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394B1 -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394B1
KR910007394B1 KR1019880016270A KR880016270A KR910007394B1 KR 910007394 B1 KR910007394 B1 KR 910007394B1 KR 1019880016270 A KR1019880016270 A KR 1019880016270A KR 880016270 A KR880016270 A KR 880016270A KR 910007394 B1 KR910007394 B1 KR 91000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w address
screen
generating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265A (ko
Inventor
권 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394B1/ko
Publication of KR90001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체회로도.
제3조는 멀티스크린 4,9,13,16화면선택에 따른 사용영역 예시도.
제4도는 4화면 선택시 2영역에서 3영역으로 변하는 경우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멀티스크린영역 설정부
30 :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 40 : 메모리
50 :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
60 : 로우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 발생부
70 : 수직 기록 구간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화면 기능 수행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되어진 비디오신호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메모리의 로우(Raw) 어드레스 시작과 끝구간 값 설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6비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했을시 1비트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사용영역은4, 9, 13, 16 화면의 경우 제3도의 (3a),(3b),(3c),(3d)와 같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다중화면은 메모리의 빗금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이 TV화면의 전체화면에 해당되는데 원래의 화면을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축소시켜 메모리에 1→2→3···의 순서로 기록한다. 그리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한꺼번에 읽어내어 TV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다중화면의 화면영역이 1→2→3···의 순서로 진행됨에 따라서 로우 어드레스의 시작 어드레스와 마지막 어드레스를 결정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록 구간 설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화면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로서, 시스템을 제어하며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를 발생하는 마이컴(10)과, 메모리(40)와, 상기 멀티화면 선택신호 (P4,P9,P13,P16)에 따라 멀티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영역 설정신호(이하 WC(3 : 0)라함)를 발생하는 멀티화면영역 결정부(20)와, 상기 멀티화면 선택신호 (P4,P9,P13,P16) 및 상기 WC신호(3 : 0)에 맞는 초기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을 결정하여 로우 어드레스 로딩신호(이하 RA(7 : 2)라 함)로 출력하는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와, 상기 멀티스크린영역결정부(20)의 제어를 받아 일정한 값까지 어드레스가 카운트 되었을시 카운터 동작을 정지시키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이하 RCTDIS라 함)를 발생하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터 디스에이블신호 발생부(60)와, 상기 RCTDIS신호 및 외부공급신호(VSPL,VMWED,WRSTB)의 1수직동기 동안 수직기록구간을 설정하는 기록 구간 설정신호(이하 VWRDIS라 함)를 발생하는 수직기록 구간신호 발생부 (70)와, 상기 RA(7:2)신호 및 RCTDIS신호와 제1-4외부공급신호(이하 DVSB, VSPL, VMWED, WRSTB라 함)의 제어를 받아 기 록용 로우 어드레스출력(이하 WRADD(7:0)라 함)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50)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중 주요부분의 구체회로도로서, 제1도 멀티화면영역 설정부(20)로부터 WC신호를 입력하여 반전하는 인버터(INV1-INV4) 및 상기 WC신호 및 반전 WC신호를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G1-G14) 및 상기 낸드게이트 출력(G1-G14)를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G15-G23) 및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와 상기 낸드게이트(G15-G23)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G24-G37) 및 상기 낸드게이트(G24-G37)출력을 논리조합하여 RA1-RA7 신호를 발생하는 낸드게이트(G38)으로 구성된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와, 상기 RA2-RA3 신호, WRSTB, VMMED, DVSB, VSPL, RCTDIS 신호를 입력하여 WRADD0-WRADD3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CNT1) 및 상기 RA4-RA7 신호, WRSTB, VMWED, DVSB, VSPL, RCTDIS 신호를 입력하여 WRADD4-WRADD7 신호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CNT2) 및 상기 WRADD0-WRADD7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NV7-INV10)로 구성된 로우 어드레스카운터부(50)와, 상기 WRADD0-WRADD7 신호 및 반전 WRADD0-WRADD7신호를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G44-G49) 및 상기낸드게이트(G44-G49)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앤드게이트(G51-G55) 및 인버터(INV11) 및 오아게이트(G56) 및 상기 화면선택신호(P4,P6,P13,P16)과 상기 논리게이트(G56,G53,G54,G55)출력을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G57-G60) 및 상기 낸드게이트(G57-G60)출력을 논리조합하여 RCTDIS신호를 발생하는 낸드게이트(G61)로 구성된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 발생부(60)와, VSPL,RCTDIS신호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두 개의 D플립플롭(FF1-FF2)으로 구성되어 VWRDIS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기록 구간신호 발생부(70)로 구성된다.
