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92Y1 -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92Y1
KR910004392Y1 KR2019890004575U KR890004575U KR910004392Y1 KR 910004392 Y1 KR910004392 Y1 KR 910004392Y1 KR 2019890004575 U KR2019890004575 U KR 2019890004575U KR 890004575 U KR890004575 U KR 890004575U KR 910004392 Y1 KR910004392 Y1 KR 910004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ssembly
filter
air
cas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895U (ko
Inventor
서중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4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92Y1/ko
Publication of KR900018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결합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필터조립체가 여과기 케이스내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확대도.
제 5 도는 종래의 여과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기구 2 : 내부공간
3 : 차체 4 : 케이스
5 : 상부플레이트 5a : 지지부
5b : 굴곡부 6 : 하부플레이트
6a : 안착부 7 : 필털엘리먼트
8 : 필터조립체 9 : 배기구
10 : 뚜껑 10a : 하향돌기부
11 : 개구부 12 : 고무팩킹
12a : 돌기 13 : 통기구
14 : 원통체 15 : 걸림단
15a : 상향 돌기부 16 : 내부공간
17 : 클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해주는 공기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완전히 여과되어 공급되도록하고, 필터조립체를 여과기 케이스에 간단히 장착시킬수 있도록된 공기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기여과기는 엔진에 청결한 공기를 공급해서 엔진내벽면의 파손과 부식을 방지해서 엔진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여과기는 일반적으로 여과되지 않은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를 갖춘 케이스와, 이 케이스속에 장착되어 흡기구를 통해 들어온 공기를 여과해주는 필터조립체 및, 이 필터조립체에서 여과시켜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를 갖추고서 상기 케이스와 필터위에 덮여져 필터 조립체를 상기 케이스에 긴밀히 밀착결합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여과기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기케이스(21)내에 필터조립체(22)를 장착시킬 때 보울트(23)로 체결해 주도록 되어 있고, 여과기케이스(21)와 필터조립체(22)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팩킹(24)이 여과기케이스(21)내부 바닥과 뚜껑(25) 자체에 부착되거나 필터조립체(22) 상하플레이트(26, 27) 중간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팩킹(24)이 완전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울트(23)를 단단히 체결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때 보울트(23)의 체결력에 의해 팩킹(24)이 파손되어 기밀을 유지해 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되고, 또 여과기케이스(21) 제작시의 오차로 인해 내부바닥으로부터 뚜껑(25)사이의 간격이 필터조립체(22)의 길이에 비해 적절하지 못하게되면, 즉 상기 간격이 필터조립체(22)의 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팩킹(24)이 긴밀히 압착되지 못하게 되어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한편, 이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뚜껑(25)을 체결시키기가 어렵거나 팩킹(24)이 지나치게 압착되어 파손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 상기 팩킹(24)이 여과기케이스(21)와 뚜껑(25)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교환을 해줄수가 없게되어, 팩킹(24)이 노후화되어 탄력성을 잃게 되면 팩킹(24)으로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됨으로 역시 기밀유지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기케이스(21)에 필터조립체(22)또는 뚜껑(25)을 체결고정시켜주는 보울트(3)가 차체의 진동에 의해 풀어지게 됨으로써 초기의 기밀상태를 완전하게 유지시켜주지 못하게 되고, 필터조립체(22)를 여러번에 걸쳐 교환해준 경우에는 보울트(23)의 나사산이 문드러지게 되어 팩킹(24)의 긴밀장착이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과기케이스에 필터조립체를 집어넣고 뚜껑을 덮은다음, 이 뚜껑과 케이스를 뚜껑에 설치된 클램프로 체결시키기만 하면 필터조립체의 셋팅이 완료되게 되고, 또 흡기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모두 필터조립체를 통과하는 도중 여과되어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팩킹을 필터조립체에만 