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217B1 -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217B1
KR910004217B1 KR1019890003972A KR890003972A KR910004217B1 KR 910004217 B1 KR910004217 B1 KR 910004217B1 KR 1019890003972 A KR1019890003972 A KR 1019890003972A KR 890003972 A KR890003972 A KR 890003972A KR 910004217 B1 KR910004217 B1 KR 91000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ight
alcohol content
transmitting body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73A (ko
Inventor
히로요시 스즈기
겐지 오가와
히로고 마에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216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6244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93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6353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3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by measuring critical ang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2 도는 PSD의 광위치 검출원리의 설명도.
제 3 도는 가솔린 연료중의 메타놀함유율에 대한 출력전압 변화도.
제 4a 도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검출부 단면도.
제 4b 도는 제 4a 도의 IV-IV선 단면도.
제 5 도는 다른예의 검출부로 제 4b 도와 같은 단면도.
제 6 도, 제 7 도는 각각 또다른 예에 의한 검출부의 단면도.
제 8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검출부 단면도.
제 10 도는 다른예에 의한 검출부의 제 9 도와 같은 단면도.
제 11 도는 또다른 예에 의한 검출부의 제 9 도와 같은 단면도.
제 12 도는 종래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를 구비한 연로제어계의 구성도.
제 13 도는 종래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광체 2 : 케이스
4 : 발광소자 10 : 검출회로
11 : 방사광 12 : 조리개
13 : 렌즈 14, 14a, 14b : 굴절면
15 :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 16 : 반사면
18 : 판상의 투광체 19 : 투광성 보호막
그리고 도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연소기등에 공급되는 연료의 성상(性狀)을 비접촉으로 판별하는 장치로 특히 자동차등 엔진에 사용되는 알콜혼합연료중 알콜함유율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미국이나 구주등의 각국에서 석유소비량의 저감화를 위하여 가솔린중에 알콜을 혼합한 연료가 자동차용으로서 보급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알콜혼합연료를 가솔린 연료의 공연비에 정합된 엔진에 그대로 사용하면은 알콜이 가솔린에 비하여 이론 공연비가 작은 등에 기인하여 공연비가 희박화하므로 알콜혼합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하여서 연료분사변등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알콜함유율에 대응하여 공연비, 점화 시기 등을 조정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7-5192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를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2 도는 종래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를 구비한 연료제어계의 구성도로서 A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20은 엔진, 21은 연료분사변, 22는 연료탱크, 23을 연료펌프이며 연료공급파이프(24)는 통하여 고압필터(25)에 접속되어 있다.
26은 상기 연료분사변(21)의 연료분배권, 27을 연료레귤레이터로 연료리턴파이프(28)를 통하여 연료탱크(22)에 안내되어 있다. 29은 공연비 센서, 30은 점화플러그, 31은 엔진회전센서, 32는 흡기압센서, 33는 드로틀밸브, 34는 공기청정기이다.
35는 제어장치이며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A의 신호, 공연비 센서(29)의 신호, 엔진의 상태량인 엔진회전센서(31) 및 흡기압센서(32) 등의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에 따른 제어량으로 연료분사변(21), 점화플러그(30)를 구동한다.
연료탱크(22)에 알콜혼합연료가 급유되면은 엔진의 시동과 함께 알콜혼합연료는 펌프(23)에서 가압되어 연료공급파이프(24), 고압필터(25)를 통하여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A로 안내되어서 알콜함유율이 측정된다.
그후 연료는 분배관(26)에 유입하고 일부가 연료분사변(21)에서 엔진에 공급되고 기타는 연료압레귤레이터(27), 연료리턴파이프(28)를 지나 탱크(22)로 복귀된다.
연료레귤레이터(27)는 연료분사변(21)의 분사연료량에 상관없이 분배관(26)까지의 압력을 항상 일정치에 유지한다.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A에서 측정된 알콜함유율이 제어장치(35)에 입력되면은 제어장치(35)는 엔진회전센서(31) 및 흡기압센서(32) 등의 신호에 의하여 엔진상태를 판정하고 분사변(21)의 개변시간을 제어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량을 변화시켜 공연비 센서(29)에 의하여 공연비를 검출하고 상기 엔진상태에 따른 목표치가 되도록 공연비를 피드백제어하며 또 엔진상태에 따라 점화플러그(30)의 점화시기를 제어하고 있다.
