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421B1 -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421B1
KR910007421B1 KR1019840005328A KR840005328A KR910007421B1 KR 910007421 B1 KR910007421 B1 KR 910007421B1 KR 1019840005328 A KR1019840005328 A KR 1019840005328A KR 840005328 A KR840005328 A KR 840005328A KR 910007421 B1 KR910007421 B1 KR 91000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workpiece
sewing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812A (ko
Inventor
마이클 펙 앨런
Original Assignee
부리티슈 유나이티드 슈우 머쉬너리 리미팃드
아서 존 시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리티슈 유나이티드 슈우 머쉬너리 리미팃드, 아서 존 시든즈 filed Critical 부리티슈 유나이티드 슈우 머쉬너리 리미팃드
Publication of KR8500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제1도는 자동위치 결정 장치와 연관된 자동 팰리트 취급 장치를 가진 자동 재봉기의 전체적인 사시도.
제2도는 자동 재봉기의 재봉기 헤드와 연관된 팰리트 취급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자동 팰리트 취급 장치와 연관된 팰리트 감지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자동 팰리트 취급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
제5도는 자동 팰리트 취급 장치내 팰리트의 이송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이송된 팰리트를 자동 위치 결정 장치내 캐리지에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팰리트를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의 캐리지로 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자동 팰리트 취급 장치내에 설치된 팰리트 방출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제2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리트 취급 장치와 연관된 자동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식도.
제10도는 팰리트의 자동 장전을 용이하게 하는, 제9도의 자동 제어 장치내의 컴퓨터 지령의 흐름도.
제11도는 배출된 팰리트의 제거를 감시하는 , 제9도의 자동 제어 장치내의 컴퓨터 지령의 흐름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팰리트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9도의 자동 제어 장치내의 컴퓨터 지령의 흐름도.
제13a도 내지 제13e도는 재봉 패턴 파일들의 자동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제9도의 컴퓨터내의 프로그램 논리도.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작업자에 의해 도입된 팰리트에 대한 재봉 패턴 파일의 대화식 식별을 수행하기 위한, 제9도의 컴퓨터내의 프로그램 논리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재봉기 헤드 22 : 팰리트
24 : 캐리지 34 : 팰리트 취급장치
44 : 팰리트 식별 코우드 50 :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
56 : 피봇 장착대 58, 60 : 절결홈
62, 64 : 쐐기 66 : 팰리트 파지 기구
80, 82 : 팰리트 지지대 134 : 팰리트 방출 장치
본 발명은 자동 재봉기에 의해 재봉될 작업물의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물들상에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명칭이 "장착된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고 처리하는 재봉기"이고 1981. 5. 22.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266, 298호(한국 특허 출원 82-2231호)에는, 팰리트(pallet)내에 미리 배열시켜 놓은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재봉하기 위한 자동 재봉기가 기술되어 있다. 이 재봉기는 특정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작업물이 자동적으로 식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식별작업은 팰리트상에 존재하는 코우드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자동 식별은 특정 팰리트가 자동 재봉기에 제공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재봉될 작업물에 재봉패턴을 할당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재봉패턴의 할당은 작업물을 수용한 팰리트의 자동식별 후에 작업자와 재봉기 사이의 별도의 대화식 통신(interactive communication)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할당된 재봉패턴은 특정 팰리트가 재봉기에 제공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재봉된다.
또한, 상기 재봉기에 의하면 다수의 팰리트를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다수의 개별적인 작업물상에 특정 재봉패턴이 각각 자동적으로 재봉될 수 있게 된다. 서로 다른 다수의 작업물의 이러한 자동 처리는 작업물이 적시에 제공되지 않을 때까지 , 혹은 재봉패턴을 미리 할당받지 않은 작업물이 제공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상기 재봉기에 의하면, 동일한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동일 혹은 유사한 작업물상에 다수의 재봉패턴을 할당하거나 그후 재봉할 수 없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에 의하면 작업물이 재봉을 위해 제공될 때마다 주어진 팰리트 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상에 항상 동일한 재봉패턴만이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재봉기에 제공되는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에 1개 이상의 재봉패턴들이 재봉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자동 재봉기내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이 자동 재봉기에 제공될 때마다 연속적인 재봉패턴들이 순차적으로 재봉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자동 재봉기내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업물이 자동 재봉기에 다음번 제공될때에 이 작업물상에 상이한 재봉패턴이 자동적으로 재봉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자동 재봉기내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상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미리 할당된 재봉 패턴을 자동적으로 재봉할 수 있는 자동 재봉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팰리트는 그 자신에 존재하는 코우드가 감지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자동 재봉기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코우드는 그 코우드에 미리 할당된 다수의 재봉패턴중의 하나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상기 감지기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장치가 재봉기에 제공된 팰리트상에 존재하는 특정 코우드를 감지하는 감지기에 반응하여서 다수의 미리 할당된 재봉패턴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선택 과정은 감지된 코우드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일련의 기억된 재봉패턴내의 다음번 재봉패턴을 증분적으로 지적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재봉패턴은, 팰리트내에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을 재봉하기 위하여 팰리트가 감지기에 재차 제공될 때에 컴퓨터 장치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상이하게 코우드화된 다수의 팰리트가 자동 재봉기에 제공될 수 있다. 코우드화된 각각의 팰리트는, 재봉을 위해 팰리트가 제공될 때마다 순차적인 형식으로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각각의 일련의 미리 할당된 재봉패턴들을 가진다. 팰리트의 제공은, 자동 재봉기에 대한 다수의 개별적인 위치를 통하여 각각의 코우드화된 팰리트를 처리할 수 있는 자동 처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재봉기 헤드(20)에 대한 X-Y 위치 결정 장치를 갖는 자동 재봉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팰리트(22)는 재봉기 헤드(20)에 대하여 일치된 위치관계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팰리트는 이 팰리트내에 다수의 작업물이 미리 배열되는 결합하여 재봉하는 ("join and sew")타입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팰리트의 한가지 예가 미국 특허 제3,988,993호(발명의 명칭 : 작업물을 정합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팰리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팰리트내의 작업물은 예를들어, 또다른 작업물 조각들이 부가되기 전에 서로 결합되어 재봉되어야 하는 다수의 서로 다른 작업물 조각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첫번째 재봉패턴은 첫번째 결합 및 재봉작업을 수행하는데 요구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이와 같이 재봉된 작업물에 또다른 작업물조각을 부가하고, 미리 배열된 작업물조각을 재차 공급함으로써 두번째의 결합 및 재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번째 결합 및 재봉작업에 있어서는, 제공될 작업물에 독특한 두번째 재봉패턴을 필요로 한다.
또한, 예컨대 상이한 색깔의 실을 필요로 하는 일련의 상이한 재봉패턴들을 재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실의 색깔을 변화시키기 전에 동일 색깔의 실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작업물을 완전히 재봉한 후에 두번째 재봉 패턴을 재봉하기 위한 작업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팰리트(22)는 캐리지(24)상에 장착되며, 이 캐리지(24)는 모우터(27)에의해 원통형 축(26)을 따라서 Y방향으로 구동된다. 원통형 축(26)은 한쌍의 모우터(30)(32)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28)상에 장착된다. 상술한 X-Y 위치결정장치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 위한 위치 결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만 기재되어 있는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팰리트(22)는 팰리트 취급 장치(34)에 의해 상기 캐리지(24)에 상대적인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팰리트 취급 장치(34)는 적어도 3개의 팰리트를 동시에 취급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들 팰리트는 각각 도입위치, 중간위치, 그리고 배출위치를 차지한다. 제1도에는, 팰리트(22)가 자동 재봉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는 팰리트(22)가 팰리트 취급장치(34)내의 도입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팰리트(22)는 팰리트 취급 장치(34)의 좌측 선반(36) 및 우측 선반(38)에 얹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팰리트는 한쌍의 로울러(40)(42)에 의하여 상기 좌측 선반 및 우측 선반에 얹혀진 것이다.
제3도에는, 우측 선반(38)에 얹혀지는 도중에 있는 팰리트(22)의 모서리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 팰리트(22)는 로울러(42)상에서 제위치로 계속 구른다. 팰리트(22)의 모서리부분에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44)가 새겨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팰리트 식별 코우드(44)는 2개의 분리된 코우드화 표면 지역들(46)(48)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코우드화 표면지역(46)은 불투명하고 비반사성이지만, 다른 코우드화 표면지역(48)은 반사성이다. 그러한 반사성 및 비반사성 코우드화 표면지역들이 각종의 조합형태로 팰리트 식별 코우드(44)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다음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은 코우드화 표면 지역들의 조합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Figure kpo00001
팰리트(22)가 계속 이동하여 한계 정지구(51)에 닿으면, 팰리트 식별 코우드(44)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장치(50)에 제공된다. 이때,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는 코우드화 표면지역들(46)(48)을 광학적으로 감지해낸다. 이것은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의 내부에 존재하는 한쌍의 개별적인 광학 감지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 각각의 광학 감지기는 그의 아래에 있는 상기 코우드화 표면지역으로부터의 광 반사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도의 불투명한 코우드화 표면지역을 판독하는 광학 감지기는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상태를 도선(52)상에 발생한다. 그 반면, 반사성의 코우드화 표면지역(48)을 감지해낸 광학 감지기는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를 도선(53)상에 발생한다. 팰리트 식별 코우드(44)를 판독한 결과로 발생한 논리수준 신호의 코우드화 의미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로서는, 2개의 광학 감지기 모두가 반사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의 하부에 팰리트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때의 상태라는 것만을 알아두기 바란다.
도선(52)(53)은 제9도에 도시된 자동 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이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하여서는 제9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로서는, 이 자동 제어 장치는 도선(52)(53)상의 신호상태에 반응하여 팰리트의 존재여부로 감지하는 것이라는 것만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후, 이 자동 제어 장치는 팰리트 취급 장치(34)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종 규정된 팰리트 위치들을 지나 감지된 팰리트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요소들의 순차적인 작동은 팰리트 취급 장치내에 존재하는 각종 스위치들의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들 스위치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자동 제어 장치와 접속한다. 제9도의 자동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팰리트 취급장치의 기계적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장치(50)와 한계 정기구(51)는, 고정 나사(55)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 이동 가능한 장착대(54)에 의하여 팰리트 취급 장치(34)내에 조정 가능하게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각종 크기의 팰리트에 적합하도록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이 장착 구조는 피봇 장착대(56)를 포함하는데, 이 피봇 장착대(56)는 재봉기 헤드를 보수하는 동안에 상기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를 원래의 위치로부터 피봇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상부의 도입위치에 팰리트(22)가 얹혀 감지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제부터는 팰리트(22)를 팰리트 취급 장치내의 중간 위치로 보내주는 각종의 기능적 기구들에 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제4도에는 팰리트 취급 장치(34)의 좌측 부분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팰리트(22)의 좌측 부분은 좌측 선반(36)상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팰리트(22)의 이와 같은 위치는 결국 이 팰리트(22)가 부착될 캐리지(24)의 바로 위의 위치이다. 이점에 있어서, 팰리트(24)의 각 모서리 부근의 양변을 따라서 2개의 V자형 절결홈(58)(60)이 위치하고 있다. V자형 절결홈(58)(60)은 캐리지(24)의 양측 단부에 존재하는 한쌍의 쐐기(62)(64) (제6도 참조)에 맞물린다. 쐐기(62)는 캐리지(24)의 한쪽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팰리트 파지 기구(66)에 의해 V자형 절결홈(58)에 맞물려지도록 구동된다. 쐐기(64)는 아암(68)에 의해 캐리지(24)의 다른쪽 단부에 부착된다. 팰리트 파지 기구(66)의 파지 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쐐기(64)는 V자형 절결홈(60)에 대한 고정된 맞춤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팰리트 파지 기구(66)를 구성하는 각종의 요소에 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 팰리트(22)의 좌측 단부가 캐리지(24)상으로 하강 이동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팰리트(22)의 좌측 단부 및 그 양측의 V자형 절결홈(58)(6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선반(36)상에 얹혀진다. 출력축(72)을 가지고 있는 공기 실린더(70)가 좌측 선반(36)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공기 실린더(70)를 작동시키면, 그 출력축(70)이 외측으로 뻗어나가서 좌측 선반(36)을 아랫쪽으로 회전시킨다. 이 좌측 선반(36)은, 프레임 부재(76)에 결합되어 있는 피봇 부착물(74) 및, 프레임 부재(78)에 결합되어 있는 피봇 부착물(도시하지 않았음)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좌측 선반(36)이 이와 같이 아랫쪽으로 회전되면, 팰리트(22)의 좌측 단부는 이 좌측 선반(36)을 지나 하강하여, 쐐기(62)에 결합되어 있는 팰리트 지지대(80) 및 쐐기(64)에 결합되어 있는 팰리트 지지대(82)상에 얹힌다. 팰리트 지지대(82)는 제4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도에는 도시되어 있다. 이 팰리트 지지대(82)는 쇄기(64)의 하부에 위치한 탭(tab)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탭에는, 쐐기(64)의 주위에 걸쳐서 외측으로 돌출된 충분한 넓이의 지지면이 있다. 이러한 탭의 외측부분은 V자형 절결홈(60)의 부근에서 팰리트를 지지한다(제6도 참조).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리트 지지대(80)에도 V자형 절결홈(58)의 부근에서 팰리트를 지지하기 위한 탭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좌측 선반(36)을 다시 참조하면, 이 좌측 선반(36)에는 캠부재(84)가 부착되어 있다. 팰리트(22)가 팰리트 지지대(80)(82)상으로 하강하도록 좌측 선반(36)이 아랫쪽으로 이동하면 캠부재(84)가 한계 스위치(86)와 접촉하게 된다. 제2도에는 좌측 선반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캠부재(84)가 한계 스위치(88)에 접촉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동 제어장치는 좌측 선반(36)이 이동하는 동안에 한계 스위치들(86)(88)을 이용한다.
