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068B1 -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068B1
KR910006068B1 KR1019880002671A KR880002671A KR910006068B1 KR 910006068 B1 KR910006068 B1 KR 910006068B1 KR 1019880002671 A KR1019880002671 A KR 1019880002671A KR 880002671 A KR880002671 A KR 880002671A KR 910006068 B1 KR910006068 B1 KR 91000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xhaust
valve
gas
valve body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844A (ko
Inventor
기요시 후지노
겐지 이시모토
미노루 구리야마
고우세이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우베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시미즈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56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248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831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4982B2/ja
Application filed by 우베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시미즈 야스오 filed Critical 우베코우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14Machines with evacuated di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14Machines with evacuated die cavity
    • B22D17/145Vent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12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개스배기밸브 근방의 일부절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제3실시예의 일부변형예들인 제4 내지 제6실시예의 밸브근방의 부분 종단면도.
제5도는 제7실시예에서의 개스배출통로근방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스배출통로근방의 종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금형 12 : 개스배기장치
13 : 개스배기블럭 14 : 캐비티
15 : 개스배기통로 16 : 원추형구멍
17 : 원통구멍 18 : 스푸울
18a : 작은직경계단부 19 : 밸브체임버
20 : 개스배출구 21 : 밸브시이트
22 : 밸브 23 : 밸브로드
24 : 밸브체 24a : 밸브부
24b : 밸브헤드 25 : 개스배출통로
26 : 바이패스 27 : 용탕포집부
38 : 제2스푸울 38a : 제2밸브체임버
38b : 개스배출구멍 38c : 원추부
38d : 연통구멍 40,41 : 용탕포집부
45 : 좁힘부 224 : 밸브체임버
본 발명은 금형용 개스배기(排氣)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캐스팅기라던가 사출성형기같은 사출성형장치로 성형작업을 할 때 금형의 캐비티로부터 대량의 개스를 뽑아내기 위한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이캐스팅기가 정밀한 제품을 다량으로 주조하는 장치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용탕이 고속·고압으로 캐비티내로 충전되기 때문에 캐비티내의 개스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용탕과 혼입되어 제품에 흠집으로 남아, 흠집없는 완전성이 중시되는 제품에는 적합치 못한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특허 제4,431,047호(이하 '047특허라함)에 기재된 것과 같은 캐비티내의 대량의 개스를 확실하고 쉽게 뽑아내어 흠집이 없는 다이캐스팅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금형용 개스배기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도 한데, 그 장치는 금형의 분할면(또는 접합면)에 개스배기통로가 갖춰져 이 개스배기통로가 캐비티와 연통시켜지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 '047특허에 기재된 장치는,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된 밸브체와, 금형의 캐비티로부터 개스가 배출되는 통로로 되는 바이패스를 갖추고 있기도 한데, 이 바이패스는 개스배기통로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밸브체임버로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를 왕복하도록 되어 있는바, 즉 밸브체가 개방위치에서는 바이패스에 채워져 있는 개스를 밸브체임버를 통해 배출시키는 한편, 폐쇄위치에서는 바이패스와 개스배기용 홈을 폐쇄시켜 용탕이 밸브체임버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해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체는 캐비티의 끝부위가 되는 개스배기통로의 끝에서 이 개스배기통로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047특허는 사출형성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캐비티내에 들어있던 개스가 바이패스와 밸브체임버를 통해 배출시켜지도록 되어 있어서, 만일 용탕이 캐비티에 채워져 개스배기통로의 윗끝에 도달하면 용탕의 질량에 따른 관성력으로 개방위치에 있던 밸브체가 폐쇄위치로 밀려지면서 폐쇄시켜지게 됨으로서, 바이패스와 개스배기통로도 함께 폐쇄되어 용탕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047특허는 여러 적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도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는바, 즉 개스배기통로로 유입되는 용량의 유입속도가 늦고 유량이 적어 발생하는 관성력이 작은 경우에는 밸브체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게 되는 일이 가끔 있게 되고, 또 진공장치가 사용되기 때문에 가끔 용탕의 일부가 밸브체에 작용하기 전에 용탕이 일부가 우회하도록 되어 있는 바이패스로 흐르게 되는 경우도 있어, 드물기는 하지만 용탕이 작은 입자형상으로 되어 밸브헤드의 상부 경사진 바깥면이나 밸브시이트에 부착되어 굳게 됨으로써 밸브를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게 한다거나 용탕이 밸브체임버내에 침입해서 손상을 입히고, 또 밸브체임버 바깥으로 용탕이 분출된다거나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밸브가 확실히 폐쇄시켜지고, 용탕이 밸브체임버내로 침입하거나 외부로 분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밸브체에 작용하는 용탕의 관성력이 작더라도 밸브가 확실히 폐쇄시켜지게 됨과 더불어, 캐비티내의 개스를 확실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금형용 개스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밸브의 밸브체형상이 개스배기통로쪽으로 돌출되는 대략 원추형상을 하면서, 개스배기통로의 끝부위가 원추형상으로 된 밸브체의 표면을 따라 밸브체 외주면부의 근원부근까지 연장된 통로로 되고, 이 통로의 끝부위에 바이패스의 앞끝부위가 연통시켜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탕이 캐비티로 유입되면 캐비티내에 들어있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와 개스배출통로 및 밸브체임버를 거쳐 다이캐스팅기 밖으로 배출되는 한편, 용탕은 개스배출통로로부터 밸브체의 원주면을 따라 개스배출통로를 거쳐 진입하게 되나, 이 용탕은 바이패스로 침입하기 전에 그 전량이 밸브체에 작용해서 용탕의 관성력에 의해 밸브가 완전히 폐쇄시켜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금형의 분할면을 따라 잘라 개스배기용 밸브와 함께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금형(11)은 도면의 지지면을 경계로 앞뒤로 분할되어져 있고, 이 금형(11)에 접합된 개스배기장치(12)의 개스배기 블럭(13)도 분할면을 따라 분할되어져 있다.