재3도는 멀티스크린4, 9, 13, 16화면 선택에 따른 사용 영역예시도이고, 제4도는 4화면 선택시 2영역에서 3영역으로 변하는 경우 동작파형도로서, 4a)는 화면영역 결정신호(WC)파형이며, 4b)는 비디오 시그날의 수직 동기 신호 파형(DVSB)이고, 4c)는 TV시그날중 1라인중에서 기록 할곳을 결정하는 신호이며, 4d)는 수직 동기 신호(DVSB)의 라이징에지로부터 기록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신호(VSPL)이고, 4e)는 여러TV시그날중 기록할 라인 설정 신호(VMWED)이며, 4f)는 어드레스 시작결정신호(RA)이고, 4g)는 메모리 라이트용 로우 어드레스신호(WRADD)이며, 4h)는 어드레스 카운터 정지신호(RCTDIS)이고, 4i)는 1수직 동기 기간 중 기록가능 구간 설정 신호(VWRDIS)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다중화면을 시청하고자 할시 4, 9, 13, 16화면중 원하는 멀티화면 형태를 세팅하면 마이컴(1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중 하나를"하이"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호를 받은 다중 화면 설정부(20)에서는 하기한<표1>과 같은 1→2→3···으로 변하는 영역에 대한 WC(3:0) 신호를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로우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에서는 WC(3 : 0)신호와 멀티화면선택(P4,P9,P13,P16)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 화면 종류와 화면영역에 맞는 기록 시작로우 어드레스 값을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50)에 전달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이때 상기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50)는 VSPL신호가 로우상태 구간에서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로부터 입력한 값으로 로딩되면 VSPL신호가 하이상태가 되면 VMWED신호가 하이상태인 구간에서 WRSTB신호의 상승에지를 클럭으로 하여 카운트한다. 이때 카운트되어진 출력값은 WRADD(7 : 0)이며 메모리(40)의 기록 로우 어드레스로 사용된다. 여기서 카운트되는 출력인 WRADD(7:0)값이 <표1>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카운트 동작을 끝내고자 하는 값이되면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인 RCTDIS신호가 "로우"상태로 되며 이 신호는 카운트 ENP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카운트는 동작을 중지하고 일정한 어드레스값만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하여 마지막으로 한 어드레스만을 유지하게 되면 그 라인에 계속 다른 데이터들이 기록되므로 마지막 로우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곳에 한번만 기록하고 더 이상 기록을 하지 않도록 VWRDIS를 신호를 수직 기록 구간신호 발생부(70)에서 만들어 "하이"상태인 동안만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 구간을 설정한다. 즉, 4화면 멀티스크린에서 1영역에 기록하고자 할시에는 DVSB신호가 "로우"상태일시 어드레스 카운터는 클리어되고 그후VSPL신호가 로우상태인 구간에서 00로 로딩되어 VMWED신호가 "하이"상태로 되는 곳에서 클럭을 받아들여 어드레스 카운터가 동작토록하여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가다가 어드레스 값이77이 되면 RCTDIS가 "로우"상태로 되어 더 이상 카운터를 동작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때의 값을 유지하여 더 이상 새로운 라인에 기록 지정을 하지 않게 되므로 78이하 라인에는 기록이 되지 않는다.
