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34B1 -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3034B1 KR910003034B1 KR1019870009521A KR870009521A KR910003034B1 KR 910003034 B1 KR910003034 B1 KR 910003034B1 KR 1019870009521 A KR1019870009521 A KR 1019870009521A KR 870009521 A KR870009521 A KR 870009521A KR 910003034 B1 KR910003034 B1 KR 910003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ing
- stage
- high speed
- motor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23—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 B66C13/24—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by dc mo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66D3/22—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with variable-speed gearings between driving motor and drum or barr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7—Thyristor or sc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작동장치를 구성하는 전동 호이스트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작동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선분 Ⅲ-Ⅲ을 따라 본 작동 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속도 표시부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 장치을 위한 작동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선분Ⅶ-Ⅶ를 따라 본 작동 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작동 장치를 위한 제어 회로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작동장치에 사용된 위상 제어 회로에 수신되는 입력의 파형도.
제9b도는 위상 제어 회로로부터 나온 출력의 파형도.
제10a도는 DC 모우터가 정회전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될 때 입력의 파형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위상 제어 회로로부터 나온 출력의 파형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응용되는 체인 블록의 기계적인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제동부에 사용되는 라체트형의 휠과 결합하는 톱니 멈춤쇠(pawl)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작동장치에 사용되어지는 가변 저항기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케이블
3 : 콘트롤 함 4 : 변속제어회로
5, 6 : 조절 놉브 12, 13 : 푸쉬 버튼
15, 16 : 조절축 22 : 구동기어
23 : 중간 구동기어 24 : 캠서포오트
27 : 리테이너 디스크 28 : 라체트형의 휠
33 : 부하 활차축 35 : 부하 활차
42 : 보강재 43 : 전진링
44 : 전진부재 51 : 톱니 멈춤쇠
61 : 동작 회로 62 : 위상 제어 회로
63 : 전파 정류 회로 64 : 정역회전 회로
65 : DC 모우터
본 발명은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아올리는 또는 내리는 속도가 2단계 푸쉬 버튼에 의하여 저속에서 고속으로 및 고속에서 저속으로 용이하게 변경되고 저속 및 고속의 속도는 저속 및 고속 범위안에서 간단히 제어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호이스트"는 체인블록과 같이 대상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DC 모우터로 구성된 수단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전동식 체인블록과 같이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는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여기에 사용된 작동장치에 있어서, 콘트롤 함은 전동 호이스트의 본체에 종속된 케이블에 연결되고 감아올리고 내리는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 및 감아올리고 내리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저항기로 구성된다.
그런 작동 장치를 갖는 호이스트에 의하여 적당한 속도로 물체를 감아올리고 내릴 때, 운전자는 콘트롤 함을 잡고 있는 손의 한 손가락으로 푸쉬 버튼 스위치를 누르거나 동시에 호이스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손으로 가변 저항기를 동작시킨다. 그러므로 그런 장치의 조작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선행 기술의 상기 결점을 제거하고 저속 및 고속 동작속도에 따라 스위칭 할수 있고 감아올리고 내리는 동작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물체를 감아올리고 내리기 위한 DC 모우터로 구성된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는 호이스트의 콘트롤 함에 제공된 저속 조정기 및 고속 조정기로 이루어져 있고, 더욱이 콘트롤 함에는 제1 및 제2단계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눌러질 때 상기 조정기중의 어느하나를 변속제어회로에 전환연결하는 감아올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와, 그리고 제1 및 제2단계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눌러질 때 상기 조정기중의 하나를 상기 변속 제어회로에 전환 연결하는 감아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을 보다 분명히 이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다. 전동 호이스트는 본체(1)에 종속된 케이블(2)에 연결된 본체(1) 및 콘트롤 함(3)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트롤 함(3)에는 변속제어회로(4)에 연결되어 지는 가변저항기를 포함하는 저속 조정기(VR1)와 가변 저항기를 포함한 고속 조정기(VR2)로 이루어져 있다. 콘트롤 함(3)은 감아올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및 감아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로 구성되어 있다. 푸쉬 버튼(추후설명)을 1단계 위치까지 누름에 의해 스위치(PB-U 또는 PB-D)가 가동될 때 저속 조정기(VR1)는 변속제어회로(4)에 연결된다. 푸쉬 버튼을 제2단계 위치까지 누름에 의해 스위치(PB-U 또는 PB-D)가 가동될 때 고속 조정기(VR2)는 변속 제어회로(4)에 연결된다.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용 노절놉브(5 및 6)가 각각 저속 및 고속 범위안에서 감아올리기 및 내리기 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콘트롤 함(3)의 정면상에 제공된다. 콘트롤 함(3)의 정면은 놉브(5 및 6)를 덮기위하여 선회할수 있게 연결된 덮개(7)로 상부에 제공된다. 덮개(7)는 전동 호이스트의 동작중 조정기(VR1 및 VR2)의 놉브(5 및 6)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스프링(8)의 스프링 동작에 의하여 놉브(5 및 6)를 덮는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콘트롤 함(3)의 정면에는 조정기(VR1 및 VR2)에 상응하는 저속 및 고속 눈금을 갖는 지시판이 공정되어 있다. 콘트롤 함(3)의 정면에는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및 PB-D)용 푸쉬 버튼(12 및 13)이 제공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전동 호이스트용 동작 제어회로도이다. 푸쉬 버튼(12)이 제1단계 위치에 눌려있을 때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의 감아올리기 접촉 쌍(A)이 호이스트의 감아올리기 동작을 시작하도록 턴온된다. 이 조건 아래에서 저속 조정기(VR1)가 속도 제어회로(4)에 사전에 연결될 때 감아올리기 동작은 저속 조정기(VR1)에 의하여 선 결정된 설정치에서 이루어진다.