그리고 금형(11)에는 캐비티(14)가 형성되어 있고, 개스배기블럭(13)에는 캐비티(14)에 연속해서 이 캐비티(14)의 단면보다 약간 작은 단면을 갖는 개스배기통로(15)와 이 개스배기통로(15)에 연속해서 윗부분이 잘려진 직경이 큰 원추형구멍(16) 및 원통구멍(17)이 형성되어 개스배출구(20)와 연통되는 통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구멍(17)에는 중공의 원통체형상으로 된 스푸울(18)이 끼워지면서 그 외벽에는 내부의 밸브체임버(19)와 외부 또는 진공장치를 연통시키는 개스배출구(20)가 뚫려져 있고 또 상기 스푸울(18)의 아래 끝에는 밸브시이트(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22는 밸브로드(23)와 밸브체(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도록 된 밸브인바, 도면에서는 밸브(22)가 하사점에 위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밸브(22)의 밸브체(24)는 상승했을 때 밸브시이트(21)와 접해지는 원반형상으로 된 밸브부(24a)와, 상기 끝이 잘려진 원추형구멍(16)의 원추면과 상사형을 이루면서 그보다 약간작은 끝이 잘린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밸브헤드(24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밸브헤드(24b)와 끝이 잘린 원추형구멍(16)의 원추면사이에는 밸브(22)가 하사점에 위치했을 때 도면에서 부호 t로 나타내어진 폭을 갖는 개스배출통로(25)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바, 이 개스배출통로(25)는 밸브체(24)의 근원부가 되는 원반형상의 밸브부(24a)의 외주면부위까지 연장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개스배출통로(25)의 양옆쪽에는 삼각형상으로 우회하는 바이패스(26)가 개스배출통로(25)의 뒷끝부위 및 밸브부위(24a)에 그 앞끝과 뒷끝을 각각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27은 바이패스(26)의 각 꺾어지는 부위에 형성된 용탕포집부이다.
한편 제1도에서 참조부호 101은 적절한 체결수단으로 개스배기블럭(13)에 부착된 브래킷인바, 이 브래킷(101)에는 유압실린더(102)가 고정되어 그의 유압으로 전진·후퇴하는 피스톤로드(102a)의 작용부인 플랜지(102b)에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의 본체가 지지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플랜지(102b)에 보울트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의 본체에는 지지부재(104)에 의해 그 윗끝부위가 물어잡혀진 스푸울(18)이 갖춰져 있고, 이 스푸울(18)의 아랫 끝에 형성된 작은직경계단부(18a)가 개스배기블럭(13)의 원통구멍(17)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사출성형작업을 할 때 이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의 본체를 가지고 캐비티(14)내의 개스를 배출한다던지 밸브(22)를 폐쇄시킬 때에는 피스톤로드(102a)가 아래로 전진해서 작은직경계단부(18a)와 원통구멍(17)이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끼워맞춰지게 되고, 사출이 끝나 금형을 벌려 밸브헤드(24b) 등을 청소할 때에는 피스톤로드(102b)가 윗쪽으로 후퇴해서 작은직경계단부(18a)와 원통구멍(17)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작은직경계단부(18a)와 밸브체(24)가 개스배기블럭(13)밖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푸울(18)은 상·하부재(18b,18c)로 분할되어져 있고, 이들 사이에는 밸브체임버(19)내에 끼워맞춰지도록 된 밸브안내부재(107)인 플랜지가 끼워지면서 상·하부재(18b,18c)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로드(23)의 윗끝부위에는 상기 상부부재(18b)의 내부구멍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108)이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금형(11)의 캐비타(14)내로 용탕이 사출되면 캐비티(14)에 들어있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15)와 개스배출통로(25)를 거쳐 바이패스(26)로 들어가 밸브부(24a)와 밸브시이트(21)사이의 통로를 지나 밸브체임버(19)의 유입된 다음 개스배출구(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지게 되는바, 이 경우 개스배출구(20)에 진공장치를 접속시켜 개스를 흡인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용탕이 캐비티(14)에 충만되면 일부가 개스배기통로(15)로 넘쳐 개스배출통로(25)의 입구(16a)에 도달해서 이 개스배출통로(25)를 따라 올라가게 되고, 이렇게 개스배출통로(25)를 따라 올라온 용탕은 바이패스(26)로 들어가기 전에 그 전체가 밸브체(24)의 아랫부분인 끝이 잘린 원추형상의 밸브헤드(24b) 표면에 큰 질량의 관성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밸브(22)가 상승해서 밸브시이트(21)에 확실하게 압접되어 통로를 완전히 폐쇄시키게 되므로, 용탕이 밸브체임버(19)내로 침입하지 못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도에 대응해서 도시한 개스배기밸브근방의 일부절개단면도로서, 이는 밸브헤드(24b)의 외면과 원추형구멍(16)의 내면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히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같은 