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448B1 - 휴대가능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능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448B1
KR910002448B1 KR1019880002877A KR880002877A KR910002448B1 KR 910002448 B1 KR910002448 B1 KR 910002448B1 KR 1019880002877 A KR1019880002877 A KR 1019880002877A KR 880002877 A KR880002877 A KR 880002877A KR 910002448 B1 KR910002448 B1 KR 91000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storage
record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701A (ko
Inventor
다카시 니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인텔리젠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오카 스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6724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34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73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95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06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7168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인텔리젠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오카 스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6Multiple memory zones on card
    • G06Q20/35765Access rights to memory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가능 전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휴대 가능전자장치의 1실시예로 IC카드가 적용되는 카드취급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IC카드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IC카드중 데이터메모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a)∼제4도(c)는 각각 데이터메모리에 대한 디렉토리의 기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a)∼제5도(c)는 각각 데이터메모리의 요부를 뽑아내서 도시한 것으로서, 디렉토리의 기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디렉토리생성에 있어서 IC카드의 제어소자가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아트.
제7도는 데이터메모리의 기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C카드 2 : 카드독출/기록기
3 : 제어부 4 : 키이보오드
5 : CRT 표시장치 6 : 프린터
7 : 플롭피디 스크장치 11 : 제어소자(제어수단)
12 : 데이터메모리(기억수단) 13 : 프로그램메모리
14 : 접속부 21 : 발행플래그영역(發行 Flag Area)
22 : 디렉토리영역(제2기억영역) 23 : 유저영역(제1기억영역)
본 발명은 예컨대 불휘발성 데이터메모리 및 CPU 등으로 된 제어소자를 갖추어서 구성된 집적회로칩을 내장한, 소위 IC카드라 불리우는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이하, 휴대가능전자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게 데이터메모리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정의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기록매체로서 불휘발성 데이터메모리 및 CPU등의 제어소자를 갖춘 IC칩을 내장한, 소위 IC카드라 불리우는 휴대가능전자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런 종류의 IC카드는 그 내부의 제어소자로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메모리를 액세스해서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IC카드의 데이터메모리는 기억데이터의 성격이나 이용용도에 맞추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에는 영역번호라 불리우는 고유번호가 붙어 있으며, 그러한 IC카드의 액세스시에는 그 영역변호를 지정해서 액세스하는 논리액세스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논리액세스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메모리는 크게 영역정의 정보영역(디렉토리영역)과 사용자영역(이하, 유저영역이라 칭함)으로 구분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 유저영역은 기억데이터의 성격이나 이용용도에 맞추어 복수의 영역으로 미세하게 분할되어 있는 바, 이들 각 영역은 디렉토리내의 영역정의 정보(디렉토리)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한편, 유저영역내의 1개의 영역을 정의하는 디렉토리는 영역고유의 번호를 정의하는 영역번호정보와 유저영역내에서의 영역위치를 정의하는 선두어드레스정보 및 영역의 크기를 정의하는 규모정보(Size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디렉토리영역을 기록하는 경우에 각 디렉토리에 그것이 관리하는 유저영역내에서의 영역의 선두어드레스정보를 함께 기록하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디렉토리영역과 유저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물리적 어드레스를 미리 설정해 놓아야만 했다. 그러므로 메모리내용 및 메모리용량을 완전히 알고 있는 사람만이 IC카드를 포맷팅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디렉토리영역과 유저영역간의 경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예컨대 디렉토리영역을 가변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종래에는 유저영역과 디렉토리영역에 대한 기록이 각각의 별도명령에 의해 수행되고 있었는 바, 즉 부여된 명령에 의해 유저영역으로의 기록인가 아니면 디렉토리영역으로의 기록인가가 판별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사용하는 명령을 오인한 경우에는 유저영역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가 디렉토리영역에 기록되거나, 이와 반대로 디렉토리영역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가 유저영역에 기록될 가능성이 있었고 이에 따라 데이터가 파괴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유저영역과 디렉토리영역에서 