다음, 자동 제어 장치는 팰리트(22)의 우측을 하강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제5도에는 팰리트(22)의 우측이 상승된 위치에서 우측 선반(38)에 얹혀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우측 선반(38)은 4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링크장치의 상부 봉(90)에 피봇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봉(90)은 공기 실린더(94)에 의하여 피봇점(92)을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회전된다. 이 공기 실린더(94)의 출력축(95)이 수축되면, 우측 선반(38)은 점선(38')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우측 선반이 이와 같이 점선(38')의 위치에 유지되고 있을때의 팰리트(22)의 위치가 점선(22')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팰리트는 점선(22')에서와 같이 재봉기 헤드(20)의 베드(bed)(96)로부터 매우 짧은 간격만큼만 떨어진 하부 위치에서 점선(38')위치의 우측 선반상에 계속적으로 얹혀져 있게 된다. 그후, 공기 실린더(98)의 출력축(97)이 수축됨에 따라서 팰리트(22)가 베드(96)상으로 하강하게 된다. 공기 실린더(98)의 출력축(97)은 2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링크장치의 하부 봉(10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공기 실린더(98)의 출력축(97)이 수축된 후의 우측 선반(38)의 위치가 점선(38")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측선반(38)이 이러한 위치(38")에 있게 되면, 팰리트(22")는 이 우측선반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서 베드(96)에 얹혀지게 된다. 이때, 이 팰리트(22")는 팰리트 취급 장치내의 중간 위치에 도달한 것이다. 그후, 우측 선반(38)은 팰리트(22")를 방해함이 없이 피봇점(92)에 대하여 윗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우측 선반(38)의 이와 같은 윗쪽으로의 회전은 팰리트 파지 기구(66)가 팰리트를 파지한 후에 일어난다. 어떠한 경우에도, 우선 공기 실린더(94)를 작동시킴으로써, 그의 출력축(95)을 연장시키고, 따라서 상부 봉(90)이 피봇 점(9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우측 선반(38)이 재배치된다. 그후, 공기 실린더(98)를 작동시켜서 그의 출력축(97)을 연장시키면, 하부 봉(100)이 우측 선반을 윗쪽으로 옮겨서 재배치시킨다.
팰리트가 점선(22")으로 표시된 중간위치를 일단 차지하면, 이 팰리트는 팰리트 파지 기구(66)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제4도에는, 팰리트 파지 기구(66)의 요소들이 상호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쐐기(62)는 피봇 레버(102)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피봇 레버(102)는 캐리지(24)를 위한 주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착물(104)내에서 회전한다. 도면에는, 피봇 레버(102)의 심 일부분만이 부착물(104)내에 도시되어 있다. 이 부분에는 공기 실린더(110)의 출력축(108)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아암(106)이 포함되어 있다. 공기 실린더(110)와 그의 출력축(108)이 제6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이 출력축(108)이 외측으로 뻗어 나가면, 조정가능한 한계 정지구(112)와 접촉된다. 출력축(108)이 외측으로 뻗어 나가면, 부착물(104)에 형성된 축(114)을 중심으로 피봇 레버(102)가 회전하게 되고, 피봇 레버(102)가 축(114)을 중심으로 이와 같이 회전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62)가 팰리트(22)의 절결홈(58)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피봇 레버(102)의 상술한 운동은 제6도에서와 같이 이 피봇 레버(102)를 구멍이 있는 고정구(117)에 연결시키는 스프링(116)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 실린더(110)를 작동시키면, 그의 출력축(108)이 뻗어나가서 피봇 레버(102)를 축(114)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쐐기(62)가 절결홈(58)쪽으로 강하게 밀려나고, 따라서 절결홈(60)은 쐐기(64)쪽으로 강하게 밀려난다. 이와 같이 파지된 팰리트(22)가 제6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팰리트 지지대(80)의 후방부(118)는 제6도의 받침대(120)내에 위치된다. 이 받침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파지 작업 도중에 팰리트 지지대(80)를 팰리트(22) 아래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팰리트 지지대(80)는 또한, 그로부터 윗쪽으로 뻗어나온 지주(124)와 피봇 레버(102)에 연결되어 있는 랩(126)과의 사이에 부착된 스프링(122)에 의하여 정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이 스프링(122)이 당겨진 때 자주(124)상에 바이어스힘을 발생시키며, 그 지주(124)는 이에 의해 피봇 레버(102)의 후방 곡선부(125)에 맞물리게 된다. 지주(124)가 이와 같이 상기 곡선부(125)에 대해 바이어스됨에 의해, 팰리트 지지대(80)의 전방부는 팰리트(22) 아래에 유지된다. 팰리트 지지대(80)의 이러한 위치는 재봉기 헤드(20)에 대한 팰리트(22)의 패턴 제어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우선 캐리지(24)를 축(26)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팰리트 지지대(80)를 받침대(120)의 내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의하기 바란다. 이것은 X방향으로의 운동에 앞서서 Y방향으로의 운동을 요구하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패턴의 재봉이 완료되면, 제1도의 X-Y 위치 결정 장치는 팰리트(22)를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복귀시킨다. 이때 공기 실린더(110)가 배기된다. 스프링(116)에 의한 바이러스 힘이 피봇 레버(102)에 가해지며, 따라서 이 피봇 레버가 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출력축(108)이 배기된 공기 실린더(110)내로 수축된다. 그 결과, 피봇 레버(102)의 단부에 위치하는 쐐기(62)가 팰리트(22)의 V자형 절결홈(58)으로부터 이탈된다.
제7도에는, 쐐기(62)가 절결홈(58)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7도에는 받침대(120)와 관련된 공기 실린더(128)의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공기 실린더(128)의 출력축(129)은 점선으로 표시된 제1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제2위치(수축된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받침대(120)는, 팰리트 취급장치(34)의 프레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안대수단(130)을 따라 미끄러진다.(제4도 참조). 이와 같이 받침대(120)가 안내수단(130)을 따라 미끄러지면 스위치(131)(제4도)가 트립된다. 이 스위치(131)는 팰리트 취급장치(34)의 프레임에 연결된 하향연장 부재(132)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를 보면, 이 스위치(131)는 팰리트 취급장치(34)의 프레임에 연결된 하향 연장 부재(132)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를 보면, 이 스위치(131)는 팰리트 지지대(80)를 팰리트 아래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출력축(129)이 연장될 때 통상적으로 닫힌다. 이 스위치(131)는, 그가 받침대(120)의 미끄럼 가능한 부착물의 슬로트(133)에 맞물려 질때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출력축(129)이 수축되는 동안에 이루어지며, 이때 출력축(129)의 수축에 의해 받침대(120)가 이동함과 동시에 슬로트(133)가 고정 스위치(1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스위치(131)가 개방되는 것이다.
받침대(120)가 이와 같이 이동하면, 이 받침대내에 정합되어 있는 팰리트 지지대(80)가 축(114)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제7도 참조). 이에 의하여, 이 팰리트 지지대(80)의 전방부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리트(22)의 하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팰리트 지지대(80)의 전방부가 제거된 결과, 팰리트(22)의 전단부는 아랫쪽으로 하강한다. 팰리트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리트 방출장치(134)상에 하강된다. 이때, 팰리트(22)내의 한쌍의 구멍(136)(138)은 한쌍의 정렬된 핀(140)(142)에 맞물려진다. 이들 핀(140)(142)은 블록(144)(146)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블록의 윗면은 각각의 구멍(136)(138)주위에서 팰리트(22)를 정지시키고 지지한다.
제8도에는, 핀(140)이 구멍(136)에 끼워진채 팰리트(22)가 블록(144)상에 얹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144)은 수직 플런저(plunger)(148)를 둘러싸고 있으며, 이 플런저(148)는 스위치(150)와 협동하여 팰리트(22)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핀(140)이 구멍(136)내에 올바르게 위치할 경우, 플런저(148)가 스위치(150)를 눌러서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 스위치(150)는 자동 제어 장치를 트리거시키며, 이에 의해 팰리트(22)의 방출이 개시된다. 이것은, 공기 실린더(152)를 작동시켜 그의 출력축(154)을 수축시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축(154)은 구동 링크(156)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 링크(156)는 팰리트 방출 장치의 축(158)에 고착되어 있다. 출력축(154)이 수축하면 이 축(158)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블록(144)(146)은 축(158)에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기구(164)(166)를 가진 한쌍의 수직 지주(160)(162)에 의해 유지됨을 볼 수 있다. 축(158)은 한쌍의 지지대(168)(170)내에서 회전가능하며, 이들 지지대는 기부(171)(제5도 참조)에 고착되어 있다. 블록(144)(146)은 지주(160)(16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어, 팰리트 방출중 팰리트(22)와의 적절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지주(160)(162)에 대한 블록(144)(146)의 운동 정도는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한쌍의 결합 링크(172)(174)에 의하여 제한된다. 결합 링크(172)(174)는 지지대(168)(170) 및 블록(144)(146) 모두에 피봇 가능하게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공기 실린더(152)의 출력축(154)이 수축하는 동안의 팰리트 방출 장치(134)의 운동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의해 축(158)이 회전함으로써 지주(160)(162)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지주(160)와 링크(172)의 상부에 매달려 있는 블록(144)의 방출경로가 제8도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팰리트는 조정가능한 경사 안내면(176)을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경사 안내면(176)은 여러 가지 크기의 팰리트에 적합하도록 레일(177)을 따라 조정가능하다.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팰리트(22)를 바깥쪽으로 반쯤 이동 시킨때, 축(158)에 고착되어 있는 접촉자(180)에 의해 스위치(178)가 해제된다(제2도 참조). 접촉자(180)는,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바깥쪽으로 반쯤 옮겨졌을 때에 스위치(178)를 개방시킬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접촉자(180)는 이와 같은 절반 지점에서 스위치(178)와의 접촉을 실제적으로 상실하게 된다. 결국, 이 접촉자(180)는 점선으로 표시된바와 같이 스위치(178)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스위치(178)가 이와 같이 개방되면, 방출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가 자동제어 장치에 전달된다. 팰리트는 점선(22")으로 표시된 바깥 위치로 옮겨지며, 작업자는 이 팰리트를 용이하게 잡고 꺼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이것은, 다음번의 팰리트가 캐리지(24)에 파지 혹은 고정되는 중간위치로 장입되는 동안에 혹은 그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완료된 팰리트를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처리하여야만 함에 따른 귀중한 시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9도에는, 팰리트 취급 장치(34)를 위한 자동 디지탈 제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디지탈 제어 장치는,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를 통해 출력 단자(204), 입력 단자(206),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된 중앙 처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 중앙 처리 장치는 내부 타이밍을 위한 클럭 신호를 클럭(209)으로부터 받아들인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인텔 코포레이션"에서 판매되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인텔 8085 마이크로프로세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번지 및 데이터 버스(202)는 "인텔 8085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인텔 코오포레이션"에서 판매되는 멀티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단자(204)는,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와 겸용 할 수 있는 "인텔 8212회로"와 같은 인터페이스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 단자(206)는 "인텔 8255-A 회로"이며,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는 "인텔 8279회로"이다.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장치(208)는 키이보드(210) 및 디스플레이(212)와 접속된다. 이 키이보드는 제어 버스(214)를 통하여 상기 제어 장치(208)와 접속되는 각종 시판 키이보들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는 제어 버스(214)상에서 얻어질 수 있는 8비트 정보를 단지 주사한 후에, 상기 정보를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를 통한 중앙 처리 장치(200)와의 차후의 통신을 위하여 기억한다.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는 키이보드(210)로부터 제어 버스(214)를 통하여 8비트의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우드화 정보를 받아들인다. ASCII 코우드는 시판되고 있는 키이보드에 존재하는 각종의 키이에 대한 표준적인 8비트 2진 코우드이다. 또한,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는 키이보드 정보를 ASCII 코우드로 중앙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이와 같이 수신된 정보를 변환시켜서 내부에서 처리한다.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장치(208)로의 정보의 역전송은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ASCII로 사전에 코우드화된다.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는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200)로부터 ASCII 코우드화 문자 정보를 받아들여서, 문자 발생 정보를 공지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버스(216)를 통해 디스플레이(212)로 제공한다. 이 디스플레이(212)는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장치(208)로부터의 문자 발생 정보에 응답할 수 있는 다수의 시판 디스플레이들중 하나일 수 있다.