작용을 하는 외에 용탕이 계단형상을 한 개스배출통로(25)를 통과할 때 흐름에 저항이 부여되기 때문에 용탕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밸브(22)가 보다 확실하게 폐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스배출통로(25)를 앞이 좁게 한다거나 좁힘부를 갖도록 형성시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참조부호 101내지 107은 제1도로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형(11)은 도면에서 지면을 경계면으로 앞·뒤쪽으로 분할되면서 이 금형(11)에 접합된 개스배기장치(12)의 개스배기블럭(13)도 같은 분할면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 금형(11)내에 캐비티(14)가 형성되고, 개스배기블럭(13)에는 캐비티(14)에 연속되는 개스배기통로(15)와 이 개스배기통로(15)에 연속되는 직경이 큰 원추형구멍(16) 및 원통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개스배기통로(15)는 캐비티(14)와 연통되면서 이 캐비티(14)보다 단면이 조금 작은 단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구멍(17)에는 중공형상으로 되어 밸브역할을 하는 밸브로드(23)에 결합된 제2스푸울(38)이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금형(11)쪽으로 밀어붙혀져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면서, 그 외벽에는 이 제2스푸울(38)이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스푸울(18)의 하부부재(18c)외벽에 형성된 개스배출구(20)와 일치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개스배출구(38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된 제2스푸울(38)이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끝이 잘린 원추부(38c)의 하부면과 상기 원추형구멍(36)이 바닥면이 마주보게 되어 단면이 V자형상으로 한쌍의 개스배출통로(25)가 형성되고, 이 개스배출통로(25)에는 바깥쪽을 향해 점차 가늘어지는 좁힘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40은 원통구멍(17)의 아래끝 가장자리에 접해서 형성된 한쌍의 용탕포집부로서, 이들 용탕포집부(40)는 개스배출통로(25)와의 사이에 좁힘부(25a)를 매개로 연통되어 있고, 또 이들 용탕포집부(40)의 윗쪽에 또 한쌍의 용탕포집부(41)가 마련되어 제2스푸울(38)의 외벽에 뚫려진 연통구멍(38d)을 매개로 밸브체임버(19)와 연통된 제2밸브체임버(38a)와 연통되어져 있다. 또한 이들 용탕포집부(40,41)는 제2스푸울(38)의 작동통로인 원통구멍(17)의 옆쪽으로 우회하는 바이패스(26)로 연통되고, 바이패스(42)의 꺽어지는 모서리에는 용탕포집부(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바이패스(26)의 용탕포집부(40)쪽 입구에는 좁힘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3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금형(11)의 캐비티(14)내로 용탕이 사출되면 캐비티(14)내에 들어 있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15)와 개스배출통로(25)를 거쳐 용탕포집부(40)로 유도되고 나서 바이패스(26)와 용탕포집부(41) 및 연통구멍(38d)을 거쳐 제2밸브체임버(38a)로 유입된 다음 개스배출구(38b,2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개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스배출구(20)에 진공장치를 접속시켜 개스를 흡인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2스푸울(38)의 아랫쪽에는 개스가 뽑아지기에 충분한 통로인 개스배출통로(25)가 형성되게 된다.
용탕이 캐비티(14)에 채워지면 개스배기통로(15)로 넘쳐 개스배출통로(25)의 기부에 도달해서 그의 큰 질량이 갖는 관성력이 제2스푸울(38)의 원추면부(38c)의 표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제2스푸울(38)이 상승하여 연통구멍(38d)과 용탕포집부(41), 개스배출구(20)와 개스배출구멍(38d)이 대응하지 않게 됨으로써 용탕이 제2밸브체임버(38a)내로 침입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상기 개스배기통로(15)로 유입되는 용탕의 유입속도가 늦어 관성력이 작은 경우, 종래의 개스배기장치에는 제2스푸울(38)이 상승하지 않았으나, 본실시예 개스배기장치에서는 개스배출통로(25)에 좁힘부(25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좁힘부(25a)가 개스흐름의 저항으로 작용해서 개스배기통로(15) 및 개스배출통로(25)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압력이 제2스푸울(38)에 작용하여 이 제2스푸울(38)을 상승시켜 연통구멍(38d)을 폐쇄하게 됨으로써 제2밸브체임버(38a)내로 용탕이 침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용탕은 밸브체임버(38a)로 침입하지 못하고 용탕포집부(40)를 거쳐 바이패스(26)로 들어가게 되나, 이 바이패스(26)의 입구에는 좁힘부(45)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탕의 통과에 저항을 받게 되어, 개스배출통로(25) 및 개스배기통로(15)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다시 더 커져 밸브를 폐쇄시키는 동작을 촉진하게 된다.