푸쉬 버튼(12)이 제2단계로 눌려 있을 때 푸쉬 버튼 스위치(PB-U)의 고속 접촉 쌍(B)이 릴레이(R)를 여자시켜서 릴레이(R)이 스위치(14)가 고속 조정기(VR2)를 속도 제어회로(4)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된다. 그러므로 감아올리기 동작은 고속 조정기(VR2)에 의하여 선 결정된 고속도 설정치에서 이루어진다.
푸쉬 버튼스위치(PB-U)가 제1단계로 이행될 때 감아올리기 동작은 다시 저속도로 이루어진다. 스위치(PB-U)로부터 미는 힘을 이완시킬 때 감아올리기 동작은 정지된다.
푸쉬 버튼(13)이 제1단계 위치에 틀려질 때 감아 내리기 동작을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의 감아내리기 접촉쌍(C)은 호이스트의 감아내리기 동작을 시작하도록 턴온된다. 이 조건 아래에서 저속 조정기(VR1)가 속도 제어회로(4)에 사전에 연결될 때 감아내리기 동작은 저속 조정기(VR1)에 의하여 선 결정된 저속도 설정치에서 이루어진다.
푸쉬 버튼(13)이 제2단계 위치에 눌려질 때 푸쉬 버튼 스위치(PB-D)의 고속 접촉쌍(D)은 릴레이(R)를 여자시켜서 스위치(14)가 고속 조정기(VR2)를 속도 제어 회로(4)에 연결하기 위하여 스위치된다. 따라서 감아내리기 동작은 고속 조정기(VR2)에 의하여 선 결정된 고속도 설정치에서 이루어진다.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제1단계 위치로 이행될 때 감아내리기 동작은 다시 저속도에서 이루어진다. 스위치(PB-D)로부터 미는 힘을 이완시킬 때 감아내리기 동작은 정지된다.
감아올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푸쉬 버튼(12)에 의하여 눌려있을 때, 인터로킹 접촉쌍(E)이 턴오프된다. 이 조건아래에서 감아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푸쉬 버튼(13)에 의하여 눌러지더라도 감아내리기 회로는 비 작동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감아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푸쉬 버튼(13)에 의하여 눌려 있을 때 인터로킹 접촉쌍(F)은 턴오프 된다. 이 조건아래서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푸쉬 버튼(12)에 의하여 눌러지더라도 감아올린 회로는 비작동상태로 있게 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 처럼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의 조절 축(15 및 16)은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홈(17)을 지니고 있는 신장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조절 축(15 및 16)이 운전자의 손으로 회전시킬수 없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는 콘트롤 함(3)에 대개 둘러쌓여 있으므로 이 조정기들은 운전자 마음대로 조정되거나 조작될 수 없다.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기 신호를 기계적 동작 수단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가 가변 저항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속도 제어회로(4)는 콘트롤 함(3)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동 장치를 위한 바람직한 제어회로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작동 장치에 사용된 제어회로를 도시하고 있고 그것은 동작 회로(61), 위상 제어회로(62), 전파 정류회로(63), 정회전 및 역회전 회로(64), 다이내믹 제동 저항기(DBR) 및 DC 모우터(65)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 회로(61)는 감아올리기 회로(61a), 감아내리기 회로(61b), 고속 및 저속 변속회로(61c), 및 가변 저항기(VRL 및 VRH)로 구성되어 있다. 감아올리기 회로(61a)는 감아올리기 동작용 푸쉬버튼 스위치(PB-U)의 저속도 접촉쌍(L),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의 정상 클로즈된 접촉쌍(MD1), 및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의 직렬회로이다. 감아내리기 회로(61b)는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D)의 저속도 접촉쌍(D),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의 정상 클로즈된 접촉쌍(MU-1) 및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의 직렬회로이다. 고속 및 저속 변속 회로(61c)는 감아올리기 및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U 및 PB-D)의 고속도 접촉쌍(H)의 병렬 회로에 직렬로 연결된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의 회로이다.
