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70B1 - 통형퓨우즈 - Google Patents

통형퓨우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70B1
KR910002070B1 KR1019830003039A KR830003039A KR910002070B1 KR 910002070 B1 KR910002070 B1 KR 910002070B1 KR 1019830003039 A KR1019830003039 A KR 1019830003039A KR 830003039 A KR830003039 A KR 830003039A KR 910002070 B1 KR910002070 B1 KR 91000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insulator
melting point
low mel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602A (ko
Inventor
유끼노부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유끼노부 와다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791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98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92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51727A/ja
Application filed by 유끼노부 와다나베 filed Critical 유끼노부 와다나베
Publication of KR84000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6Fuses formed as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형퓨우즈
제1a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통형 퓨우즈의 사시도.
제1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2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3a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한 통형영퓨우즈의 정면도.
제3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4a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4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5a도는 제4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5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6a도는 제5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6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7a 내지 h도는 제6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단면도.
제8도는 제7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9a도는 제8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9b도는 측면도.
제10도는 제9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11a도는 제10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제11b도는 동도 a의 a-a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1실시예를 표시한 통형퓨우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절연체(제2도 내지 제12도) 2, 2' : 퓨우즈단자(제2도 내지 제8도)
6 : 퓨우즈단자(제9도 내지 제12도) 2 : 관통공(제9도 내지 제12도)
3 : 퓨우즈본체(제2도 내지 제4도) 4, 4' : 퓨우즈본체(제5도 내지 제8도)
5, 5a : 퓨우즈본체(제9도 내지 제12도) 3 : 절연체의 중공부(제5도 내지 제8도)
3 : 절연체의 일단부(제9도 내지 제12도) 3' : 장흠(長溝)(제6도 내지 제8도)
4, 4' : 장홈(제9도 내지 제12도) 4 : 통형퓨우즈(제2도 내지 제4도)
5, 5' : 통형퓨우즈(제5도 내지 제8도) 7 : 통형퓨우즈(제9도 내지 제12도)
본 발명은 각종의 전기기계기구에 짜넣어져 있는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흐fms 경우에 저융점과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기회로의 부분을 용단(溶斷)시켜, 각종의 전기기계기구의 안전을 보전하기 위한 통형퓨우즈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퓨우즈단자와 이 퓨우즈단자간에 도통상으로 형성되는 퓨우즈본체를, 각기 저융점의 금속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한 전혀 신규인 통형퓨우즈에 관한 것이다.
전기회로의 일부를 저융점의 금속으로 구성하여, 이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주울열에 의해 저융점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된 전기회로의 부분을 용단하여, 전기 기계기구의 안전을 보전하는 퓨우즈에는 실퓨우즈, 판퓨우즈, 등의 비포제(非包製)퓨우즈와, 플러그퓨우즈, 통형퓨우즈등의 포제퓨우즈로 대별할 수 있으나, 근래에는 특히 소형화된 통형퓨우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종래 통형퓨우즈는 제1도 A,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상절연체(a)의 중공부내에 전력허용치에 대응하여 각종의 선상 또는 대상(帶狀)으로 형성된 저융점의 금속으로된 퓨우즈본체(b)를 선택하여 삽입하며, 또한 통상절연체(a)의 양단부에 놋쇠등으로 된 통상의 퓨우즈단자(c, c)를 끼워붙여서 상기 퓨우즈본체(b)와 퓨우즈단자(c, c)와를 도통상으로 용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통형퓨우즈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절연체(a)의 소정치수의 절단→퓨우즈본체( )의 통상절연체(a)내에의 삽입→퓨우즈단자(c)의 가공→퓨우즈단자(c)의 통상절연체(a)양단부에 대한 끼워붙임→퓨우즈본체 (b)와 퓨우즈단자(c, c)와의 용접등 제조공정이 여러단계에 걸치고 부품점수도 많아져서 완성품의 제조에 시간과 품이들어 대량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효율이 극히 나쁘고, 제조코스트도 높게되어 염가로 제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흘러서 퓨우즈본체(b)가 용단되었을 때 퓨우즈본체(b)가 통상절연체(a)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용단확인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기회로의 보수점검에 시간과 품이드는 결점이 있었다.