또 바이패스(42)에는 용탕포집부(40,41,27)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탕의 흐름이 지연되어 제2밸브체임버(38a) 입구에 도달하는 것이 지연되게 되므로써, 밸브가 폐쇄되는 타이밍보다 빨리 용탕이 제2밸브체임버(38a)입구에 도달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제3도로 도시된 제3실시예에 대응해서 도시한 개스배기밸브근방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에서는 용탕포집부(40) 개스배출통로(25)의 좁힘부(25a)아래쪽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기타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같은 부호를 붙이면서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은 스푸울식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 적용한 예에 관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을 제5도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시이트식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을 밸브시이트식 개스배기장치에 적용한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 개스배기밸브근방의 부분종단면도로서, 도면에는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것인바, 이들 각 실시예에 대해서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히면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스배기블럭(13)에는 밸브체임버(19)가 갖춰지면서 이 밸브체임버(19)의 외벽에 외부와 연통하는 개스배출구(20)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밸브체임버(19)의 아랫쪽에는 밸브시이트(21)가 형성되어있다. 또 참조부호2는 밸브로드(23)와 밸브체(24)로 이루어진 밸브로서, 밸브체(24)에는 밸브시이트(21)에 끼워맞춰져 접합되는 표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밸브체(24)가 원추형구멍(16)내를 승강함으로써 밸브시이트(21)가 개폐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24)가 도시된 것과같이 하사점에 위치하면 그 하부끝 원추부(24b)의 표면이 원추형상구멍(16)의 하부끝의 원추면(16a)과 가까워지게 되는바, 이 원추면(16a)과 상기원추부(24b)의 표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개스배출통로(25)에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좁힘부(25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밸브체(24)의 끝면에는 오목부(24c)가 형겅되어 밸브체(24)가 용탕의 관성력을 보다 쉽게 수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왼쪽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는 용탕포집부(40)가 좁힘부(25a) 아랫쪽에 형성되어 있고, 오른쪽에 도시된 제6실시예에서는 용탕포집부(40)가 좁힘부(25a)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제5 및 제6실시예에 의하면, 캐비티(14)내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15)와 개스배출통로(25), 바이패스(16) 및 밸브시이트(21)를 차례로 거쳐 밸브체임버(19)로 들어간 다음 개스배출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캐비티(14)에서 넘친 용탕은 밸브체(24)의 아랫면에 부딪혀 그 관성력으로 개스밸브(22)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밸브체(24)가 밸브시이트(21)에 압접되어 통로가 폐쇄시켜지게 된다. 그런데 용탕이 유입되는 속도가 늦어 관성력이 작은 경우 좁힘부(25a,45)에 의한 저항으로 개스배출통로(25)와 개스배기통로(15)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써, 밸브시이트(21)가 밸브체(24)와 압접된 상태로 되어 통로가 폐쇄시켜지게 되는 점은 앞의 실시예와 같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스배출통로근방의 종단면도인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6실시예에서의 개스배출통로(25)에 상응되는 용탕배출통로(25)가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이 개스배출통로(25)에 좁힘부(25a)가 마련되어 있는 점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와 같다. 여기서 개스배출통로(25)의 계단부를 형성하게 되는 밸브체(24)의 표면 계단부와 개스배기블럭(13)에 형성된 원추형구멍 계단부가 일치하고 있지는 않으나, 좁힘부(25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이 계단형상으로 된 통로벽에 의해 저항이 부여되어 좁힘부(25a)의 저항과 상승작용을 하게 되어 밸브의 폐쇄동작이 더욱 확실해지게 된다.
한편 바이패스(26)근방에 냉각수순환구멍을 설치해서 냉각수를 통과시켜 넘친 용탕을 냉각시키도록 하면 통로의 저항이 커져서 밸브의 폐쇄동작이 보다 더 확실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 있어서는, 밸브체(24)가 대략 원추형상으로 되면서 개스배기통로(15)의 끝부위가 원추형상 밸브체(24) 표면을 따라 밸브체 외주면의 근원부 부근까지 뻗은 개스배출통로(25)를 이루면서 이 개스배출통로(25)가 끝나는 끝부위에 바이패스(26)의 입구부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14)에서 넘친 용탕이 개스배기통로(15)로부터 밸브체(24)의 원추면을 따라 개스배출통로(25)내로 진입하게 되나, 이때 용탕은 바이패스(26)로 들어가기 전에 그 전량이 밸브체(24)에 작용하기 때문에 밸브가 확실히 폐쇄되어 용탕이 밸브체임버(19,38a)내로 침입한다거나 외부로 분출되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됨으로써, 개스배기장치의 내구성과 개스배기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밸브체(24)의 대략 원추형상으로 된 표면을 따라 형성된 개스배출통로(25)의 끝부위에 바이패스(26)의 입구부위가 연통됨과 더불어, 이들이 연통되는 연통부위근방에 개스는 통과할 수 있지만 용탕의 통과에는 저항을 부여하는 좁힘부(45,2 5a)가 형성됨으로써, 용탕이 밸브체(24)의 원추면을 밀어 밸브를 폐쇄시키는 효과를 갖게 됨과 더불어, 밸브체(24)에 작용하는 용탕의 관성력이 작더라도 좁힘부(25a,45)부로 인한 저항으로 개스배출통로(25)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밸브가 확실하게 폐쇄시켜지게 됨으로서, 용탕이 밸브체임버(19,38a)내로 침입한다던지 외부로 분출된다거나 하는 일이 없어 개스배기장치의 내구성과 개스배기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스배출통로(25)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스의 배출능력에 있어 문제가 있고, 또 밸브체(24)의 헤드부와 개스배출통로(25)의 형상으로 말미암아 헤드부에 작용하는 용탕의 관성력이 항상 반드시 최적상태는 되지 않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고정금형 또는 가동금형의 금형분리면부위에 개스배기블럭(13)이 부착되면서 그 상부면에 고정된 브래킷(101)에는 유압실린더(102)4에 고정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102)의 유압으로 