로(SI01)는 제2동기포트(RS2)를 통해 선로 불량상태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CPU)로 인터럽트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606)단계에서 직렬 입출력회로(SI01)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CPU)는 (606)단계에서 공중 데이타망에 접속된 제2트렁크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CPU)를 출력하는 병렬 데이타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직렬 데이타로 변환되며, 제2라인드라이브/리시버(DR2)의 드라이버(TX2)는 상기 제2버퍼(B2)를 출력하는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제2전원 레벨의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2동기포트(RS2)로 인가하며, 제2동기포트(RS2)를 출력하는 데이타는 모뎀을 통해 제2트렁크상으로 출력된다. 또한 제2트렁크 상으로 수신되는 제2동기포트(RS2)의 제2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는 제2라인드라이버/리시버(DR2)의 리시버(RX2)를 통해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2버퍼(B2)로 인가되며, 상기 제2버퍼(B2)로 인가되는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를 통해 병렬 데이타로 변환되어 제어부(CPU)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제2트렁크를 통해 데이타를 서비스하는 중에 직렬 입출력회로(SI01)로부터 제2트렁크의 선로 상태가 불량임을 나타내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CPU)는 (606)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08)단계에서 제2트렁크의 복구 루틴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608)단계에서 일정시간내에 제2트렁크가 복구되면, (609)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상기 (607)단계로 되돌아가지만, 일정시간내에 제2트렁크가 복구되지 않으면 (610)단계에서 제1트렁크의 절체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CPU)는 (610)단계에서 디코더(DEC)로 특정어드레스를 출력하며, (7B)와 같이 데이타 버스의 D0비트로 "하이" 논리를 갖는 제1제어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디코더(DEC)는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의해 (7A)와 같은 디코딩 신호를 출력하므로, 플립플롭(FF1)은 (7C)와 같이 "하이" 상태의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2버퍼(B2)는 디스에이블되며, 제1버퍼(B1)가 인에이블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CPU)는 다시 (601)단계로 진행하여 절체된 제1트렁크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시스템과 공중 데이타망에 동기포트를 이중화 시켜 선로 상태에 따라 트렁크 포트를 자동 절체시킴으로서, 패드시스템의 데이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일의 입출력회로를 사용하여 동기포트를 이중화할 수 있어 하드웨어의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제1트렁크가 연결되는 제1동기포트(RS1)의 제2트렁크가 연결되는 제2동기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2동기포트(RS1) 및 제2동기포트(RS2)를 통해 트렁크의 상태를 검하하여 선로 불량시 디코딩 신호와 함께 제2제어 데이타 및 제2제어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며 동시에 수신 직렬 데이타를 병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며, 서비스동안 트렁크 선로 불량시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직렬 입출력회로(SI01)와, 상기 제어부의 디코딩 신호를 클럭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제2제어 데이타 출력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제1제어 데이타 출력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FF1)과, 상기 플립플롭(FF1)에서 제1제어신호 출력시에만 인에이블되어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의 직렬 데이타를 수신 및 출력하는 동시에 수신되는 직렬 데이타를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로 출력하는 제1버퍼(B1)와, 드라이브(TX1) 및 리시버(RX1)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퍼(B1)를 출력하는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상기 드라이버(TX1)가 수신하여 제2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1트렁크와 연결되는 제1동기포트(RS1)로 출력하며, 상기 제1동기포트(RS1)를 통해 수신되는 제2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상기 리시버(RX1)가 수신하여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1버퍼(B1)로 출력하는 제1라인드라이버/리시버(DR1)와, 상기 플립플롭(FF1)에서 제2제어신호를 출력시에만 인에이블되어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1)의 직렬 데이타를 수신 출력하는 동시에 수신되는 직렬 데이타를 상기 직렬 입출력회로(SI02)로 출력하는 제1버퍼(B2)와, 드라이브(TX2) 및 리시버(RX2)로 구성되며, 상기 제2버퍼(B2)를 출력하는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상기 드라이버(TX2)가 수신하여 제2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1트렁크와 연결되는 제2동기포트(RS2)로 출력하며, 상기 제2동기포트(RS2)를 통해 수신되는 제2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상기 리시버(RX2)가 수신하여 제1전원 레벨의 직렬 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2버퍼(B2)로 출력하는 제2라인 드라이버/리시버(DR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2. 