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496Y1 - 곤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곤로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496Y1
KR910007496Y1 KR2019880008998U KR880008998U KR910007496Y1 KR 910007496 Y1 KR910007496 Y1 KR 910007496Y1 KR 2019880008998 U KR2019880008998 U KR 2019880008998U KR 880008998 U KR880008998 U KR 880008998U KR 910007496 Y1 KR910007496 Y1 KR 910007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ignition
gas
bur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56U (ko
Inventor
히데기 가사노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05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곤로용 버너
제1도는 버너캡과 버너보디의 확대 분해사시도.
제2도는 곤로의 개요도.
제3도는 동 요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버너캡과 버너보디의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곤로 1 : 버너
2 : 가스공급계통 3 : 점화장치
4 : 안정장치 6 : 버너보디
6c : 연장돌출부 7 : 버너캡
9 : 점화전극 10 : 열전대(감열소자)
13 : 화염구멍군 62 : 오목부
153 : 가스통로 154 : 가스압감쇠수단
본 고안은 버너보디에 도려낸 상태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에 실화검지용 감열소자등을 배치시키는 곤로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 곤로등의 곤로용 버너는, 내부에 혼합실을 형성한 버너보디를 구비하며, 이 버너보디의 상면에는 평편한 트인구멍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 버너보디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는 하면 외주에 빗살모양의 돌조를 설치한 버너캡의 얹쳐져 있다.
그리고 이들 돌조간의 틈을 1차공기와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혼합실을 거쳐 통과하는 화염구멍군(群)으로 하고 점화에 따르는 화염구멍군을 통과한 혼합가스에 착화하여 화염을 형성함으로써 조리냄비등을 가열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화염이 꺼지는 실화(失火)시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가스의 안전변을 자동적으로 폐쇄할 목적으로 감열소자로서의 열전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 열전대는 버너보디에 도려내어 형성한 오목부에 수용하고 버너캡으로 씌워서 끓어넘치는 국물등의 부착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와 외관상의 체제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점화전극을 이용하여 스파크에 의하여 직접점화하는 방식에서는 이 전극을 오목부에 수용하여 국물에 의한 오작동의 방지와 외관상의 체제를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곤로용 버너에서는 오목부에 있어서 화염이 다른 부분과의 연속성이 없기 때문에 리프트되어 상승하거나 불안정하게 되어 열전대의 가열성은 안정되지 못하게 되는 염려가 있었다.
또한 오목부에 점화전극을 형성하여 직접 점화할 경우에는 점화성능이 떨어지고 또 점화가 가능하더라도 점화염(点火炎)이 불안정하여 난조를 이루어 다른 부분으로의 불꽃이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그 목적은, 불꽃상승현상없이 안정된 화염을 얻을 수 있으며, 감열소자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며 점화전극에 있어서의 확실한 점화를 얻어 점화성능이 양호한 실용상 우수한 효과를 갖는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에 실화검지용 감열소자 혹은 점화전극등을 수용하기 위한 도려낸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연료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실로하며, 상면에 트인구멍 가장자리를 형성한 버너보디와, 하면 외주에 빗살모양의 돌조에 배열설치하고, 상기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놓여져 돌조간의 틈이 상기 혼합실에서의 혼합가스를 토출시키는 화염구멍군이 되는 버너캡을 구비한 버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화염구멍과 상기 혼합실의 사이에 가스감쇠 수단을 형성한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버너보디의 도려낸 형태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감열소자 혹은 점화전극등을 수용하면서도 가스압감쇠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안정된 화염을 얻을 수 있으며, 화염이 리프트되어 상승하는 사례가 없어 감열소자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점화전극에 있어서는 확실한 점화가 가능하게 되며, 점화성능이 양호하게 되는 우수한 실용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곤로용 버너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버너(1)는 버너보디(6)와 버너캡(7)으로되며, 버너보디(6)는 중앙의 기워맞춤통부(6a)와 외측의 고리상의 통부(6b)을 서로 동심적으로 형성하고, 끼워맞춤통부(6a)와 고리상의 통부(6b)의 사이를 혼합실(6A)로 하고 있다.
상기 버너보디(6)는 상면이 트인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이 트인구멍 가장자리를 중심부로 향하여 하향경사진 링모양면(63)으로 하고, 이 링모양면(63)을 지름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도려낸 형태의 오목부(6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62)는 안전장치(4)로서의 열전대(감열소자)(10)의 감열부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62)의 내측단으로 부터는 후퇴 링모양면(63a)을 혼합실(6A)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이 후퇴 링모양면(63a)으로부터는 이 후퇴 링모양면(63a)보다 낮게 단차를 두어 연장부(6c)를 끼워맞춤통부(6a)에리를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 버너보디(6)의 통부(6b)는 오목부(62)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부분에 혼합실(6A)에 연통한 "L"자형 모양의 덕트(6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덕트(6B)는 외주측에 1쌍의 안내벽(151)(152)을 구성하고 점화시에 후술하는 점화버너(155)에서의 화염이 안내벽(151)(152)사이에 안내됨으로써 버너보디(6)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반대측을 돌아가지 않게되고, 열전대(10)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버너캡(7)은 접시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부에는 버너보디(6)의 끼워맞춤통부(6a)에 끼워질 부착통부(72)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중앙화염구멍(14)을 가지고 있다.
