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66B1 -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66B1
KR910003766B1 KR1019900010974A KR900010974A KR910003766B1 KR 910003766 B1 KR910003766 B1 KR 910003766B1 KR 1019900010974 A KR1019900010974 A KR 1019900010974A KR 900010974 A KR900010974 A KR 900010974A KR 910003766 B1 KR910003766 B1 KR 91000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olecule
thermosetting resin
derivatives
glycid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스즈끼
데루히꼬 오오누마
오사무 스즈끼
야스오 이마시로
사또시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닛신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세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66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354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87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6245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60002223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08986B1/ko
Application filed by 닛신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세 히데오 filed Critical 닛신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열성 및 난연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며 가공성에도 뛰어난 신규한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이 부가중합한다고 하는 것은 예컨대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다가 알코올류와 반응하면 폴리우레탄이 생성되고, 폴리아민과 반응하면 폴리요소를 생성시키는등, 이와같은 2종류의 화합물의 반응은 여러 가지로 조합되어서 폴리우레탄이라고 총칭되는 유용한 고분자 물질군을 형성한다는 것에 대표되는 바와 같이 잘 알려져있다.
그러나 활성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이라 할지라도 예컨대 아미노트리아진류는 그의 유리(遊離)아미노기가 전자(電子)흡인성이 매우 높은 트리아진 핵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활성이 매우 낮다고 생각되는 것과 또한 아미노트리아진류가 통상 고체이며 또한 융점이 매우 높고 통상 액체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트리아진류와의 반응에 의해 고분자 물질을 제조한 예는 매우 적으며 오히려 이들의 화합물의 사이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되고 있었던 바와같이 이 반응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새로운 내열성 열경화성 수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과정에서 상기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트리아진류와의 반응에 의해 극히 경질이며 불용불융의 축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본 발명에 관하여 이미 특허출원을 한바있으나 (일본군 특개소 59-41320호 공보 참조), 더욱 강고등의 물리적 성질이 뛰어난 열경화성 수지를 얻을수가 있다면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반응의 응용성이 증대되어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욱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난연성의 열경화성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가지며 난연성이며 가공성이 양호한 열경화성 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상기한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을 배경으로 하여 더욱 고강도이고 또한 고내열성이며 더욱이 가공성이 풍부한 열경화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드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1종이상을 사용하는 등에 의하여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실질적으로 생성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드이미드화를 촉진시키는 촉매의 1종이상을 사용하는 등에 의하여 1종이상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분자량을 규제하면서 실질적으로 생기게 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와 분자중에 2이상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가교제의 1종이상 또는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1종이상, 또는 카르보디이미드의 3량화(量化)를 촉진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그의 제조방법은 1종이상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2이상의 활성수소기를 갖는 가교제 또는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1종이상, 또는 카르보디이미드의 3량화 촉진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드이미드를 촉진하는 촉매의 1종이상을 반응시키거나, 또는 1종이상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 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2이상의 활성수소기를 갖는 가교제, 또는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1종이상, 또는 카르보디이미드의 3량화를 촉진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과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드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를 함유한 조성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기 모노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규제한 카르보디이미드도 유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한 상기 선원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트리아진과의 혼합물을 6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화성 수지를 얻는 동시에 이 경화성 수지를 30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므로써 더욱 높은 내열성 및 난연성을 가진 수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발명자들은 그후 더욱 연구를 계속한 결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부터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가 아미노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스 이미드계 화합물,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등의 활성수소기를 1분자중에 적어도 2이상 함유하는 물질 또는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서 가교되어 열경화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과 상기 선원에 관한 발명과의 근본적인 차이는 선원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서시아네이트와 아미노트리아진을 가열하에 반응시켜서 열경화성 수지를 얻는데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촉매의 존재하, 먼저 실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로 변화시키고 이어서 이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분자중에 2이상의 활성수소기를 갖는 가교제 또는 에폭시 화합물, 또는 카르보디이미드의 3량화를 촉진시키는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가교하여 신규한 열경화성 수지를 얻는 점에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 결합을 활성수소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은 공지이며 또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활성수소 화합물로 변성하는 시도도 예컨대 E. Dyer들이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아지화수소(HN3)로 처리하면 폴리테트라졸이 얻어진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는(Journal of Polymer Science 6,729-742[1968]) 바와같이 이미 행하여지고 있으므로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것은 예컨대 상기 폴리테트라졸이 가교된 수지는 아니고 또 그의 물리적 성질도 만족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하였던 바와같이 실용성에도 부족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말단에 2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2, 