기록영역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IC카드내부의 제어프로그램이나 카드취급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에 번잡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영역을 미리 인식하지 않고도 디렉토리영역을 임의로 생성해낼 수 있고 용이하게 포맷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휴대가능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주의로 기억데이터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프로그램의 작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를 바꾸어 기록할 수 있는 기억수단(12)과 이 기억수단(12)에 대한 정보의 독출 및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수단(11)을 갖추고서, 외부에 대한 입출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2)은 각각 임의의 정보로 이루어진 최소한 1개의 제1정보가 기억되는 제1기억영역(23)과,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 및 상기 제1기억영역(23)내에 있어서의 기억위치를 관리하는 정보로 이루어진 제2정보가 기억되는 제2기억영역(22)을 갖추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기억영역(22)은 상기 제1기억영역(23)의 앞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외부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록정보를 상기 기억수단(12)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정보를 상기 기억수단(12)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우선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를 기록하고, 기록이 종료된 후에는 최후의 제2정보의 기억위치 및 기록된 제1정보의 정보길이에 기초하여 각 제1정보의 기억위치를 구해내서 이들을 대응되는 제2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의 1실시예로 IC카드가 적용되는 카드취급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카드취급장치는 예컨대 금융시스템이나 쇼핑시스템등의 단말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인데, 여기에서 상기 카드취급장치는 IC카드(1)가 장착되는 카드독출/기록기(2)와, 이 카드독출/기록기(2)를 매개하여 IC카드(1)와 정보를 주고받는 제어부(3), 이 제어부(3)에 접속되는 키이보오드(4), CRT 표시장치(5), 프린터(6) 및 플롭피디스크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IC카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IC카드(1)는 제어부로서의 제어소자(11 ; 예컨대 CPU)와,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며 기억내용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성 데이터메모리(12),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프로그램메모리(13) 및 상기 카드독출/기록기(2)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접속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중 도면에 점선으로 둘러싼 제어소자(11)와 데이터메모리(12) 및 프로그램메모리(13)는 1개의 IC칩이나 모듈로 구성되어 IC카드(1)의 본체내에 매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그램메모리(13)는 예컨대 마스크 ROM으로 구성되어 제어소자(11)의 제어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메모리(12)는 각종 데이터의 기억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EEPROM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이 데이터메모리(12)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발행플래그영역(21 ; 發行 FLAG AREA)과 디렉토리영역(22) 및 유저영역(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렉토리영역(22)은 유저영역(23)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정의하여 관리하는 영역으로서, 후에 설명할 디렉토리가 기억되게 된다. 또한 유저영역(23)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으로서, 후에 설명하겠지만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정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에서 데이터메모리(12)에 디렉토리를 생성시켜 주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a)는 데이터메모리(12)의 추기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4도(b)는 디렉토리를 기록한 상태를 나타낸 것인 바, 단 초기단계에서 기록되는 디렉토리의 내용은 제5도(a)에 나타냈듯이, 정의해야 할 유저영역(23)중 어느 한 영역의 영역번호(Eno)와 이 영역의 데이터길이(E
Figure kpo00001
)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단계에서는 정의해야 할 유저영역(23)중 상기 한 영역의 선두번지(Ead)는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IC카드(1)를 포맷팅하는 사람은 디렉토리의 기록시에 자기가 사용하기 쉬운 크기의 데이터길이를 기록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디렉토리를 설정한 후에는 발행플래그영역(21)에 설정종료플래그(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IC카드(1)에 입력시킨다. 그러면 IC카드(1)의 제어소자(11)는 제6도의 플래우차아트에 도시한 것처럼 하여 최후에 기록된 디렉토리의 기록위치와 각 디렉토리에 기록된 데이터길이로부터 유저영역(23)의 각 영역의 선두번지를 산출해 낸다.
그리고 그렇게 산출된 선두번지는 제5도(b)에 나타낸 것처럼 각 디렉토리의 선두번지(Ead)에 기록된다. 이로써 제4도(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데이터메모리(12)가 설정된다.
제6도는 상기와 같은 디렉토리생성시 IC카드(1)의 제어소자(11)가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아트로서, 우선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에 대해 설정종료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의 설정을 지시하는 명령을 IC카드(1)의 제어소자(11)가 수신하면, IC카드(1)의 제어소자(11)는 내장된 레지스터(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대해 n=1을 초기상태로서 설정한다(스텝 S61).