또 버너캡(7)의 하면 외주 가장자리에는 오목부(62)에 대응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수개의 돌조(7A)가 동일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빗살모양을 하고 있다.
또 버너캡(7)의 하면에는 돌기자(7X)가 수직상태로 형성되며, 버너보디(6)의 링모양면(63)에 형성한 도려낸부(6X)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끼워맞춤통부(6a)에 대한 부착통부(72)의 끼워맞춤에 따라 돌기자(7X)는 도려낸부(6X)에 끼워져 들어가지 않게 하고, 후술하는 돌조(74)(74)는 후퇴 링모양면(63a)에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돌조(7A)의 하단은 링모양면(63)에 맞닿아 서로의 돌조(7A)사이의 틈을 화염구멍군(13)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버너캡(7)에는 오목부(62)에 대응한 면에 돌조(7A)보다 중심부에서 후퇴한 상태의 돌조(74)(7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돌조(74)(75)를 찝도록 하여 장돌조(74a)(75A)를 반경방향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로 장돌조(74A)(75A)의 내측부(74')(75')와 연장부(6c)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Gp)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버너캡(7)내면과 연장부(6c)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혼합실(6A)에서 화염구멍군(13)에 연통하는 가스통로(153)을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버너보디(6)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오목부(62)에 대응한 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설치한 연장부(6c)로 구성되는 가스압감쇠수단(154)을 설치한 것이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가스압감쇠수단(154)는, 연장부(6c)와 장돌조(74A)(75A)의 내측부(74')(75')를 가스통로(153)의 입구를 소정 크기로 좁혀서 구성하고 있다.
또 이들 장돌조(74A)(75A)는 중심부에서 후퇴상태의 돌조(74)(75)의 중복길이를 증가하여 장돌조(74A)(75A)와 돌조(74)(75)이 형성하는 화염구멍에 소정의 유효길이를 확보하여 이 화염구멍에서의 화염이 안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너(1)는 곤로(100)에 조합되어 있으며, 곤로(100)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2)는 버너(1)의 가스공급계, (3)은 버너(1)의 점화장치, (4)는 안전장치, (5)는 이들이 수용되는 곤로케이스이다.
한편 혼합관(8)은 덕트(6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류측단부(81)가 연료인 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가스 도입부로 되며 단면에는 1차공기의 흡입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공급관(2)는 통상 가스의 배관에 고무호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가스도관(21), 밸브(22), 선단이 상기 혼합관(8)내에 끼워진 노즐(23)을 가지며, 밸브(22)는 노브(24)의 조작으로 개폐워진 아울러 상기 열전대(10)의 출력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점화장치(3)는 점화전극(9)의 압전소자와 이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기 위한 타격기구등으로 조합구성되며, 또 건전지와 고전압 펄스방생회로등의 조합으로 된 고전압 발생수단(32)과, 이들을 접속하는 리드선(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전압 발생수단(32)은 통상 상기 노브(24)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기 밸브(22)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점화전극(9)에 불꽃을 발생하고 점화버너(155)에 착화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전장치(4)는 상기 열전대(10)와, 그 출력변화로 상기 밸브(22)의 밸브체를 개방상태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밸브(22)내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석(도시없음)으로 되고, 버너(1)에서 정상연소가 이루지고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열전대(10)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밸브(22)는 열림상태로 유지되고, 소화등으로 열전대(10)의 온도가 설정치 보다 낮아지면 스프링(도시없음)의 작용으로 상기 밸브체는 닫힘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하 곤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노브(24)를 눌러돌리면 밸브(22)이 열림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코크를 열고 이 밸브(22)의 하류에 연결된 노즐(23)에서 가스를 분출한다.
이 가스의 분출에 따라 1차공기의 흡입구멍(82)에서 인젝터의 작용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혼합관(8)내에서 혼합되어 버너보디(6)의 혼합실(6A)내로 공급한다.
상기 노브(24)를 눌러돌리는 동작에 의하여 점화장치(3)를 작동하고, 점화전극(9)에 의하여 불꽃이 발생한다.
이 불꽃으로 점화버너(155)를 점화하고, 이 점화버너(155)에서의 화염은 안내벽(151)(152)사이에서 상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동시에 혼합실(6A)내의 혼합가스는 화염구멍군(13) 및 중앙 화염구멍(14)에서 분출한다.
상술한 점화버너(155)의 화염으로 화염군(13), 중앙화염구멍(14)에서의 혼합가스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화디어 화염(B)을 형성하여 조리냄비(12)를 가열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도려낸 형태의 오목부(62)를 버너보디(6)를 형성하면서도 가스압감쇠수단(154)에 의하여 오목부(62)에서 토출하는 혼합가스의 분출압력이 작아진다.