제 13 도는 상기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A의 상세한 단면도를 표시하며, 1은 광학유리 등으로 형성된 원주상의 투광체, 2는 케이스, 3은 투광체(1)와 케이스(2)간의 연료실(seal), 4는 LED등의 발광소자, 5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로된 수광소자, 6은 연료실, 6a는 연료입구, 6b는 연료출구이다.
7a는 전반사광, 7b는 굴절광, 10은 발광소자(4)를 구동하여 수광소자(5)의 수광량을 측정하는 검출회로이다. 투광체(1)의 외주면은 연료실(6)에서 연료와 균일하게 접하고 있다. 발광소자(4)에서 사출된 광선은 투광체(1)의 외주면 즉 연료와의 경계면으로의 입사각이 전반사각ψ=are SIN(Nf/Nd) 이상의 광선(7a)은 전반사되어 수광소자(5)에 도달하고 입사각이 전반사각ψ보다 적은 광선 (7a)은 연료중에 굴절투과하기 때문에 수광소자(5)는 경계면으로의 입사각이 전반사각ψ 이상이 되는 광선만을 수광한다.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이 변화하면은 연료의 굴절율 Nf이 변화하여 전반사각ψ가 변화하기 때문에 수광소자(5)의 수광량이 변화한다. 이 수광량의 변화를 검출량회로(10)에서 측정하므로서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구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발광소자(4)의 발광량, 수광소자(5)의 수광감도, 피크(peak) 감도주파수가 온도에 의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발열, 이에 의한 연료온도의 상승등으로 검출장치의 온도가 변화하면은 수광소자(5)의 수광량도 변화하고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정확히 구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투광체(1)의 굴절율 Nd의 제약에 의하여 전반사각ψ을 아주 작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투광체(1)를 아주 짧게 할 수 없으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이유 때문에 종래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는 엔진과 이격시켜서 설치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특히 엔진시동의 경우등 실제로 연료분사변(21)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알콜함유율을 지체없이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특히 알콜함유율이 다른 연료의 급유후의 엔진시동의 경우등에 있어서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A의 연료실(6)과 연료분배관(26)내의 알콜함유율에 차이가 나는 시동모드(mode)도 예상되며 그러한 때에는 최악의 경우 엔진을 시동할 수 없는 불편한 일이 생기는 것도 예상된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온도가 변화하여도 항상 지체없이 연속적으로 정도 있게 연료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할 수가 있는 소형알콜함유율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는 투광체의 중간에 연료와의 굴절면을 형성하고 투광체의 일단에 발광소자와 타단에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는 투광체의 일단에 발광소자와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타단에 연료와의 굴절면과 반사면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는 투광체의 일단에 설치한 발광소자에서 사출된 방사광을 이 투광체와 연료의 굴절면에 입사시켜서 연료중에 굴절시킨 후 연료와 같은 투광체 혹은 다른 투광체와의 굴절면에 입사시켜서 투광체중에 굴절시켜, 이 투광체의 타단에 설치한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에 입사시켜서 연료중의 알콜함유율 변화에 의한 굴절율 변화를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상의 광입사 위치변화로서 측정하므로서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정도있게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는 투광체의 일단에 설치한 발광소자에서 사출한 방사광을 투광체의 타단의 연료와의 굴절면에 입사시켜서 연료중에 굴절시키고 더욱이 반사면에서 반사시킨 후 다시 굴절면에 입사시켜서 투광체중에 굴절시켜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에 입사시켜서 알콜함유율의 변화에 의한 연료의 굴절율 변화를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상의 광입사 위치변화로서 측정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 발명의 한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1은 투광체로 여기서는 그 중간에 주축(柱軸)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절삭된 평행면(14a) (14b)이 있는 주상(柱狀) 투광체의 예를 표시하고 있다.