푸쉬 버튼 스위치(PB-U 및 PB-D)는 2단계 조작 스위치이다. 저속도 접촉쌍(L)은 제1단계 위치에 스위치를 누름으로서 접속된다. 한편 저속도 접촉쌍(L) 및 고속도 접촉쌍(H)은 제2단계 위치에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접속된다. 스위치를 이완 시킴으로써 두 접촉쌍(L 및 H)이 개방된다
가변 저항기(VRL 및 VRH) 및 병렬로 연결되고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의 스위치 전환 접촉점(MH-1)에 의하여 스위치된다. 가변 저항기(VRL 및 VRH)는 각각 비단계적으로 저속 및 고속 범위안에 속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위상 제어 회로(62)는 커패시터(C), 쌍방향 트리거다이오우드(SBS) (실리콘 쌍격자 스위치류와 같은 트리거 요소(D)) 및 트라이오우드AC 스위치(T)로 구성되어 있다.
정회전 및 역회전 회로(14)는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의 정상오픈 접촉쌍(MU-2 및 MU3),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의 정상 오픈 접촉쌍(MD-2 및 MD-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의정상 클로즈 접촉쌍(MU-4) 및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의 정상오픈 접촉쌍(MD-4)은 다이내믹 제동 저항기(DBR)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된 제어회로에 있어서, 감아올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제1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 때, 스위치(PB-U)의 저속도 접촉접(L)은 교류 전류를 접촉점(L)은 교류전류를 접촉점(L) 및 정상 클로즈 접촉쌍(MD-1)을 통하여 교류 전원(AC)으로부터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에 흐르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접속된다. 그러므로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는 릴레이(MU)의 정상 오픈 접촉쌍(MU-2 및 MU-3)을 접속시키고 릴레이(MU)의 정상 클로즈 접촉쌍(MU-1 및 MU-4)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가동된다. 결과적으로 전원(AC)으로부터의 교류 전류는 위상 제어회로(62)에서 위상 제어되고 전파 정류 회로(63)에서 전파정류된다. 정류된 전류는 DC 모우터(65) 속으로 공급되고 정회전 방향으로 부하 활차(추후 설명)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정회전 방향으로 모우터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가 비 작동중이고 저속도 접촉점(L)이 접속되어 있을 때 직류 모우터(65)의 회전 속도는 가변 저항기(VRL)를 조절함으로서 비 단계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이 순간에 릴레이(MU)의 정상 클로즈 접촉쌍(MU-4)이 개방되어 있을 때 이떠한 직류전류도 다이내믹 제동 저항기(DBR)를 통하여 흐르지 않으므로 다아내믹 제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감아올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제2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 때 저속 및 고속도 접촉점(L 및 H) 모두는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접속되고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는 스위치 전환 접촉점(MH-1)을 고속도 접촉점(H)에 스위치 시키기 위하여 가동된다. 이 조건 아래에서 DC 모우터(65)의 회전속도는 가변 저항기(VRH)를 조절함으로써 비단계적으로 고속도 범위안에서 제어될수 있다.
감아올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이완될 때 감아올리기 동작용 릴레이(MU)는 정상오픈 접촉쌍(MU-2 및 MU-3)을 개방시키고 릴레이(MU)의 정상 클로즈 접촉쌍(MU- 및 MU-4)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비 작동 상태로 된다. 결과적으로 DC모우터(65)에 직류 전류가 차단되고 관성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중에 DC 모우터(65)에 생성된 전력은 다아내믹 제동 저항기(DBR)에서 소모되어짐으로써 회전자의 회전은 적절한 감속으로 감속된다.