전진·후퇴하는 피스톤로드(102a)의 작동단인 플렌지(102b)에는 그 전체가 참조부호 12로 나타내어진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의 본체가 그 상부끝이 지지부재(104)를 매개로 보울트에 의해 고정되어, 이 플랜지(121b)가 피스톤 로드(212a)의 작동선단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 본체는 그 상단부가 지지부재(214)에 의해 물어잡혀진 바닥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스푸울(18)을 갖추면서, 이 스푸울(18)의 하부 끝에 형성된 작은직경계단부(18a)가 개스배기블럭(13)의 원통구멍(17)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사출성형시 개스배기장치(12)를 써서 캐비티(14)의 개스를 배출한다거나 밸브를 폐쇄시킬 때에는, 피스톤로드(102a)가 전진해서 작은직경계단부(18a)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구멍(17)에 끼워맞춰지게 되고, 사출이 끝난 다음 금형(11)을 벌려 밸브체(24)의 헤드부등을 청소할 때에는, 피스톤로드(102a)가 후퇴해서 작은직경계단부(18a)가 원통구멍(17)에서 빠져나와 작은직경계단부(18a)와 밸브체(24)가 개스배기블럭(13)밖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푸울(18)은 상·하부부재(18b,18c)로 분할되면서 그 사이에는 밸브체임버(19)에 끼워맞춰진 밸브안내부재(107)의 플랜지가 물어잡혀짐으로써 이들 상·하부부재(18,215c)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08은 밸브안내부재(107)의 윗쪽에 위치해서 스푸울(18)의 상부부재(18b)의 내부구멍(18d)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 피스톤으로써, 그 중심나사구멍에는 밸브안내부재(107)의 내부구멍(107a)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스푸울(18)이 아랫끝 작은직경계단부(18a)내를 관통하는 밸브로드(23)의 나사부가 끼워져 일체화되어 있고, 이 밸브로드(23)의 아랫끝에는 뒤에 설명되는 밸브체(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스배기블럭(13)과 이에 접합되어 고정된 금형(11)은 도면의 지면을 경계로 전후쪽으로 분할되면서 금형(11)내에는 캐비티(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개스배기블럭(13)에는 캐비티(14)와 연속되는 개스배기통로(15)가 형성되면서 이 개스배기통로(15)와 스푸울(18)이 끼워지는 원통구멍(17)사이에 큰직경구멍부(224a)와 작은직경구멍부(224b)로 계단진 원통형상의 제2밸브체임버(2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4)는 제2밸브체임버(224)의 작은직경구멍부(224b)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 원주형상의 큰 직경부(24a)와 이 큰직경부(24a)에서 개스배기통로(15)쪽으로 돌출된 테이퍼면을 가진 작은직경부(24b)로 계단형상을 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중심부 끝면쪽에는 직경이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추형 오목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4)의 기부쪽에 형성된 플랜지부(24d) 윗끝 외주면에는 스푸울(18)의 아랫끝내면에 형성된 밸브시이트(21)와 더불어 밸브개폐부를 구성하는 테이퍼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즉, 캐비티(14)로부터 넘친 용탕이 밸브체(24)를 위로 밀어 테이퍼부(24e)가 밸브시이트(21)에 압압되어져 밸브가 폐쇄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가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으로 피스톤(108) 윗쪽의 체임버에 압축공기 또는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밸브가 개방도도록 할수도 있으나, 이러한 메커니즘은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고 그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였다. 또 압축공기 또는 오일을 피스톤(108) 아랫쪽체임버로 공급함으로서 밸브가 강제적으로 폐쇄시켜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개스배기통로(15)에 연속되는 개스배기통로(25)는 밸브체(24)의 테이퍼면을 가진 작은직경부(24b)의 끝면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개스배기통로(15)와 연통하는 통로(25)와 작은직경부(24b)의 측면부로부터 시작해서 밸브시이트(21) 바로 앞의 구멍부(16)와 연통하는 한쌍의 바이패스(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7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바이패스(26)가 옆쪽으로 조금 가다가 일단 아래쪽으로 꺽어진 다음 다시 바깥쪽으로 조금 가다가 윗쪽으로 뻣고 나서 마지막으로 안쪽으로 꺽어져 밸브시이트(21) 바로 앞부위에 이루도록 되어 있다. 단 여기서 바이패스(26)가 필요한 만치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만 있다면 형상이 달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스푸울(18)내부의 밸브체임버(19)에는 개스배출구(20)가 뚫려져 있어서, 밸브가 개방되면 캐비티(14)내에 들어 있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15)와 개스배출통로(25), 바이패스(26) 및 제2밸브체임버(224)의 윗쪽인 큰직경구멍부(224a)내를 거쳐 스푸울(18)내의 밸브체임버(19)로 들어간 다음 개스배출구(2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밸브체임버(224)의 작은직경구멍부(224b)내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밸브체(24)의 큰직경부(24a)두께가, 밸브가 개방되어진 상태에서의 밸브시이트(21)와 테이퍼부(24e)사이의 축선방향거리보다 두껍게 되어 밸브가 폐쇄시켜질 때 용탕이 큰직경부(24a)의 외주면을 통해 제2밸브체임버(224)의 큰직경구멍부(224a)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4)의 테이퍼면을 갖는 작은직경부(24b)의 축방향 길이로 밸브가 개방되었을때의 작은직경부(24b)의 근원부로부터 옆쪽으로 뻗은 바이패스(26)의 축방향길이는 될 수 있으면 바이패스(26)폭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거나 또는 바이패스(26)의 폭에 밸브의 열림정도칫수를 더한 칫수보다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개스배기통로(15)로부터 밸브체(24)의 끝면을 수평방향을 따라 들어간 용탕이 간단히 바이패스(26)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개방상태일 때 밸브체(24)의 경사면을 갖는 작은직경부(24b)의 외주면과 끝면을 따라 형성된 통로(25)는 적당히 좁혀진 상태로 형성된 통로로써, 개스의 배출능력은 충분하지만 용탕을 잘 지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도록 된 칫수로 되어 있는바, 즉 통로(25)중 밸브체(24)의 끝면을 따르는 부분은 아랫쪽의 면이 앞이 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밸브체(24)의 끝면 외주부근에서 용탕의 흐름을 좁혀 방해하도록 되어 있는바, 단 이 좁힘부는 밸브가 개방되어 용탕이 밸브체(24)에 부딪히는 순간에는 유효하게 작용하지만, 일단 밸브가 폐쇄되기 시작하면 이곳의 공간이 급격히 넓혀져 방해효과가 곧 희박해지고 만다.
