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27Y1 - 곤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곤로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427Y1
KR920001427Y1 KR2019910023850U KR910023850U KR920001427Y1 KR 920001427 Y1 KR920001427 Y1 KR 920001427Y1 KR 2019910023850 U KR2019910023850 U KR 2019910023850U KR 910023850 U KR910023850 U KR 910023850U KR 920001427 Y1 KR920001427 Y1 KR 920001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burner body
reces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이시가와
도시유끼 노무라
히데아끼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15534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8522A/ko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곤로용 버너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버너캡과 버너보디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곤로의 개략도.
제3도는 열전대와 함께 도시한 오목부의 종단면도.
제4도는 버너에서의 조립부착도.
제5도 및 제6도는 버너캡을 다른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작용 설명을 위한 요부확대 부분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곤로 1 : 버너
2 : 가스공급계 3 : 점화장치
4 : 안전장치 6 : 버너보디
7 : 버너캡 9 : 스파크전극
10 : 열전대 13 : 화염구멍통로
62,62a : 제1오목부 7a,7b : 제2오목부
7P : 불꽃형성부 90 : 보호판
본 고안은 버너보디와 버너캡을 구비한 버너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꽃검지용 감열소자를 설치한 곤로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곤로 버너는, 내부에 연소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실을 형성한 버너보디를 가지며, 이 버너보디의 상면에는 평탄한 개구연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버너보디에는, 버너캡이 톱니모양의 돌조를 사이에 두고 개구연부에 얹어 놓아짐으로써 형성되는 돌조간의 틈새를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화염구멍통로로 형성하고 있다.
이 버너는 감열소자인 열전대에 의하여 불꽃의 유무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리시에는, 열전대로 부터의 소정의 출력이 유지되므로써 원료가스원의 원밸브를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착화되지 않았거나 불꽃이 꺼져버린 경우에는 열전대가 출력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연료가스원의 원밸브를 폐쇄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조리시에는 끊이는 상태에 따라 화력을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화력조정시 불꽃이 짧아졌을 경우에는, 불꽃의 선단부가 열전대로 부터 떨어져서 가열상태가 부족하게 되어 열전대가 소정의 출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원밸브를 폐쇄해버리는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은 화력조정시에 불꽃이 짧아진다하더라도 감열소자가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 곤로용 버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를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실로 하고, 상면에는 개구연부를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한 버너보디와, 이 버너보디의 개구주연부에 상기 혼합실안을 향하여 움푹패이도록 형성한 제1오목부와, 제1오목부에 대응하는 제2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보디(6)에 대한 장착시에 이들 오목부끼리가 합치되어 불꽃검지용 감열소자 및 스피크전극을 수용하는 버너캡과, 이 버너캡의 외주부에 열지어 형성되며 버너보디에 장착되므로써 이 버너보디의 개구연부에 혼합실로부터의 혼합가스를 토출시키는 화염구멍통로를 형성하는 톱니모양의 돌조와, 이 돌조중 상기 제2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감열소자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서 작은불꽃이 발생되도록 또 이 작은불꽃을 사이에 두고서 양 외측에서 큰 불꽃이 발생되도록 형성한 불꽃구멍형성부를 구비하여, 화력이 중간 이상으로 연소될 경우에는 주로 작은불꽃으로 감열소자를 가열하고, 약한화력으로 연소될 경우에는 주로 큰불꽃으로 감열소자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감열소자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양측에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불꽃 형성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화력조정시 불꽃이 짧아진다 하더라도 감열소자는 양측에서 충분한 복사열을 받아 소정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불용이하게 소화시키는 일이 없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서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버너(1)는 버너보디(6)와 버너캡(7)으로 되어 있으며, 버너보디(6)는 중앙의 끼워맞춤통부(6a)와 외측의 환상몸체부(6b)를 서로 중심이 같게 되도록 형성하고, 이들 끼워맞춤통부(6a)와 외측의 환상몸체부(6b)사이를 혼합실(6A)로 하고 있다.
그리고 버터너보디(6)는 상면이 트인입구로 되어 있으며, 이 트인입구 상단가장자리는 중심부를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는 환상면(63)으로 되어 있다.
상기 환상면(63)에는 이것을 횡으로 도려낸 절결형상의 오목부(62) 및 오목부(62a)가 (이들 오목부를 제1오목부라 한다) 약 60도 각도 간격으로 인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62),(62a)의 각 내측단에는, 혼합실(6A)안으로 각각 약간 돌출한 평탄한 돌출환상명(63a), (63b)을 환상면(63)과 연속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버너보다 (6)의 환상몸체부(6b)는 오목부(62)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혼합실(6A)로 연통하는 L자형 덕트(6B)와 연결되어 있다(제2도참조).