더우기, 종래의 통형퓨우즈는 미리 설정된 전류허용치마다 각각에 대응한 퓨우즈본체(b)를 통상절연체(a)내에 삽입하여서 제조하였으므로,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각종의 퓨우즈본체(b)의 재고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특정된 전류허용치의 퓨우즈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실수하여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별개의 퓨우즈본체(b)를 통상 절연체(a)내에 삽입하는 일도 자주 있으며 따라서 생산관리도 용이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결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전혀 새로운 구상에 의거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퓨우즈단자와 이 퓨우즈단자간에 도통상으로 형성되는 퓨우즈본체를 각기 저융점의 금속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하여 통형퓨우즈를 구성하므로써 퓨우즈의 분류에서 보아 포장퓨우즈에 속하는 통형퓨우즈이면서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표면에 포제부재로서의 기능도 갖게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통형퓨우즈와 같이 특별히 포제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통형퓨우즈에 비하여 부품점수를 현저하게 적게하여 제조공정을 단축화하고, 제조효율을 현저히 높혀서 체조코스트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하고, 수요자에 대하여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통형퓨우즈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퓨우즈본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의 폭이나 두께를 조정하거나 또는 퓨우즈본체의 개수를 증감한다거나 하므로써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각종의 퓨우즈본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 통형퓨우즈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퓨우즈본체가 용단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즉시 용단상태가 확인될 수 있게 하여 전기회로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히 그리고 정확히 할수 있는 통형퓨우즈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이를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된 통형퓨우즈(4)는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표면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므로써, 퓨우즈단자의 퓨우즈본체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도 A,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동도에 있어서 1은 유리, 도기, 세라믹스, 플라스틱등으로 형성된 봉상의 절연체로서 이 봉상절연체(1)의 표면양단부에는 저융점의금속, 예를 들면 납 또는 납과 주석의 합금등을 인쇄, 도장, 도금등의 수단으로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 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퓨우즈단자(2, 2)사이에는, 상기 저융점의 금속에 의하여 선상 또는 대상으로 부착된 퓨우즈본체(3)가 도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 A,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동도에 표시된 통형퓨우즈(4)는 봉상절연체(1)의 표면양단부에 형성된 퓨우즈단자(2, 2)간을 도통상으로 연결한 퓨우즈본체(3)를 봉상절연체(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절흠(kerf)(1a)내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한 것이다.
제4도 A,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동도에 표시된 통형 퓨우즈(4)는, 통상절연체(1)의 표면양단부에 퓨우즈단자(2, 2)를 단차상(段差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통상절연체(1)의 길이방향을 그의 양단지역보다 중앙지역이 협폭으로 되도록 절결하여 슬릿(1a')을 형성하고, 이 슬릿(1a')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 2)간을 도통상으로 연결하는 본체(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1)의 표면에 퓨우즈단자(2, 2)와 퓨우즈본체(3)를 형성하여 통형퓨우즈(4)를 구성하는 수단으로서는 가능한한 어떤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1)에 퓨우즈단자(2, 2)를 형성하는 부분과 퓨우즈본체(3)를 형성하는 부분을 남기고, 그 나머지부분을 적당한 부재로 피복한 후, 인쇄, 도장 또는 도금등의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절연체(1)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그후에 피복부재를 제거하면 극히 간단하게 통형퓨우즈(4)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퓨우즈본체(3)의 전류허용치의 대소는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의 폭이나 두께의 조정 또는 퓨우즈본체의 개수의 증감등에 의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전류허용치의 대소의 구별은 통형퓨우즈(4)를 구성하는 부재에 착색하거나 혹은 수자를 명시하거나 하므로써 용이하게 구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1)의 단면현상에 대하여 원형의 것을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의 단면형상은 각 형, 다각형 등 그의 형상은 임의이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표시된 통형퓨우즈(5, 5')는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표면양단부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의 내면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본체를 형성한 것이다.