출력 단자(204)는 6개의 별도의 2준위(bilevel) 신호 출력(218)(220)(222)(224)(226)(228)을 가진다. 이들 2준위 신호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들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0)(232)(234)(236)(238)(240)에 인가된다. 각각의 릴레이는 자신에게 인가된 논리적으로 높은 2준위 신호를 그에 연결된 각각의 솔레노이드에 제공될 수 있는 24볼트 AC 신호로 각각 변환시킨다. 각각의 솔레노이드는 팰리트 취급 장치내에 존재하는 공기 실린더중의 하나에 연결된 공기 밸브의 작용을 통제한다. 이 밸브는, 그의 솔레노이드에 가하여진 24볼트 AC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공기 실린더를 배기시키거나 혹은 공기 유입을 허용하거나 한다. 각각의 2준위 신호 출력(218-228)에 존재하는 2준위 신호상태는 공기 실린더의 적절한 작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높게 혹은 논리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공기 실린더의 형태 및 이에 대응하는 밸브의 '작동은 본 발명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각의 공기 실린더의 출력축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상에 24볼트 AC 신호가 가해지도록 특정한 2준위 신호 출력에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신호는 출력축의 연장이 필요할 때에 발생될 것이다. 반면에, 출력축을 연장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의 여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시판되고 있는 공기 실린더에서는 대응하는 2준위 신호 출력에서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가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2준위 신호출력(218-228)에 존재하는 신호상태를 소망의 효과의 점에서, 즉 각각의 공기 실린더의 출력축의 연장 혹은 수축에 관련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솔레노이드를 다시 참조하면. 솔레노이드(242)는 공기 실린더(70)의 공기 작동을 제어한다. 공기실린더(70)는 좌측 선반(36)의 이동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244)는 우측 선반(38)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 실린더(94)를 제어한다. 솔레노이드(246)는 우측 선반(38)의 철회를 제어하는 공기 실린더(98)에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48)는 팰리트 파지 기구(66)를 제어하는 공기 실린더(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받침대(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기 실린더(128)에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52)는 팰리트 방출 장치(134)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 실린더(152)를 제어한다.
입력 단자(206)는 2준위 신호 입력(254)(256)(258)(260)(262)(264)(266)에서 7개의 논리 수준 신호를 받아들인다. 각각의 2준위 신호 입력은 팰리트 취급 장치(84)내의 스위치에 연결된 각각의 완충 회로(버퍼 회로)로부터의 논리 수준 신호를 받아들인다. 우선 2준위 신호 입력(254)에 대해서 알아보면, 완충 회로(268)는 스위치(86)의 폐쇄에 응답하여 이 신호 입력(254)에 2준위 신호를 제공한다. 폐쇄된 스위치(86)는 좌측 선반(36)의 아랫쪽 위치를 나타낸다. 완충 회로(268)는 잡음 필터 회로(270) 및 광학적 아이솔레이터(isolator) 회로(272)와 바운싱(bouncing) 필터 회로(274)로 이루어진다. 잡음 필터 회로(270)는 스위치 신호로부터의 전기적 잡음을 단지 여과할 뿐이지만, 광학적 아이솔레이터 회로(272)는 아이솔레이트된 또다른 신호를 통상의 바운싱 필터 회로(274)에 제공하며, 이 바운싱 필터 회로(274)는 광학적 아이솔레이터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샘플링 하여서, 이와 같이 샘플링된 신호가 약 20밀리초의 시간동안 지속될 때에만 적절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적절한 2준위 신호가 입력 단자(206)의 2준위 신호 입력(254)에 가하여지는 것이다.
2준위 신호 입력(254)의 신호 상태는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 논리적으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스위치(86)는, 폐쇄시에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 상태를 발생시키는 전자식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 상태는 완충 회로(268)를 포함하는 각종의 회로에 의하여 역전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 2준위 신호 입력(254)에는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호의 변환은 각각의 완충 회로를 통하여 팰리트 취급 장치내의 각종의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2준위 신호 입력에 대하여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중앙 처리 장치(200)내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서 주어진 2준위 입력에서의 주어진 상태의 의미가 고려될 수 있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의 변환이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완충 회로(274)에서와 동일한 내부구조를 갖는 완충 회로(276)가 스위치(8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위치(88)는 폐쇄시에 좌측 선반(36)의 상향 수준위치를 한정짓는다. 그 완충 회로(276)는 스위치(88)의 폐쇄에 응답하여 논리적으로 낮은 2준위 신호를 2준위 신호 입력(256)에 발생시키도록 작동한다.
완충 회로(278)는 스위치(131)의 신호 상태를 처리하여 2준위 신호 입력(258)으로 보낸다. 받침대(120)가 바깥쪽에 위치하면 스위치(131)가 폐쇄되어 팰리트 지지대(80)를 재배치시킴으로써, 수납된 팰리트를 차후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완충 회로(280)는 스위치(150)의 신호 상태를 처리하여 2준위 신호 입력(260)으로 보낸다. 스위치(150)는 팰리트가 팰리트 방출 장치(134)에 맞물려졌을 때에 폐쇄된다. 이와 같이 닫혀진 스위치 상태에서는 2준위 신호 입력(260)에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가 발생된다.
완충 회로(282)는 스위치(178)의 신호 상태를 처리하여 2준위 신호 입력(262)으로 보낸다. 이 스위치(178)는 팰리트가 팰리트 방출 장치(134)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반쯤 이동하였을 때에 개방된다. 이에 의하여, 2준위 신호 입력(262)에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가 발생된다.
한쌍의 완충 회로(284)(286)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로부터의 도선(52)(53)상에 존재하는 2준위 신호를 받아들인다.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는 특정 팰리트 식별 코우드(44)에 반응하여 도선(52)(53)상에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 상태 혹은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를 발생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논리 수준 신호 상태는 각각의 완충 회로 (284)(286)에 의하여 역전된 후에, 2준위 신호 입력(264)(266)에 제공된다. 현재로서는, 도선(52)(53)상의 신호는 팰리트가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논리적으로 낮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이에 의하여, 2준위 신호 입력(264)(266)상에는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 회로(276)은 완충 회로(268)에서와 동일한 3개의 소자, 즉 잡음 필터와 광학적 아이솔레이터 및 바운싱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완충 회로(278)(280)(282)(284)(286)에 대하여서도 마찬가지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인텔 8085 마이크로프로세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는 각종의 임의로 번지 지정 가능한 기억장치(다르게는, 주기적 장치라고도 알려져 있음)와 함께 구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주기억장치에는 제9도의 각종 디지탈 논리 회로를 작동시키고 이에 반응하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주기억장치에는 동작 제어 장치 및 재봉기를 작동시키기에 필요한 디지탈 논리 회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후자의 프로그램 및 관련된 논리 회로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주기억장치에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될 데이타베이스를 위하여 준비된 할당 부분이 있다. 이 테이타 베이스에는, 팰리트내에 장착된 작업물상에 재봉될 각종의 제봉패턴을 규정하는 재봉패턴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프로그램 및 데이타베이스는 1개 혹은 다수의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 주기적 장치내로 독취되는 것이 보통이다. 각각의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제어 장치(290)의 제어하에서 구동되는 카세트 구동 장치(288)내에 삽입된다. 카세트 제어 장치(290)는 카세트로부터의 정보를 번지 및 테이타 버스(202)를 거쳐서 중앙 처리 장치(200)의 주기억 장치로 보낸다. 이와 같이 정보가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주기억 장치내에 장입되는 제어 인터페이스는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제10도에는 중앙 처리 장치(200)의 주기억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흐름도가 예시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팰리트 취급 장치(34) 내에 팰리트 장전을 관장하며, 이후부터는 팰리트 장전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 단계(300)에서 실행 프로그램으로부터 실행허가를 받은때 시작된다. 그 실행 프로그램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지금으로서는, 실행 프로그램은 팰리트가 선반(36) (38)상의 정위치에 놓여지고, 장전된 팰리트에 대한 제봉 패턴이 결정된때 실행을 허가한다는 것만 이해하기 바란다.
실행 허가를 받은 때,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01)로 진행하여 플래그 A(Flag A)를 0이 되게 설정한다. 이 소프트웨어 플래그는 차후에 설명될 방법으로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에 이용된다.
다음, 중앙 처리 장치(200)는 제10도의 단계(302)에 표시된 것과 같이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4)에 수축 지령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출력단자(204)의 번지를 지정하여 거기에 적당한 논리 수준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논리 수준 신호의 상태는 작동될 공기 실린더의 구조에 좌우된다. 솔레노이드의 에너지가 단절된 때 출력축을 수축시키도록 공기 실린더가 배기되어야 하는 경우, 2준위 신호 출력(224)의 신호는 논리적으로 낮은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공기를 배거 하도록 솔레노이드에 에너지가 인가되거나, 출력축을 수축시키도록 공기가 도입되어야 하는 경우, 2준위 신호 출력(224)의 지령 신호는 논리적으로 높은 상태가 된다. 어떤 경우든지, 적절한 논리 수준 명령 신호가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발생되어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6)에 인가된다. 이것은 공기 실린더(110)와 연결된 솔레노이드(248)에 적절히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단절시킨다. 그 결과, 공기 실린더(110)의 출력축(108)이 수축되어 펠리트 파지 기구(66)를 풀어놓는다. 팰리트 파지 기구(66)가 이미 풀려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축 지령의 발생은 팰리트 파지 기구(66)의 상태를 단순히 여분 검사하는 것이다.
중앙 처리 장치(200)의 다음 단계(304)는 출력 단자 (204)의 2준위 신호 출력(218)에 신장 지령 신호를 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0)를 트리거시켜 솔레노이드(242)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공기 실린더(70)에 연결된 축(72)를 바깥쪽으로 신장시키도록 한다. 제4도에서, 축(72)이 외측으로 신장하면 좌측 선반(36)이 하강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좌측 선반(36)이 완전히 하강한때 발생하는 스위치(86)의 트리핑(tripping)을 기다린다. 이 점에 있어서, 스위치(86)의 폐쇄된 상태는 광학적 아이솔레이터회로(272)에 의해 단절된 잡음 필터 회로(270)에 의해 여과된 후, 바운싱 필터 회로(274)에 의해 보유됨으로써, 2준위 신호 입력(254)에 인가되는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수준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수준은 제10도의 흐름도의 단계(306)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감지된다.
좌측 선반(36)이 강하된 것이 확인된 후,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08)에서 지시된 것과 같이 출력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0)에서 수축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이 수축 명령 신호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2)를 트리거시켜서 솔레노이드(244)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공기 실린더(94)의 출력축(95)이 수축되도록 한다. 제5도 참고로 하여, 공기 실린더(94)의 출력축(95)의 수축은 우측 선반(38)을 강하시켜서, 상부의 도입 위치로부터 팰리트의 우측 가장자리를 떨어뜨리게 한다.
다시 제10도의 흐름도에서, 단계(310)에서 중앙 처리 장치는 200밀리초의 시간 지연을 카운트한다. 이것은 우축선반(38)이 하부 위치에 있도록 하는 적절한 시간을 결정짓는다. 지연 시간의 카운팅은 특정 카운트를 만들어서, 클럭(209)의 클럭 신호에 의해 그 카운트를 감산함으로써 수행된다.
우측 선반(38)이 하부 위치에 있게된 후, 단계(312)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출력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18)에서 수축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의 신호 상태를 역전시켜서 솔레노이드(242)에 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공기 실린더(70)에 연결된 출력축(72)을 수축시켜서 좌측 선반(36)을 상승시킨다. 제4도를 참고로하여, 스위치(88)는 좌측 선반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접촉된다. 스위치(88)의 폐쇄된 신호 상태는 완충 회로(276)를 거쳐 2준위 신호 입력(256)에 인가되는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2준위 신호 입력(256)에서의 이 논리적 낮은 신호 상태는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 단자(206)를 번지 지정하고 2준위 신호 입력(256)의 신호가 낮은 상태인가를 묻는다. 이것은 제10도의 단계(314)에서 수행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16)에서 수축 명령 신호를 출력 단자(204)의2준위 신호 출력(222)에 제공한다. 제9도를 참고로 하여, 2준위 신호 출력(204)에 연결된 릴레이(234)는 공기 실린더(98)의 출력축을 수축시키는 신호 상태를 솔레노이드(246)에 제공한다. 제5도에서 보듯이, 이 결과 우측 선반(38)이 철회된다. 우측 선반(38)의 이와 같은 이동은 베드(96)에 놓여 있는 팰리트(22)가 적절히 떨어지게 한다. 이것이 팰리트 취급 장치내 팰리트의 중간 위치를 구성한다.