게다가,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제1단계 위치에 눌려 있다면 스위치(PB-D)의 저속도 접촉점(L)은 교류 전류가 접촉점(L) 및 정상 클로즈 접촉쌍(MU-1)을 거쳐서 교류 전원(AC)으로부터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에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된다. 그러므로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는 정상 오픈 접촉쌍(MD-2 및 MD-3)을 접속시키고 정상 클로즈 접촉쌍(MD-1 및 MD-4)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가동된다. 결과적으로 전원(AC)으로부터 나오는 교류 전류는 위상 제어회로(62)에서 위상제어되고 전파 정류 회로(63)에서 전파 정류된다. DC 모우터의 정회전시 갖는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정류된 전류는 DC 모우터에 공급되고 역회전 방향으로 부하 활차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DC 모우터를 역회전 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게된다. 이때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가 비 작동 상태이고 스위치 전환 접촉점(MH-1)의 저속도 접촉점(L)이 접속될때 DC 모우터(65)의 회전속도는 가변 저항기(VRL)를 조절함으로써 비 단계적으로 저속도 범위안에서 제어될수 있다.
이때 더욱이,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의 정상클로즈 접촉쌍(MD-4)이 개방되어 있을때는 어떠한 직류 전류도 다이내믹 제동 저항기(DBR)를 통하여 흐르지 않게 되어 다아내믹 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이완될때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는 정상오픈 접촉쌍((MU-2 및 MU-3)을 개방시키고 정상클로즈 접촉쌍(MD-1 및 MD-4)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비작동 상태로 된다. 결과적으로 관성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중 DC 무모우터에 생성된 전력은 다이내믹 제동 저항기(DBR)에서 소모됨으로서 회전자의 회전은 적절한 감속으로 감속된다.
더욱이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제2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 때 스위치(PB-D)의 저속 및 고속 접촉점(L 및 H) 모두는 감아내리기 동작용 릴레이(MD)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접속되고 고속 및 저속 변속 릴레이(MH)는 스위치 전환접촉점(MH-1)을 고속도 접촉점(H)에 스위치 시키기 위하여 가동된다. 이 조건 아래에서 DC 모우터(65)의 회전 속도는 가변 저항기(VRH)를 조절함으로써 비 단계적으로 고속도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위상 제어 회로(62)에서의 입력 및 출력 파형을 도시한다. 제9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교류 전류(IN)의 정현파는 제9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류 전류의 파형으로 위상 제어 회로(62)에서 위상 제어된다. 제9b도에 도시된 교류 전류는 제10a도 또는 제10b도에 도시된 직류 전류의 파형으로 전파 정류 회로(63)에서 전파 정류된다. 그 직류전류의 파형중의 하나는 감아올리기 또는 감아내리기 동작 즉 DC 모우터(65)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DC 모우터에 공급된다.
DC 모우터(65)에 공급되는 전력은 위상 제어 회로(62)에서 속도 설정을 위하여 가변 저항기(VRH 및 VRL)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 이 경우에 가변 저항기(VRH 및 VRL)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는 저항 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다음의 제어 기능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감아올리기 또는 감아내리기 동작이 고속도 범위에서 이루어질때 가변 저항기(VRH)는 반파의 제1반파인 4분의 1주기(T1)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작된다. 동작이 저속도 범위에서 이루어질때 가변 저항기(VRL)는 반파의 그 다음 반파인 4분의 1주기(T1)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작된다.
상기 설명된 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동 호이스트의 한 예로써 체인 블록의 구조는 이하 설명될 것이다.
제12도는 비 단계 가변 변속 전동 체인 블록의 기계적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 체인 블록의 기계적 부분은 미합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832,788호에 상응하는 이 사건의 양수인에 의하여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번호 제36,500/85호의 것과 구조상 거의 유사하다.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하 활차(35)와 총체를 이루는 부하 활차 축(33)은 구동기어(22)로 한 끝단에 형성된 구동축(21)과 병행하여 기어함(40)내의 베어링(38 및 39)에 의하여 접속된다. 보조링(41)은 부하 활차(35)의 한 끝단과 결합하도록 부하 활차 축(33)에 끼워 맞춰지고 스프링 강으로 제작된 접시 모양의 스프링으로 보강재(42)의 중앙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철로 만들어진 전진링(43)은 베어링(38)과 결합되도록 부하 활차 축(33)의 다른 끝단에 끼워 맞춰지고 스프링 강으로 제작된 접시 모양의 스프링으로 전진 부재(44)의 중앙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철로 만들어진 캠서포오트(24)는 보강재(42) 및 전진 부재(44)사이에 부하 활차 축(33)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고 축상으로 미끄러지게 맞물린다. 캠서포오트(24)와 전진 부재(44) 사이에 철로 이루어진 리테이너 디스크(27)는 부하 활차 축(33)상에 미끄러지게 그러나 상대적으로 비회전 가능하게 맞물린다. 캠서포오트(24) 및 보강재(42) 사이의 제동 수용 디스크(29)는 부하 활차 축(33)상에 미끄러지게 그러나 상대적으로 비회전 가능하게 맞물린다. 제동용 라체트형의 휠(28)은 슬리이브 베어링(45)을 거쳐서 제동 수용 디스크(29)의 돌기상에 회전 간증하게 맞물린다. 제동용(제13도) 톱니 멈춤쇠(51)는 기어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하여 라체트 형의 휠(28)과 결합되도록 한다.