6은 상기 평행면간에 형성된 연료통로, 11은 발광소자의 방사광, 12는 조리개, 13은 렌즈, 14a,14b는 연료와의 굴절면, 15는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이며 여기서는 반도체위치 검출소자(이하 PSD라함)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한다.
검출회로(10)는 발광소자(4)를 구동하는 정전류구동부(101) PSD(15)의 광전류의 전치증폭부(102), 가산부(103), 제산부(104)에 의하여 구성된다. 투광체(1)의 한쪽에 배치한 발광소자(4)가 정전류구동부(101)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발광하면은 반사광(11)은 조리개(12)를 통과하여 렌즈(13)에서 집광되면서 투광체(1)의 중간에서 굴절면(14a)의 PO점에서 입사각ψ로 입사한다.
굴절면(14a)은 연료통로(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료입구(6a)에서 유입된 연료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입사된 방사광(11)은 PO점에서 연료의 굴절율 Nf와 투광체(1)의 굴절율 Nd의 차에 의하여 굴절각(x=are SIN(Nd/Nf×SINψ)로 굴절한다.
PO점에서 굴절각 x로 굴절한 광선은 연료중을 투과하여 상기 굴절면(14a)과 평행인 굴절면(14b)의 P1점에서 입사하며 상기 입사각ψ과 굴절각 x의 관계식에 따라 투광체(1)내에 굴절하여서 투광체(1)의 다른쪽에 배치된 PSD(15)에 도달한다. 렌즈(13)는 PSD(15)상에서 방사광(11)이 대략 집광되도록 초점거리가 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타 부호는 제 13 도에 표시한 종래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도는 PSD(15)의 광위치 검출원리의 설명도이다. PSD는 실리콘포토 다이오드를 응용한 광중(重)심위치검출소자이며 저항층(P층) 중간층, N층의 3층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광스폿(spot)이 입사되면은 입사위치에서 광전류 i1, i2가 균일한 저항층을 지나 각각 전극 I1, I2로 분할하여 흘러서 광전류 i1, i2는 전극까지의 거리에 역비례하여 분할 출력된다.
지금 전극(I1)에서 광입사위치까지의 거리를 X라 하고 PSD의 전극간 거리를 L로 하면은 위치 X는 X=L×i2/(i1+i2)로 산정된다. 이때 위치 X는 입사광의 중심에 일치하므로 광스폿은 반드시 미소경으로 할 필요는 없다.
제 1 도에서 PSD(15)의 각전극(I1)(I2)으로부터의 광전류 i1, i2는 검출회로(10)에 입력되어 전치증폭부(102)에서 증폭된 후 i1과 i2가 가산부(103)에서 가산되고 i2와 상기 가산결과에 의하여 제어부(104)에서 제산i2/(i2+i2)이 실행되어서 위치 신호X에 상당한 전압 Vout로서 출력된다.
연료중 알콜함유율의 변화에 따라 연료의 굴절율 Nf가 변화하면은 굴절면(14a)(14b)에서의 굴절각이 변화하므로 발광소자(4)의 방사광(11)의 PSD(15)상으로의 입사위치 X가 변화하고 검출회로의 출력전압 Vout은 알콜함유율에 대응한 값이 된다.
제 3 도는 투광체(1)로서 굴절율 Nd=1.52의 광학유리 BK7을 사용하여 입사각ψ=45°로한 구조에서 가솔린 연료중의 메틸알콜함유율에 대한 출력전압 Vout의 변화를 표시하였다.
가솔린에 비교하여 메틸알콜의 굴절율이 작기 때문에 메틸알콜함유율이 많아짐에 따라 PSD(15)로의 광입사위치는 전극(I1)측으로 이동하고 광전류 i1쪽이 크게 되므로 출력전압 Vout는 메틸알콜함유율에 반비례한다.