또한 버너캡(7)은 예를들면 황동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접시모양으로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버너보디(6)의 끼워맞춤통부(6a)와 끼워맞춰지는 부착통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버너캡(7) 이면측(荑面側)의 외주연에는, 오목부(62),(62a)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다수개의 돌조(7A)가 동일한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빗살모양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통부(72)를 끼워맞춤통부(6a)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돌조(7A)들이 환상면(63)에 맞닿아 외주측으로 트인입구를 형성하는 화염구멍통로 (13)가 형성된다.
또한, 버너캡(7)의 오목부(62)(62a)에대응하는 부분에는 돌조(7A)보다도 중심부쪽으로 약간 뒤로 물러나게 한 돌조(74),(75),(76)의 전방영역을 제2오목부 (7a)로 함과 아울러 이들 돌조(74),(75),(76)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긴 돌조(7B), (7C)를 형성한다. 또한 오목부(62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돌조(7A)보다도 뒤로 물러나게한 돌조(74a)를 지름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이 돌조(74a)의 전방영역을 제2오목부(7b)로 함과 아울러 돌조(74a)를 사이에 두고 긴돌조(7D),(7E)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긴돌조(7D),(7E)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긴돌조(7D),(7E)에 인접한 돌조(7F),(7G)는 긴돌조(7D),(7E)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돌조(7D),(7E)에 결손이 생기거나, 버너보디(6)의 선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결손이 생기더라도 불꽃구멍통로는 안쪽에서도 길게 존재하기 때문에 안정된 연소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제2오목부(7a)에서도 동일하나 깊은 제2오목부(7b)쪽이 그 의미가 크다.
이 상테에서 돌조(74),(75),(76)의 상호간격을 돌조(7A)끼리의 간격보다 약간 좁게하거나, 얕게하여 가스량을 적게하는 작은 불꽃구멍형성부로 하는 한편, 돌조(74)와 긴돌조(7C)및 돌조(76)와 긴돌조(7B)의 간격을 돌조(7A)끼리의 간격과 거의 같거나 거의 같은 깊이로 설정함으로써 불꽃구멍형성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돌조(7A),(7A)사이의 가스량>긴돌조(7C), 돌조(74)사이및 긴돌조(7B), 돌조(76) 사이의 각 가스량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긴돌조(7C), 돌조(74)사이 및 긴돌조(7B), 돌조(76)사이의 가스량>돌조(74),(75) 및 돌조(75), (76)사이의 각 가스량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버너캡(7)에는 오목부(7a)에 대하여 대략 지름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7X)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7X)를 버너보디(6)에 있어서의 환상면 (63)의 내측에 설치한 절결부(6X)에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버너보디(6)에 버너캡(7)을 장착하면 걸림돌기(7X)가 절결부(6X)에 끼워맞춰지므로 버너캡(7)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됨과 아울러, 돌기(74),(75), (76)및 돌조(74a)가 제2도 및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돌출환상면(63a)(63b)위에 각각 맞닿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버너캡(7)의 오목부(7a)가 버너보디(6)의 오목부(62)와 합치되며, 오목부(7b)가 오목부(62a)에 합치된다.
이들 오목부(7a)(62)에는 안전장치(4)로서의 열전대(감열소자(10)가 수용되며, 오목부(7b),(62a)안에는 후술하는 점화장치(3)의 스파크전극(9)이 수용된다.
90은 상면이 완만한 둥근면형상으로 된 보호판으로서, 이것은 버너캡(7)보다도 약간 큰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절결부(91)가 120도 간격으로 모두 3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91)는 버너캡(7)상면에 스페이서로서 설치한 돌기(9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판(90)의 외부연부는 버너캡(7)의 외주연부보다도 3mm정도 외부로 튀어나와 있으며, 버너캡(7)측으로 약간 튀어나온 돌출턱부(39)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제3도참조). 이 돌출턱부(93)는 내주면측에서 외측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93a)를 형성하며, 버너캡(7)의 외주연부와 약간의 틈새를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버너(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곤로(100)에 조립된다. 이 곤로(100)에 있어서, 2는 버너(1)로의 가스공급계, 3은 버너(1)의 점화장치, 4는 안전장치, 5는 이들 부재가 수용된 곤로케이스이다.