중간 구동기어(23)는 캠서포오트(24)의 외주상에 축상으로 미끄러지게 그러나 상대적으로 회전이 안되도록 맞물려진다. 마찰판(30 및 31)은 각각 구동기어(23)의 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라체트형의 휠(28) 및 제동수용 디스크(29)의 플랜지 사이에 마찰판(32)은 접착재에 의하여 라체트 형의 휠(28)의 측면에 고정된다. 캠서포오트(24)는 상호간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있고 부하 활차 축(33)에 집중되는 원호의 형태로 복수개의 캠 홈(26)을 갖는 제동 수용 디스크(29)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26)은 홈의 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바닥을 가지고 이 실시예에서 철구 형태로 제동 이완 캠 부재(25)를 수용한다. 더욱이 캠서포오트(24)는 원의 원주상에서 상호간 이격되어 있고 철구(47)를 수용하기 위한 부하 활차 축(33)에 중앙 집중되는 복수개의 리세스(46)를 갖는 리테이너 디스크(27)의 측면에 형성된다.
부하 활차 축(33)의 다른 끝단에 구성되어 있는 외부에 스크류 나사를 가지고 있는 부분(48)은 기어함(40)으로부터 외부로 신장된다. 조절 너트(49)는 기어함(40)으로부터 부하 활차축(33)의 외부에 스크류 나사를 가지고 있는 부분(48)과 나합되고 동시에 칼라(50)의 한 끝단과 결합된다. 조절 너트(49)의 조임력은 칼라(50), 베어링(38) 및 전진링(43)을 통하여 보강재(42) 및 전진부재(44)의 도움으로 그 사이에 삽입된 리테이너 디스크(27), 중간 구동기어(23), 라체트 형의 휠(28), 제동 수용 디스크(29)의 플랜지 및 마찰판(30, 31 및 32)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진 부재(44)의 중앙 부분을 동작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토오크 리미터는 전진 부재(44) 및 보강재(42) 그리고 중간 구동 기어(23), 리테이너 디스크(27), 제동 수용 디스크(29), 라체트 형의 휠(28), 및 부재(44 및 42) 사이의 마찰판(30, 31 및 3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부하 물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계적 제동 조리부는 라체트 형의 휠(28), 캠홈(26)을 갖는 캠서포오트(24), 제동 이완 캠 부재(25), 리테이너 디스크(27), 제동 수용 디스크(29), 중간 구동기어(23) 및 보강재(42) 및 전진 부재(44)의 스프링 힘에 의한 마찰판을 통하여 물려 있는 라체트 형의 휠(28)과 결합되도록 하는 톱니 멈춤쇠(51)에 의해 형성된다.
전동식 체인 블록이 조립된 후 토오크 리미터의 전달 토오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동식 체인 블록의 해체를 요하지 않고 전동기기 수용 덮개(51)를 제거한 후 기어함으로부터 조절 너트(49)를 단지 회전시키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열에 있어서, 동작 회로의 감아올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구동축(21)을 감아올리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DC 모우터(65)를 정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또는 제2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때, 구동축(21)의 구동 기어(22)는 캠서포오트(24)가 구동 기어(23)를 통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제동 이완 캠부재(25)는 캠홈(26)내 더 깊은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중간 구동기어(23), 리테이너 디스크(27), 라체트 형의 휠(28), 제동 수용 디스크(29) 및 마찰판(30, 31 및 32)은 미리 설정된 고정 결합력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중간 구동기어(23)의 회전은 리테이너 디스크(27) 및 제동 수용 디스크(29)를 부하 활차 축(33) 및 부하 활차(35)에 전달함으로써, 토오크 리미터에 의하여 토오크 설정치 범위 안에서 감아올리기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회로내 감아내리기 동작용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제1 또는 제2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때, DC 모우터(65)는 구동축(21)을 감아내리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역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고 캠서포오트(24)는 중간 구동기어(23)를 통하여 구동기어(22)에 의하여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동이완 캠 부재(25)는 캠서포오트(24)의 측면으로부터 더 높이 신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캠홈(26)에 더 얕은 위치로 이동되고, 캠서포오트(24) 및 제동 수용 디스크(29)는 제동 이완 캠 부재(25)의 신장 작용에 의하여 상호간 멀어지게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기계적인 제동 조립부는 이완되어 부하 활차(35)는 DC 모우터(65)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속도보다 더 빨리 부하의 중량에 의하여 회전된다. 그러나 부하 활차(35)의 회전은 기계적인 제동 조립부의 고정 결합을 가져오고 감아내리기 동작은 제동 조립부의 이완 및 고정 결합의 반복에 따라 DC 모우터(65)에 의해 구동되는 속도와 거의 동일하거나 근사한 속도에서 수행된다.