엔진의 발열, 이에 의한 연료온도의 상승등으로 검출장치 A의 온도가 변화하면은 발광소자(4)의 발광량, PSD(15)의 총광전류량은 변화하지만 알콜함유율은 광전류의 비로 주어지므로 검출장치 A의 온도변화에 의하지 않고 항상 정확히 연속적으로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알콜함유율의 검출은 결국 굴절면의 일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모로 종래장치에 비교하여 투광체의 전장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검출부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4a 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검출부구조도이며 제 4 도(b)는 제 4a 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양도에서 16은 조리개(12)와 발광소자(4) 및 렌즈(13)의 보지기능을 갖춘 홀더, 17은 투광체 홀더이다.
투광체(1)는 각각 일단에 굴절면이 있는 투광체부재(1a)(1b)로 구성되고 투광체부재(1a)의 일단에 발광소자(4), 타단에 굴절면(14a)이, 투광체부재(1b)의 일단에 굴절면(14b)이 타단에 PSD(15)가 배치되고 굴절면(14a)(14b)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각 투광체부재(1a)(1b)는 투광체홀더(17)에 고착되어서 상기 굴절면이 연료에 접하도록 연료통로(6)중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굴절면을 연료통로(6)와 평행으로 배치하는 것은 압력손실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이다. 투광체홀더(17)가 일체화한 투광체(1)는 연료실(3)에 의하여 케이스(2)와의 사이에서 연료측과 절연되어 있으며 케이스(2)는 패킹등을 통하여 연료분사변(21)에 가까운 고압측관로에 협지하여 설치된다.
제 5 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에 의한 검출부의 다른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투광체(1)의 중간일부에 주축에 대해 소정각도를 이룬 평행홈을 형성시켜 평행홈의 양면을 연료와의 굴절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투광체홀더(17)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또 굴절면간의 거리, 각도 정도를 높힐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투광체(1)로서 구형주상의 경우를 표시하였지만은 기타 원주상이라도 되며 또 투광체의 중간에 형성하는 굴절면은 서로 대략 평행이면 된다.
제 6 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예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에 의한 검출부의 또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투광체의 일부에 소정각으로 절제한 굴절면(14)을 형성하든가, 혹은 소정정각의 원주상 굴절면(14)을 형성한 것으로 이들은 투광성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후 연마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투광체(1)는 압압부재(18)에 의하여 케이스(2)에 연료실(3)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투광체(1)를 연료중에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들면 연료분배관(26) 등의 측면에 간단히 설치되고 압력손실도 거의 생기지 않는다.
제 7 도와 같이 투광체의 일부를 원주상으로 절제하여서된 원주면의 일부 혹은 구면상으로 절제하여서된 구면의 일부를 연료와의 굴절면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의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8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며, 1은 종래예의 장치와 같은 원주상의 투광체이나, 다른점은 주상의 일단부가 원주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절제되어 있으며 굴절면(14)을 형성하고 있다.
16은 반사면, 12는 조리개, 13은 렌즈, 11은 발광소자(4)의 방사광, 15는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이며 여기서는 반도체위치 검출소자(이하 PSD라함)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한다. 6a는 연료유입구이며, 또 검출회로(10)는 발광소자(4)를 구동하는 정전류구동부(101), PSD(15)의 광전류의 전치증폭부(102), 가산부(103), 제산부(104)로 구성된다.
투광체(1)의 일단에 배치한 발광소자(4)가 정전류구동부(101)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발광하면은 반사광(11)은 조리개(12)를 지나 렌즈(13)에서 집광되면서 투광체(1)의 타단의 굴절면 (14)에 PO점에서 입사각ψ로 입사한다.
굴절면(14)은 연료유입구(6a)의 유입된 연료와 접하고 있으므로 입사된 방사광(11)은 PO점에서 연료의 굴절율 Nf와 투광체(1)의 굴절율 Nd의 차에 의하여 굴절각 x=are SIN(Nd/Nf×SINψ)으로 굴절한다.