한편, 혼합관(8)은 덕트(6B)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의 상류측단부(81)는 연료인 가스와 1차공기가 도입되는 도입부로서, 이 단면에는 1차공기의 도입구(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공급계(2)는 가스도입관(21), 밸브(22)및 선단이 상기 혼합관(8)안에 끼워진 노즐(23)을 가지고 있으며, 밸브(22)는 손잡이(24)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됨과 동시에, 상기 열전대(10)의 출력에 의하여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점화장치(3)는 스파크전극(9)과 압전소자와 이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기 위한 타격기구가 조합되어 있으며, 또 건전지와 고전압 펄스발생회로를 조합한 고전압 발생수단(32)과 함께 이것들을 접속하는 리이드선(33)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수단(32)은 통상 상기 손잡이(24)에 의해서 작동되며, 상기 밸브(22)를 여는 동작에 연동하여 스파크전극(9)에 불꽃을 일으켜 연료가스를 착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안전장치(4)는 열전대(10)와, 이 열전대(10)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22)의 밸브체를 열린상태로 유지시키는 상기 밸브(22)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목부(7a)내에서 발생된 불꽃에 의해서 가열된 열전대(10)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밸브(22)를 열린상태로 유지시키며, 또한 소화등으로 인하여 열전대(1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될때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의 작용에 의해서 밸브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어서, 곤로(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손잡이(24)를 돌리면 밸브(22)가 열리고, 이 밸브(22)의 하류에 연결된 노즐 (23)로부터 가스가 분출된다. 이 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1차공기의 도입구(82)에서는 이젝터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혼합관(8)안에서 혼합되어 버너보디 (6)의 혼합실(6A)안으로 공급된다.
또 상기 손잡이(24)의 동작에 연동하여 점화장치(3)가 작동하고 스파크전극 (9)에 의하여 불꽃이 생긴다. 이 불꽃에 의하여 화염구멍통로(13)로부터 외측둘레로 분출되는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가스가 착화되며, 불꽃을 생성하여 조리남비 (12)를 가열한다. 따라서 2차공기가 부착통부(72)내에서, 제3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같이, 보호판(90)과 버너캡(7)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시의 공기부족이 보충된다.
이때, 버너캡(7)의 오목부(7a)에서는 돌조들(74),(75),(76)사이에서 생성되는 작은불꽃(F0)(F1)이,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열전대(10)에 외접상태로 위치하여 열전대(10)에 대한 양호한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불꽃구멍형성부의 각 틈새에서 생성되는 불꽃(F2),(F3)은 화력조절에 의하여 가스량이 줄여졌을 때에도 열전대(10)를 사이에 두고서 양쪽측면에서 근접한 상태로 위치한다.
또, 화력조절에 의하여 가스량이 줄었을때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불꽃(F0)(F1)이 짧아져서 열전대(10)로부터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불꽃(F2),(F3)이 열대전(10)를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불꽃(F2),(F3)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하여 열전대(10)에 대한 가열상태는 양호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열전대(10)는 조리시에 화력조절의 유무에 관계없이 소정의 출력을 유지하므로 밸브(22)를 열린상태로 유지시킬수 있으며, 부주의하게 밸브를 닫음으로써 버너의 불꽃을 소화시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8도에서 나타내는 불꽃(F2),(F3)과같이 가스량을 줄이도록 화력조절 한 경우에는, 오목부(7a)를 돌조(74),(75),(76) 및 긴돌조(7B)(7C)의 전방영역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또 이 불꽃(F2)을 형성시키는 혼합가스가 돌조(7C)의 선단부(L)와 돌조(74)의 선단부(M)를 연결하는 부분을 분출구의 일부로 하고, 불꽃(F3)을 형성시키는 혼합가스가 돌조(7B)의 선단부(N)와 돌조(76)의 선단부(O)를 연결하는 부분을 분출구의 일보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불꽃 (F2),(F3)이 열전대(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극히 소량으로 가스량을 줄인 상태에서도 열전대(10)의 효과적인 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버너캡(7)상부에는 보호판(90)이 설치되어 있어, 조리남비(12)로부터 끊어넘쳐 흐르는 국물들이 이 보호판(90)위로 떨어진다. 따라서, 열전대(10), 스파크전지 (9) 및 2차공기가 통과하는 부착통부(72)의 내주부로 조리남비(12)로부터 끊어넘쳐 흐르는 국물등이 직접 떨어지지않기 때문에, 열전대(10)와 스파크전지(9)의 조기열화가 방지됨과 동시에, 2차공기의 유통부족이나 불꽃구멍의 구멍막힘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판(90)에는 돌출턱부(93)가 형성되어 있어, 다음과같은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판(90)위에 떨어진 국물등이 보호판(90)의 완만한 둥근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흘러 상기 돌출턱부(93)에 이르렀을 때에는, 국물등이 방울방울져서 떨어지는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돌출턱부(93)에 의해서 보호판 (90)위에서 신속하게 떨어진다.