DC 모우터(65)는 부하가 원하는 높이까지 올려지거나 내려진후 인가 전압을 차단할때, 블록의 전달 메카니즘은 부하 중량에 의하여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회전은 기계적 제동 조립부를 단위 몸체로 고정 결합하고 제동 조립부가 고정 결합된 후 더욱이 회전은 톱니 멈춤쇠(51) 및 라체트 형의 휠(28)에 의하여 방해된다.
체인 블록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한 예이고 본 발명에 의한 호이스트는 이 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하중물을 들어올리는 구동축용 DC 모우터를 가지는 체인 블록을 포함한 호이스트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고속 및 저속 범위안에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변 저항기(VRH 및 VRL)는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 스위치형의 가변 저항기일 수 있다. 속도는 탭(R1∼R6)을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가변 저항기(VRH 및 VRL)를 사용하는 대신 복수개의 고정 저항기(R1∼R3)가 병렬로 연결되고 고속 및 저속 범위안에서 속도 제어가 회전 스위치(LS1및 LS2)를 가지고 다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 제어 회로(4)에 연결되도록 하는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는 전동 호이스트의 본체(1)로부터 종속된 케이블(2)에 연결된 콘트롤 함(3)에 제공된다. 콘트롤 함(3)에는 감아올리기 또는 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및 PB-D)가 있어서, 조정기(VR1 및 VR2)는 푸쉬 버튼 스위칙(PB-U 및 PB-D)를 제1 및 제2단계 위치에 누름으로써 변속 제어 회로(4)에 연결되도록 스위치된다. 그러므로 전동 호이스트는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또는 PB-D)를 감아올리기 또는 내리기 동작용 제1단계 위치에 밀어 놓음으로써 선 결정된 저속에서 감아올리기 또는 내리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전동 호이스트는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또는 PB-D)를 감아올리기 또는 내리기 동작용 제2단계 위치에 누름으로써 선 결정된 고속에서 감아올리기 또는 내리기 동작은 전동 호이스트가 운전자의 한손에 의한 조작으로 사용된 위치에 최적합한 저속 또는 고속으로 용이하게 수행된다. 더욱이 저속 및 고속 조정기(VR1 및 VR2)는 운전자의 접근거리내의 낮은 위치에 있는 콘트롤 함(3)에 배열되기 때문에 전동 호이스트는 일단 설치된 후 어느 들어올릴 물체의 재질과 모양에 따라 최적의 저속 및 고속으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 동작에서 저속 동작으로 및 그 역으로 스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고 고속 및 저속 범위내의 속도 제어는 제어 회로에 의해 비 단계적(stepless)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동 호이스트는 동작 속도에 맞춰 스위치 전환할 때 신뢰도가 높고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는 비 단계적인 속도 제어에 탁월한 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공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이고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될 수 있다.