PO점에서 굴절각 x로 굴절한 광선은 연료중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면(16)의 P1점에서 반사되며 재차 연료중을 투과한 후 다시 굴절면(14)에 P2점에서 입사하여 입사각ψ와 굴절각 x의 관계식에 따라 투광체(1)내에 굴절하여서 발광소자(4)와 같은쪽에 배치된 PSD(15)에 도달한다. 렌즈(13)는 PSD(15)상에서 방사광(11)이 집광되도록 초점거리가 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타부호는 제12도에 표시한 종래예의 상당부분을 표시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PSD(15)의 광위치 검출원리는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8 도에서 PSD(15)의 각전극(I1)(I2)로부터의 광전류 i1, i2는 검출회로(10)에 입력되고 전치증폭부(102)에서 증폭된 후 i1과 i2가 가산부(103)에서 가산되고 i2와 상기 가산결과에 의하여 제산부(104)에서 제산 i2/(i1+i2)이 연산되고 위치신호 X에 상당한 전압 Vout로서 출력된다.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의 변화에 따라 연료의 굴절율 Nf가 변화하면은 굴절면(14)에서의 굴절각 x가 변화하기 때문에 발광소자(4)의 방사광(11)의 PSD(15)상으로의 입사위치 X가 변화하며, 검출회로의 출력전압 Vout는 알콜함유율에 대응하는 값이 된다.
제 9 도는 제 8 도의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의 검출부 구성도이며, 12a는 조리개(12)와 발광소자(4) 및 렌즈(13)의 보지기능을 가진 홀더이다. 투광체(1)는 한쪽단부가 소정두께를 남겨두고 원주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쐐기형으로 절제하여 굴절면(14)을 형성하고 투광체(1)는 한쪽단면에 금속증착등에 의하여 반사면(16)을 형성시켜서 이면경으로 되어 있다. 또 투광체(1)는 연료실(3)에서 케이스(2)와 사이에서 연료측과 절연되고 케이스(2)는 패킹등을 통하여 연료분배관(26)등의 연료분사변(21)에 가까운 고압측관로에 설치된다.
제 10 도는 다른예에 의한 검출부의 제9도와 같은 구성도이며, 반사면(16)을 별도 판상의 투광체(18) 표면에 금속막 증착등에 의하여 형성시킨 다음 내유성의 플라스틱 혹은 세라믹 박막 등의 투광성 보호막(19)을 코팅하여 표면경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투광체(1)의 연마면이 축소되어 연마비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부를 보다 염가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투광체(18) 표면에 반사면(16)을 형성하였지만은 투광체(1)의 이면에 같은 방법으로 반사면(16)을 형성하여도 되며 이와 같이 하면 투광성 보호막(19)은 불필요하게 된다.
제 11 도는 또다른 예에 의한 검출부의 제 9 도와 같은 구성도이며 반사면(16)을 케이스(2)의 기체부재(2a)상에 형성시킨 것이며 금속재의 기체부분(2a)의 표면 연마에 의하여 혹은 기체부재(2a)에 다른 금속막을 도금 혹은 중착등에 의하여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의 삭감에 의하여 검출부를 더욱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검출부를 한층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1차원 위치 검출장치(15)로서 PSD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하였지만 포토다이오드 어레이(photo diode array) CCD등의 위치검출소자를 사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수 있음은 당업자로서는 명백하다.