또한 보호판(90)은 버너캡(7)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국물등으로 인하여 더러워졌을 때에는 보호판(90)을 때어내어 수도물등으로 간단하게 씻어낼 수 있다.
또한 2차공기는, 제3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부착통부(72), 끼워맞춤통부(6a)에서 버너캡(7)의 상면과 보호판(90)의 하면사이를 지나 돌출턱부(93)의 테이퍼부(93a)로 계속 안내되어 상부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2차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화염구멍통로(13)에서의 불꽃상태가 안정하게되어 리프트하기 쉬운 현상이 없어지므로, 연소성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서 조리남비(12)에 대한 가열상태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호파(90)을 버너캡(7)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하여 3㎜정도 바깥쪽으로 튀어 나오도록 설정하였으나, 튀어나오는 양은 3㎜의 길이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너캡(7)에 있어서의 제2오목부(7a)의 상측을 절결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은 버너캡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밖에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를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실(6A)로 하고, 상면에 개구연부를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한 버너보디(6)와, 이 버너보디(6)의 개구주연부에 상기 혼합실(6A)안을 향하여 움푹패이도록 형성한 제1오목부(62)(62a)와, 이 제1오목부(62)(62a)에 대응하는 제2오목부(7a)(7b)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보디(6)에 대한 장착시에 이들 오목부끼리가 합치되어 불꽃검지용 감열소자(10)및 스파크전극(9)을 수용하는 버너캡(7)과, 이 버너캡(7)의 외주부에 열지어 형성되며, 버너보디(6)에 장착되므로써 이 버너보디 (6)의 개구연부에 혼합실(6A)로부터의 혼합가스를 토출시키는 화염구멍통로 (13)를 형성하는 톱니모양의 돌조와, 이돌조중 상기 제2오목부(7a)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감열소자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 위치하는 작은 불꽃(F0),(F1)과 이 작은불꽃을 사이에 두고서 양 외측에 위치하여 큰불꽃(F2),(F3)이 발생되도록 형성한 불꽃 구멍형성부 (7P)를 구비하고 있으며, 화력이 중간이상으로 연소될 경우에는 주로 작은불꽃(F0), (F1)으로 감열소자를 가열하고, 약한 화력으로 연소될 경우에는 주로 큰 불꽃(F2),(F3)으로 감열소자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용 버너.
KR2019910023850U 1987-11-30 1991-12-24 곤로용 버너 KR920001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850U KR920001427Y1 (ko) 1987-11-30 1991-12-24 곤로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19787 1987-11-30
KR1019880015534A KR890008522A (ko) 1987-11-30 1988-11-25 곤로용 버너
KR2019910023850U KR920001427Y1 (ko) 1987-11-30 1991-12-24 곤로용 버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534A Division KR890008522A (ko) 1987-11-30 1988-11-25 곤로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27Y1 true KR920001427Y1 (ko) 1992-02-24

Family

ID=2733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850U KR920001427Y1 (ko) 1987-11-30 1991-12-24 곤로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427Y1 (ko) 곤로용 버너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910006869B1 (ko) 곤로용 버너
JP3524689B2 (ja) ガス調理器
KR920000389Y1 (ko) 곤로용 버너
JPH0335582B2 (ko)
KR920003279Y1 (ko) 곤로용 버너
KR920000599B1 (ko) 곤로
KR910007495Y1 (ko) 곤로용 버너
JPH01142309A (ja) こんろ用バーナ
JPH01159510A (ja) こんろ用バーナ
JPH0427448B2 (ko)
KR920000390Y1 (ko) 곤로용 버너
JPH0262772B2 (ko)
JPH041250B2 (ko)
JPH0249457Y2 (ko)
JPH0810045B2 (ja) こんろ用バーナ
JPH1047681A (ja) ガスこんろ
JPH0432285B2 (ko)
KR0182671B1 (ko) 곤로버너
JPH0441244B2 (ko)
JPS63259321A (ja) コンロバーナ
JPH0411765B2 (ko)
JP2696193B2 (ja) ガスバーナ
JPH01142308A (ja) こんろ用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