상술한 동작과정을 "4화면"선택시 2영역에서 3영역으로 변하는 경우의 로우 어드레스 발생의 일실시예로하여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4화면을 선택하였으므로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는 4화면 선택신호(P4)만 "하이"상태로 되고 나머지는 "로우"상태가 된다. 또한 <표1>에서 2영역에 대한 WC(3 : 0)신호는 WC3=0, WC2=0, WC1=0, WC0=1이므로 상기 두신호를 로우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에서 디코딩하여 어드레스 시작값을 설정해 주는RA(7 : 2)신호를 출력한다. 이때RA신호는 낸드게이트(G1-G43)의 조합에 의해 발생되며 낸드게이트 특성에 의해 입력중 하나만이라도 로우상태가 있으면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G1-G14)가 WC(3 : 0)신호(0001) 및 상기 WC(3 : 0)(1110)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조합한 결과 모두 "하이"상태로 되고 마찬가지로 입력이 둘다 "하이"상태일시 출력은 "로우"상태로 되는 낸드게이트 특성에 의해 상기 "하이"상태 낸드게이트(G1-G5)출력을 조합낸드게이트(G38-G43)출력은 모두 "로우"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4도(4f)에서와 같이 RA(7 : 2)=00(HEX)가 되며 이 값은 두 카운터(CNT1,2) 클리어바(Clear bar : CL)단자로 입력되는 제4도(4b)와 같은 비디오시그날의 수직동기신호(DVSB)의 상승에지로부터 라이트 시작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두카운터(CNT1,2)의 캐리 Loading 단자로 입력되는 (VSPL)신호가 (4d)와 같이 로우상태인 구간에서 카운터의 로딩값이 된다. 그후 VSPL 신호가 "하이"상태가 되면 여러개 TV시그날 라인(line)중 기록할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VMWED신호(4화면의 경우 2라인 마다 1번씩, 9화면의 경우 3라인마다 1번씩,13및16화면의 경우 4라인 마다 1번씩 "하이"상태가 되는 신호)가 (4e)와 같이 "하이"상태로 될 때 (5c) WRSTB신호의 라이징에지에 동기 되어 카운트업 되어져 2H(H : 수평동기신호) 구간마다 1번씩 카운트업되며 상기 2H중 1H만 기록되어진다.
즉 VMWED신호가 "하이"상태인 동안만 기록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WRSTB 신호는 TV시그날중 1라인중에서 기록할 곳을 결정하는 신호로서 "하이" 상태인 구간이 TV시그날의 1H에 해당하며 로우 어드레스카운트 회로부(50)의 두 카운터(CNT1,2)클럭바(Clock : Ch)단자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로드어드레스 카운트회로부(50) 출력 WRADD(7:0)신호가 "77"(HEX)되면 상기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 발생부(60)으로부터 카운터 정지신호인 RCTDIS신호가 로우상태로 출력되어 상기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회로부(50) 두 카운터(CNT1,2)의 인에이블(Enable)단자로 공급되어져 상기 두 카운터(CNT1,CNT2)의 동작을 정지시켜 어드레스 상태를 WRADD(7:0)=77(HEX)로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WRADD(7 : 0)신호가 77<HEX>가 되면 RCTDIS신호가 "로우"상태로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77<HEX>는 이진 코드화하면 "11101110"이므로 WRADD3 및 WRADD7이 "0"이 되어 상기 두 출력을 논리곱하는 낸드게이트(G55)의 출력은"0"가 된다.
