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869B1 - 곤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곤로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69B1
KR910006869B1 KR1019890004021A KR890004021A KR910006869B1 KR 910006869 B1 KR910006869 B1 KR 910006869B1 KR 1019890004021 A KR1019890004021 A KR 1019890004021A KR 890004021 A KR890004021 A KR 890004021A KR 910006869 B1 KR910006869 B1 KR 910006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protrusions
grooves
rec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32A (ko
Inventor
하쿠몬 미즈노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곤로용 버너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버너캡과 버너보디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버너캡의 이면도.
제3도는 버너캡의 단면도.
제4도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5도는 버너의 정착상태 사시도.
제6도는 곤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버너보디 7 : 버너캡(버너머리부)
9 : 스파크전극 10 : 열전대(감열소자)
13 : 불꽃구멍 74a, 75a, 76a : 후퇴돌조
G1, G2 : 깊은 홈 G3, G4 : 얕은 홈
S : 단부 Hp : 평탄면
본 발명은 빗살형태로 배열된 이(爾)형상의 돌조를 설치하고 이들 돌조사이를 혼합가스토출용 불꽃구멍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에 괸한 것이다.
테이블 곤로의 버너는 내부에 연소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작용을 하는 혼합실을 형성한 버너보디를 가지며 이 버너보디 상면에는 평탄한 구멍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버너보디에는 버너캡이 빗살형태로 배열된 이빨모양의 돌조를 통하여 구명 테두리부에 재치되고 돌조간의 간격을 공기와 연료가스와의 혼합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불꽃구멍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버너에서는 버너보디 외측을 따라서 감열소자인 열전대를 설치하고 그 선단부가 불꽃구멍으로부터의 불꽃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곤로용 버너에서는 가스량을 제어하여 불꽃을 크게하기도 하고 작게 하기도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력조정시 불꽃을 크게 하면 불꽃의 리프트현상(불꽃구멍으로부터 불꽃이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채 연셔하는 현상)이 생기고 이에 따라 감열소자에 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불꽃을 작게 줄일 경우에는 엘로우팁 (火)현상이 생기거나 소화(消火)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력조정시에 있어서도 불꽃의 리프트현상이나 연소도중에 소화되어 버리는 일이 없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를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실로 하고 상면에 구멍 테두리부를 형성한 버너보디와, 이 버너보디의 구멍 테두리부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돌조를 빗살형테로 배열한 이빨모양으로 형성하고 이 구멍 테두리부의 상면에 상기 돌조사이의 간격을 혼합가스 토출용 불꽃구멍으로 하는 버너머리부와, 이 버너머리부의 외주연측에 배치되어 상기 불꽃구멍에서의 불꽃을 받아 들여 출력하는 감열소자와, 상기 돌조중 상기 감열소자에대응하는 부분을 중심방향으로 약간 인입시켜 형성한 후퇴돌조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후퇴돌조 사이중 상기 감열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을 깊은 홈으로 하고 이 깊은 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조사이를 얕은 홈으로 한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머리부에서 후퇴돌조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감열소자의 선단부에 대하여 근접하는 평탄면을 가지는 불꽃안정용의 단부를 적어도 상기 깊은 홈의 앞부분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력조정시에 가스량을 크게 하면 조여진 깊은 홈에 의한 불꽃이 단부의 평탄면에 의하여 눌리워지도록 함과 아울러 양측에 가로로 배치된 얕은 홈에 의한 조여진 가스에 의한 안정된 불꽃을 양측에서 보염(保炎)된다.
반대로 가스량이 작게 되도록 화력조정을 하면 후퇴돌사이의 깊은 홈에 의하여 혼합가스량이 감열소자를 가열하기에 충분하게 되어 불꽃이 꺼짐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버너(1)은 버너보디(6)과 버너머리부로서의 버너캡(7)으로 이루어지며, 버너보디(6)는 중앙의 끼워맞춤통부(6a)와 외측의 고리모양통체부(6b)를 서로 동심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끼워맞춤동체부(6a)와 고리모양통체부(6b)와의 사이를 혼합실(6A)로 하고 있다.