즉, 제5도 A,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동도에 표시되어 있는 통형퓨우즈(5)는 통상절연체(1)의 표면 양단부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 2)를 단차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상 절연체(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3)의 주면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 2)간을 도통상으로 연결한 퓨우즈본체(4)를 형성한 것이다.
제6도 A, 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동도에 표시되어 있는 통형퓨우즈(5')는 봉상절연체(1')의 표면 양단부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2')를 단차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상절연체(1')의 축심방향으로 관설한 장홈(3')의주면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퓨우즈단자(2',2')간을 도통상으로 연결한 퓨우즈본체(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절연체(1) 및 봉상절연체(1')의 단면형상에 대하여 원형의 것을 표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형, 다각형등 그의 형상은 임의이다.
또 퓨우즈본체(4)가 형성되는 통상절연체(1)의 중공부(3)의 단면형상 또는 퓨우본에(4')가 형성되는 봉상절연체(1')의 장홈(3')의 단면형상에 대하여도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것을 표시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7도 a내지 h에 제6실시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의 중공부(3)의 길이방향 또는 장홈(3')의 축심방향으로 1 내지 4개의 절결홈(a)을 형성한 것(동도 a 내지 d 참조) 또는 중공부(3) 또는 장홈(3')의 단면형상을 각형, 다각형으로 한것(동도 e 내지 h 참조) 이라도 좋으며, 그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중공부(3) 또는 장홈(3')의 지름은 각기 전장에 걸쳐서 같은 지름의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제8도에 제7실시예로서 표시한 것과 같이, 통상절연체(1)의 길이방향, 또는 봉상절연체(1')의 축심방향의 중앙지역의 지름을 양단지역의 지름보다 소경(3'')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상기 제4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있어서도 중공부(3) 또는 장홈(3')의 형상을 적당히 선택하거나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는 표면적을 증감하거나, 혹은 부착하는 폭이나 두께를 조정하거나 하므로써,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각 종류 퓨우즈본체(4, 4')를 형성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전류 허용치의 대소의 구별은 통형퓨우즈(5, 5')를 구성하는 부재에 착색하거나 또는 수자를 명시하므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9도 A, B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동도에 표시된 통형퓨우즈(7)는 통상절연체(1)의 주방향으로 소요간격을 두고 관통공(2, 2…)을 연설하고 이 관통공(2, 2…)과 통상절연체(1)의 일단부(3)와의 사이에는 표면과 이면에 각기 상기 관통공(2, 2…)에 연통하는 장홈(4, 4…) 및 (4', 4'…)을 대향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홈(4, 4′)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표면과 이면과를 도통상으로 연결하는 퓨우즈본체(5, 5…)를 형성하고, 이 퓨우즈본체(5, 5…)의 단부에 퓨우즈단자(6, 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8실시예에서는, 퓨우즈본체(5, 5…)의 전류허용치가 모두 같은 것을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홈(4, 4')의 길이나 폭의 조정, 또는 장홈(4, 4')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의 두께의 조정, 또한 퓨우즈본체(5, 5…)의 개수의 증감등에 의하여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각종의 퓨우즈본체(5, 5…)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한 제10도에 제9실시예로서 표시한 것과 같이 인접한 퓨우즈본체(5, 5…)중 그의 일부를 도통상으로 연결하여 다른 퓨우즈본체(5, 5…)에 비하여 전류허용치가 큰 퓨우즈본체(5a)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11도 A, 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도 동도에 표시되어 있는 통형퓨우즈(7)는 봉상절연체(1)의 형상을 구형상으로 형성하여 그의 길이방향으로 소요간격을 두고 관통공(2, 2…)을 연설하여 이 관통공(2, 2…)과 봉상절연체(1)의 일단부(3)와의 사이에는 표면과 이면에 각기 관통공(2, 2…)에 연통하는 장홈(4, 4…) 및 (4', 4'…)을 대향시켜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홈(4, 41)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표면과 이면과를 도통상으로 연결한 퓨우즈본체(5, 5…)를 형성하여, 이 퓨우즈본체(5, 5…)의 단부에 퓨우즈단자(6, 6…)를 형성한 것이다. 