또 투광체(1)의 연료측의 절연도연료실(3)에 의하지 않고 투광체(1)와 케이스(2)간을 실제(seal劑)의 충전, 접착등에 의하여 또 투광체(1) 주면을 진공증착한 후 케이스(2)와 용접, 납땜등에 의하여도 이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의 검출에 대하여 표시하였지만 다른 액체의 굴절율 측정용 장치로서도 널리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투광체 중간에 연료와 의 굴절면을 형성하고 투광체의 한쪽측에 발광소자를 다른쪽 측에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각각 설치하고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상의 광입사 위치에 의하여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또는 투광체의 일단에 발광소자와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타단에 연료와의 굴절면과 반사면을 설치하였으므로 검출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검출장치가 연료분사변 가까이의 관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분사변의 분사연료중 알콜함유율을 항상 지체없이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가 있다. 또 검출장치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정도 높게 알콜함유율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2)

  1. 연료의 굴절율을 검출하여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하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에 있어서, 투광체의 중간에 연료와의 굴절면을 형성하고, 이 투광체의 일단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이 발광소자에서 방사광을 굴절면에 입사시키며, 투광체의 타단에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설치하여서 굴절면에서의 굴절광을 1차원광위치 검출소자에 입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2. 연료의 굴절율을 검출하여 연료중의 알콜함유율을 검출하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에 있어서, 투광체의 일단에 발광소자와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를 설치하고, 타단에 연료와의 굴절면과 반사면을 설치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굴절면에 입사시킨 굴절광을 반사면에 반사시킨후 다시 굴절면에 입사시켜서 이 굴절광을 1차원 광위치 검출소자에 입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KR1019890003972A 1988-04-03 1989-03-29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KR910004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93938 1988-04-03
JP88-92164 1988-04-13
JP63092164A JPH01262442A (ja) 1988-04-13 1988-04-13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JP93938 1988-04-13
JP?63-92164 1988-04-13
JP63093938A JPH01263536A (ja) 1988-04-14 1988-04-14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73A KR890016373A (ko) 1989-11-29
KR910004217B1 true KR910004217B1 (ko) 1991-06-24

Family

ID=2643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972A KR910004217B1 (ko) 1988-04-03 1989-03-29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015091A (ko)
EP (1) EP0337173B1 (ko)
KR (1) KR910004217B1 (ko)
DE (1) DE689077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733A (ja) * 1989-12-15 1991-08-14 Ngk Spark Plug Co Ltd 被測定液体の混合割合検出器
KR940002500B1 (ko) * 1990-02-08 1994-03-25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알콜 함유율 검지장치
US5157452A (en) * 1990-07-03 1992-10-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content detection with refractive index and temperature signal mixing
JPH0493639A (ja) * 1990-08-03 1992-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性状検知装置
JPH04169839A (ja) * 1990-11-01 1992-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JPH05156983A (ja) * 1991-12-09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JPH05195839A (ja) * 1992-01-22 1993-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DE4223840C2 (de) * 1992-07-20 1994-06-16 Zeiss Carl Jena Gmbh Refraktometer
JPH06160277A (ja) * 1992-09-16 1994-06-07 Nippondenso Co Ltd 液体性状検出装置
DE4329102C2 (de) * 1993-08-30 1997-10-16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m Messen der Dichteänderung von Gasen
DE4329098A1 (de) * 1993-08-30 1995-03-02 Daimler Benz Ag Sensor zur Bestimmung der Dichteänderung von Gasen
US6087182A (en) * 1998-08-27 2000-07-11 Abbott Laboratories Reagentless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US6531708B1 (en) 2001-04-16 2003-03-11 Zevex, Inc. Optical bubble detection system
US6659976B2 (en) 2001-04-16 2003-12-09 Zevek, Inc. Feeding set adaptor
DE10204002B4 (de) * 2002-02-01 2012-05-24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Kontrolle der Solekonzentration in einer Haushaltsmaschine
KR100718115B1 (ko) * 2006-05-15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식 메탄올 센서용 유로 장치
US20080103445A1 (en) * 2006-09-29 2008-05-01 Blaine David H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ir Bubbles
US7726174B2 (en) 2006-10-24 2010-06-01 Zevex, Inc. Universal air bubble detector
JP4906583B2 (ja) * 2007-05-15 2012-03-2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燃料性状検出装置