그리고 최종 디렉토리로부터 유저영역(23)의 선두번지를 판별해 내고(스텝 S62), 이어서 판별해 낸 선두번지를 n번째, 즉 첫 번째 디렉토리의 선두번지(Ead)에 기록한다(스텝 S63). 다음에는 n번째의 디렉토리의 데이터길이(E
Figure kpo00002
)와 상기 선두번지의 합(S)을 산출해 내고(스텝 S64), 그후 n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스텝 S65). 그리고 산출해 낸 상기 합(S)을 n번째 디렉토리의 선두번지(Ead)에 기록한다(스텝 S66).
그후 모든 디렉토리에 대해 선두번지를 기록했는지 안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67). 그 결과 모든 디렉토리에 선두번지를 기록하지 않았다면 상기 스텝(S64)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모든 디렉토리에 선두번지를 기록하게 되면 처리를 종료하고, 그러한 처리가 종료된 다음에는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에 설정종료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을 설정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를 설정하기까지 디렉토리영역(22)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유저영역(23)의 각 영역의 선두번지를 디렉토리의 기록종료후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에 설정해 놓되 설정종료를 나타내는 소정치의 설정을 지시하는 명령을 IC카드(1)의 제어소자(11)가 수신한 후에 설정하도록 해놓고, 모든 디렉토리에 대해 선두번지를 기록하게 되는 바, 즉 설정종료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으로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를 설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렉토리의 기록시에 각 영역의 선두번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잇점을 얻게 된다. 또한 설정종료플래그가 미설정상태로 되어 있는 디렉토리기록시에는 사용자영역(23)의 각 영역의 선두번지가 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번 기록된 디렉토리의 내용, 예컨대 데이터길이를 변경시킨다거나 디렉토리자체를 삭제한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영역(23)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설정종료플래그의 미설정상태에서는 디렉토리영역(22)을 가변시킬 수 있고 그 범위를 디렉토리의 기록자가 인식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렉토리에 관해서는 카드운용시에 카드내에서 제어를 행하기 쉬운 체계로 해놓고, 디렉토리를 기록하는 때에는 그 체계를 고려해서 디렉토리의 내용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5도(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디렉토리에 있어서 영역의 데이터길이(E
Figure kpo00003
)의 정보(BBB)는 유저가 순수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길이에다 데이터제어시에 사용되는 제어데이터를 부가시킨 길이로 해야만 한다. 그런데 기록하는 쪽이 취급하기 쉬운 체계로서 예컨대 제5도(c)에 나타낸 것처럼 데이터길이(E
Figure kpo00004
)의 정보로서 유저가 순수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길이(BBB′)를 기록해 놓고 IC카드의 운용가능여부를 확인하게 된다면, 즉 설정종료플래그의 설정에 따라 제5도(b)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하기 쉬운 체계의 디렉토리로 고쳐서 상기 디렉토리와 동일한 장소에 다시 기록(올려 씀 ; 上書)하게 된다면, 보다 용이하게 디렉토리의 기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기록시의 디렉토리는 미리 카드운용시의 디렉토리가 격납되는데에 충분한 용량의 장소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카드운용시의 디렉토리를 올려 써도 다른 필요조건등을 소거함이 없이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장소에 기록함으로써 카드운용전과 운용후 디렉토리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같게 되고, 영역을 정의하는 경우에는 편성후의 디렉토리가 격납되는 장소를 신경쓰지 않고 정의하게 되므로, 메모리효율도 좋게 된다. 즉, 메모리내의 구체적인 배치를 알지 않고 영역을 정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해서 디렉토리를 모두 기록하여 기록이 종료되고, IC카드의 운용가능여부를 확인하기까지 영역정의는 실행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기록시의 디렉토리로서는 그것을 부여하는 측에서 보아 취급하기 쉬운 체계를 취하고 발행플래그영역(21)의 설정종료플래그에 설정종료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의 설정을 표시하는 명령을 IC카드(1)의 제어소자(11)가 확인하게 된다. 그 시점까지 기록된 디렉토리를 IC카드(1)내에서 운용가능한 때의 실제의 디렉토리에 일괄해서 자동편성한 다음에, IC카드가 취급하기 쉬운 체계로 한 후에 기록되어 있던 장소와 동일한 장소에 올려 쓴다. 이로써 디렉토리에 의해 영역정의를 실행하는 측에서는 메모리 전체의 구체적인 영역배치를 알지 않고도 영역정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렉토리를 모두 기록하여 기록이 종료되기까지 디렉토리영역내의 디렉토리는 임의로 바꿔 기록하던가 소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록하는 디렉토리는 그것을 부여하는 측에서 취급하기 쉬운 체계를 취할 수 있으므로, 처리프로그램 및 처리속도가 개선되게 된다.