이에 반하여 밸브체(24)의 경사면을 갖는 작은직경부(24b) 외주에 형성된 통로(25)부분은, 개스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는 범위로 접혀져 있으면 밸브가 폐쇄되기 시작하더라도 방해효과가 거의 변하지가 않아 밸브체(2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좁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좁힘부가 밸브체(24)의 작은직경부(24b)의 외주면과 끝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스는 쉽게 통과하여도 용탕은 쉽게 지나가기 어렵게 된다.
또 작은직경부(24b)는 반드시 테이퍼면을 갖지 않고 원추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나, 완만한 테이퍼형상을 하고 있으면 용탕흐름방해 효과 뿐만 아니라 사출된 다음 응고된 금속부분으로부터 밸브체(24)를 뽑아낼 때에도 원활히 작용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
한편, 밸브체(24)의 끝면에는 내부로 향한 원추형 오목부(24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추형 오목부(24c)는 그 입구직경이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크게 되어 있는바, 이는 개스배기통로(15)에 직접 돌진해오는 용탕의 최초부분을 이 원추형 오목부(24c)내로 확실히 유입시켜 용탕이 개스배기통로(25)로 진행하기 전에 밸브가 신속하고 확실하게 폐쇄시켜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밸브체(24)에 오목부(24c)를 형성시키는 다른 이유는 자체의 중량을 가볍게 해서 밸브체(24)가 보다 작은 힘으로도 밀어올려지도록 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또 상기 오목부(24c)가 원추형으로된 것은 응고된 용탕으로부터 밸브체(24)가 쉽게 뽑아내어지도록 하는 경사를 갖도록 하는 한편, 밸브체(24) 자체의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제8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금형용 개스배기장치(12)의 본체를 제7도에 도시된 상태로 셋트시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금형(11)의 캐비티(14)내로 용탕을 사출시키면, 캐비티(14)내의 개스가 개스배기통로(15)을 거쳐 개스배기통로(25)로 들어가 양쪽의 바이패스(26)로 갈라진 다음 우회해서 밸브시이트(21)직전의 밸브열림부를 지나 스푸울(18)의 밸브체임버(19)로 들어가 개스배출구(20)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지게 된다.
이 경우 개스배출통로(25)의 단면적은 개스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정도로 설정되면서 이에 비교적 넓은 바이패스(26)가 연통되어져 있기 때문에, 개스가 쉽게 통과할 수 있고 개스배출능력도 크게 된다. 또 개스가 개스배출통로(20)에 의해 대기와 연통되어져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개스배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진공장치와 솔레노이드스위칭밸브(도시안됨)를 접속시켜 개스를 진공흡인하는 일이 많다.
이어 용탕이 캐비티(14)에 채워지게 되면 이 용탕이 개스배기통로(15)내를 기세좋게 상승해서 개스배출통로(25)로 들어가기 전에 밸브체(24)의 작은직경부(24b)의 끝면에 확실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밸브체(24)가 상승하게 되어 테이퍼(24e)가 밸브시이트(21)에 밀착시켜지게 되어 밸브가 확실하게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그런 다음 용탕이 개스배출통로(25)를 거쳐 바이패스(26)로 나아가기 때문에, 바이패스(26)로 들어간 용탕이라던가 응고된 작은용탕덩어리가 밸브의 개폐부위에 끼인다던지 스푸울(18)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 경우,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밸브체(24)의 작은직경부(24b)의 수평한 끝면을 따른 개스배출통로(25)는 밸브체(24)의 외부면쪽이 어느정도 좁혀진 상태로 되어 있고, 또 작은직경부(24b)의 외주면도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밸브체(24)의 외주면을 따른 개스배출통로(25)로 어느정도 좁혀져 있기 때문에, 개스는 충분히 배출될 수 있으나 용탕은 이 좁힘부의 작용으로 개스배출통로(25)를 통과해서 바이패스(26)로 원활히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작은직경부(24b)의 끝부분과 외주면부 양쪽에서 좁혀진 상태로 되나, 밸브가 폐쇄되기 시작하면 작은직경부(24b)의 외주면부만 밸브가 페쇄되는 동작에 따라 작은직경부(24b)의 끝면쪽 좁힘부의 방해작용이 급격히 낮아진다 하더라도 이때에는 밸브가 폐쇄시켜져 있을 때이기 때문에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용탕이 개스배출통로(25)와 바이패스(26)로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는 한편, 밸브체(24)의 끝면에서 안쪽으로 원추형 오목부(24c)가 형성되어 밸브체(24) 자체를 조금이라도 가볍게 해서 밀어올리기 쉽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원추형 오목부(24c)의 입구부직경이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개스배기통로(15)으로부터 기세좋게 직진해온 최초의 용탕이 거의 전부 원추형 오목부(24c)내로 들어가 밸브체(24)를 쉽게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24)에 용탕이 확실하게 작용하는 효과와, 용탕을 개스배기통로(25)와 바이패스(26)쪽으로 가능한 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개스배출통로(25)의 좁힘부에 의해 진행방해효과가 상승되어 용탕이나 용탕의 비말이 밸브시이트(21)라던가 그 다음부위에 끼이지 않게 되어 밸브가 매번 확실하고 신속히 폐쇄시켜질수 있게 된다.