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 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 4 및 2, 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조(組)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조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 4', 4"-트리페닐 메틸렌 트리이소시아네이트, 4, 4'-디메틸 디페닐 메탄-2, 2', 5, 5'-테트라 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 6-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에스테르, 수첨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m- 페닐렌 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 5-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톡시페닐-2, 4-디이소시아네이트, 4, 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 3'-디메톡시-4, 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 3'-디메틸-4, 4'-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 3'-디메틸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이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다관능성 활성수소 화합물에 대하여 화학양론적으로 과잉으로 사용하여 얻어지는 소위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수가 있고, 이것에는 예컨대 4, 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ε-카프로락톤 디올,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 디올등과의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로 내열성인 경화수지를 얻는데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내열성이 뒤떨어지는 지방족의 에스테르 결합, 에테르 결합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미리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부분적으로 카르보디이미드화한 후에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하등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란 분자 중에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며, 이것에는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오르토, 메타, 파라)-톨릴 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 이소시아네이트, 시크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트리플루오르 메틸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 이소시아네이트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내열성을 중시한다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음의 요소인 가교제는 원칙적으로 분자중에 활성수소기를 2이상 함유하는 화합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3량화 촉진 화합물등 또는 혼합물이며, 예컨대 아미노-s-트리아진, 2-페닐-4, 6-디아미로 트리아진, 2-메틸-4, 6-디아미노트리아진, 트리아진 유도체, 3, 9-비스[2-(3, 5-디아미노-2, 4, 6-트리아자페닐)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시아누르산 및 그의 치환체, 하이드로퀴논, 4, 4'-이소프로린리덴 디페놀 등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요소, 디시안디아미드, 피로 메리트 디이미드와 같은 디이미드 화합물, 피로메리트산 무수물, 3, 3'-4, 4'-벤조페논 테트라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같은 디산무수물, 다관능 에톡시 화합물류 등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카르보디이미드의 3량화를 촉진할 수가 있는 화합물로서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연구결과 폴리우레탄 화학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공지로 되어 있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3량화 촉매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으며, 특히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P-디메틸 아미노페놀, 트리스(디알킬 아미노알킬)헥사하이드로-s-트리아진 등의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염이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벤조산나트륨등의 유기금속염, 혹은 제 3급 아민과 알킬렌 옥시드의 혼합계가 잘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요소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로서, 이 촉매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사용되나 1-페닐-2-포스포렌-1-옥시드, 3-메틸-2-포스포렌-1-옥시드, 1-페닐-2-포스포렌-1-설파이드, 1-에틸-2-포스포렌-1-옥시드, 1-에틸-3-메틸-2-포스포렌-1-옥시드나 이것들의 3-포스포렌 이성체등이 수율 기타의 면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 열경화성 수지는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1종이상 등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등으로 하여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발생케 해서 이것을 분자중에 2이상의 활성수소기를 갖는 상기 가교제등의 1종이상과의 가교반응에 부침으로써 얻어지고 고도로 내열성이며 또는 높은 강도를 가졌으며, 가공성에도 뛰어난 것이다.
또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원료로 라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자체는 공지이나(T.W. Campbell and J.J. Monagle, J.Amer. Chem. Soc. 84,1493 [1962]),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플라스틱으로서의 가공성을 갖는 정도로 분자량을 규제하면 그의 수지는 단단하고 또한 무른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폴리카르보디이미드가 치밀한 수지 또는 발포체로서의 단체로는 실용에 제공할 수 없어던 것은 이런 이유로 인한 것이며, 그 용도는 카르보디이미드 결합의 반응성을 이용한 고분자의 안정화제(예컨대, 바이에르사의 Stabaxol P[상품명])에 한정되고 있었던 것이다.
또 폴리우레탄 폼(foam)의 제조에 있어서 그의 열안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결합을 도입하는 시도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라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상기한 본 발명 열경화성 수지는 예컨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2종류의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의 하나는 상기한 본 발명 열경화성 수지의 각 요소를 적당한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조제하여 이 조성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의 존재하, 먼저 실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로 변화시킬 때에 분자중에 활성 수소기를 갖는 가교제가 공존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교제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반응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상기 촉매의 존재하에서는 우선적으로 카르보디이미화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반응의 진행자체에 지장은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에 선행하여 가교제가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된다면 가교제로서 작용하지 않던가 혹은 열적으로 약한 결합을 도입해 버리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유리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제를 공종시킨계에서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가교제의 활성 수소기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가급적 활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예컨대 4, 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을 공존시킨 계에서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을 행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이 진행하는데 수반하여 탄산가스가 발생하므로 만일 최종 제품으로서 발포체를 희망한다면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계내로 분산 유지케 하면되고 필요하다면 폴리알콕시 실리콘의 기포안정제를 배합하면 좋다.