상기 버너보디(6)는 상면이 트여진 구멍이고 그 구멍상단 테두리를 중심부를 향하여 하강경사되는 고리모양의 면(63)으로 하고 있다.
이 고리모양의 면(63)에는 절개된 홈부(62)(62a)를 대략 60도 각도 간격을 두고 인접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 홈부(62)(62a)의 각 내측단부에서는 혼합실(6A)내에 근소하게 돌출되는 후퇴고리모양면(63a)(63b)을 고리모양의 면(63)과 연속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버너보디(6)의 고리모양동체부(6b)는 홈부(62)와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항하는 부분에 있어서 혼합실(6A)에 연통하는 "L"자형의 덕트(6B)(제6도에서 후술함)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버너캡(7)은 예를들면 황동이라고 하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작은 불꽃구멍(14a)(14b)(14c)를 가짐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버너보디(6)의 끼워맞춤부(6a)에 끼워맞춤되는 부착통부(72)를 형성하고 있다.
또 버너캡(7)의 이면측의 외주면에서는 버너보디(6)의 홈부(62)(62a)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다수개의 돌조(7A)가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빗살모양으로 배열된 이빨모양을 이루고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6a)에 대한 부착통부(72)의 끼워맞춤에 따라 이들의 돌조(7A)가 고리모양의 면(63)에 맞닿아 외주측으로 트여 있는 구멍인 불꽃구멍(1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버너보디(6)의 홈부(6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7A)보다 약간 중심부 가까이로 인입하는 후퇴돌조(74a) (75a) (76a)를 직경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이들의 전방영역에 블록형의 구역(R)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후퇴돌조(74a) (75a)를 끼우는 양측에 긴 돌조(7H) (7J)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역(R)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칫수를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하면이 수평한 평탄면(Hp)로 되는 단부(S)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후퇴골조(74a) (75a)사이 및 후퇴돌조(75a) (76a) 사이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 h1을 예를들면 3.0mm로 하는 깊은 홈(G1) (G2)을 형성하고, 상홈폭 a 및 하홈폭 b를 각각 2.25mm 및 1.35mm로 하고 있다.
또 긴 돌조(7H), 후퇴돌조(74a)사이 및 긴 돌조(7J), 후퇴돌조(76a) 사이에는 깊이 h2 예를들면, 2.0mm로 하는 앞은 홈(G3) (G4)를 형성하고 상홈폭 a 및 하홈폭 b를 상기와 같이 2.25mm 및 1.35mm로 하고 있다.
또한 버너보디(6)의 홈부(62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돌조(7A)보다 약간 중심부에 접근하여 후퇴돌조(74) (75)를 형성하고 그 전방영역에는 방전용 돌부 (Dc)를 설치함과 아울러 후퇴돌조(74) (75)를 양측에 끼우는 긴 돌조 (7F) (7G)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퇴돌조 (74) (75)에 대하여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응하는 돌조(7A)의 위치에 돌조(7X)를 형성하고, 이 돌조(7X)를 버너보디(6)에 있어서의 부착통부(72)의 상단면에 설치한 절개홈(6X)에 대응시키고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보디(6)에 대한 버너캡(7)의 장착에 따라 돌조(7X)가 절개홈(6X)에 끼워맞춰져 위치가 결정됨과 동시에 회전이 정지되며 후퇴돌조(74) (75) 및 후퇴돌조(74a) (75a) (76a)가 후퇴고리모양면 (63b) (63a)에 각각 맞닿고 또 돌조(7A)가 고리모양면(63)에 맞닿는다.
이와 동시에 버너캡(7)의 단부(S)가 홈부(62)에 대향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방전용 돌부 (Dc)가 홈부(62a)에 합치한다.
상기 홈부(62)에는 감열소자로서의 열전대(10)를 불꽃검지용으로 하기 위하여 수용하고 그 선단부가 단부(S)의 평탄면(Hp)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또 홈부(62a)에는 점화용 스파크전극(9)을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너(1)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곤로(100)에 조립된다.