EP2183564B1 (en) 2007-08-24 2019-01-02 Moog Inc. Ultrasonic air and fluid detector
US20090139318A1 (en) * 2007-12-04 2009-06-04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a reducing agent
JP2011505919A (ja) 2007-12-07 2011-03-03 ゼヴェ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セラミック素子の分割電極を使用するランジュバン型振動子に横運動を誘発する方法
US8539812B2 (en) 2009-02-06 2013-09-24 Zevek, Inc. Air bubble detector
WO2012038346A1 (de) * 2010-09-21 2012-03-29 Ab Elektronik Sachsen Gmbh Sensor zur überwachung eines mediums
ES2666349T3 (es) * 2010-09-21 2018-05-04 Ab Elektronik Sachsen Gmbh Sensor para vigilar un medio
DE102010041141B4 (de) * 2010-09-21 2015-02-05 Ab Elektronik Sachsen Gmbh Sensor zur Überwachung eines Mediums
GB2519861B (en) 2013-10-11 2015-09-16 Waters Technologies Corp Phase detection in multi-phase fluids
TWI603069B (zh) 2016-09-05 2017-10-21 浚洸光學科技股份有限公司 液體濃度的檢測裝置
WO2020221577A1 (de) * 2019-04-30 2020-11-05 Blaser Swisslub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alysieren einer flüssigkeit
DE102022111450A1 (de) * 2022-05-09 2023-11-09 Hydac Filter Systems Gmbh Messvorrichtung
WO2024074603A1 (de) 2022-10-06 2024-04-11 Liquidtool Systems Ag Sensorblock für die analyse einer flüssigke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3102A (en) * 1945-05-02 1949-09-27 Robert M Pierson Refractometer employing photosensitive devices and use of the same
DE1192849B (ko) * 1961-02-20
US3299770A (en) * 1961-09-22 1967-01-24 Honeywell Inc Light to electrical energy transforming apparatus for continuously indicating the index of refraction
US3426211A (en) * 1965-10-21 1969-02-04 Honeywell Inc Refractometers
US3384885A (en) * 1966-02-21 1968-05-21 Gen Motors Corp Multiple liquid reservoir liquid level indicator
GB1471685A (en) * 1973-07-04 1977-04-27 Vdo Schindling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density
SU757944A1 (ru) * 1977-08-15 1980-08-23 Zaporozh Vni K I Tsvetmeta Рефрактометр
US4381895A (en) * 1980-02-28 1983-05-03 Bi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low-through digital refractometer
SU928203A1 (ru) * 1980-07-08 1982-05-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681 Гидрооптический рефрактометр
NL191373C (nl) * 1980-07-15 1995-06-16 Tno Inrichting voor het sturen van de brandstoftoevoer aan een verbrandingsmotor.
JPS58129235A (ja) * 1982-01-27 1983-08-02 Hitachi Ltd 燃料性状検出器
CH654664A5 (fr) * 1983-09-07 1986-02-2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Refractometre.
JPS60128332A (ja) * 1983-12-15 1985-07-09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的測定方法
JPS60201236A (ja) * 1984-03-26 1985-10-11 Nippon Kogaku Kk <Nikon> 屈折率測定素子
JPS61159137A (ja) * 1984-12-30 1986-07-18 Susumu Nakagawa 濃度計
US4749274A (en) * 1986-01-24 1988-06-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etecting fuel mixture ratio
JPH0526992Y2 (ko) * 1986-09-22 1993-07-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7173A2 (en) 1989-10-18
EP0337173B1 (en) 1993-07-28
DE68907766D1 (de) 1993-09-02
US5074659A (en) 1991-12-24
US5015091A (en) 1991-05-14
KR890016373A (ko) 1989-11-29
DE68907766T2 (de) 1994-03-24
EP0337173A3 (en) 199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217B1 (ko) 알콜함유율 검출장치
KR940002500B1 (ko) 알콜 함유율 검지장치
US4770129A (en) Sensor for mixing ratio of gasoline and alcohol
US5009064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flue gas or exhaust gas from a combustion process
JP2008107098A (ja) 燃料性状検出装置
US4962746A (en) Mixing liquid ratio detector device
EP0483725B1 (en) Alcohol content detector
JPH01263536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US4895444A (en) Detector device for mixing ratio for gasoline and alcohol or the like
US5083018A (en) Fluid index of refraction sensor
JPH02184743A (ja) 燃焼プロセスの煙道ガス又は排気ガス内の粒子負荷を測定する装置
JPH01262442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JP4408926B2 (ja) 燃料性状検出装置
JPH0440343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JPH03233347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EP043308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mix ratio of a composite liquid
JPH0282138A (ja) 混合液体の液体混合比検出器
JPH0452679Y2 (ko)
JPS62127645A (ja) ガソリン〜アルコ−ル混合比センサ
JPH0247487Y2 (ko)
JPH0610654B2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WO2019093143A1 (ja) 成分センサ
JPH0249143A (ja) 混合液体の液体混合比検出器
JPH01270646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JPH03233346A (ja) アルコール含有率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