또 이 단계에서 섬유질 보강제, 분말 또는 결정상 충전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화는 이 단계에서 완전히 완료시킬 필요가 없다. 어느정도 카르보디이미드화가 진행되면 계는 고화하여 잔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가 관측되는 수지상물로 되지만 비교적 안정하며 수일내지 수주간 이상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고화된 수지상물은 100℃이상 500℃이하, 바람직하기는 150℃이상 4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면 최종경화물로 변화시킬 수가 있으며 또 가열을 적당한 형내에서 가압하에 행한다면 형상의 경화물을 얻을 수 있으나 수지상물이 150℃이상의 온도에서 연화하고, 이어서 급속히 경화하기 때문에 이 열압성형도 100℃이상 500℃이하 바람직하기는 150℃이상 400℃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지상물은 필요하다면 분쇄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또 분쇄후에 섬유질 보강제, 분말 또는 결정상의 충전제 등과 혼합할 수도 있다.
한편 나머지의 본 발명은 먼저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공존하에서 실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로 변화시키고 이것에 상기 2이상의 활성수소기를 갖는 가교제,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혼합하고 이 조성물을 적당한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 있어서 가교제는 예컨대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화에 의해서 수지상물을 분쇄하고 이것에 혼합 분산시키도록 하여 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실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이 높은 가교제라 할지라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어떤 방법에 의할 경우라도 수지상물이 어느 정도의 잔류 이소시아네이트를 가질 때에는 가열에 의해서 재발포시킬 수가 있고, 이때는 형내(型內)를 발포에 의해 충만시켜 소망하는 형상의 경화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열경화성 수지는 상기한 바와같이 폴리카르보디이미드와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그 최대의 특징은 높은 강도와 내열성에 있다.
또 본 발명 수지는 열안정성에도 뛰어나고 상기 폴리테트라졸이 열중량 분석의 결과에 의하며 250℃ 부근에서 급속히 중량감소를 나타내는데 대하여 본 발명 수지는 공기중 400℃까지 거의 중량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던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상기 선원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트리아진을 혼합한 후 60 내지 160℃로 가열하여 일단 경화물을 얻고 그후 300 내지 400℃에서 이 경화물을 가열하여 재연화, 발포시켜서 고도로 내열성의 수지를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2단계의 프로세스가 필요하며, 또한 최종 가열 온도가 300℃이상에 달하고 또 다량의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공은 비교적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가열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우수한 성질을 갖는 본 발명 수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의 하나에 있어서는 공정이 1단계에서 끝나고 가교제 등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한편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반응성이 높은 가교제라 하더라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말단을 봉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수평균 분자량 약 2,500) 100g과 디아자비시클로옥탄 1g, 페닐글리시딜에테르 1.5g을 유발에서 충분히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글래스클로스에 함침시켜서 200℃에서 5분간 가압성형하여 강화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37 kg/cm3
휨강도 3,800 kg/cm2
(2) 말단이 페닐기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수평균 분자량 약 2,500) 100g, 페닐글리시딜에테르를 충분히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150℃에서 5분간 가압함으로써 능적색의 수지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19 kg/cm3
휨강도 450 kg/cm2
(3) 말단에 p-톨릴기를 갖는 톨리카르보디이미드(수평균 분자량 약2,000) 100g을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00g을 충분히 혼합한 후 디아자비시클로 옥탄 1g을 가하고 다시 혼합하여 얻어진 분말상 수지를 180℃, 10분간 가압 성형함으로써 적확색 수지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21 kg/cm3
휨강도 474 kg/cm2
(4) 4, 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25g, 2, 4-톨린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65% 함유한 2, 4- 및 2,6-톨린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87g을 충분히 혼합한후, 3-메틸-1-페닐-2-포스포렌-1-옥시드 0.2g을 가하였다. 이것을 120℃에서 2시간 처리함으로써 발포체를 얻고, 이 발포체를 보올밀로 48시간 분쇄한 후에 노보락형-크레졸의 글리시딜에테르(에폭시 당량 210) 35g을 가하고, 다시 보올 밀로 48시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100℃에서 5시간 가압한 후, 200℃에서 10분간 가압 성형함으로써 농적색 수지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23 kg/cm3
휨강도 483 kg/cm2
(5) 조(組)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40g,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50g, 프탈산 디글리시딜에테르(에폭시 당량 140) 30g, 3-메틸-1-2-포스포렌-1-옥시드 0.2g을 잘 혼합하여 120℃에서 1시간 처리함으로써 수지상 발포체를 얻었다. 이 발포체 100g과 탄산칼슘 30g을 보올밀에서 24시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180℃에서 15분간 가압 성형함으로써 수지 경화물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50 kg/cm3
휨강도 610 kg/cm2
(6) 2, 4-톨린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80% 함유하는 2, 4- 및 2, 6-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87g,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0g, p-톨릴 이소시아네이트 22g, N-디글리시딜아닐린(에폭시 당량 90) 7.5g, 및 3-메틸-1-에틸-2-포스포렌-1-옥시드 0.1g을 충분히 혼합한 후 130℃에서 1.5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수지상 발포체 100g을 보올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트리스(디메틸아미노)페놀 1g을 가하고 다시 12시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말수지를 20℃에서 7분간 가압 성형함으로써 농적색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 1.20 kg/cm3
휨강도 443 kg/cm2
(7) 말단을 페닐기로 봉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수평균 분자량 약 3,000) 100g을 N-메틸-2-피롤리돈 500ml에 용해시켜서 얻은 용액에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유도체(에폭시 당량 180) 50g을 가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되면 즉시 50℃로 유지한 유리판 위에 도포하여 1시간 방치한다. 방치후 2시간에 걸쳐서 210℃까지 가열하면 투명강인한 필름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필름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10.6 kg/cm2
인장 신장도 73%
(8) 말단을 페닐기로 봉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수평균 분자량 약 800) 50g과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유도체(에폭시 당량 180) 100g을 충분히 혼합하여, 반고체상 수지를 얻었다. 이것을 50g의 유리 장섬유 스트랜드 매트에 함침시키고 이어서 100℃에서 1시간 가열하고 다시 200℃에서 5분간 가압 성형함으로써 유리 섬유 강화 성형품을 얻었다.
