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374Y1 -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7374Y1 KR910007374Y1 KR2019890016177U KR890016177U KR910007374Y1 KR 910007374 Y1 KR910007374 Y1 KR 910007374Y1 KR 2019890016177 U KR2019890016177 U KR 2019890016177U KR 890016177 U KR890016177 U KR 890016177U KR 910007374 Y1 KR910007374 Y1 KR 9100073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racket
- clamping device
- ray tube
- cathode ra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3—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ray tu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1—Apparatus used for sealing vessels, e.g. furnaces, machin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헤드부 31 : 브라켓
32 : 흡입판 33 : 공압실린더
34 : 롤러지지구 34a : 롤러
35 : 안내봉 36 : 스토퍼
37 : 고정봉 40 : 핸들링기구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봉착가대에 경사지게 장착된 펀넬에 패널을 클램핑하여 장착 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내측에 형광막이 형성되며 새도우마스크-프레임 조립체가 장착된 패널이 그의 공정경로를 거쳐서 제조되며, 또 한편으로는 내면에 흑연막이 도포된 판넬이 그의 공정경로를 거쳐 제조되어 상기 패널과 봉착됨으로써 음극선관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 상기 판넬의 연부와 패널의 연부를 서로 정확하게 봉착하기 위해서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봉착가대에 판넬을 경사지게(x축 10°y 축 12°)장착하되, 프리트가 도포된 그 연부가 위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로서 패널을 흡착하여 상기 프리트가 도포된 판넬의 연부에 패널의 연부를 접촉시켜 이들을 서로 봉착하여 왔다. 이때에 상기 판넬이 봉착가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에 판넬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림핑장치의 흡착된 패널이 상기 판넬의 경사각도와 거의 동일하게 경사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10)에는 흡착된 패널(P)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장치가 없었으므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패널의 각도를 변화시켜 주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패널(P)의 경사각도가 일정하지 않아 상기 판넬과의 접촉이 불량하여 이들의 봉착 정밀도가 떨어질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중에 패널(P)의 각도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많은 위험이 내재되어 있으며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을 흡착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널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봉착시에는 판넬과 패널의 서로 어긋나지 않게 하여 불량품 발생률을 최소화하고, 판넬의 연부에 패널의 연부를 접축시킬때에 패널의 각도를 신속하게 변화시켜 작업능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패널을 흡착할 수 있는 흡입관이 브라켓에 부착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결되어 이를 이동시키는 핸들링기구를 구비하여된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브라켓에 상기 흡입판으로 흡착된 패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각도조절 수단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보인 본 고안의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20)는 헤드부(30)와 이를 이동시키는 핸들링기구(40)로 대별되는데 상기 헤드부(30)에는 헨딩기구(40)와 연결된 브라켓(31)이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31)에는 그 일측 하면에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되며 회전 및 좌우 회동되도록 설치된 흡입판(32)과, 상기 흡입판(32)에 흡착된 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흡입판(32)과 소정거리 이격되며 흡입판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쌍의 공압실린더(33)(33)와, 상기 공압실린더(33)(33)의 행정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행정거리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실린더(33)(33)는 브라켓(31)이 흡입판(32)의 위치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2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연장된 브라켓(31)의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로드(33a)(33a)의 단부는 브라켓(3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롤러(34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지지구(34)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압실린더(33)(33)의 행정거리 조절수단은 공압실린더(33)(33)의 양측에 브라켓(31)과 슬라이딩되도록한 안내봉(35)(35)이 롤러지지구(34)(34)에 연결되며 그 타측단부에는 안내봉(35)(35)의 길이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소정길이 스토퍼(36)가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31)에 나사결합된 고정봉(37)과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내구가 마련된 봉착가대에 경사지게 안치된 판넬의 연부와 패널의 연부를 봉착하고자 할때에는 핸들링기구(40)에 연결된 헤드부(30)의 브라켓(31)하부에 설치된 흡입관(32)에 패널(P)의 스크린면을 흡착하여 들어 올린후 상기 브라켓(31)에 설치된 공압실린더(33)(33)를 작동시킨다.