다시 제10도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은 2준위 신호 출력(222)에서 수축 명령 신호를 제공한 후, 단계(318)에서 430밀리 초의 제1지연 카운트를 설정한다. 클럭(209)은 중앙 처리장치(200)에 이해 설정된 지연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하여 중앙 처리 장치(200)에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중앙 처리 장치가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단계(320)에서 신장 명령 신호를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4)에 제공한다.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6)를 트리거시켜 공기 실린더(110)의 출력축(108)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솔레노이드(248)에 인가한다. 제6도를 참고로 하여, 이 결과 피봇 레버(102)가 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팰리트 지지대(80)(82)에 이미 놓여 있는 팰리트에 파지 압력을 가한다. 파지 작용의 결과, 팰리트는 캐리지(24)에 결합되어, 재봉기 헤드(20) 아래에 위치 결정을 위해 준비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이 일어나기 전에, 우측 선반(38)이 실제로 철회된 위치에 도달했음을 알리도록 제1지연 카운트가 카운트 완료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것은 제10도에서 지연 카운트의 카운트 완료를 요구하는 단계(322)에서 이루어진다.
제1지연의 카운트 완료 후,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24)에서 신장 명령 신호를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0)에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명령 신호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2)를 트리거시켜서 공기 실린더(94)의 출력축(95)을 바깥쪽으로 신장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솔레노이드(244)에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우축 선반(38)이 제5도에서와 같이 상승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26)에서 430밀리초의 제2지연 카운트를 설정하고, 제2지연 카운트를 카운팅하여 공기 실린더(94)의 출력 축(95)의 이동을 위한 적절한 시간을 제공한다. 그러한 카운팅은 단계(326)에서 설정된 430밀리초의 지연을 카운트하기 위해서 클럭(209)으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단계(328)에서 수행된다.
그후,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330)에서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출력(222)에서 신장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4)를 트리거시켜서 제5도에서 보듯이 공기 실린더(98)의 출력축(97)을 외측으로 신장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솔레노이드(246)에 인가한다. 이것은 우측 선반(38)을 상승 위치로 재설정시키는 마지막 단계를 이룬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좌측(36)과 우측 선반(38)을 완전한 일련의 운동을 하도록 하여, 팰리트를 팰리트 취급 장치(34)내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중앙 처리 장치(200)는 그 팰리트를 캐리지(24)에 파지시키고 좌측 선반(36) 및 우측 선반(38)의 위치를 재설정시킨다. 이것은 재설정된 선반에 다른 팰리트의 장전을 가능하게 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재설정된 좌우측 선반(36)(38)에 다른 팰리트가 장전되는 동안 파지된 팰리트의 운동을 요구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로 팰리트의 운동은 단계(320)의 종료전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측 선반(38)의 철회는 팰리트(22)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단계(324)-단계(33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철회되어 강하된 위치로부터의 우측 선반(38)의 위치 재설정은 팰리트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패리트 초기 동작에 대한 유일한 필요조건은 캐리지(24)가 처음 재봉기 헤드(20)쪽으로 Y방향으로 축(26)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 운동은 팰리트 지지대의 후방부(118)를 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킨다(제6도).
전술한 운동을 위한 동작 제어 프로그램은 중앙 처리 장치(200)의 주기억 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이 동작 제어 프로그램은 재봉기 헤드(20)내의 왕복 운동하는 재봉 바늘 아래에서의 작업물 수용 팰리트의 동기 운동을 명령하는 재봉 패턴 정보 파일을 이용한다. 이것은 제10도에서 재봉 모우드라는 말로 넓게 표시되어 있다. 소망의 재봉 패턴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완성된 작업물을 수용하는 팰리트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은 받침대(120)내에 팰리트 지지대의 후방부(118)를 재배치시키도록 축(26)을 따라서의 캐리지(24)의 최종운동을 요한다. 이것은 팰리트 취급 장치에 의한 파지된 팰리트의 다음 처리를 위한 준비과정이다.
제11도에는, 모니터 프로그램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모니터 프로그램은 중앙 처리 장치(200)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술한 재봉 모우드 동안에 동작한다. 이점에 관해서, 모니터 프로그램은 조작자에 의해 제거될 팰리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팰리트 취급장치(34)는 작업 완료된 팰리트를 조작자가 제거할 수 있도록 바깥으로 이동시키는 능력을 가진다. 팰리트의 이러한 특별한 처리를 위한 제어 방법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현재로서는, 팰리트가 실제로 팰리트 취급 장치(34)에 있을 수 있다는 것만 알면 된다. 제11도의 모니터 프로그램은 단계(332)에서 시작하며, 그 단계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가 입력 단자(206)를 번지 지정하고 2준위 신호 입력(260)이 높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묻는다. 제8도에서, 팰리트 방출 장치(134)의 블록(144)에 놓여진 팰리트에 의해 플런저(148)가 스위치(150)를 닫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150)의 닫힘은 완충 회로(280)에 의해 처리되어, 2준위 신호 입력(260)에서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를 만든다. 이러한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가 존재하는 한, 중앙 처리 장치(200)는 2준위 신호 입력(260)을 번지 지정만하고 더 이상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반면에, 2준위 입력(260)이 논리적으로 높은 상태가 되면, 중앙 처리 장치(200)는 제10도의 단계(334)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3초의 지연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것은, 3초의 카운트를 설정하여 클럭(209)이 0까지 감산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336)에서 플래그 A를 2진수 1로 설정한다. 이것은 조작자가 팰리트 제거한후 3초가 경과하였음을 지시한다. 후술하게 되겠지만, 이러한 3초의 지연은 팰리트 방출 장치(134)의 재설정(리셋트)을 트리거하는데 이용된다. 3초 지연은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이러한 재설정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조작자가 팰리트를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제12a 및 12b도의 흐름도는 팰리트 제거 과정중의 중앙 처리 장치의 연속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이미 장전된 팰리트는 제봉하기 위해 재봉기 헤드(20)에 제공 되었고 팰리트 제거 과정을 위해 준비된다. 이것은 제12a도에서 "재봉 모우드 종료"라는 용어로서 표시된다. 제12a도에 표시된 "재봉 모우드 종료"는 제6도에서 보듯이 받침대(120)내의 팰리트 지지대의 후방부(118)의 배치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220)에 의한 첫 질문은, 2준위 신호 입력(260)이 단계(338)에서 논리적으로 낮은 상태인지를 묻는 것이다. 제11도에 관련된 사항으로부터, 팰리트 방출 장치(134)에 연결된 스위치(150)가 닫혀 팰리트 방출 장치(134)에 팰리트가 계속 얹혀 있는 것을 나타낼 때 2준위 신호 입력(260)은 논리적으로 낮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팰리트가 재봉 모우드 동작 도중에 조작자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경우, 중앙 처리 장치(200)는 제12a도의 "예" 경로를 따라 단계(340)으로 이동하여 ASCII 토우드화 메시지 "기존 팰리트 제거"를 디스플레이(212)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200)는 표준 ASCII 코우드로서,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를 통해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장치(208)와 통신한다.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장치(208)는 다시 문자 발생기 신호를 디스플레이 버스(216)를 통해 디스플레이(212)에 전송한다. 그러면, 그 메시지가 정상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212)에 표시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42)에서 2준위 신호 입력(260)이 팰리트 방출 장치(134)로부터의 팰리트 제거를 지시하는 높은 상태로 되었는지를 묻는다. 팰리트가 여전히 팰리트 방출 장치(134)상에 존재하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340)로 인가되어, "기준 팰리트 제거" 메시지를 다시 디스플레이(212)에 전송한다. 2준의 신호 입력(260)은 다시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입력 신호가 팰리트 방출 장치(134)로부터의 팰리트 제거를 지시하는 논리적 높은 상태인지를 확인하도록 번지 지정된다. 이것이 최종적으로 일어나면, "예"경로를 따르고, 중앙 처리 장치(200)는 ASCII 메시지 "감사"를 단계(344)에서 디스플레이(212)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46)에서 3초의 지연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후 단계(348)에서 플래그 A를 2진수 1로 설정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는 조작자가 팰리트를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게 한다.
플래그 A를 1로 설정한 후,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350)에서, "시작"이 키이보드(210)상에 입력되었는지를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에 묻는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예"경로를 따라 단계(338)로 돌아가기 전에 키이보드(210)로부터 "시작"신호를 기다린다. 방금 설명한 루우프는 재봉 모우드 종료시에 팰리트가 제거되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시작"지령을 다시 필요로 하는 단계(350)에서 알 수 있듯이 재봉기가 조작자에 의해 다시 시작되는 것을 요한다. 이 프로그램의 루우프는 재봉 모우드의 종료전에 팰리트가 이미 제거되었다면 실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2준위 신호 입력(260)은 논리적 높은 상태가 되어, 단계(338)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의 질문에 대하여 "아니오"라는 응답을 하게 된다. "아니오"경로는 제12a도에서 단계(338)에서 단계(352)로 이어진다. 단계(352)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플래그 A가 팰리트 제거후 3초가 경과하였음을 나타내는 1과 같은지를 묻는다. 조작자가 팰리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3초가 지날 때까지 플래그 A는 2진수 1 신호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것은 모니터 프로그램이 재봉 모우드의 종료쪽으로 3초를 카운트하는 것을 시작한 경우 여전히 타임 아웃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중앙 처리 장치(200)는 플래그 A가 1로 설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후, 단계(354)에서 중앙 처리 장치는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8)에서 신장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제9도에서, 2준위 신호 출력(228)에 신장 명령 신호가 존재하면,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40)가 트리거되어, 공기 실린더(152)의 출력축(154)을 신장시키는 신호를 솔레노이드(252)에 인가한다. 그러한 축력축(154)의 신장은,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그의 재설정위치로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56)에서 2준위 신호 입력(262)이 낮은 상태지를 묻는다. 제9도에서, 2준위 신호 입력(262)은 완충 회로(282)을 통하여 스위치(178)로부터 완충된 신호를 수신함을 알 수 있다. 스위치(178)는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내부로 반쯤 움직인 때 닫혀진다. 이러한 닫혀진 스위치 상태에 의해, 논리적으로 낮은 신호 상태가 2준위 신호 입력(262)에 나타난다. 팰리트 방출 장치가 내부로 반쯤 움직인 것으로 감지되어질 때,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58)에서 플래그 A를 0으로 재 설정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60)에서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224)에 수축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6)를 트리거시켜서, 공기 실린더(110)에 연결된 출력축(108)을 수축시키는 신호 상태를 솔레노이드(248)에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제7도에 관하여 전술하였듯이 팰리트 파지 기구(66)는 부작동으로 된다. 특히, 쐐기(62)가 팰리트(22)의 절결홈(58)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팰리트는 단순히 팰리트 지지대(80)(82)와 배드(96)상에 놓여 있는다. 다시 제12a도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60)에서 2준위 신호 출력(224)에 수축 명령을 제공한 후, 단계(362)에서 100밀리초의 지연 시간을 카운트 완료함으로써 전술한 동작이 발생되게 한다. 지연이 카운트 완료되었을 때, 단계(364)에서 중앙 처리 장치는 출력 단자(204)의 2준위 신호 출력 (226)에 수축 명령 신호를 제공한다. 제9도를 참고하여, 2준위 신호 출력(226)에 존재하는 수축명령 신호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8)를 트리거시켜서 적절한 신호 상태를 솔레노이드(250)에 인가시킨다. 이것은 공기 실린더(128)의 출력축(129)이 수축하게 하여 팰리트 지지대의 후방부(118)를 수용하는 받침대(120)가 제7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팰리트 지지대(80)의 전방부는 팰리트 아래에서 빠져 나가서 팰리트가 그의 앞 가장자리에서 하강하게 한다.