또 이와같이 구성됨으로써 개스배기통로(15)로부터 용탕이 다량 굳어져 직진하게 되는 경우는 물론, 소량의 용탕이 직진하여오는 경우나 속도가 다소 약한 용탕이 다가오는 경우와 같이 용탕의 탄성력이 조금 약한 경우에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밸브가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이어, 용탕이 가압·냉각되게 되면 개스배기탕치(12)의 본체를 실린더(12)로 상승시켜, 개스배기통로(15) 및 개스배기통로(25)와 바이패스(26)에 채워져 있는 응고된 금속으로부터 밸브체(24)를 뗀 다음 금령을 벌려 제품을 뽑아낸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제7도로 도시된 제8실시예와 거의 유사해서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체(24)가 밸브개방시에 밸브시이트(21)에 밀착시켜지는 테이퍼부(24e)가 상측 외주면부에 형성된 큰직경부(24a)와 테이퍼면을 갖는 작은직경부924b)로 2단 계단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7도에 도시된 상부쪽의 플랜지(24d)가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24d)에 상당하는 부분이 큰직경부(24a)가 되도록 하였다.
또 밸브체(24)가 위치하는 밸브체임버(224)의 하부쪽에 형성된 작은직경구멍부(224b)이 상하 2단의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쪽이 다시 작은직경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더서, 밸브체(24) 및 스푸울(18)의 직경이 얼마간 작아지게 되어 개스배기장치가 콤펙트화되고 밸브를 조금이라도 가볍게 해서 움직이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에 부호 ℓ로 나타내어진 계단부의 폭을 넓혀놓으면, 개스가 보다 더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개스배출능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 제8도에서는 일부러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 작은직경부(24b)의 끝면이 평면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작은직경부(24b)의 끝면에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오목부를 형성시켜 용탕의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되도록 함과 가볍게 해서 밸브가 쉽게 폐쇄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 있어서 캐비티로부터 개스배기통로를 지난 윗쪽으로 넘쳐 나오는 용탕이 밸브체의 끝면부와 외주면부로 한정시켜지는 개스배출통로에서 진행이 방해됨으로서 용탕이 비교적 쉽게 통과할 수 없게 되고, 또 용탕이 바이패스에 이르기 전에 용탕의 전중량의 관성력형태로 밸브레의 작은직경부 끝면애 작용하게 됨으로써, 밸브가 확실하게 폐쇄되게 되며, 또 용탕이나 응고된 용탕입자들이 밸브체임버로 유입된다거나 외부로 분출되지 않게 되어 가스배기장치의 내구성 및 개스배기동작의 안전도가 행상되게 된다.
또한 밸브체에 개스배기통로의 직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오목홈을 형성시켜 놓으면 용탕이 밸브헤드에 보다 쉽게 작용할 수 있게 되어 밸브의 폐쇄동작이 보다 빠르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9)

  1. 금형(11)의 캐비티(14)와 연통하는 개스배기통로(15)의 끝부위와 연통된 원추형상구멍(16)내에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캐비티(14)로부터 넘쳐나오는 용탕의 작용으로 상승이동하도록 된 밸브(22)와, 상기 원추형상구멍의 도중에서 상기 밸브의 이동방향옆쪽을 우뢰해서 개스를 밸브체임버(19,38a)로 유도하는 바이패스(26)을 갖춘 금형용 개스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22)의 밸브체(24)형상이 이상기 개스배기통로쪽으로 돌출하는 대략 끝이 잘린 원추형상으로 되고, 상기 원추형상구멍(16)의 내부에 배치된 밸브체924)의 외주면을 따라 밸브체(24)의 근원부근까지 뻗어 형성된 개스배출통로(25)가 형성되면서 이 개스배출통로(25)의 끝부위에 상기 바이패스(26)의 입구부가 연통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26)의 입구가 연통되는 개스배출통로(25)의 끝부위근처에 좁힘부(2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의 끝면부에 오목부(24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4c)의 직경이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26)의 각 모서리에 용량포집부(27,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의 외주면이 계단형상으로 됨과 더불어 이 외주면에 대응하는 개스배기블럭(13)의 원추형구멍(16)의 내면도 계단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 외면계단부와 원추형구멍(16) 내면계단부가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배출통로(25)의 단면적이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가 제2스푸울(38)형상으로 되면서 그 내부에 제2체임버(38a)를 이루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제2스푸울(38)의 측벽에는 관통구멍(38d)이 형성되어, 제2스푸울(38)이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면 바이패스(26)와 제2체임버(38)가 연통되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좁힘부(25a)하류쪽에 용탕포집부(4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26)에 좁힘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좁힘부(25a)의 아랫쪽에 용탕포집부(27)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좁힘부(25a)의 옆쪽에 용탕포집부(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가 큰직경부(24a)와 끝이 잘린 원추형상으로 된 작은직경부(24b)로 이루어져, 큰직경부(24a)에서 작은직경부(24b)가 게스배기통로(15)쪽을 행해 돌출형성되면서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의 바닥부에 계단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바이패스(26)의 입구부도 이 계단부에 대응하는 계단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의 끝면부에 오목부(24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4c)가 원추형으로 ehlauss서 그 입구직경이 개스배기통로(15)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배기통로(15)의 출구부에 좁힘부(1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4)의 작은직경부(24b) 길이가 개스배출통로(25)와 연통되는 바이패스(26)의 입구부직경보다 길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KR1019880002671A 1987-03-13 1988-03-14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KR910006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56798 1987-03-13