Claims (3)
- 물체를 감아올리기 및 내리기 위한 DC 모우터(65)를 가지고 있는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호이스트의 콘트롤 함(3)에 갖추어진 저속 조정기(VR1) 및 고속 조정기(VR2)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 함(3)에 제1단계 위치 및 제2단계 위치의 어느 하나로 눌려질때 상기 저속 조정기(VR1) 및 상기 고속 조정기(VR2)의 어느 하나를 변속 제어 회로(4)에 전환 연결하는 감아올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와, 제1단계 위치 및 제2단계 위치의 어느 하나로 둘려질때 상기 저속 조정기(VR1) 및 상기 고속 조정기(VR2)의 어느 하나를 변속 제어 회로(4)에 전환 연결하는 감아내리기 동작용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를 또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조정기(VR1)는 DC 모우터(65)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 상기 변속 제어회로(4)에 연결되고, 상기 고속 조정기(VR2)는 감아올리기 및 내리기 동작용 상기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들중의 어느 하나(PB-U 또는 PB-D)가 제2단계 위치에 눌려 있을 때 상기 변속 제어 회로(4)에 연결되며, 감아올리기 동작용 상기 제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가 제1단계 위치에 눌려질때 DC 모우터에는 저속으로 감아올리도록 하는 방향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단계 위치에 눌려질때 DC 모우터에는 고속으로 감아올리도록 하는 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이 되며, 감아내리기 동작용 상기 제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D)가 제1단계 위치에 눌려질 때 DC 모우터에는 저속 감아내리기 방향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단계 위치에 눌려질때 DC 모우터에는 고속으로 감아내리는 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푸쉬 버튼 스위치(PB-U, PB-D)은 각각 인터로킹 접촉쌍(E, F)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단계 위치 중의 어느 하나에 눌려질때, 상기 인터로킹 접촉쌍은 다른 스위치와 관련된 회로를 비작동시키도록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6132605U JPS6340198U (ko) | 1986-08-29 | 1986-08-29 | |
JP?????61-201581 | 1986-08-29 | ||
JP132605 | 1986-08-29 | ||
JP20158186A JPS6360899A (ja) | 1986-08-29 | 1986-08-29 | 変速設定器を有する2段速電動巻上装置用運転操作装置 |
JP?????61-132605 | 1986-08-29 | ||
JP201581 | 1986-08-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2742A KR880002742A (ko) | 1988-05-11 |
KR910003034B1 true KR910003034B1 (ko) | 1991-05-17 |
Family
ID=2646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9521A KR910003034B1 (ko) | 1986-08-29 | 1987-08-29 |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4789135A (ko) |
EP (1) | EP0257647B1 (ko) |
KR (1) | KR910003034B1 (ko) |
DE (1) | DE3788023T2 (ko) |
ES (1) | ES2044884T3 (ko) |
FI (1) | FI8737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39156A (en) * | 1988-12-28 | 1992-08-18 | Mitsubishi Denki K.K. | Variable speed electric hoist |
US5007543A (en) * | 1989-08-21 | 1991-04-16 | Cooke Mack A | Crane apparatus |
JPH0674116B2 (ja) * | 1992-06-15 | 1994-09-21 |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 巻上機 |
DE4229673C1 (ko) * | 1992-09-03 | 1993-08-19 |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 |
US5565720A (en) * | 1993-10-13 | 1996-10-15 | Dwight C. Janisse & Associates, Inc. | Remote motor switch and capacitor assembly |
DE4434373C2 (de) * | 1994-09-15 | 1999-04-01 | Mannesmann Ag | Elektrozug mit drehzahlgeregelter Geschwindigkeit |
US5522582A (en) * | 1994-10-27 | 1996-06-04 | Warn Industries, Inc. | Remote controlled winch |
US5663541A (en) * | 1996-03-18 | 1997-09-02 | Mc Gregor, Ii; George M. | Manual switch for direct current reversible electric winch motors |
US5865426A (en) | 1996-03-27 | 1999-02-02 | Kazerooni; Homayoon | Human power amplifier for vertical maneuvers |
US5915673A (en) * | 1996-03-27 | 1999-06-29 | Kazerooni; Homayoon | Pneumatic human power amplifer module |
DE10324881A1 (de) * | 2003-05-30 | 2004-12-30 |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 Schnittstellenschalt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und Schaltungsanordn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Elektromotors hiermit |
US6963037B1 (en) | 2004-05-27 | 2005-11-08 | Bennett Paul E | Lockout box for a pendant |
EP1641006A1 (en) * | 2004-07-28 | 2006-03-29 | Emas Elektroteknik Makina Sanayi Ve Ticaret A.S. | Novelty in crane control apparatus |
US8337264B2 (en) * | 2006-01-05 | 2012-12-25 | Torqeedo Gmbh | Outboard motor for a boat |
US7559533B2 (en) * | 2006-01-17 | 2009-07-14 | Gorbel, Inc. | Lift actuator |
US20110147170A1 (en) * | 2009-12-18 | 2011-06-23 | Li-Fen Liao | Secure locking mechanism for pushbutton control box |
CN102275816B (zh) * | 2010-10-28 | 2013-10-23 | 三一集团有限公司 | 一种起重机起升控制方法、装置和起重机 |