제12b도의 흐름도는 제12a도에 도시된 연속적인 논리의 연속이다. 특히, 제12b의 첫 단계, 즉, 단계(364)는 제12a도의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수행된 마지막 단계의 단순한 반복인 것이다. 제12b도에서,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음 단계(366)는 2준위 신호 입력(260)이 낮은 상태인지를 묻는 것이다. 제9도에서, 2준위 신호 입력(260)은 스위치(150)로부터 완충된 신호를 수신함을 알 수 있다. 2준위 신호 입력은 스위치(150)가 닫혔을 때 논리적으로 낮은 상태가 된다. 제8도의 설명으로부터, 팰리트가 팰리트 방출 장치에 놓여질 때 스위치(150)는 닫혀진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할 때, 제12b도에서 "예"경로를 따른다. 다음,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68)에서 2준위 신호 출력(228)에서 수축 명령을 제공한다. 2준위 신호 출력(228)에 존재하는 수축 명령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40)를 트리거시켜서 솔레노이드(252)에 적절한 신호를 인가하여, 제8도에서 공기 실린더(152)의 출력축(154)을 수축시킨다. 이러한 수축은 팰리트 방출 압치(134)을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팰리트를 조작자가 제거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바깥쪽으로의 방출 동작은 단계(370)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감지되어, 2준위 신호 입력(262)이 논리적으로 높은 상태인지를 묻는다. 스위치(178)는 팰리트 방출 장치(134)가 바깥으로의 방출 동작의 절반쯤에 있을 때 열린다. 2준위 신호 입력(262)이 높은 상태일 때,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372)에서 2준위 신호 출력(226)에 신장 명령을 제공한다. 제9도에서 이것은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238)을 트리거시켜서 적절한 신호를 솔레노이드(250)에 인가하여, 공기 실린더(128)의 출력축(129)을 신장시킨다. 이것은 받침대(120)가 팰리트 지지대의 후방부(118)를 수용하도록 하여, 팰리트 지지대(80)가 재설정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위치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팰리트 지지대(80)의 재설정위치는 팰리트가 팰리트 지지대(80)와 팰리트 지지대(82)의 사이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제12b도의 단계(374)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팰리트 지지대(80)가 정위치에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것은, 2준위 신호 입력(258)이 논리적 낮은 상태인지를 질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점에서, 받침대(120)에 연결된 스위치(131)는 출력축(129)이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에 닫혀진다. 이러한 신호 상태가 발생할 때, 중앙 처리 장치(200)는, "실행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 실행 프로그램은 정확한 재봉 패턴 파일이 팰리트에 할당된때 좌우측 선반(36)(38)에 있는 팰리트를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전술한 실행 프로그램에 의한 팰리트의 감지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의 감지를 전제로 한다. 제3도의 팰리트 식별 코우드(44)의 설명으로부터, 별개의 두 코우드와 표면지역(46)(48)이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 장치(50)의 한 쌍의 광학 감지기 아래에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코우드화 표면지역(46)은 도선(52)에 2준위 신호를 발생하는 하나의 광학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다. 코우드화 표면지역(48)은 도선(53)에 2준위 신호를 발생하는 다른 광학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다. 코우드화 표면지역들(46)(48)은 각각 불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성일 수 있다. 반사성 표면은 도선(52) 혹은 도선(53)에 논리적 높은 신호 상태를 발생하는 반면에, 불투명한 표면은 낮은 신호 상태를 발생한다. 이 신호 상태들은 각각의 완충회로(284)(286)에 의해 역전되어, 2준위 신호 입력(264) (266)에서 역 신호 상태를 발생한다. 2진수 1을 논리적 높은 2준위 신호 입력에, 그리고 2진수 0을 논리적 낮은 2준위 신호 입력에 부여하면, 코우드화 표면지역(46)(48)에 다음과 같은 2진수유의 (significance)가 얻어진다.
Figure kpo00002
전술한 바와 같이, 앙표면 지역이 모두 비반사성인 상태는 "팰리트 존재치 않음"이라는 것을 뜻한다.
실행 프로그램은, 후술한 방법으로, 상기2비트 2진수 코우드 조합들 각각에 숫자유의를 부여한다. 더욱이 실행 프로그램은 한가지 이상의 특정 재봉 패턴 파일이 각 식별 된 팰리트에 할당되도록 한다. 팰리트에의 이러한 재봉패턴의 할당은 실행 프로그램내의 부(副)프로그램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자와의 대화식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실행 프로그램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후술한 프로그램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인식될 것이다. 이 실행 프로그램이 제13a, 13b, 13c, 13d, 13e도에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한 도면의 끝은 각 도면의 흐름도 라인의 알파벳 라벨을 맞춤으로써 다음 도면의 시작과 연결될 수 있다.
제13a도에서, 실행 프로그램은 예비 처리 단계(400)에서 시작되며, 여기서는 데이타베이스가 주변 기억 장치로부터 중앙 처리 장치(200)의 주기억 장치에 적재된다. 이 주변 기억 장치는 카세트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서 동작되는 카세트 구동 장치를 포함한 카세트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변 기억 장치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카세트 제어 장치(290)는 번지 및 데어타 버스(202)를 경유하여 중앙 처리 장치(200)와 통신한다. 번지 및 데이타 버스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카세트 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다. 번지 및 데이타 버스(202)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200)의 주기억 장치에 적재된 데이타베이스는 9개의 재봉 패턴 파일과 이 파일들의 디렉토리(directory)를 포함한다. 각 재봉 패턴 파일은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블록을 이루며, 한개의 데이타 블록은 256개의 8비트 바이트의 정보와 같다. 각 데이타 블록은 재봉 헤드(20)내의 재봉 바늘의 동기 운동의 지령뿐만 아니라 캐리지(24)의 X 및 Y 방향 운동 정보도 포함한다. 9개의 재봉 패턴 파일의 디렉토리는 파일당 최소한 2개의 정보 바이트를 포함한다. 첫번째 바이트는 파일의 제1데이타 블록의 숫자 색인을 나타내며, 두번째 바이트는 특정 파일에 할당된 데이타 블록의 수를 표시한다. 디렉토리는, 9개의 재봉 패턴 파일이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최소 18개의 정보바이트만을 포함한다. 각각 번호가 부여된 재봉 패턴 파일에 대한 디렉토리 정보는 첫번째 디렉토리 바이트가 지정된 곳을 단지 지적한 후, 디렉토리 정보의 소망의 2바이트에 대한 2의 배수로 카운팅함으로써 쉽게 얻어진다.
이상에서는 특정한 데이타베이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재봉 패턴 파일의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다른 방법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속적으로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 위치를 차지하는 일련의 재봉 패턴 파일들이 각 재봉 패턴 파일의 제1번지와 그 파일을 위해 마련된 번지지정 가능한 저장위치의 번호를 함유하는 디렉토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3a도의 다음 단계(402)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2개의 소프트웨어 기준(reference)을 초기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기준들중의 첫번째 것 (즉, PAL)은 재봉 패턴 파일을 특정 팰리트에 할당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소프트웨어 기준 (즉, RLATCH)은 실행 허가로서 실행 프로그램내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기준의 사용은 차후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현재로는, -1로의 RLATCH의 설정은 실행 허가가 발생하지 않게한다는 것만 주지하기 바란다.
실행 프로그램내의 다음 단계(404)는 표1, 표2와 표3으로 표시된 3가지 표를 구성하는 단계이다. 각각의 표는 재봉 패턴 파일을 지정하는 파일 번호를 수신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수의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 위치를 갖는다. 여기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서, 파일번호는 1부터 9까지의 범위이다. 미리 정해진 수의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 위치는 임의로 9개로 설정되어, 각 표가 모든 9가지 파일 번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표는 9개 파일 번호보다 훨씬 적은 숫자를 갖는다. 표에서의 재봉 패턴 파일의 번호는 고유의 코우드를 갖는 팰리트내에 미리 배치된 작업물에 얼마나 많은 각기 다른 재봉 패턴이 재봉되는가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한 반드시 작업물을 모든 재봉을 완료하기 위해 단지 3가지 다른 재봉 패턴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팰리트 코우드와 관련된 표에서의 9개의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위치 중 단지 3가지만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단계(404)에서 구성된 표에서의 모든 저장위치는 단계(406)에서 -1로 초기에 설정된다. 표의 저장 위치의 -1상태는 파일 번호가 지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단계(408)은 소프트웨어 기준 PTR 1, PTR 2, PTR 3를 설정한다. 이 특정 소프트웨어 기준들은 단계(404)에서 구성된 각각의 표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포인터(pointer)는 초기에 각 표의 제1저장 위치와 같게 초기에 설정된다. 이것은 표를 위해 마련된 27개의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 위치중에서, 제1, 제10, 제18번째 저장 위치가 PTR 1, PTR 2, PTR 3의 초기 포인터 값을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후에 설명하겠지만, 포인터는 프로그램내에서 항상 변화되어, 주어진 표내에서 다음에 필요로 하는 저장 위치의 번지를 내포한다. 이것은 포인터를 1씩 증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한 증분은 모든 저장위치가 표내에서 사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1의 저장된 값을 갖는 저장 위치가 나올 때까지 정상적으로 계속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 증분은 제9저장 위치가 나올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각 포인터는 단계(408)에서 구성된 초기 설정된 포인터 번지로 돌아간다.
실행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410)은 입력 단자(206)의 모든 2준위 신호 입력이 논리적으로 높은 상태인지를 묻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단지 팰리트 취급 장치(34)가 중앙 처리 장치(200)에 연결되었는지를 묻는다. 이점에서, 팰리트 취급 장치가 적절히 연결되었을 때, 모든 2준위 신호 입력이 같은 신호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들어, 2준위 신호입력(254)(256)의 신호 상태가 결코 같은 신호상태가 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2준위 신호 입력에 연결된 스위치(86)(88)는 동시에 닫혀질 수 없다.
왜냐하면 이들은 좌측 선반(36)의 다른 위치들을 각각 표시하기 때문이다. 모든 2준위 신호 상태가 일치하면, "예"경로를 따르고, RLATCH기준은 단계(412)에서 1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은, 팰리트가 팰리트 취급 장치를 통해 연속 처리되는 것을 추정하여 자동 모우드로 재봉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달리 말하면, 재봉기는 차후에 설명될 방식으로 수동 모우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적절히 기능하는 팰리트 취급 장치없이도 실행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재봉기의 수동 작동을 허용한다.
스위치에 연결된 팰리트 취급 장치가 입력단지(206)에 연결 되었을 경우, 단계(410)로부터 단계(414)로의 "아니오"경로를 따른다. 단계(414)는 중앙처리 장치(200)가 2준위 신호 입력(264)(266)을 감지하도록 한다. 그 준위 신호입력(264)(266)에서의 논리적으로 높은 신호상태는 팰리트가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장치(50)에 제공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장치(200)는 두개의 2준위 신호 입력의 2진수 값이 팰리트 없음을 표시하는 2진수 1인지 여부를 질문함으로써 단계(416)에서 이러한 상태를 점검하도록 작동한다. 실제로 팰리트가 제공되지 않으면, "예"경로를 따라 단계(414)로 돌아가고, 중앙 처리 장치는 팰리트가 제공될 때까지 2준위 신호 입력들을 감지한다.
제13a도의 단계(416)에서, 팰리트가 감지되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제13b도의 다음 단계(418)로 진행하며, 여기서 감지된 2준위 신호 입력(264)(266)의 2진수 값이 역전된 후 소프트웨어 기준 PAL에 저장된다. 2준위 신호 입력(264)(266)에 나타난 2진수 값에서, 다음과 같은 2진수 0과 1의 조합이 발생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단계(422)에서 수행된 역전의 결과, PAL에 저장된 2진수와 2준위 신호 입력(264)(266)과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대응이 이루어진다.
Figure kpo00004
AL에 저장된 2진수의 상기 2비트는 십진수의 1,2,3의 수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PAL에 저장된 2비트는 프로그램된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팰리트 1,2,혹은 3을 확인하는 것으로 처리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조작자는 다음과 같은 코우드화 표면 지역들의 조합에 의해 팰리트 1,2 혹은 3을 식별한다.
Figure kpo00005
코우드화 표면지역들(46)(48)에 부여된 상기 숫자는 임의적임을 알아야 한다.
제13b도에서,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18)에서 단계(420)로 진행하여, RLATCH의 신호 상태를 묻는다. RLATCH가 자동 모우드 작동을 표시하는 0이면, "예"경로를 따른다. 다른 한편으로, RLATCH가 0이 아니면, 단계(422)에서 1로 설정된다. 단계(412)에서 RLATCH가 1로 설정된 후 따르는 경로는 단계(420)의 "예"경로로 이어진다.
다음 단계는 PAL에 저장된 팰리트의 숫자 코우드를 3가지 표(표1, 표2, 혹은 표3)중의 한가지 표와 기본적으로 관련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단계(424)는 소프트웨어 기준 PAL의 비트내용이 1인지를 묻는다. 만약 응답이 "예"이면, 단계(426)가 수행되고, 중앙 처리 장치(200)는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 PTR 1에 의해 현재 지적된 표1의 번지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내용을 저장한다. 이 저장 위치의 내용은 초기에 -1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 저장 위치는 차후에 설명할 표 입력(TABLE ENTRY)프로그램에 나중에 들어오게 될 특정 파일 번호의 2진수 표시를 결국 함유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계(428)(430)는 소프트웨어 기준PAL에 저장된 팰리트의 숫자 코우드가 2와 같은지 여부를 묻고, 만약 "예"이면, PTR 2에 의해 현재 지적된 표 2의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비트 내용을 소프트 웨어 기준 PATN에 저장한다. 만약 단계(428)에서의 응답이 "아니오"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32)로 진행하여, PTR 3에 의해 현재 지적된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비트내용을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 저장한다. 그 이유는 이것이 유일한 다른 가능한 팰리트의 숫자 코우드이기 때문이다. 이때 적시에,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은 단계들(424)-(432)의 결과로 저장된 표 1, 표2, 혹은 표3으로부터의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비트 내용을 갖는다
다음 단계(434)는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이 -1인지 여부를 묻는다. 결국, 이것은 초기에 표의 어느것도 -1이외의 다른 수를 갖지 않는 경우이다. 한편으로, 최소 한가지 재봉 패턴파일이 후술되는 방식으로 팰리트에 미리 할당된 경우, 단계(434)에서 "아니오"경로를 따른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36)을 실행하며, 여기서, ASCII메시지가 디스플레이(212)에 전송되고, 그 디스플레이(212)는 "파일"이라는 단어와,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의 비트 내용을 표시하는 문자 "M"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은 단계(426)(430)(432)중의 하나의 결과로서 지정된 특정의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위치의 비트 내용을 갖는다.