제1트렁크가 제1동기포트에 연결되고 제2트렁크가 제2동기포트(RS2)에 연결되어 공중 데이타망과 접속되고, 상기 제1또는 제2동기포트를 통해 선로 불량신호 감지시 트렁크를 자동 절체하는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동기포트를 통해 제1트렁크의 선로 상태를 검사하는 제1과정(601)과, 상기 제1과정(601)에서 선로 상태가 정상일시 공중 데이타망에 제1동기포트를 접속하고 상기 제1과정(601)으로 되돌아가는 제2과정(602)과, 상기 제1과정(601)에서 선로 상태가 정상일시 공중 데이타망에 제1동기포트를 접속하고 상기 제1과정(601)으로 되돌아가는 제2과정(602)과, 상기 제1과정(601)에서 선로 상태가 불량일시 일정시간 동안 제1트렁크의 복구 과정을 수행하며, 일정시간내에 복구시 상기 제2과정(602)로 되돌아가는 제3과정(603,604)과, 상기 제3과정(603,604)에서 일정시간이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동기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2동기포트를 인에이블시켜 자동 절체한 후 자동 절체한 제2동기포트의 상태를 검사하는 제4과정(605,606)과, 상기 제4과정(605,606)에서 상기 제2동기포트가 정상일시 공중 데이타망에 제1동기포트를 접속하고 상기 제4과정(605,606)으로 진행하는 제5과정(607)과, 상기 제4과정(605,606) 과정에서 선로 상태가 불량일시 일정시간 동안 제2트렁크의 복구과정을 수행하며, 일정시간내에 복구시 상기 제5과정(607)의 진행하는 제6과정(608,609)과, 상기 제6과정(608,609)에서 일정시간이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동기포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제1동기포트를 인에이블시켜 자동 절체한 후 상기 제1과정(601)으로 진행하는 제7과정(61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방법.
KR1019880008017A 1988-06-30 1988-06-30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91000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7A KR910007716B1 (ko) 1988-06-30 1988-06-30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7A KR910007716B1 (ko) 1988-06-30 1988-06-30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2A KR900001172A (ko) 1990-01-31
KR910007716B1 true KR910007716B1 (ko) 1991-09-30

Family

ID=1927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017A KR910007716B1 (ko) 1988-06-30 1988-06-30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2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339B1 (ko) 스위칭 회로망
US20030133712A1 (e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614752B1 (en) Transitioning a standards-based card into a high availability backplane environment
KR910007716B1 (ko) 패드시스템의 동기포트 이중화 장치 및 방법
CA2434899C (en) Fault tolerance
KR20040020727A (ko) 통신처리 시스템의 이더넷 스위칭 보드의 이중화 장치
JP2003134002A (ja) 光インタフェース
KR100367428B1 (ko) 인터넷 정합장치의 랜 인터페이스 장치_
JP2002354067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通信機器並びに通信方法
JPH1051514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920005063B1 (ko)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된 타임스위치
KR20010001368A (ko) 에이티엠 교환기 링크 보드의 이중화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228306B1 (ko)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KR1003425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전송시스템의 이중화 장치 및방법
KR100296039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된 링크를 선택하는방법
KR100296971B1 (ko) 직렬링크 접속에서의 1+1 중복장치
JPH0398320A (ja) 冗長系を構成する現用、待機パッケージの切替制御方式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JP2728040B2 (ja) ディジタル専用線網の障害判定装置と判定方法
JP2762276B2 (ja) 通信ラインの二重化方式
JPH09224040A (ja) 多重化スイッチ
JPH05268116A (ja) 二重化切替方法
JP2002044058A (ja) 冗長構成を有する伝送装置
JPH08237269A (ja) 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