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85Y1 -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85Y1
KR200177485Y1 KR2019990025073U KR19990025073U KR200177485Y1 KR 200177485 Y1 KR200177485 Y1 KR 200177485Y1 KR 2019990025073 U KR2019990025073 U KR 2019990025073U KR 19990025073 U KR19990025073 U KR 19990025073U KR 200177485 Y1 KR200177485 Y1 KR 200177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air
filter
air purifi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익규
Original Assignee
조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익규 filed Critical 조익규
Priority to KR2019990025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Pleated, folded, corrugated filter elements, e.g. made of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8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consisting of multiple layers, e.g. coarse and fine filters; Coatings; Impregnations; Wet or moistened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66Meshes; Grids; Perforat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크리너내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흡기시스템에서 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된 청정한 공기를 기관에 공급하여 기관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장착되는 에어필터만을 교환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여과재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폐기물의 양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며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공(24)이 전 둘레에 형성된 케이지(20)의 상하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배출구(28)를 형성한 상하부캡(22, 25)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지(20)의 둘레에는 에어필터(29)가 둘러싸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0)의 하부 내측에는 나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5)에는 상기 케이지(20)의 나사부(23)와 체결되는 결합부(26)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결합부(26)에는 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캡(25)의 테두리에는 조임돌출턱(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The filter of air purifier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크리너내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흡기시스템에서 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된 청정한 공기를 기관에 공급하여 기관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장착되는 에어필터만을 교환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여과재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폐기물의 양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며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기관이 흡입하는 공기속에 들어있는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기계통에서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기간을 사용하게 되면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에어필터에 먼지가 쌓여 공기흡입이 순조롭지 못하며 공기속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걸러 줄 수 없게되어 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 여과재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기관의 출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한 시기에 공기 청정기 여과재를 교체하여 주어야만 기관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관의 출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기관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먼지를 걸러주는 에어필터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은 거의 없는 관계로 공기 청정기 여과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에어필터와 공기 청정기 여과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과다한 교체비용과 자원의 낭비 및 폐기물의 과도한 발생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에어필터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청정기 여과재가 국내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1998-061332호(1999,11,05공개)에 알려져 있으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다수개의 통공(11)이 전 둘레에 형성된 케이지(10)의 하부에는 배출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된 하부캡(13)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10)의 상부로는 중앙부에 결합볼트(14a)를 돌출 형성한 패널(14)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10)의 전 둘레에는 먼지를 걸러내는 에어필터(16)가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패널(14)의 상부로는 결합볼트(14a)가 관통하는 결합공(15)이 형성된 상부캡(12)이 얹혀지고, 상부캡(12)의 상부로는 상기 결합볼트(14a)와 결합되는 와셔(17) 및 결합너트(18)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상부캡(12)을 결합볼트(14a)와 결합너트(18) 및 와셔(17)에 의해 케이지(10)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에어필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결합볼트(14a)에서 결합너트(18)와 와셔(17) 및 상부캡(12)을 분리한 후, 에어필터(16)만을 케이지(10)에서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써 공기 청정기 여과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교체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 및 폐기물의 과도한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어필터(16)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케이지(10)의 상부에 결합볼트(14a)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패널(14)을 케이지(10) 상부에 결합하고, 상부캡(12)을 결합볼트(14a)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와셔(17)와 결합너트(18) 등의 여러 부품이 필요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지며, 공기를 여과시키는데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 패널(14)을 케이지(10) 상부에 결합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상부캡(12)을 직경이 작은 결합볼트(14a)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부캡(12)과 결합볼트(14a)의 결합력이 작으므로 조그만 충격에도 상부캡(12)이 케이지(10)의 상부에서 이탈되어 공기가 상부캡(12)과 케이지(10)사이의 벌어진 틈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기관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공기 청정기 여과재를 에어크리너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14)에서 돌출된 결합볼트(14a)의 높이만큼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부피를 작게 제작하여야만 하며 그에 따라 기관으로 보내어지는 공기 흡입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구성을 간단하면서 조임돌출턱에 의하여 캡과 케이지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에어필터를 교체할 수 있으며, 먼지나 이물질이 캡과 케이지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서 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통공이 전 둘레에 형성된 케이지의 상하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배출구를 형성한 상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지의 둘레에는 에어필터가 둘러싸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 내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에는 상기 케이지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결합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테두리에는 조임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하부캡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지 11 : 통공 12 : 상부캡
13 : 하부캡 14 : 패널 16 : 에어필터
20 : 케이지 21a : 내부케이지 21b : 외부케이지
22 : 상부캡 23 : 나사부 24 : 통공
25 : 하부캡 26 : 결합부 27 : 나사부
28 : 배출구 29 : 에어필터 30 : 조임돌출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하부캡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24)을 전 둘레에 형성한 케이지(20)의 상부에 상부캡(22)을 설치하여 압착이나 용접으로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지(20)의 하부 내측으로는 나사부(2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20)의 전 둘레에는 산과 마루로 형성되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통형의 에어필터(29)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5)에는 케이지(2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3)와 체결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결합부(26)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22)의 중앙부에는 여과된 공기가 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25)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6)가 케이지(20)와 나사 체결되면 상기 결합부(26)는 케이지(20)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부(26)가 케이지(20)의 외측 둘레에 삽입된 에어필터(29)에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상부캡(22)과 하부캡(25)의 외측테두리는 에어필터(29)의 상하단부를 소정의 폭으로 감싸도록 돌출시켜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29)는 산과 마루로 구성되어 원통형으로 제작된 여과지나 원통형의 폴리에스텔 폼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케이지를 이중으로 설치한 것이며, 도 6은 하부캡(25)의 테두리에 조임돌출턱(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24)을 전 둘레에 형성한 내부케이지(21a) 및 외부케이지(21b)의 상부에 상부캡(22)을 설치하여 압착이나 용접으로 일체화하고, 상기에서 내부케이지(21a)는 에어필터(29)가 둘레를 감싸고, 상기 에어필터(29)의 둘레는 외부케이지(21b)가 감싸도록 각각 형성한다.