US9908764B2 (en) * | 2013-03-14 | 2018-03-06 | Vehicle Service Group, Llc | Handheld control unit for automotive lift |
US11008203B2 (en) | 2013-03-14 | 2021-05-18 | Vehicle Service Group, Llc | Automatic adapter spotting for automotive lift |
CN103612987B (zh) * | 2013-11-26 | 2015-07-15 |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 起重机械起重性能调整控制方法及装置 |
USD846827S1 (en) * | 2017-10-03 | 2019-04-23 | Tracen Precision Corp | Hoist |
USD837477S1 (en) * | 2017-10-27 | 2019-01-01 | Comeup Industries Inc. | Synthetic strap hoist |
CN113060665B (zh) * | 2021-04-25 | 2022-11-11 | 浙江润华机电有限公司 | 一种可切换离合的双速绞盘 |
EP4200243A4 (en) * | 2021-09-30 | 2024-03-06 | Guralp Vinc Ve Makina Konstruksiyon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ERGONOMIC LIFTING SYSTEM |
KR102641587B1 (ko) * | 2022-12-26 | 2024-02-27 | 임인규 | 드럼형 호이스트의 과권하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905310C (de) * | 1944-04-29 | 1954-03-01 | Siemens Ag | Bedienungsgeraet fuer Fernsteuerungen, insbesondere Kransteuerungen |
US2680794A (en) * | 1948-08-05 | 1954-06-08 | Fed Electric Prod Co | Push button station |
US3189196A (en) * | 1963-01-25 | 1965-06-15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Load maneuvering apparatus |
GB1057159A (en) * | 1964-11-13 | 1967-02-01 | King Ltd Geo W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witch units |
FR1466692A (fr) * | 1966-01-22 | 1967-01-20 | Birfield Eng Ltd | Palan électrique |
US3493832A (en) * | 1967-12-29 | 1970-02-03 | Singer Co | Scr motor control systems with switch for selecting two speed ranges |
US3784165A (en) * | 1970-11-13 | 1974-01-08 | D Pruitt | Variable speed hoist |
FR2245564A1 (en) * | 1973-09-27 | 1975-04-25 | Peugeot & Renault | Travelling crane floor level control box - has central four-position control with hand grip and horn button |
JPS5418570A (en) * | 1977-07-11 | 1979-02-10 | Hitachi Ltd | Device for operating electric winch |
US4636962A (en) * | 1983-05-24 | 1987-01-13 |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 Microprocessor-controlled hoist system |
US4520247A (en) * | 1984-03-05 | 1985-05-28 |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 Pendant type electrical switching device |
-
1987
- 1987-08-27 ES ES87112482T patent/ES2044884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8-27 EP EP87112482A patent/EP025764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8-27 DE DE87112482T patent/DE378802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8-27 FI FI873724A patent/FI873724A/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87-08-28 US US07/090,628 patent/US478913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8-29 KR KR1019870009521A patent/KR9100030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257647B1 (en) | 1993-11-03 |
DE3788023D1 (de) | 1993-12-09 |
EP0257647A2 (en) | 1988-03-02 |
EP0257647A3 (en) | 1990-05-30 |
DE3788023T2 (de) | 1994-04-14 |
KR880002742A (ko) | 1988-05-11 |
ES2044884T3 (es) | 1994-01-16 |
FI873724A0 (fi) | 1987-08-27 |
FI873724A (fi) | 1988-03-01 |
US4789135A (en) | 1988-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3034B1 (ko) | 전동 호이스트용 작동장치 | |
JP5550218B2 (ja) | 電動工具 | |
US5680911A (en) | Elector emergency device | |
JPH09304831A (ja) | 雲台装置 | |
US4582298A (en) | Variable radius crank winch | |
US4664357A (en) | Overload avoiding arrangement for a hoist | |
US4068539A (en) | Variable-ratio transmission | |
US4844421A (en) | Operating device for electric hoist | |
US5088694A (en) | Lever type hoist | |
US5927691A (en) | Four speed sailboat winch having separate second gear | |
EP0246664B1 (en) | Stepless speed change electric chain block | |
JPS6150879B2 (ko) | ||
JPH07172377A (ja) | 電気自転車 | |
EP1247778A3 (de) | Hubwinde | |
JP4045021B2 (ja) | 牽引巻上機 | |
FI89897B (fi) | Manoeverdon foer elektrisk lyftanordning | |
JPH08225297A (ja) | 作業機の操作装置 | |
KR200287135Y1 (ko) | 카트 | |
JPH0861455A (ja) | 電動装置 | |
JPS6331540Y2 (ko) | ||
JP2017165496A (ja) | 巻上機および巻上機の制御方法 | |
JPH03249098A (ja) | 変速設定器を有する2段速電動巻上装置用運転操作装置 | |
JPH0229111Y2 (ko) | ||
JPH02147532A (ja) | 給紙装置 | |
JP3426776B2 (ja) | 操作補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316 Year of fee payment: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