JP62056798A JPS63224852A (ja) 1987-03-13 1987-03-13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62-283123 1987-11-11
JP62283123A JPH0734982B2 (ja) 1987-11-11 1987-11-11 金型用ガス抜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844A KR880010844A (ko) 1988-10-24
KR910006068B1 true KR910006068B1 (ko) 1991-08-12

Family

ID=2639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671A KR910006068B1 (ko) 1987-03-13 1988-03-14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79667A (ko)
EP (1) EP0281877B1 (ko)
KR (1) KR910006068B1 (ko)
AU (1) AU597544B2 (ko)
DE (1) DE387155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279B2 (ja) * 1988-11-16 1998-10-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発泡成形型のガス抜き装置
US5004038A (en) * 1988-11-29 1991-04-02 Ube Industries, Ltd. Degassing apparatus for mold
US5456957A (en) * 1992-03-06 1995-10-10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Body side molding and method
JPH0716978B2 (ja) * 1992-12-21 1995-03-01 世紀株式会社 バルブゲート型射出成形装置
JPH08243716A (ja) * 1995-03-09 1996-09-24 Showa:Kk 金型のガス抜き装置
US6099284A (en) * 1998-07-13 2000-08-08 Green Tokai, Co., Ltd. Pressure-activated gas injection valve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ITMI20060055A1 (it) * 2006-01-16 2007-07-17 Persico Spa Stampo con sfiato comandato per stampaggio rotazionale
CN105221756B (zh) * 2015-09-16 2018-04-27 浙江贝托阀门有限公司 稳定型截止阀
CH713574A1 (de) * 2017-03-16 2018-09-28 Fondarex Sa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JP2022149302A (ja) * 2021-03-25 2022-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遮断弁用のキャップ部材、遮断弁用の弁体、遮断弁の製造方法、および遮断弁の弁体の交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047A (en) * 1979-09-27 1984-02-14 Ube Industries, Ltd. Gas-venting arrangement incorporated with a mold
AU529914B2 (en) * 1980-11-20 1983-06-23 Ube Industries, Ltd. Gas venting incorporated with a mould
JPS5985354A (ja) * 1982-11-09 1984-05-17 Ube Ind Ltd 金型用ガス抜き装置
CA1231825A (en) * 1984-05-23 1988-01-26 Sadayuki Dannoura Die-casting apparatus
JPS6123563A (ja) * 1984-07-10 1986-02-01 Mazda Motor Corp 射出成形機のガス抜き装置
JPS6146365A (ja) * 1984-08-08 1986-03-06 Mazda Motor Corp 射出成形機のガス抜き装置
CA1264521A (en) * 1985-12-24 1990-01-23 Minoru Kuriyama Degassing apparatus for a metal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1558D1 (de) 1992-07-09
EP0281877A2 (en) 1988-09-14
EP0281877A3 (en) 1989-03-15
AU1303488A (en) 1988-09-15
US4779667A (en) 1988-10-25
EP0281877B1 (en) 1992-06-03
DE3871558T2 (de) 1993-02-25
KR880010844A (ko) 1988-10-24
AU597544B2 (en) 199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068B1 (ko) 금형용 개스배기장치
JP2008246503A (ja) 鋳造方法及びダイカストマシン
JP4281887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分流子の接続方法
US6062294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JPS642469B2 (ko)
JPH01127164A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H04305356A (ja) 鋳造装置
JPS63273558A (ja) 真空ダイカスト法
US5343928A (en) Two-piece liner for use in a matchplate molding machine
JPS5846386B2 (ja) 減圧ダイカスト法および装置
JPS607885Y2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3651045B2 (ja) ダイカスト金型のランナー開閉装置
JPS5846387B2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H06234041A (ja) 鋳 型
JP2002096149A (ja) ダイカスト金型のガス抜き装置
JPS607886Y2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EP0096769A1 (de) Ventil zur Entlüftung der Druckgiesskokillen von Druckgiessmaschinen
JPS6313655A (ja) ダイカスト機の射出装置
JPH11179518A (ja) 真空ダイカスト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JPS63104769A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S6138768A (ja) ダイカスト用金型
KR101662519B1 (ko) 가스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장치
JPH024766Y2 (ko)
JPS6019807Y2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H01590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