또한, 디렉토리영역(22)에 대한 기록명령과 유저영역(23)에 대한 기록영역을 공통으로 할 수 있는 바, 그런 경우에는 발행플래그영역(21)에 유저영역(23)이 사용가능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사용가능플래그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소자(11)는 카드취급장치의 제어부(3)로부터 기록영역이 공급되면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하게 된다. 즉, 발행플래그영역(21)의 사용가능플래그의 상태가 판별되고(스텝 S71), 그 결과 발행플래그영역(21)의 사용가능플래그에 사용불가능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입력된 정보가 디렉토리영역(22)에 기록된다(스텝 S72).
한편, 사용가능플래그에 사용가능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가 유저영역(23)에 기록된다(스텝 S73). 그리고 사용가능플래그에 관해 사용가능상태를 나타내는 값의 설정을 지시하는 명령을 IC카드(1)의 제어소자(11)가 수신하고 모든 디렉토리에 대해 선두번지의 기록을 종료한 시점에서 제어소자(11)에 의해 사용가능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메모리(12)의 발행플래그영역(21)에 유저영역(23)의 사용가능상태를 나타내는 사용가능플래그를 설치하고, 기록명령이 공급된 경우 제어소자(11)에 의해 사용가능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기록영역을 전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디렉토리영역(22)과 유저영역(23)에서 각기 별도의 기록명령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잘못된 기록명령을 사용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파괴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더욱이 기록명령을 공통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작성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16)

  1. 정보를 바꾸어 기록해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기억수단(12)과 이 기억수단(12)에 대해 정보의 독출 및 기록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수단(11)을 갖추고서, 외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정보의 입출력을 실행하게끔 구성되어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2)은 각각 임의의 정보로 이루어진 최소한 1개 이상의 제1정보가 기억되게 되는 제1기억영역(23)과, 상기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 및 상기 제1기억영역(23)내에서의 기억위치를 관리하는 정보로 이루어진 제2정보가 기억되게 되는 제2기억영역(22)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2기억영역(22)은 상기 제1기억영역(23)의 앞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외부에서 부여되는 명령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정보를 상기 기억수단(12)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정보를 상기 기억수단(12)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우선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를 기록한 다음 그 기록이 종료된 후에 최후의 제2정보 및 상기 제1정보의 정보길이에 기초하여 각 제1정보의 기록위치를 구해내서 그것들을 대응되는 제2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제2정보를 상기 기억수단(12)에 기록하는 경우에 우선 제1정보의 정보길이를 기록하고, 그 기록이 종료된 후에는 최후의 제2정보의 기억위치에 기초하여 최초의 제1정보의 기억위치를 구해내서 그것을 대응되는 최초의 제2정보로 설정하며, 기록된 제1정보의 정보길이에 기초하여 이후의 각 제1정보의 기억위치를 각각 순차적으로 구해내서 그것들을 대응되는 제2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로 설정되는 대응되는 제1정보의 기억위치는 상기 제1기억영역(23)내에서의 선두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2)은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영역(21)을 더 갖추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최후의 제2정보의 기억위치 및 기록된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에 기초하여 각 제1정보의 기억위치를 구해내서 그것들을 대응되는 제2정보로서 설정하며 그후 상기 제3기억영역(21)에 상기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억영역(21)이 상기 기억수단(12)의 선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외부에서 부여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12)은 상기 제1기억영역(23)이 사용가능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영역(21)을 갖추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제어수단(11)은 외부에서 부여되는 기록명령을 받은 때에 상기 식별정보의 내용에 의거해서 정보를 기록해야할 대상영역을 상기 제1기억영역(23)으로 할 것인가 제2기억영역(22)으로 할 것인가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제1기억영역(23)이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정보를 제1기억영역(23)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명령은 상기 제1기억영역(23)과 제2기억영역(22)에서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억영역(21)은 상기 기억수단(12)의 선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식별정보의 설정을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최후의 제2정보의 기억위치 및 기록된 각 제1정보의 정보길이에 기초하여 각 제1정보의 기억위치를 구해내서 그들을 대응되는 제2정보로 설정하고, 그러한 설정후에 상기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2. 