최소 하나의 재봉 패턴 파일도 감지된 팰리트에 할당되지 않는 경우, 단계(434)로부터 "예"경로를 따른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38)에서 RLATCH를 1로 설정하여, 한가지 파일도 실제로 할당되지 않은 경우 자동 실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 다음,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40)에서 디스플레이(212)를 ASCII메시지 "파일"을 전송한다. 조작자에의 이러한 통신은, 감지장치(50)에 제공된 팰리트에 한개의 파일도 할당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키이보드 입력이 키이 보드(210)에서 행해졌는지를 키이보드/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8)에 묻는다. 이것이 단계(442)이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36)이 시행되었는지에 관계없이 키이보드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묻는다. 이와 같이하여 단계(436)에서 조작자에게 이미 지시된 할당된 재봉 패턴 파일을 교체할 기회가 주어진다. 키이보드 입력이 단계(436) 혹은 단계(440)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후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3b도의 단계(442)로부터 제13c의 단계 (444)로 "아니오"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단계(444)는 소프트웨어 기준RLATCH의 상태에 관하여 묻는다. RLATCH는 초기에 단계(402)에서 -1로 설정되었음을 기억 바란다. 팰리트 취급 장치가 단계(410)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412)에서 RLATCH는 1로 설정된다. 이들 어느 경우든지, 공통복귀경로 "C"를 통해 단계(444)로부터 단계(410)로 "아니오"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후술할 방식으로 RLATCH가 0으로 설정될 때까지 단계(444)로부터의 "아니오"경로에 의해 정의된 루우프내에 머무른다.
제13b도에서, 키이보드 입력이 단계(442)에서 이루어지면,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42)의 "예"경로를 거쳐 제13c도의 단계(446)로 진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 (446)에서 제어 장치(208)로부터 키이보드 값 "N'을 판독하여 기억한다. 제어 장치(208)는 ASCII 코우드화 신호를 8비트 버스(202)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에 제공한다. 이 경우, 특정한 ASCII 코우드가 키이보드(210)에서 각 키이마다 제공된다. 값 "N"을 구성하는 8비트 정보는 키이가 키이보드(210)에서 눌려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분석되어야 한다. 이것은 단계(448)에서 값 "N"이 "입력"키이의 ASCII코우드를 구성하는지 여부를 처음 묻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입력"키이로 이미 구정된 키이보드(210)상의 어떤 키이일 수 있다.
"입력"키이가 눌려진때, "예"경로를 따라 단계(450)로 진행한다. 여기서, "표 입력"프로그램이 수행된다. 표 입력 프로그램은 차후에 자세히 설명하겠다. 지금은, 표 입력 프로그램이 조작자로 하여금 표1, 표2, 혹은 표3에 재봉 패턴 파일을 할당하도록 한다는 것만을 알아두기 바란다.
다시, 단계(448)에서, "입력"키이가 눌려지지 않았으면, 중앙 처리 장치는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52)로 진행한다. 단계(452)는, 키이보드 값 "N"이 "시작"키이를 표시하는지를 묻는다. 이것은 특정의 미리 정해진 ASCII코우드화 키이("시작"키이로 임의적으로 규정된)가 눌렸는지를 단지 묻는 것이다. 그 응답이 부정적이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제13a도의 공통 복귀경로 "C"를 거쳐 단계(410)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시작"키이가 눌린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54)로 진행하여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의 값을 묻는다.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은 단계(426)(430)(43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인터 PTR 1, PTR 2 혹은 PTR 3중의 1개 포인터에 의해 지적된 번지 지정가능한 저장 위치의 내용을 갖는다. 지적된 저장 위치가 이미 입력된 파일 번호를 갖고 있지 않으면, 그 저장 위치의 값과 PATN은 -1이 될 것이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54)로부터 단계(456)로 "예"경로를 따라 진행하고, 그 단계(456)에서 디스플레이(212)에 "파일없음"이라는 메세지를 전송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1초 동안 그 메시지를 유지한 다음, 제13a도의 복귀경로"C"를 거쳐 단계(410)로 복귀한다.
다시 단계(454)에서,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이 -1이 아니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58)로 진행하며, 거기서 중앙 처리 장치는 RLATCH를 0으로 설정한다. RLATCH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중앙 처리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차단되지 않는 한 자동 모우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58)에서 RLATCH를 처음에 0으로 설정한 후, 단계(460)로 진행한다.
단계(460)는 입력 단자(206)의 모든 2준위 신호 입력이 같은 신호 상태인지에 관한 단계(410)에서의 질문을 반복한다. 이 단계는 팰리트 취급 장치가 중앙 처리 장치(200)에 연결되었는지를 단지 묻는 것이다. 작동적인 팰리트 취급 장치가 존재하면, 입력 단자(206)의 2준위 신호 입력들은 단계(410)에서 설명하였듯이 모두가 같은 신호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60)에서 단계(462)로의 "아니오"경로를 따르게 된다.
단계(462)는 제10도에서 설명한 "팰리트 장전"프로그램을 수행토록 요구한다. 이 프로그램은 팰리트 취급 장치를 연속적으로 동작시켜 팰리트를 도입 장전위치에서 중간위치로 낙하시키고, 그 중간 위치에서 팰리트는 X,Y운동 제어 장치의 캐리지(24)에 결합한다. 팰리트 장전 프로그램이 마지막 단계가 수행되면, 중앙 처리 장치는 실행 프로그램의 제13d도 내 단계(464)로 이동한다. 팰리트 취급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지 않았을 경우, 단계(460)로부터 직접 단계(464)는 진행한다. 특히, 모든 2준위 신호 입력이 같은 신호 상태이면, 단계(460)에서 단계(464)로 "예"경로를 따른다. 후술하겠지만, 이것은 팰리트 취급 장치없이 할당된 재봉 패턴 파일의 자동 재봉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464)는, 중앙 처리 장치(200)가 디렉토리와 상의하여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 저장된 파일번호 "M"에 해당하는 정보 바이트의 위치를 정한다. 그 디렉토리는 각 재봉 패턴 파일을 위한 같은 수의 정보 바이트를 근거로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하여, 각 파일을 위한 바이트 수는 단지 번호"M"으로 곱하여져서, 파일 "M"를 위한 제1정보 바이트에 도달하게 한다. 각 파일을 위한 디렉토리 정보의 제1바이트는 그 파일과 관련된 제1데이타 블록의 숫자색인이다.
중앙 처리 장치의 주기억 장치내의 기억 번지는 단계(464)에서 이 숫자색인으로부터 계산된다. 특히, 제1데이타 블록의 숫자색인은 16진수 100(십진수 256)에 의해 곱해져서, 그 결과가 데이타에 할당된 주기억장치 부분의 제1번지 지정 가능한 기억 위치에 합해진다. 달리 말하면, 주기억 장치의 정상적인 구획은 저장 위치가 먼저 데이타 외의 다른 필요성을 위해 비워두도록 지시한다. 다음 사용할 저장 위치의 번지는 데이타에 할당된 주기억 장치 부분의 제1기억 위치의 번지를 구성한다. 컴퓨터는 재봉 패턴의 제1번지로서 단계(466)에서의 계산 결과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468)는 주기억 장치에 위치한 재봉 패턴 파일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단계(468)는 또한 모니터 프로그램의 주기적인 수행을 요구한다. 제11도로부터, 모니터 프로그램은 팰리트 방출 장치로부터 조작자에 의해 제거되기를 기다리는 팰리트의 상태에 관하여 점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봉 패턴의 종료후, 중앙 처리 장치(200)는 즉시 단계(470)로 이동하여, 소프트 웨어 기준 PAL이 1인지 여부를 묻는다. 소프트웨어 기준 PAL은 단계(414)에서 감지된 팰리트 코우드의 수치값을 함유한다. 이 수치값은 단계(418)에서 소프트웨어 기준 PAL에 저장된 후, 감지된 팰리트 코우드와 관련될 정확한 표를 참고하기 위해 단계(424)-단계(432)에서 사용된다. 그와 같이 참고된 표의 저장 위치로부터 얻어진 재봉 패턴 파일 번호는 단계(470)의 바로 앞에서 재봉된 재봉 패턴을 결정한다.
단계(424)-단계(432)에서 참고로 한 것이 표 1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단계(470)의 목적이다. 이것이 사실일 경우, PAL은 1이 되고 "예"경로를 따라 단계(470)에서 단계(472)로 진행하며, 여기서 PTR 1이 표1의 마지막 저장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묻는다. 단계(404)의 설명으로부터, 각 표에는 바람직하게는 9개의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계(472)는, PTR 1의 현재 값이 단계(404)에서 저장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마련된 27개의 연속적인 번지내에서 9번째 번지와 같은지 묻는다. PTR1이 표1의 마지막 저장 위치에 있음이 결정되면, "예"경로를 따라 단계(472)에서 단계(474)로 진행한다. 단계(474)는 PTR1을 제1저장위치의 번지로 재설정시킨다. 이 번지는 표 1이 구성되었을 때 단계(404)에서 결정된다.
단계(472)에서, PTR 1이 표 1의 마지막 저장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76)로 진행하여, 포인터 PTR 1이 1씩 증분되어 표 1의 다음 저장 위치의 번지를 갖게 된다. 다음,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78)로 진행하여 지금 지정된 저장 위치의 내용이 -1인지를 묻는다. 모든 저장 위치가 파일 번호를 가질 필요는 없다. 하나의 표내에 단지 3가지 재봉 패턴 파일이 필요할 경우, 4번째에서 9번째까지의 저장 위치가 -1을 갖게 된다. 단계(478)는 포인터가 파일 번호를 갖기 위해 표 1의 마지막 저장 위치를 통과했는지를 묻는 단계이다. 이것이 사실일 경우, "예"경로를 따라 단계(474)로 진행하며, 거기서 PTR 1은 다시 표 1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와 같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PTR 1은 표의 모든 할당된 재봉 패턴 파일 번호가 사용된 후 항상 표 1의 제1저장 위치로 재설정된다.
단계(478)에서, PTR 1에 의해 지정된 저장 위치의 내용이 -1이 아니면, PTR 1에 저장된 번지는 방해되지 않는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78)에서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74)의 하류측 복귀 경로로 진행하고, 이때, 소프트웨어 기준 PTR 1의 번지는 단계(474)에 의해 표 1의 제1저장 위치를 저장하던가, 혹은 단계(478)에서 결정된 재봉 패턴 파일 번호를 갖기 위해 다음 저장 위치를 지정한다. 다음, 실행 프로그램은 표 1의 포인터가 적합한 저장 위치를 정확히 지정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단계(480)로 진행하기 위해 준비된다. 그러나, 상기 사실은 소프트웨어 기준 PTR 1의 변경을 요하도록 소프트웨어 기준 PAL을 단계(470)에서 1로 설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단계(470)에서, PAL이 1이 아니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82)로 진행한다. 단계(482)는 단계(414)에서 감지된 후 PAL에 저장된 팰리트 코우드가 2인지 3인지를 묻는다. 팰리트 코우드가 2인 경우, "예"경로를 따라 단계(484)로 진행한다. 단계(484)(486)(488)(490)는 PTR 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PTR 2를 분석한다. 달리 말하면, PTR 2는 단계(486)에서 표2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재설정되거나, 혹은 단계(488)에서 1씩 증분되어, 단계(490)에서 입증된 파일 번호를 갖고 있는 저장 위치를 지정한다.
단계(482)에서, 소프트웨어 기준 PAL의 팰리트 코우드가 3이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92) 내지 단계(498)까지 진행한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기준 PTR 3은 단계(494)에서 표 3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재설정되거나, 단계(496)에서 1씩 증분되어 단계(498)에서 입증된 파일 번호를 갖는 표 3의 저장 위치를 지정한다.
PTR 2 또는 PTR 3중 하나를 정확히 설정한 후, 중앙 처리 장치는 PTR 1을 설명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480)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하여, PTR 1, PRT 2, 혹은 PRT 3은 단계(480)의 상류측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팰리트 코오드에 의해 결정된 특정 포인트가 소프트웨어 기준 PAL에 나타난다.