상기 내부케이지(21a)의 하부 내측에는 나사부(2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5)에는 상기 내부케이지(21a)의 나사부(23)와 체결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결합부(26)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22)의 중앙부에는 여과된 공기가 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28)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캡(25)의 테두리에는 조임돌출턱(30)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에어필터(29)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캡(25)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돌출턱(30)에 공구를 사용하여 충격을 가하면 나사부(23,27)에 체결되어 있던 하부캡(25)이 조금씩 회전된 상태로 되고, 케이지(20)와 하부캡(25)이 서로 체결력이 약하여진 상태에서 하부캡(25)의 테두리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쉽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캡(25)을 회전시켜 분해한 뒤에 먼지나 이물질이 여과되어 있는 에어필터(29)를 제거하고 새로운 에어필터(29)를 케이지(20)에 삽입한 후 하부캡(25)의 테두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체결한 다음, 하부캡(25)의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공구를 사용하여 조임돌출턱(30)에 충격을 가하면 조금씩 회전하면서 나사부(23, 27)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캡(25)을 회전만 시키면 간단하게 케이지(20)와 분해 또는 조립되어 에어필터(29)만을 곧바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신속하고 용이하게 에어필터(29)를 교체할 수 있으며, 케이지(20) 및 결합부(26)에 형성된 나사부(23, 27)가 비교적 큰 반경을 이루고 있으므로 하부캡(25)이 케이지(20)에 견고히 결합되며, 조임돌출턱(30)에 약간의 충격을 가하여 줌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엔진의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부캡(25)과 케이지(20)가 서로 어긋나서 발생하는 틈을 미연에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부캡(22)의 중앙에 배출구(28)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으나, 배출구(28)가 상부캡(22)에 형성되지 않고 기관의 상태에 따라 하부캡(25)의 중앙에 형성하거나, 하부캡(25)과 상부캡(22)의 양측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나사부(23, 27)를 외부케이지(21b)의 하부 외측과 하부캡(25)의 테두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는 하부캡과 케이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하부캡을 회전만 시키면 간단하게 케이지와 분해 또는 조립되어 에어필터만을 곧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신속하고 용이하게 에어필터를 교체할 수 있으며, 하부캡과 케이지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캡과 케이지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서 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청정기 여과재의 교체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 및 폐기물의 과도한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공(24)이 전 둘레에 형성된 케이지(20)의 상하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배출구(28)를 형성한 상하부캡(22, 25)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지(20)의 둘레에는 에어필터(29)가 둘러싸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0)의 하부 내측에는 나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5)에는 상기 케이지(20)의 나사부(23)와 체결되는 결합부(26)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결합부(26)에는 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5)의 테두리에는 조임돌출턱(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2019990025073U 1999-11-16 1999-11-16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200177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073U KR200177485Y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073U KR200177485Y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85Y1 true KR200177485Y1 (ko) 2000-04-15

Family

ID=195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073U KR200177485Y1 (ko) 1999-11-16 1999-11-16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1122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JP4852608B2 (ja) 回転防止構造を有するエアクリーナ及びその回転防止方法
EP1201289B1 (en) Filter with retained safety element
US7931725B2 (en) Fluted filter apparatus
EP0740574B1 (en) Filter housing
JP2605072B2 (ja) エアフィルタ装置
US6569219B1 (en) Air filter with serviceable filter media
JP2005270964A (ja) 性能改善の特徴を備えたスピンオンフィルター
JP5484521B2 (ja) フィルタ装置
US7217361B2 (en) Filter with support columns
US10486096B2 (en) Axial flow air filter element
US6159258A (en) Air filter elements with foam pre-cleaners
KR200177485Y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100319647B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US20040060439A1 (en) Replaceable filter element assembly
KR100325004B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20030093063A (ko) 산업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102271957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US7001440B1 (en) Fluid filter assembly with a fin array
KR10118092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에어필터
KR960008203Y1 (ko) 엘피지(l.p.g)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587808B1 (ko) 드레인 파이프가 마련된 차량 흡기계 호스의 컨넥팅 구조
KR100535464B1 (ko) 에어 클리너의 여과 엘리먼트 체결용 나비 너트
CN215892676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6714567U (zh) 空滤器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