또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동도에 표시되어 있는 통형퓨우즈(7)는 상기 제10실시예로서 표시한 통형퓨우즈(7)의 퓨우즈본체(5, 5…)의중 인접한 퓨우즈본체(5, 5) 일부를 도통상으로 연결하여 다른 퓨우즈본체(5, 5…)에 비하여 전류허용치가 큰 퓨우즈본체(5a)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8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의 것에서는 1개의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1)에 수개의 퓨우즈본체(5, 5…)와 퓨우즈단자(6, 6…)를 형성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전류허용치가 동일한 것 또는 상이한 것등 각종의 퓨우즈본체(5, 5…)와 퓨우즈단자(6, 6…)를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이와 같이 구성된 통형퓨우즈(7)는 예컨대 자동차에 장비된 각종의 전장품(電裝品)을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의 접점 또는 각종의 전기기계기구의 전기회로의 접점을 1개 장소로 모아서 구성한 퓨우즈복수에 사용하는 통형퓨우즈로서 극히 유용한 것으로 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영퓨우즈는 유리, 도기, 세라믹 및 플라스틱등에 의하여 형성된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와 이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에 인쇄, 도장, 도금등의 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 예컨데 납 또는 납과 주석의 합금등의 저융점의 금속으로 되고,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퓨우즈단자와, 이 퓨우즈단자간에 도통상으로 형성되는 퓨우즈본체를 각기 저융점의 금속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이 종류의 종래의 통형퓨우즈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각별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1) 퓨우즈의 분류에서 보면 포장퓨우즈에 속하는 통형퓨우즈이면서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가 포장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하므로 특별히 포장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실퓨우즈와 마찬가지로 비포장퓨우즈로서의 형태를 갖고 있는 전혀 신규한 통형퓨우즈를 얻을 수가 있다.
(2) 부품점수를 현저하게 적게할 수 있으며 더우기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종래의 통형퓨우즈에 비하여 퓨우즈본체의 통상절연체내에의 삽입 → 퓨우즈단자의 통상 절연체의 양단부에의 끼워붙임 → 퓨우즈단자와 퓨우즈본체와의 용접등을 생략하여 제조공정을 단축화할 수가 있으므로 따라서 제조효율을 현저하게 높혀서 제조코스트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어, 수요자에게 염가로 제공할 수가 있는 통형퓨우즈를 얻을 수 있다.
(3) 퓨우즈본체의 전류허용치의 대소는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의 폭이나 두께의 조정 또는 퓨우즈본체의 개수의 증감등에 의하여 설정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류허용치가 상이한 각종의 퓨우즈본체의 재고관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생산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4) 퓨우즈본체를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의 표면에 형성하므로써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흘러서 퓨우즈본체가 용단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즉시 용단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또 퓨우즈본체를 통상 절연체의 중공부 또는 봉상절연체의 축심방향으로 관설한 장홈에 형성한 경우에도 상기 절연체의 재질을 외부에서 투시 가능한 것으로 한다면, 마찬가지로 용단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전기회로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히 그리고도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와 이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퓨우즈단자 및 절연체의 표면을 통하여 상기 퓨우즈단자간에 도통상으로 형성되는 퓨우즈본체를 상기 저융점 금속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퓨우즈.
  2. 통상 또는 봉상의 절연체와, 이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퓨우즈단자 및, 통상절연체의 중공부 또는 봉상 절연체의 축심방향으로 관설한 장홈(長溝)을 통하여 상기 퓨우즈단자간에 도통상으로 형성되는 퓨우즈본체를 상기 저융점 금속의 부착에 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퓨우즈.