단계(480)에서, 중앙 처리 장치는 입력 단자(206)의 모든 2준위 신호 입력들이 같은 신호상태인지를 묻는다. 이것은 다시, 단계(404)와 단계(460)에서와 같이, 팰리트 취급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팰리트 취급 장치가 없을 경우, "예"경로를 따라 공통 복귀 경로 "D"를 통해 제13a도의 단계(412)로 진행한다. 단계(412)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PLATCH를 1로 설정하여, 팰리트 취급 장치 없이 실행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비자동 동작 모우드로 되게 한다.
단계(480)에서 모든 2 준위 신호 입력이 같은 신호 상태가 아니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이 경로는 팰리트 취급 정치가 존재하면 취해진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81)의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으로 진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되어 있다. 재봉 패턴 파일의 실행은 팰리트를 팰리트 취급 장치(34)내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여 후속의 제거 동작을 가능케 한다. 이 제거동작은, 제12a도와 제12b도에 예시된 프로그램 단계들에 의해 지시된 방식으로 수행된다.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의 끝에서,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다시 공통 복귀 경로 "C"를 통해서 제13a도의 단계(410)로 돌아온다. 여기서, 조작자는 팰리트 식별 코우드 감지장치(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다른 팰리트를 제공할 것이다. 이 결과, 제13a도의 단계(416)로부터 "아니오"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단계(418)를 통해 자동 모우드로 계속하며, 그 단계에서, 감지된 팰리트 코우드를 수치로 변환시켜서 소프트웨어 기준 PAL에 저장한다.
그 다음, 중앙 처리 장치는 PAL에 저장된 팰리트 코우드의 수치를 단계(424)-단계(432)에서 파일 번호들의 적절한 표와 관련시킨다. 그 표의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내용은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 저정된다. 그렇게 하여 PATN에 저장된 재봉 패턴 파일번호는 단계(436)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재봉 패턴 파일 번호가 키이보드에서 조작자의 키이 입력에 의해 변화되지 않으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42)로 부터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444)로 진행한다. 자동 모우드가 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PLATCH는 0으로 유지되고, "예"경로를 따라 단계(460)로 진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팰리트 취급 장치가 단계(462)에서 팰리트 장전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구하도록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파일번호 "M"으로 표시된 재봉 패턴 파일은 주기억 장치로부터 호출되어, 단계(468)에서 실행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방금 실행된 재봉 패턴의 파일 번호를 얻기 위해 사용된 표의 포인터를 설정하도록 진행한다. 이것은 단계(470)내지 단계(478)와 그리고 단계(482) 내지 단계 (498)에서 소프트웨어 기준 PAL의 값을 판독하여 관련된 표의 포인터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80)로 진행하여, 다시 단계(481)에서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구하도록 팰리트 자동 취급 장치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그후, 완료된 팰리트는 제거되며, 중앙 처리 장치(200)는 공통 복귀 경로"C"를 통해 실행 프로그램의 시작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팰리트의 자동 처리는 팰리트가 조작자에 의해 적시에 제공되지 않아서 이전의 팰리트의 재봉이 완료된 후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혹은 팰리트가 "방출'위치에서 적절히 제거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후자의 경우에서, 제12a도와 제12b도의 팰리트 제거 프로그램이 자동 연속 동작을 중단시키고 조작자로부터 "시작"명령을 요구한다.
재봉기는 팰리트 취급 장치 없이 작동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팰리트 취급 장치가 중앙 처리 장치(200)에 의해 초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예"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RLATCH는 단계(412)에서 1로 설정되고, 다음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24)에서 소프트웨어 기준 PAL이 1인지를 묻는다. PAL의 초기 상태는 단계(402)에서 1로 설정되어 있다. PAL의 그 상태의 결과, 단계(422)에서 단계(426)로 "예"경로를 따른다. 중앙 처리 장치(200)는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서 PTR 1에 의해 지정된 표 1의 번지 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내용을 저장한다. 이렇게 판독된 저장 위치에 나타난 파일번호는 단계(136)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중앙 처리 장치는 키이보드 입력이 감지 될때까지 단계(442)를 통해 순환한다. "시작"키이가 눌린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52)를 통해 단계(460)로 진행하여 팰리트 취급 장치가 반드시 존재하는지를 묻는다. 팰리트 취급 장치가 없기 때문에, "예"경로를 따라 단계(460)에서 단계(464)로 진행하며 단계(466)와 결합하여 기억 장치에 식별된 재봉 패턴 파일을 위치시킨다. 그후, 그 재봉 패턴 파일은 단계(468)에서 호출되어 수행된다. 재봉 패턴이 완료된 후, 중앙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기준 PTR 1을 표 1의 다음 저장 위치에 설정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80)에서 팰리트 취급 장치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 결과, "예"경로를 따라 공통 복귀 경로 "D"를 통해 단계(412)로 돌아가도록 하여, 그 단계에서 다시 RLATCH를 1로 설정한다. 이것은 비자동 동작 모우드를 지시한다. 조작자가 수동 혹은 다른 방법으로 다른 팰리트를 정위치에 파지시키면, PTR 1에 의해 표 1에서 현재 지정된 재봉 패턴 파일은 조작자의 "시작"키이 입력후에 수행된다.
물론, 조작자가 "시작"키이를 누르기 전에, 이러한 재봉 패턴 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봉 패턴 파일 번호는 조작자의 의향에 따라 "입력"키이를 누르도록 하는 단계(436)에서 항상 디스플레이된다. 이것은 단계(448)에서 감지되어 중앙 처리 장치가 단계(450)로 진행하며, 그 단계(450)에서 표 입력 프로그램에 들어간다.
표 입력 프로그램을 자세히 설명하기 전에, 이 표는 자동 모우드 동안 도입될 수 있음을 주의 바란다. 이 경우, 조작자는 단지 단계(442)전 어느 때든지"입력"키이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실행 프로그램은 즉시 단계(450)로 진행한다. 재봉 패턴 파일 번호가 단계(414)에서 감지된 특정한 팰리트 코우드에 할당되지 않았을 경우, 실행 프로그램은 표 입력 프로그램으로 들어가는 것을 요한다. 각 표의 모든 번지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는 초기에 단계(406)에서 -1로 설정되어 있다. 단계(414)에서 처음으로 감지된 어떤 팰리트 코우드는 단계(426)(430) 또는 (432)에서 모두 -1인 저장 위치를 갖는 표와 연결된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기준 PATN이 단계(434)에서 -1임을 의미한다. 이 결과, 실행 프로그램이 이미 자동모우드로 된 경우, 단계(438)에서 스위치가 비자동 모우드로 된다. 다른 한편으로, 실행 프로그램이 이미 비자동 모우드로 될 수도 있다. 그 경우 RLATCH를 단계(438)에서 1로 설정하는 것은 여분이다. 어느 경우든지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448)로 진행하여 ASCII메시지 "파일"을 디스플레이(212)로 전송한다. 이것은 조작자에게 지금 제공된 팰리트에 파일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묻는 메시지이다. 중앙 처리 장치는 "입력"키이가 눌리어지기를 기다리도록 단계(442)를 통해 계속 순환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예"경로를 통해 단계(448)에서 단계(450)로 진행하여 제14a도 내지 제14c도의 표 입력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제14a도에서, 표 입력 프로그램은 단계(500)에서 시작하여 소프트웨어 기준 PAL이 1인지를 묻는다. PAL은 팰리트 취급 장치가 정 위치에 없을 경우, 1이 된다. 또 다르게는, 수치 1를 갖는 팰리트 코우드가 단계(414)에서 감지되면, PAL은 1이 된다. 어느 경우든지, PAL이 1인 것을 감지한 중앙 처리 장치는 "예"경로를 따라 단계(500)에서 단계(502)로 진행한다. 단계(502)는 표 1의 모든 저장 위치를 -1로 설정한다. 이것은 표1에 이미 저장되었던 모든 파일 번호를 지워버리는 것이다. 물론 이전에 어떤 파일 번호도 저장되어 있지 않았다면, 단계(502)는 중복적이다. 어느 경우든지,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04)로 진행하여 소프트웨어 기준 PTR 1을 표 1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설정한다. 이 번지는 이미 실행 프로그램의 단계(404)에서 확립되었고, 단계(504)에 사용된다.
표 1은 제1저장 위치에서 시작하여 새로운 재봉 패턴 파일 번호를 수용할 준비가 된다.
단계(500)에서, PAL이 1이 아니면,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506)로 진행한다. 단계(506)는 PAL에 저장된 단계(414)에서 감지된 팰리트 코우드가 2인지 3인지를 결정한다. 팰리트 코우드가 2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08)로 진행하여 표 2의 모든 저장 위치를 -1로 설정한다. 그후 소프트웨어 기준 PTR 2는 단계(510)에서 표2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설정된다.
단계(506)에서, 팰리트 코우드가 3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12)로 진행하여, 표 3의 모든 저장 위치를 -1로 설정한다. 그후, 소프트웨어 기준 PTR 3은 단계(514)에서 표 3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설정된다.
표1, 표2, 또는 표 3의 포인터를 설정한 후, 중앙 처리 장치는 표 입력 프로그램의 단계(516)로 진행한다. RLATCH는 단계(516)에서 1로 설정되어, 비자동 동작 모우드로 되게 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18)에서 조작자로부터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키이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20)로 진행하여 제어 장치(208)로부터의 키이보드 수치 "N"을 판독하여 기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8)의 키이보드 수치는 ASCII코우드이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52)로 진행하여, 키이보드 수치 "N"이 배출(EXIT)키이의 ASCII코우드와 같은지를 묻는다. 배출 키이로서는 키이보드(210)에서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키이가 지정될 수 있다. 이렇게 지정된 키이의 ASCII코우드는 단계(522)에서의 비교의 근거로 사용된다. 배출 키이의 입력이 단계(522)에서 감지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중앙 처리 장치는 일련의 단계(524)(제14a도)와 단계(526)(제14b도)로 진행한다. 단계(524)는 키이보드 수치가 16진수 31보다 작은지를 묻고, 단계(526)는 키이보드 수치가 16진수 39보다 큰지를 묻는다.
이 16진수 범위는 키이보드(210)의 1에서 9까지의 숫자 키이의 범위이다. 키이보드(210)의 배출 키이 이외의 다른 키이가 입력되면, 단계(524) 혹은 단계(526)에서 제14b도의 단계(528)로 "예"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단계(528)는 "숫자 입력"이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2)로 전송한다. 이것은 조작자에게 키이보드(210)이 숫자 키이만 누르도록 권고하는 것이다. "숫자 입력"메시지의 다음에, 단계(530)에서 또 다른 메시지가 발생된다. 이 추가 메시지는 "파일 *"로서, 조작자에게 다시 파일 할당을 시도하도록 요구한다. 이때, 중앙 처리 장치는 복귀경로 "E"를 통해 단계(518)로 복귀한다. 단계(518)는 다음번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1과 9사이의 숫자 키이가 눌린 때,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24)(526)를 거쳐 단계(532)로 진행한다. 여기서, 중앙 처리 장치는 키이보드 수치 "N"에서 16진수 30을 감산하여, 그 결과 "M"을 소프트웨어 기준 PATN에 기억한다. 다음 단계(534)는 메시지 "파일 M"을 디스플레이(212)에 전송하며, 여기서 "M"은 PATN의 내용을 나타낸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36)로 진행하여 디렉토리와 상의하고, 파일 "M"으로 지정된 데이타 블록이 있는지를 묻는다. 이 경우, 디렉토리는 파일의 데이타 블록의 수를 표시하는 각 파일과 관련된 정보 바이트를 함유하고 있다. 이 바이트가 데이타 블록을 지시하면, 기억 장치속에 이 파일 번호의 재봉 패턴 파일이 내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예"경로를 따라 단계(536)에서 단계(538)로 진행한다. 단계(538)는 "파일 없음"이라는 ASCII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2)에 전송한다. 이 메시지는 최소 1초 동안 디스플레이되어 조작자가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한다. 그후,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30)에서 "파일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계(518)의 상류측에 있는 공통복귀 경로 "E"로 진행한다. 단계(518)는 다음 번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조작자는 이전의 키이보드 입력이 재봉기내의 적합한 파일을 확인하지 못했음을 알게된다. 특히, 단계(538)의 "파일 없음"의 메시지는 그러한 재봉 패턴 파일이 존재하지 않음을 조작자에게 말해준다.
다음번 키이보드 입력이 어떤 수의 데이타 블록을 갖는 파일을 확인하는 숫자 키이인 것을 가정하면, 중앙 처리 장치는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536)를 통해 단계(540)로 진행한다. 단계(540)는 PAL이 1인지를 묻는다. PAL은 팰리트 코우드 1이 감지되거나, 단계(412)를 통해 수동 동작 모우드로 동작중일 경우에 1이 된다. 어느 경우든지,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42)로 진행하여, PATN의 내용 "M"이 현재 PTR 1에 의해 지정된 표 1의 저장 위치에 저장된다. 이것은 그가 단계(536)를 통해 단계(540)로 통과하는 최초의 성공적인 키이보드 입력인 경우 단계(504)에 의하여 표 1의 제1저장 위치가 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44)로 진행하여 PTR 1이 표 1의 마지막 저장 위치의 번지를 내장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이 번지는 표 1이 확립되는 단계(404)에 의해 알려진다. PTR 1이 마지막 저장 위치의 번지를 내장하고 있지 않으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46)로 진행한다. 단계(546)는 PTR 1의 번지를 증분시켜, 표 1의 다음 저장 위치를 지정하도록 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공통복귀경로 "E"를 통해 단계(518)로 돌아가서 다음번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PTR 1이 마지막 저장 위치에 있을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44)에서 단계(518)로 직접 복귀한다.