이 곤로(100)에 있어서 2는 버너(1)에의 가스공급계, 3은 버너(1)의 점화장치, 4는 안전장치, 5는 이들 부재가 수용되는 곤로케이스이다.
한편 혼합관(8)은 덕트(6B)에 연결되고 상류측단부(81)이 연료인 가스와 1차공기와의 도입구로 되며 단면에는 1차공기의 흡입구(82)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공급계(2)는 가스도관(21), 밸브(22) 및 선단이 상기 혼합관(8)내에 설치되는 노즐(23)을 가지며, 밸브(22)는 손잡이(24)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됨과 아울러 열전대(10)의 출력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점화장치(3)는 스파크 전극(9)와 압전소자와, 이 압전소자에 충격을 부여하기 위한 타격기구의 조합이며, 또는 건전지와 고전압펄스 발생회로와의 조합으로 되는 고전압발생수단(32)과, 이들을 접속하는 리드선(3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고접압 발생수단(32)은 통상의 손잡이(24)에 의하여 작동되고 밸브(22)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스파크전극(9)에 불꽃이 발생하고 버너(1)에 대한 착화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전장치(4)는 열전대(10)와, 그 출력으로 상기 밸브(22)의 밸브체를 연 상태로 유지하도록 밸브(22)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도시 없음)으로 이루어지며, 불꽃에 의하여 가열되어 열전대(10)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어 있는 때는 밸브(22)를 연 상태로 유지하고, 소화등에 의하여 열전대(10)의 온도가 설정치 보다 떨어지면 스프링(도시 없음)의 작용으로 밸브(22)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곤로(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손잡이(24)를 돌리면 밸브(22)가 열리고 이 밸브(22)의 하류에 연결된 노즐(23)에서 가스가 분출된다.
이 가스의 분출류에 의하여 1차공기의 흡입구(82)에서 이젝터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혼합관(8)내에서 혼합되어 버너보디(6)의 혼합실(6A)내로 공급된다.
상기 손잡이(24)의 동작에 연동하여 점화장치(3)이 작동하고 스파크전극(9)에 의하여 방전용 돌부(Dc)와의 사이에 불꽃이 발생된다.
이 불꽃에 의하여 불꽃구멍(13)에서 각각 외주의 주위로 분출된 공기, 연료가스의 혼합가스에 착화되고 불꽃을 생성하여 조리남비(12)가 가열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화력조정시에 가스량을 크게 하면 깊은 홈(G1) (G2)에 의한 불꽃일 단부(S)의 평탄면(Hp)에 의하여 눌리워짐과 아울러 양측의 가로로 배치된 얕은 홈(G3) (G4)에 의한 조절된 가스에 의한 안정된 불꽃으로 양측에서 불꽃이 보호된다.
즉, 가스량이 큰 경우 깊은 홈(G1) (G2)에서는 강한 불꽃이 나오게 되므로 리프트현상의 우려가 있으나, 이들 깊은 홈(G1) (G2)에서 강하게 나오는 불꽃은 상기 단부(S)의 평탄부(Hp)에 의하여 눌려지게 됨과 아울러 얕은 홈(G3) (G4)에서 나오는 불꽃과 섞여져서 전체적으로 적절한 길이의 불꽃이 형성되므로 리프트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가스량이 작게 되도록 화력조정을 하면, 후퇴돌기(74a) (75a) [(75a) (76a)]사이의 깊은 홈(G1) [(G2)]에 의하여 혼합가스가 열전대(10)을 가열하기에 충분하게 되어 불꽃의 꺼짐이 방지된다.
또 얕은 홈(G3) [(G4)]의 전방에도 단부(s)가 있기 때문에 가스량을 크게 설정한 때에 더욱 안정하게 보염효과가 높게 된다.