이 성형품의 물질은 다음과 같았다.
밀도 1.64 g/cm3
휨강도 3150 kg/cm2

Claims (16)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1종이상의 시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페닐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 옥시드중에서 선택된 1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테르류, 프탈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스테르류, N-디글리시딜 아닐린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아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켜서 실질적으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생성시키고 이 폴리카르보디 이미드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페닐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 옥시드 중에서 선택된 1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테르류, 프탈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스테르류, N-디글리시딜 아닐린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아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결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1 종이상을 사용함에 의하여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실질적으로 생성케 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와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의 1종이상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벤질 디메틸아민, 디메틸아미노페놀, 펜타알킬에틸렌 트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벤질 디메틸아민, 디메틸아미노 페놀, 펜타 알킬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9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 옥시드 중에서 선택된 1관능성 에폭시화합물, 비스페놀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테르류, 프탈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스테르류, N-디글리시딜 아닐린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아민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켜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생성시키고 이 폴리카르보디이미드화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 옥시드 중에서 선택된 1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비스 페놀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테르류, 프탈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에스테르류, N-디글리시딜 아닐린 및 그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글리시딜 아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1종이상을 사용함에 의하여 1종이상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실질적으로 생성시킨 폴리카르보디이미드와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의 1종이상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벤질디메틸아민, 디메틸 아미노페놀, 펜타알킬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1종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 1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와 1종이상의 분자중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하에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제 15 항에 있어서,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 3급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은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벤질디메틸아민, 디메틸 아미노페놀, 펜타알킬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900010974A 1985-03-29 1990-07-19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KR910003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66195 1985-03-29
JP60066195A JPS61235414A (ja) 1985-03-29 1985-03-29 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JP60087460A JPS61246245A (ja) 1985-04-25 1985-04-25 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JP60-140491 1985-06-28
KR1019860002223A KR900008986B1 (ko) 1985-03-29 1986-03-25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223A Division KR900008986B1 (ko) 1985-03-29 1986-03-25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766B1 true KR910003766B1 (ko) 1991-06-12

Family

ID=272990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974A KR910003766B1 (ko) 1985-03-29 1990-07-19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900010975A KR910003767B1 (ko) 1985-03-29 1990-07-19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975A KR910003767B1 (ko) 1985-03-29 1990-07-19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100037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767B1 (ko) 199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86B1 (ko)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US4305863A (en) Glass bead-filled resin composition
EP0214750B1 (en) Use of imides hardeners for epoxy resins and epoxy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imides.
JPH11322899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S61285210A (ja) ポリアミドイミド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753751A (en) Polyurethane composition
JPS6328091B2 (ko)
EP1511794B1 (en) Foamed supramolecular polymers
KR910003766B1 (ko)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US3632845A (en) Soluble cured polyester polyurethanes
US4001180A (en) Polyurethane curing agent
JPH056565B2 (ko)
EP0362286A1 (en) Flame retardant internally cured polyurethane foam having improved properties
US3721647A (en) One-package heat-curable urethane polymer casting composition
KR920000924B1 (ko) 열경화성 수지의 제조방법
JP2850291B2 (ja) 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US3674749A (en) Polyiminoquinazolinediones
JPS621714A (ja) 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JPS61268714A (ja) 耐熱性の高い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JPH0616829A (ja) 炭素繊維複合材
JPH056564B2 (ko)
JPH02175756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S59120615A (ja) 耐熱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重合体硬化物の製造方法
JPH0948836A (ja) 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JP2606245B2 (ja) 尿素基含有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