단계(540)에서 PAL이 1이 아니면, 중앙 처리 장치는 "아니오"경로를 따라 단계(548)로 진행한다. 단계(548)는 PAL이 2인지를 묻는다. 이것은 팰리트 코우드 2가 단계(441)에서 감지된 경우이다. PAL이 2인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50)로 진행하여, PATN의 내용 "M"을 현재 PTR에 의해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52)(554)를 통하여 진행하여, PTR 2가 표 2의 마지막 저장 위치를 지정하고 있지 않으면 PTR 2를 증분시킨다. 이것이 PTR 2의 상태를 갱신한 때, 중앙 처리 장치는 공통복귀 경로 "E"를 통해 단계(518)로 진행하여 다음번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단계(548)에서 PAL이 2가 아니면, 중앙 처리 장치는 PAL에 저장된 팰리트 코우드가 수치 3을 가진 것을 기초로하여 단계(556)로 진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현재 PTR 3에 의해 지정된 표 3의 저장 위치에 PATN의 내용 "M"을 저장한다. 그후,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58)와 단계(560)로 진행하여, PTR 3의 상태를 갱신한다. 그후, 중앙 처리 장치는 공통복귀경로 "E"를 통해 단계(518)로 진행하여 다음번 키이보드 입력을 기다린다.
조작자는 표 입력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순환에 의해 어느 표에든지 9가지 재봉 패턴 파일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에 의해 승인된 각 파일 번호는 파일 번호들의 적절한 표에 저장된다. 조작자는 특정한 표에 단지 1가지의 재봉 패턴 파일 번호를 입력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그 표에 제1번지외의 다른 모든 번지지정 가능한 저장 위치의 번지는 -1을 포함하게 된다.
조작자가 특정 표에 할당될 마지막 파일 번호를 입력 시켰을 때, 배출키이가 키이보드(210)상에서 입력된다. 이것은 표 입력 프로그램의 단계(522)에서 감지된다. 단계(522)에서, 키이보드 수치 "N"은 배출 키이의 ASCII 코우드와 일치하는지를 묻도록 점검된다. 일치할 경우,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22)로 진행하여, PAL이 1인지를 묻는다. 응답이 "예"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46)로 진행하여 PTR 1의 표 1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에 재설정한다.
이것은, 중앙 처리 장치가 표 1에서 정의된 파일 번호들의 적절한 표와 이렇게 확립된 표의 제1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와 함께 표 입력 프로그램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표 입력 프로그램의 단계(566)에서 빠져나와, 실행 프로그램의 단계(444)로 진행한다. RLATCH가 1이므로, 실행 프로그램은 "시작"키이의 입력을 기다린다.
그후, 중앙 처리 장치는 코우드가 감지될 때마다 표 입력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한 팰리트 코우드에 할당된 재봉 패턴들중 하나를 재봉한다. 그 재봉 패턴은 표 입력 프로그램에서 확립된 파일 번호 표 중에서 현재 지정된 저장 위치에 좌우된다.
단계(562)에서 PAL이 1이 아니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68)로 진행한다. 단계(568)는 PAL에 저장된 팰리트 코우드가 2인지를 묻는다. 응답이 "예"이면, PTR 2는 표 2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와 같게 설정된다. 이것은 단계(570)에서 수행된다. 단계(568)에서의 응답이 "아니오"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72)로 진행하여 PAL에 내장된 팰리트 코우드가 3임을 가정한다. 그래서, 중앙 처리 장치는 PTR 3을 단계(572)에서 표 3의 제1저장 위치의 번지로 재설정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단계(570) 혹은 단계(572) 이후에 단계(566)을 거쳐 표 입력 프로그램을 빠져 나간다. 이 경우, 적합한 파일 번호의 표가 구성되고, 이 표의 포인터는 표의 제1저장 위치를 지정한다.
표 입력 프로그램은 3가지 팰리트 코우드에 대하여 파일 번호 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코우드는 실행 프로그램내에서 감지된때, 재봉될 재봉 패턴을 결정한다. 재봉될 재봉 패턴은 감지된 팰리트 코우드에 의하여 구성된 파일 번호 표내에서 포인터가 지정하는 위치에 좌우된다. 이러한 재봉 패턴은 표에 의해 지시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재봉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1개 혹은 다수의 작업물상에 다수의 개별적인 재봉패턴들이 재봉될 필요가 있는 팰리트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실시예를 대신 할 수 있는 논리 요소들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사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리 정해진 재봉 패턴이 각각 재봉될 다수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에 제공된 각각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단과, 작업물이 이 장치에 제공될 때마다 상기 재봉 패턴들중의 하나가 호출되도록, 자동적으로 식별된 작업물상에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예정된 순서로 호출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의 호출된 재봉 패턴을 작업물상에 자동적으로 재봉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호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특정의 식별된 작업물상에 재봉될 재봉 패턴들의 일련의 식별 내용들을 기억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의 식별된 작업물상에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호출할 때에 이 재봉 패턴들의 순차적으로 기억된 식별내용들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업물상에 재봉될 예정된 순서의 재봉 패턴들을 갖는 각각의 작업물이 특정 코우드를 갖는 작업물 호울더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으며, 이 장치에 제공된 각각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작업물을 수용하는 작업물 호울더상에 존재하는 코우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호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특정의 감지된 코우드와 관련하여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식별하는 일련의 재봉 패턴 식별 내용들을 기억하기 위한 수단과, 특정 코우드를 갖는 작업물 호울더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는 작업물상에 재봉될 재봉 패턴을 호출할 때에 특정 코우드와 관련된 재봉 패턴들의 특정 순서의 기억된 식별 내용들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재봉될 재봉 패턴들을 호출하기 위한 상기수단이, 특정 코우드가 다음번에 감지되었을 때에 재봉될 재봉 패턴을 호출하는데에 있어, 다음번 재봉 패턴의 식별 내용이 이용될 수 있도록, 특정 순서로, 재봉될 다음번 재봉 패턴의 식별 내용을 증분적으로 지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감지된 코우드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봉 패턴 식별내용이 미리 기억되어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수단과, 감지된 코우드와 관련하여 기억되어 있는 재봉 패턴 식별내용이 없을 경우에 재봉 패턴 파일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리 정해진 재봉 패턴이 각각 재봉될 다수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에 제공된 각각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단과, 이 작업물의 자동 식별에 반응하여서 작업물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첫번째 재봉 패턴을 호출하기 위한 수단과, 첫번째 재봉패턴의 호출에 반응하여서 작업물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두번째 재봉 패턴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작업물이 다음번에 이 장치에 제공될 때 호출될 다른 재봉 패턴을 규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작업물상에 재봉될 예정된 순서의 미리 정해진 재봉 패턴들을 갖는 각각의 작업물이 특정 코우드를 갖는 작업물 호울더내에 미리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작업물을 자동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작업물을 수용하는 작업물 호울더의 코우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첫번째 재봉 패턴의 식별 내용이 첫번째 작업물을 호출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이용되도록, 특정 코우드가 감지될 때마다 재봉될 재봉 패턴의 일련의 식별내용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작업물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두번째 재봉 패턴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작업물을 수용하는 특정 작업물 호울더의 코우드와 관련된 예정된 순서의 식별 내용들중의 다음번 재봉 패턴 식별 내용을 지적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처리 장치.
KR1019840005328A 1983-08-31 1984-08-30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KR910007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8,120 1983-08-31
US06/528,120 US4510875A (en) 1983-08-31 1983-08-31 System for processing workpieces for sewing
US528120 1983-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812A KR850001812A (ko) 1985-04-01
KR910007421B1 true KR910007421B1 (ko) 1991-09-26

Family

ID=2410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328A KR910007421B1 (ko) 1983-08-31 1984-08-30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10875A (ko)
JP (1) JPS6072588A (ko)
KR (1) KR910007421B1 (ko)
AU (1) AU3256284A (ko)
BR (1) BR8404269A (ko)
DE (1) DE3431046A1 (ko)
FR (1) FR2551472B1 (ko)
GB (1) GB2145849B (ko)
IL (1) IL72247A (ko)
IT (1) IT1175683B (ko)
ZA (1) ZA845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684A (ja) * 1984-09-20 1986-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機械の被縫製物移動装置
JPS61100286A (ja) * 1984-10-23 1986-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US4704974A (en) * 1986-08-25 1987-11-10 Usm Corp. Automatic sewing machine system
JPH0738907B2 (ja) * 1988-08-20 1995-05-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DE3938819C2 (de) * 1989-11-23 1997-06-12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mit einer auf- und abgehenden Nähnadel und einem relativ dazu bewegbaren Nähguthalter
US7503272B2 (en) * 2006-11-03 2009-03-17 Sunstar Precision Co., Ltd.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WO2016019283A1 (en) 2014-08-01 2016-02-04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Sew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4528A (en) * 1934-05-23 1937-09-28 Charles G Daughters Automatic means for stitching pockets and the like
DE1120853B (de) * 1961-05-06 1961-12-28 Pfaff Ag G M Werkstueck-, insbesondere Naehguttraeger fuer Automaten
DE2145816A1 (de) * 1971-09-14 1973-03-15 Ivanhoe Research Corp Verfahren und geraet fuer die automatische herstellung von bekleidungsstuecken
US4092938A (en) * 1976-07-27 1978-06-06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with programmable memory
US4166423A (en) * 1978-02-28 1979-09-04 The Singer Company Adaptive sewing machine
CH650040A5 (de) * 1979-06-06 1985-06-28 Gegauf Fritz Ag Einrichtung zur einfacheren einstellung und ausruestung einer naehmaschine.
US4216732A (en) * 1979-07-23 1980-08-12 The Singer Company Optical switching design for one step buttonholing
SE419658B (sv) * 1979-12-11 1981-08-17 Husqvarna Ab Elektronisk symaskin
US4479446A (en) * 1981-05-22 1984-10-30 Usm Corporation Sewing machine system having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processing of mounted work
US4329933A (en) * 1981-06-22 1982-05-18 The Singer Company Universal expansion module
JPS6435676A (en) * 1987-07-30 1989-02-0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Testing device for ic card
JPH0238235A (ja) * 1988-07-28 1990-02-07 Canon Inc 給紙装置
JPH0260359A (ja) * 1988-08-26 1990-02-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1472B1 (fr) 1986-11-14
JPS6072588A (ja) 1985-04-24
KR850001812A (ko) 1985-04-01
DE3431046A1 (de) 1985-03-14
IL72247A (en) 1986-11-30
GB8421898D0 (en) 1984-10-03
GB2145849A (en) 1985-04-03
IT8422494A0 (it) 1984-08-31
IL72247A0 (en) 1984-10-31
AU3256284A (en) 1985-03-07
GB2145849B (en) 1986-12-17
FR2551472A1 (fr) 1985-03-08
ZA845064B (en) 1985-02-27
US4510875A (en) 1985-04-16
IT1175683B (it) 1987-07-15
BR8404269A (pt) 198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713B1 (ko) 자동 재봉기 시스템
US4128756A (en) Count control apparatus
KR910007421B1 (ko)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의 작업물 자동 처리 장치
KR900016842A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US4548142A (en) Pattern assignment system
KR880001241B1 (ko) 자동 재봉기의 펠릿트 취급 시스템
KR940010903B1 (ko) 자동 재봉 장치 및 그 스티치 패턴 파일 선택 방법
US481738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ad spinning or twisting stations
DE3275444D1 (en) Method of identifying a system - allied, physically separableprogramme memory,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this method.
US4674420A (en) Embroidery machine control device having means to input new character patterns into a pre-programmed series of patterns
CA1198506A (en) Sewing machine system having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processing of mounted work
JPH09318703A (ja) Icハンドラ
US4727818A (en) Embroidery machine apparatus
JPH01211361A (ja) カートリッジ自動交換連続処理方法
JPS56160876A (en) Automatic welding controller
JPH049601Y2 (ko)
JPH0224789A (ja) 自動販売機のデータ設定装置
JPH0632672B2 (ja) ボウリングゲ−ム設備
JPS58119477A (ja) 機械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H02285491A (ja) 自動販売機の押ボタン対応変更装置
JPS59112303A (ja) シ−ケンスコントロ−ラ
JPS59165123A (ja) 入力制御装置
JPH02168387A (ja) 自動販売機の故障表示装置
JPH0683406A (ja) ラダー回路モニ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