즉, 가스량을 작게 한 경우에는 얕은 홈 (G3) (G4)에서 나오는 불꽃은 매우 약하여 소화(消火)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부족한 불꽃을 깊은 홈 (G1) (G2)에서 비교적 강하게 나오는 불꽃과 섞여짐과 아울러 깊은 홈 (G1) (G2)에서나오는 불꽃에 의하여 열전대(10)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상태로 되므로 소화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패 얕은 홈 (G3) [(G4)]의 전방에 존재하는 부분의 단부(S)는 중심부측으로 후퇴되어 있기 때문에 돌조 (7A) (7A)사이에서의 불꽃에 의한 불의 이돌이 양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곤로용 버너에 의하면, 불꽃이 안정되어 리프트현상이 없기 때문에 열전대(10)에 대한 가열상태가 양호하게 되며, 열전대(10)의 오동작이 없게 되고 소기의 정상적인 기능이 보장된다고 하는 실시예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후퇴돌조의 수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 74a, 75a, 76a로서 3개를 설치하였으나 이 수는 경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기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 하는 범의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를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실로 하고, 상면으로 트여진 구멍의 테두리부를 형성한 버너보디와, 이 버너보디의 트여진 구멍의 테두리부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돌조를 빗살형태로 배열된 이빨모양으로 형성하며, 이 트인구멍의 테두리부상에서 상기 돌조 사이의 간격을 혼합가스토출용의 불꽃구멍으로 하는 버너머리부와, 이 버너머리부 외주 테두리측에 배치되고 상기 불꽃구멍에서의 불꽃을 받아 출력하는 감열소자외, 상기 돌조중 상기 감열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을 중심방향으로 약간 인입시켜 형성한 후퇴돌조를 형성한 통상의 곤로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후퇴돌조중 상기 감열소자에 대향하는 부분을 깊은 홈으로 하고 이 깊은 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조사이를 얕은 홈으로 하며, 상기 버너머리부에서 후퇴돌조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감열소자의 선단부에 대하여 근접하는 평탄면을 가지는 불꽃안정용 단부를 적어도 상기 깊은 홈의 앞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KR1019890004021A 1988-04-01 1989-03-29 곤로용 버너 KR910006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816 1988-04-01
JP63081816A JPH01256709A (ja) 1988-04-01 1988-04-01 こんろ用バーナ
JP63-81816 1988-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32A KR890016332A (ko) 1989-11-28
KR910006869B1 true KR910006869B1 (ko) 1991-09-09

Family

ID=1375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021A KR910006869B1 (ko) 1988-04-01 1989-03-29 곤로용 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256709A (ko)
KR (1) KR910006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N20020026A1 (it) * 2002-06-11 2003-12-11 Somi Press Soc Metalli Iniettati Spa Corona per bruciatori a gas per fornelli da cucina
EP1703203B1 (en) * 2005-02-17 2014-11-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Gas bu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2286B2 (ko) 1992-05-28
KR890016332A (ko) 1989-11-28
JPH01256709A (ja) 198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96002043A (en) Atmospheric gas burner with minimomejor ignition
KR100341252B1 (ko) 동적안정성을개선하기위한확산파일롯을갖는대기가스버너
KR910006869B1 (ko) 곤로용 버너
JPH0713528B2 (ja) パルス燃焼器
KR920001427Y1 (ko) 곤로용 버너
KR910007495Y1 (ko) 곤로용 버너
KR920000389Y1 (ko) 곤로용 버너
JPH0335582B2 (ko)
JP2510844B2 (ja) ガスバ―ナ―装置
JPS61259014A (ja) 保炎筒の過熱防止装置を有するバ−ナ
JPH01159510A (ja) こんろ用バーナ
KR920003279Y1 (ko) 곤로용 버너
JPH0262772B2 (ko)
JPH0427448B2 (ko)
KR910007496Y1 (ko) 곤로용 버너
KR920000599B1 (ko) 곤로
JPH041250B2 (ko)
JPH0441244B2 (ko)
JPH01142309A (ja) こんろ用バーナ
KR0124104Y1 (ko)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920000390Y1 (ko) 곤로용 버너
KR100299321B1 (ko) 평면염 가스버너
JPS63259321A (ja) コンロバーナ
JPH04214107A (ja) ガスバーナ
CA1135616A (en) Burn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