  3. 통상 절연체와, 이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체의 주방향에는 소요간격을 두고 관통공을 열설하여 이 관통공과 상기 절연체의 일단부와의 사이에는 표면과 이면에 각각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장홈을 대향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홈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표면과 이면과를 도통상으로 연결하는 퓨우즈본체를 형성하여 이 퓨우즈본체의 단부에 퓨우즈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퓨우즈.
  4. 봉상절연체와, 이 절연체에 부착되는 저융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상절연체의 형상을 구형상으로 형성하여 그의 길이방향으로 소요간격을 두고 관통공을 열설하고 이 관통공과 상기 절연체의 일단부와의 사이에는 표면과 이면에 각각 관통공으로 연통하는 장홈을 대향시켜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장홈에 저융점의 금속을 부착하여 표면과 이면과를 도통상으로 연결하는 퓨우즈본체를 형성하고 이 퓨우즈본체의 단부에 퓨우즈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퓨우즈.
KR1019830003039A 1982-07-07 1983-07-04 통형퓨우즈 KR910002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91082A JPS599825A (ja) 1982-07-07 1982-07-07 筒形ヒユ−ズ
JP57-117910 1982-07-07
JP117910 1982-07-07
JP58-25927 1983-02-02
JP2592783A JPS59151727A (ja) 1983-02-17 1983-02-17 筒形ヒュ−ズ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02A KR840005602A (ko) 1984-11-14
KR910002070B1 true KR910002070B1 (ko) 1991-04-01

Family

ID=2636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039A KR910002070B1 (ko) 1982-07-07 1983-07-04 통형퓨우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20338A (ko)
KR (1) KR910002070B1 (ko)
FR (1) FR2530074B1 (ko)
GB (1) GB21256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06B1 (ko) * 2013-10-29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구용 핀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451A (en) * 1987-01-22 1991-03-19 Morrill Jr Vaughan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US4749980A (en) * 1987-01-22 1988-06-07 Morrill Glasstek, Inc. Sub-miniature fuse
US5224261A (en) * 1987-01-22 1993-07-06 Morrill Glasstek, Inc. Method of making a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097245A (en) * 1987-01-22 1992-03-17 Morrill Glasstek, Inc.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122774A (en) * 1987-01-22 1992-06-16 Morrill Glasstek, Inc.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027101A (en) * 1987-01-22 1991-06-25 Morrill Jr Vaughan Sub-miniature fuse
US5040284A (en) * 1987-01-22 1991-08-20 Morrill Glasstek Method of making a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4926543A (en) * 1987-01-22 1990-05-22 Morrill Glasstek, Inc. Method of making a sub-miniature fuse
US4860437A (en) * 1987-01-22 1989-08-29 Morrill Glasstek, Inc. Method of making a sub-miniature fuse
US5155462A (en) * 1987-01-22 1992-10-13 Morrill Glasstek, Inc.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032817A (en) * 1987-01-22 1991-07-16 Morrill Glassteck, Inc.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131137A (en) * 1987-01-22 1992-07-21 Morrill Glasstek, Inc. Method of making a sub-miniature electrical component particularly a fuse
US5115220A (en) * 1991-01-03 1992-05-19 Gould, Inc. Fuse with thin film fusible element supported on a substrate
US5148141A (en) * 1991-01-03 1992-09-15 Gould Inc. Fuse with thin film fusible element supported on a substrate
US5091712A (en) * 1991-03-21 1992-02-25 Gould Inc. Thin film fusible element
US5095297A (en) * 1991-05-14 1992-03-10 Gould Inc. Thin film fuse construction
JP3111863B2 (ja) * 1995-08-01 2000-11-27 住友電装株式会社 板状ヒューズ
JP3216511B2 (ja) * 1995-12-05 2001-10-09 住友電装株式会社 板状ヒューズおよび板状ヒューズの製造方法
US7094967B2 (en) * 2003-09-24 2006-08-2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ical feedthru