설치하게 됨으로써 필터조립체를 교환해 줄때 마다 팩킹이 자동적으로 교체시키도록해서, 노후화에 따른 흡기의 우회노출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자동차 공기여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공기여과기는, 필터엘리먼트가 밀폐된 원판형 하부플레이트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고무팩킹이 삽입설치된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고정지지되면서 아랫쪽이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되어 공기가 필터엘리먼트와 상기 개구부만을 통해 유통되도록 함과 더불어 팩킹과 일체로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팩킹과 일체를 이루도록 된 필터조립체와, 이 필터조립체의 가장자리에 있는 고무팩킹부분이 안착되어 전체필터조립체를 지지해 주도록 된 걸림부를 갖춘 케이스 및, 상기 필터조립체가 케이스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케이스와 필터조립체의 윗쪽에 덮혀진 클램프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체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걸림부에 안착되어져 있는 고무팩킹에 기밀 밀착되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자동차용 공기여과기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1)와 소정크기의 내부공간(2)를 갖추어 차체(3)에 보울트등으로 고정부착시켜주도록 된 케이스(4)와, 이 케이스(4)내부에 삽입되어, 상, 하부플레이트(5, 6)사이에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엘리멘트(7)가 고정설치된 필터조립체(8) 및, 이 필터조립체(8)에서 여과시켜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9)를 갖추고서 상기 케이스(4)와 필터조립체(8)위에 덮혀져 상기 케이스(4)와 필터조립체(8)에 긴밀히 결합시키도록 된 뚜껑(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조립체(8)의 하부플레이트(6)는 필터엘리멘트(7)의 안착부(6a)를 갖춘 원판형으로 되어 있고, 상부플레이트(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6)의 안착부(6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지지부(5a)와 중앙에 여과된 공기가 통과배출되도록하는 개구부(11)를 갖추고서 그 가장자리 주변에 고무팩킹(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5a)와 고무팩킹(12)사이에는 소정의 강성을 주어 진동등에 의한 굽힘을 방지해 주기 위한 굴곡부(5b)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팩킹(12)의 윗면에는 뚜껑(10)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위한 돌기(12a)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5)와 하부플레이트(6)는 다수의 통기구(13)가 형성된 원통체(14)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되면서 이 원통체(14)의 바깥면에 필터엘리멘트(7)가 고정부착되어, 하부플레이트(6)의 안착부(6a)와 상부플레이트(7)의 지지부(7a)에 상기 원통체(14)와 필터엘리멘트(7)가 끼워져 일체로 고정되도록 된 형태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4)의 벽 상단에는 상기 필터조립체(8)의 팩킹(12)이 안착되도록 하는 걸림단(15)이 갖추어지고, 이 걸림단(15)에는 팩킹(12)과의 사이에 기밀접촉되도록 하는 상향돌기부(15a)가 구비되어, 필터조립체(8)를 케이스(4)속에 집어넣게 되면 상부플레이트(5)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무팩킹(12)이 이 걸림단(15)에 걸쳐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4)의 흡기부(1)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필터조립체(8)의 하면쪽 또는 상면쪽을 통해 유출되지 않고 반드시 필터엘리멘트(7)만을 통과해서 필터조립체(8)의 내부공간(16)과 상부플레이트(5)의 개구부(11)를 거쳐 나가게 되므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엘리멘트(7)에서 여과되어 나가게된다.
또한, 상기 뚜껑(10)에는 그 중앙부에 배기구(9)를 갖추면서 그 가장자리주변에는 상기 케이스(4)의 가장자리 주변에 형성된 걸림단(15)의 상향돌기부(15a)와 대응하면서 상기 팩킹(12)의 돌기(12a)가 위치하는 곳에 하향돌기부(10a)가 형성되어, 이 뚜껑(10)과 필터조립체(8)및 케이스(4)사이에 기밀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기밀은 뚜껑(10) 가장자리주변에 일정각도를 두고 다수개 설치해 놓은 클램프(17)를 케이스(4)의 걸림단(15)아래쪽에다 걸어 체결시키게되면, 상기 뚜껑(10)과 필터조립체(8)및 케이스(4)사이에 확실한 기밀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공기여과기의 설치과정 및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필터조립체(8)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차체(3)에 고정설치된 케이스(4)속에 유니트화 되어져 있는 필터조립체(8)를 집어넣으면서, 상부플레이트(5)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무팩킹(12)이 케이스(4)의 걸림부(15)에 정확히 걸려지도록 하기만 하면 필터조립체(8)의 셋팅이 끝나게 된다.