외부에 대해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정보입출력수단(14)과, 정보를 기억하게 되며 또한 정보를 바꾸어 기록해 넣을 수 있는 기억수단(12) 및 이 기억수단(12)에 대해 정보를 독출하거나 기록하기 위한 제어수단(11)을 갖추고서, 외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출력수단(14)은 외부로부터 기록명령을 받는 것이고, 상기 기억수단(12)는 임의의 정보가 기억되는 제1기억영역(23)과, 이 제1기억영역(23)을 관리하는 정보가 기억되는 제2기억영역(22) 및, 상기 제1기억영역(23)이 사용가능한가 불가능한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영역(21)을 갖추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정보입출력수단(14)이 외부로부터 기록명령을 받은 때에 상기 식별정보의 내용에 의거해서 정보를 기록해야 할 대상영역을 상기 제1기억영역(23)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제2기억영역(22)으로 할 것인가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제1기억영역(23)이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정보를 기록해야 할 대상영역을 제1기억영역(23)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은 상기 제1기억영역(23)과 제2기억영역(22)에서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억영역(21)이 상기 기억수단(12)의 선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은 상기 제2기억영역(22)에 대한 정보의 기록이 종료된 뒤에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기억영역(23)이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3기억영역(21)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KR1019880002877A 1987-03-20 1988-03-18 휴대가능 전자장치 KR910002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67244A JPS63233490A (ja) 1987-03-20 1987-03-20 携帯可能電子装置
JP62-67244 1987-03-20
JP62-73322 1987-03-27
JP62073322A JPS63239581A (ja) 1987-03-27 1987-03-27 携帯可能電子装置
JP62106858A JPS63271682A (ja) 1987-04-30 1987-04-30 携帯可能電子装置
JP62-106858 198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01A KR880011701A (ko) 1988-10-31
KR910002448B1 true KR910002448B1 (ko) 1991-04-22

Family

ID=2729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877A KR910002448B1 (ko) 1987-03-20 1988-03-18 휴대가능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2448B1 (ko)
FR (1) FR2612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7816B1 (fr) * 1992-02-24 1994-04-08 Gemplus Card International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une carte a puce.
JP3702923B2 (ja) * 1997-02-28 200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3721725B2 (ja) * 1997-07-09 2005-1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5320B1 (fr) * 1979-04-25 1986-01-24 Cii Honeywell Bull Dispositif de recyclage de supports d'enregistrement identifiables a l'aide de donnees d'identification et composes de memoires monolithiques non volatiles effacables
DE3640238A1 (de) * 1985-11-30 1987-06-25 Toshiba Kawasaki Kk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12668B1 (fr) 1992-08-07
FR2612668A1 (fr) 1988-09-23
KR880011701A (ko) 198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257B1 (ko) 휴대가능전자장치
KR900002071B1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JP2854636B2 (ja) 携帯可能媒体の発行装置及び発行方法
KR870005309A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KR870004362A (ko)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
JPS63201748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US4949240A (en) Data storage system having circuitry for dividing received data into sequential wards each stored in storage region identified by chain data
KR910009097B1 (ko) 휴대가능 전자장치
KR910002448B1 (ko) 휴대가능 전자장치
JPH0416832B2 (ko)
JP2798957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301773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609645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59805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537200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S63271682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0746376B2 (ja) Icカード
JP3054119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835159B2 (ja) 携帯可能記憶媒体
JPS63233490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3209994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S63198184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のメモリエリア定義方式
JPS62291135A (ja) セル情報蓄積媒体
JP2752074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のデータ記憶方法
JPS63198185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のメモリエリア定義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