US10064266B2 (en) * 2011-07-19 2018-08-28 Whirlpool Corporation Circuit board having arc tracking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38689A (fr) * 1911-01-13 1912-05-24 Bbc Brown Boveri & Cie Coupe-circuit pour canalisations à haute tension
DE880347C (de) * 1940-12-20 1953-06-22 Siemens Ag Elektrische Abschmelzsicherung geringer Eigeninduktivitaet und grosser Abschaltleistung
GB558369A (en) * 1942-08-14 1944-01-03 English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fusible cut-outs
GB561578A (en) * 1943-01-12 1944-05-24 English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fusible cut-outs
FR901549A (fr) * 1943-01-28 1945-07-30 Philips Nv Cartouche de coupe-circuit
US2678982A (en) * 1953-05-18 1954-05-18 Edward V Sundt Low amperage fuse
GB867090A (en) * 1956-08-30 1961-05-03 Emi Ltd Improvements to fused printed circuit panels
CH408177A (de) * 1961-09-04 1966-02-28 Schurter Ag 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icherungs-Schmelzeinsätz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Schmelzeinsatz
DE1275655B (de) * 1964-09-26 1968-08-22 Standard Elektrik Lorenz Ag Kombinierter Tasten- und Steckerstreifen
GB1111075A (en) * 1966-05-20 1968-04-24 Lucas Industries Ltd Fuses
GB1373973A (en) * 1972-05-01 1974-11-13 Lucas Industries Ltd Printed circuit fuses
GB1604819A (en) * 1977-05-28 1981-12-16 Knudsen Nordisk Elect Electrical safety fuses
DE7826855U1 (de) * 1978-09-09 1978-12-14 Wickmann-Werke Ag, 5810 Witten Schmelzsicherung für kleine Nennstromstufen mit einem langgestre ckten Schmelzleiter sehr geringer Abmessungen
US4394639A (en) * 1978-12-18 1983-07-19 Mcgalliard James D Printed circuit fuse assembly
US4296398A (en) * 1978-12-18 1981-10-20 Mcgalliard James D Printed circuit fuse assembly
GB2087669B (en) * 1980-10-06 1984-06-27 San O Ind Co Fusible element for electrical fuses
DE3044711A1 (de) * 1980-11-27 1982-07-01 Wickmann-Werke GmbH, 5810 Witten Schmelzsicherung
GB2110485B (en) * 1981-11-27 1986-06-18 Dorman Smith Fuses F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06B1 (ko) * 2013-10-29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구용 핀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02A (ko) 1984-11-14
GB2125640A (en) 1984-03-07
GB8318258D0 (en) 1983-08-10
GB2125640B (en) 1986-12-03
FR2530074B1 (fr) 1986-11-14
FR2530074A1 (fr) 1984-01-13
US4520338A (en) 198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070B1 (ko) 통형퓨우즈
US4131869A (en) Plug-in fuse assembly construction
US5252942A (en) Fuse links and dual element fuse
US5345210A (en) Time delay fuse
US4972170A (en) High speed fuse
US6570482B2 (en) Fuse apparatus and method
US3148257A (en) Electric fuses
JPH0230136B2 (ko)
US20110298577A1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US4951026A (en) Weld projections on fuse terminals
US2914636A (en) Miniaturized high current-carrying capacity current-limiting fuses with built-in indicating plungers
US4935716A (en) Fuse having a ball plug
EP4097750B1 (en) Current-limiting fuse
US4336521A (en) Electric fuse
TWI727472B (zh) 熔斷電阻器組件及製造熔斷電阻器組件之方法
CN111128493B (zh) 保险丝电阻器组件及其制造方法
CN220367876U (zh) 用于熔断器的熔体以及具有其的熔断器
JPS59151727A (ja) 筒形ヒュ−ズの製造方法
JP6934681B2 (ja) ヒューズ抵抗組立体及びヒューズ抵抗組立体の製造方法
KR20150038119A (ko) 전선 퓨즈
JP2015026498A (ja) 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の溶断特性調整方法
US4766408A (en) Current limiting fuse with indicator
CA2015285C (en) High speed fuse
WO2022054404A1 (ja) ヒューズ
US3500463A (en) Fuse construction of non-conductive material with fusibl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