상기 흡입관(32)을 중심으로 직각이 되도록 브라켓(31)에 설치된 공압실린더(33)(33)가 작동하게 되면 각각의 로드(33a)(33a)는 하방으로 전진하게 되어 이에 연결된 각 롤러(34a)가 상기 패널 (P)을 밀어 이를 소정의 각도(x축과 y축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기 공압실린더(33)(33)는 유압실린더와 다리 정확한 행정거리를 제어할 수 없으므로 공압실린더(33)(33)의 로드(33a)(33a)가 전진함에 따라 롤러지지구(34)와 연결된 안내봉(35)(35)이 전진하게 되고 그 상단부에 설치된 스토퍼(36)(36)와 브라켓(31)에 설치된 고정봉(37)(37)이 접촉하게 되어 전진하는 로드(33a)(33a)의 행정 변위를 한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봉(37)(37)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실린더의 행정거리를 조절하여 패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는 패널을 흡착하여 그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과 판넬이 봉착 불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업능률의 상승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패널을 흡착할 수 있는 흡입판이 브라켓에 부착된 헤드부와, 해드부에 연결되어 이를 이동시키는 핸들링기구를 구비하여된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의 브라켓(31)에 상기 흡입관(32)으로 흡착된 패널(P)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각도조절 수단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이, 상기 브라켓(31)이 흡입판(32)의 위치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2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된 브라켓(31)의 선단에 각각 수직으로 실린더(33)를 설치하여 이 실린더(33)의 로드(33a)에 패널(P)의 표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롤러지지구(34)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177U KR910007374Y1 (ko) | 1989-11-02 | 1989-11-02 |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177U KR910007374Y1 (ko) | 1989-11-02 | 1989-11-02 |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876U KR910009876U (ko) | 1991-06-29 |
KR910007374Y1 true KR910007374Y1 (ko) | 1991-09-25 |
Family
ID=1929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6177U KR910007374Y1 (ko) | 1989-11-02 | 1989-11-02 |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7374Y1 (ko) |
-
1989
- 1989-11-02 KR KR2019890016177U patent/KR9100073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876U (ko) | 199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649805B (zh) | 空调外机装配线 | |
CN209536527U (zh) | 一种稳定可靠的丝印装置 | |
KR910007374Y1 (ko) | 음극선관용 패널의 클램핑장치 | |
CN114194816A (zh) | 一种可伸缩吸附装置 | |
CN205311193U (zh) | 一种精雕设备的板材定位机构 | |
JPS61132477A (ja) | 車輛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け装置 | |
JPS5918819B2 (ja) | シヤドウマスク取り外し装置 | |
CN214828879U (zh) | 一种润滑油灌装线用压盖装置 | |
CN213053810U (zh) | 一种汽车板料成形加工的夹持工具 | |
CN209337648U (zh) | 一种基板校准装置及基板搬运装置 | |
CN209085588U (zh) | 一种面板检查机 | |
JPS6222756B2 (ko) | ||
KR19980017567U (ko) | 반도체의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 |
CN113926641A (zh) | 浸胶增强材料表面除胶方法 | |
CN218136575U (zh) | 一种带有可伸缩靠挡的真空吸附平台 | |
CN119304364A (zh) | 一种钢壳电池壳盖焊接检测设备 | |
JP3075982B2 (ja) | シャドウマスク装着装置 | |
CN110606364B (zh) | 一种层状结构布匹夹持转移装置 | |
CN219078572U (zh) | 一种纸张吸取输送装置 | |
CN115610954B (zh) | 一种可调节式的背光模组运输机构 | |
CN117571737B (zh) | 一种汽车座椅护板注塑模具的检测装置 | |
CN221564861U (zh) | 轻便式自动上板装置 | |
CN220431554U (zh) | 传料装置 | |
CN117840621B (zh) | 一种三轮车的车架焊接装置 | |
CN220306212U (zh) | 一种ibc电池串出料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831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