그러므로 "1"상태의 멀티화면 선택신호(P4)와 상기 낸드게이트(G55) 출력을 논리조합한 낸드게이트(G60)출력은 "1"이 되어 역시"1"상태인 세낸드게이트(G57-G59) 출력 및 멀티신호와 논리조합한 낸드게이트(G61) 출력은"0"가 되어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50)의 두카운터 인에이블 단자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RCTDIS신호는 수직 기록 구간신호 발생부(70) 2개의 D플립플롭(FF1,FF2)에 의해 지연되어 제4도(4i)와 같이 VWRDIS신호를 발생한다. 그리하여 상기 VWRDIS가 "하이"상태인 구간에서만 기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신호를 만들어 카운터 정지신호인 RCTDIS 신호의 하강에지와 1수직동기 기간중 기록할 수 있는 기간을 정해주는 VWRDIS신호의 하강에지 사이에서 1번의 VMWED신호가 하이상태가 되도록 하여 마지막 어드레스 라인에 한번의 기록만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4화면 3영역에서는 카운터의 로딩값은 78(HEX)이 되고 EF까지 카운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의 기록시작과 끝의 로우 어드레스를 발생함으로써 메모리의 기록 구간을 결정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에 있어서, 시스템을 제어하면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를 발생하는 마이컴(10)과, 메모리(40)와, 상기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에 따라 멀티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영역신호를 발생하는 멀티화면영역 결정부(20)와, 상기 멀티화면 선택신호(P4,P9,P13,P16) 및 상기 화면영역신호에 맞는 초기 로우 어드레스 로딩값을 결정하여 로우 어드레스 로딩신호를 출력하는 로우어드레스 로딩값 결정부(30)와, 상기 멀티스크린영역 결정부(20)의 제어를 받아 일정한 값까지 어드레스가 카운트 되었을시 카운터 동작을 정지시키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터 디스에이블신호 발생부(60)와, 상기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신호 및 제1-4외부공급신호의 1수직동기 동안수직 기록 구간을 설정하는 기록 구간설정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기록 구간신호 발생부(70)와 , 상기 화면영역신호 및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 디스에이블 신호와 외부공급신호의 제어를 받아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어드레스 카운트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80016270A 1988-12-07 1988-12-07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KR91000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270A KR910007394B1 (ko) 1988-12-07 1988-12-07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270A KR910007394B1 (ko) 1988-12-07 1988-12-07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65A KR900011265A (ko) 1990-07-11
KR910007394B1 true KR910007394B1 (ko) 1991-09-25

Family

ID=1927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270A KR910007394B1 (ko) 1988-12-07 1988-12-07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3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65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065B1 (ko) 전자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시 화면편집장치
KR900002634A (ko) 다중화면 발생 영상 처리회로
US5892552A (en) Time code generator
JPH06237422A (ja) 文字表示装置
KR910007394B1 (ko)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메모리 기록용 로우 어드레스 발생회로
US6587942B1 (en) Circuit for converting input serial data in a plurality of possible formats into output data in parallel format by interpreting input data format indication information
JP3369591B2 (ja) 文字表示装置
JP2561750B2 (ja) パルス発生回路
US5055940A (en) Video memory control apparatus
US5355150A (en) Sub-screen data storage control unit
KR100232028B1 (ko) 모자이크 효과 발생 장치
JPS6393281A (ja) マルチストロボ再生回路
KR940000659Y1 (ko) 픽쳐 인 픽쳐 시스템에서의 필드 정지 및 프레임 정지 화면 발생 회로
KR890015591A (ko) 어드레스 제어회로
JPH0530854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818563B2 (ja) 同期式メモリ
KR940007816B1 (ko) 줌 윈도우 설정회로
JP3388033B2 (ja) 表示制御装置
JPS6367083A (ja) 映像縮小表示回路
JPS6243888A (ja) デユアルポ−トメモリ
KR0133457B1 (ko) 씨디 그래픽스 디코더의 컬러-룩업테이블 제어장치
JPS63242069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6129885A (ja) 表示メモリのアクセス信号発生装置
JPH0722938Y2 (ja) 垂直同期信号挿入回路
JPS61223988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