이 결과 오목부(62)에서의 화염은 제4도에 F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분에서 중심부로 후퇴하고 연속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불꽃튀김이 억제되어 열전대(10)는 안정한 화염으로 가열되어 오동작이 없는 정상가능을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스압감쇠수단(154)의 설치에 따라서 분출압력이 작아지므로 보다 안정된 화염의 형성에 기여하는 부차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스압감쇠수단(154)으로서 연장부(6c)와 장돌조(74A)(75A)의 내측부(74')(75')에 의하여 구성하였으나 이들에 국한되지 아니 하고 연장부(6c)는 장돌조(74A)(75A)의 내측부(74')(75')중 어느 한쪽만을 구성요소로 하여도 된다.
즉, 연장부(6c)만이라면 이것을 다시 상부까지 미치는 것으로 하고 혹은 장돌조(74A)(75A)의 내측부(74')(75')를 혼합실(6A)내에 넣는 높은 치형으로 하고 다시 장돌조(74A)(75A)와 돌조(74)(75)사이의 틈새구멍측에 방해부재(뚜껑부재)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전대(10)를 형성한 오목부(62)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점화전극을 형성하는 오목부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점화성능이 양호해지며 불꽃의 이동도 양호하게 된다.
또 상시 실시예에서는 부착통부(72)를 갖는 버너캡(7)과 끼워맞춤통부(6a)를 갖는 버너보디(6)로 된 버너(1)에 적용하였으나 부착통부가 없는 버너캡과 끼워맞춤통부를 갖지 않는 버너보디로 된 버너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장돌조의 내측부의 단부사이는 치단부에 의하여 폐쇄상태로 연결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목부(62)에 대응한 2개의 돌조(74)(75)를 형성하였으나, 이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에서 후퇴한 돌조를 3개, 4개로 하여도 무방하다.
기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외주가장자리부와 실화검지용 감열소자 혹은 점화전극을 수용하기 위한 도려낸 형태의 오목부(62)를 구비하고 내부를 연료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실(6A)로 하며, 상면에 트인구멍 가장자리를 형성한 버너보디(6)와, 하면 외주에 빗살모양의 돌조(74)(75)를 배열설치하며, 상기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놓여져서 돌조(74)(75) 사이의 틈을 상기 혼합실(6A)에서의 혼합가스를 토출시키는 화염구멍군(13)이 되는 버너캡(7)을 구비한 버너에 있어서, 오목부(62)에 대응하여 화염구멍(14)과 상기 혼합실(6A)의 사이에 가스압감쇠수단(15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감쇠수단(154)을 상기 버너보디(6)의 트인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오목부(62)에 대응한 부분에서 중심방향으로 설치한 연장부(6c)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KR2019880008998U 1987-08-28 1988-06-13 곤로용 버너 KR9100074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207 1987-08-28
JP1987132207U JPH0249457Y2 (ko) 1987-08-28 198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56U KR890005156U (ko) 1989-04-18
KR910007496Y1 true KR910007496Y1 (ko) 1991-09-27

Family

ID=3138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998U KR910007496Y1 (ko) 1987-08-28 1988-06-13 곤로용 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49457Y2 (ko)
KR (1) KR9100074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714B2 (ja) * 2018-10-26 2022-11-21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バーナ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422B2 (ja) * 1978-05-22 1984-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電池の製造法
JPS5937925U (ja) * 1982-09-03 1984-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スバ−ナ
JPS5942422U (ja) * 1982-12-28 1984-03-19 株式会社ターダ ガスバ−ナ
JPS62272015A (ja) * 1986-05-20 1987-1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56U (ko) 1989-04-18
JPH0249457Y2 (ko) 1990-12-26
JPS6438433U (ko) 198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5113A (ja) 蒸発式バーナ
GB862767A (en) Improvements in flame igniter for gas turbine combustor
US5391075A (en) Multi-fuel burner
KR910007496Y1 (ko) 곤로용 버너
KR910007495Y1 (ko) 곤로용 버너
JPS6215736B2 (ko)
SE513251C2 (sv) Tändanordning för fritidskök
KR920000599B1 (ko) 곤로
JPH0427448B2 (ko)
CN220287437U (zh) 火盖及燃气灶
KR920000389Y1 (ko) 곤로용 버너
KR920001427Y1 (ko) 곤로용 버너
KR920000390Y1 (ko) 곤로용 버너
CN116255616A (zh) 用于炉头的引火装置
RU527933C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меры сгор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JPH0262772B2 (ko)
US3761222A (en) Propane-piezoelectric ignition system
JPH0260927B2 (ko)
KR200141457Y1 (ko) 버너의 1차공기 공급장치
JPH01142328A (ja) こんろ用バーナ
SU1588996A1 (ru) Запальна горелка
GB1507815A (en) Starting flame igni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of a gas-turbine engine
JPH0236843B2 (ko)
JPS63259310A (ja) ガスバ−ナ
KR920003279Y1 (ko) 곤로용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