이어 필터조립체(8)와 케이스(4)위에다 뚜껑(10)을 덮고 나서, 뚜껑(10)이 있는 클램프(17)를 케이스(4)의 걸림부(15)아래쪽에다 걸어주게 되면 필터조립체(8)의 셋팅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필터조립체(8)를 교환해주기 위해서는, 이상과 같은 설치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클램(17)를 풀고나서 뚜껑(10)을 벗겨낸 상태에서 필터조립체 (8)를 끄집어 낸다음 다시 동일한 과정에서 새것을 갈아 끼워넣어 주면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 따라 설치가 완료되면 본 고안 공기여과기는, 뚜껑(10)의 배기구(9)가 엔진이 매니포울드(도시안됨)에 연결되게 되면 엔진의 흡기력에 의해 필요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고, 이렇게 케이스(4)의 흡기구(1)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필터엘리멘트(7)를 통과하면서 여과시켜진 다음 상부플레이트(5)의 개구부(11)와 뚜껑(10)의 배기부(9)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필터조립체(8)의 아래쪽면이 하부플레이트(6)에 의해 밀폐되고 필터조립체의 윗쪽면은 굴곡부(5b)가 형성되어져 있는 상부플레이트(5)의 플랜지부와 팩킹(12)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흡기구(1)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반드시 필터엘리멘트(7)만을 통해 배기구(9)로 나가게 된다. 한편, 뚜껑(10)과 케이스(4)사이에는 필터조립체(8)의 상부플레이트(5) 가장자리에 삽입되어져 있는 고무 팩킹(12)이 끼워지면서 뚜껑(10)의 하향돌기부(10a)와 케이스(4)의 상기 하향돌기부(15a)및 고무팩킹(12)의 돌기(12a)가 상호밀착시켜지게 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뚜껑과 케이스사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만일 상기 고무팩킹(12)과 케이스(4)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이 공기는 여과되어 배출되게 되지만, 팩킹(12)과 뚜껑(10)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곧바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팩킹(12)의 돌기(12a)와 뚜껑(10)의 하향돌기부(10a)가 반드시 긴밀히 밀착시켜져야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공기여과기는, 흡기구(1)로 유입된 공기가 반드시 필터엘리멘트(7)를 통과해서 나가게 되므로써 여과성능이 높여질 수 있게 되고, 필터조립체(8)의 교체작업도 극히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면, 또 고무팩킹이 필터조립체(8)에 일체로 결합되어져 있어서 필터조립체(8)를 교환해 주게 되면 고무팩킹도 자동적으로 교환되게 되므로 팩킹의 노후화로 인한 공기의 누출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 공기여과기의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흡기구(1)갖춘 여과기케이스(4)와 필터엘리멘트(7)가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5, 6)사이에 설치된 필터조립체(8) 및 배기구(9)와 클램프(17)를 갖춘 뚜껑(10)으로 이루어진 공기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8)의 하부플레이트(6)가 밀폐된 원판형으로 되는 한편, 상부플레이트(5)는 윗쪽에 돌기(12a)를 갖춘 고무팩킹(12)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됨과 더불어 고무팩킹(12)의 안쪽에 굽힘방지용 굴곡부(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4)벽의 위쪽끝에는 상기 필터조립체(8)의 가장자리에 있는 고무팩킹(12)부분이 안착되어 전체 필터조립체(8)를 지지해주도록 된 걸림부(15)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뚜껑(10)의 가장자리에는 하향돌기부(10a)를 갖추어 상기 필터조립체(8)의 고무팩킹(12)과의 사이에 기밀상태가 유지시켜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KR2019890004575U 1989-04-13 1989-04-13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KR910004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575U KR910004392Y1 (ko) 1989-04-13 1989-04-13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575U KR910004392Y1 (ko) 1989-04-13 1989-04-13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895U KR900018895U (ko) 1990-11-08
KR910004392Y1 true KR910004392Y1 (ko) 1991-06-29

Family

ID=1928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575U KR910004392Y1 (ko) 1989-04-13 1989-04-13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895U (ko) 199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7447C (en) Filter system, especially for filtering the air intak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72667B1 (en) Filter system
US4640698A (en) Air cleaner device
US6383268B2 (en) Air cleaner
US4236901A (en) Air cleaner with secondary air filter element
US20020124733A1 (en) Air cleaner
US5688299A (en) Air filters
KR910004392Y1 (ko) 자동차용 공기여과기
US5037460A (en) Disposable air filter
KR100319647B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JP2004019543A (ja) エアクリーナの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およびエアクリーナ
JPH10252585A (ja) エアクリーナ
JP4112937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CN109126299B (zh) 扁平过滤器元件,具体地用于气体过滤
KR200143830Y1 (ko) 에어크리너
JP7380427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JP3718928B2 (ja) 産業車輌の荷役動作用オイルタンク
JP2514396Y2 (ja) プラスチック製エアクリ―ナ
JPH0717372Y2 (ja) プラスチック製エアクリーナ
WO2005026522A1 (en) Air box lid having an integrated filter
KR0182914B1 (ko) 실린더 헤드커버 일체형 에어크리너
KR0125283Y1 (ko) 자동차의 에어클리너의 덮개 밀폐장치
JP2710156B2 (ja) エアクリーナ
JP2596809Y2 (ja) エアクリーナ
KR200177485Y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