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720Y1 - 중 포장용 비닐 포대 - Google Patents

중 포장용 비닐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720Y1
KR910001720Y1 KR2019880001507U KR880001507U KR910001720Y1 KR 910001720 Y1 KR910001720 Y1 KR 910001720Y1 KR 2019880001507 U KR2019880001507 U KR 2019880001507U KR 880001507 U KR880001507 U KR 880001507U KR 910001720 Y1 KR910001720 Y1 KR 910001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welding
cutter
bag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547U (ko
Inventor
최광준
Original Assignee
최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준 filed Critical 최광준
Priority to KR2019880001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720Y1/ko
Publication of KR890017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gusseted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 포장용 비닐 포대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들어진 중 포장용 비닐 포대로서 내용물을 넣었을때의 사시도 (b)도는 내용물을 넣기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 제작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 몸체의 4모서리부를 절단 용착 작업시 상하 모서리 사이에 사형(斜形)안내편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컷터기에 포대 몸체를 밀어넣어 절단 용착을 행거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컷터기에서 사형 절단과 용착을 동시에 행한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 몸체 2 : 포대몸체(1)의 개구단부
3, 4 : 상모서리 3', 4 : 하모서리
5,5' : 사형(斜形)안내핀 6 : 내용물 투입용 구부
7,7' : 좌우 안내돌조 7" : 횡돌조
8,8' : 가열부를 갖는 캇터날 A : 캇터기
본 고안은 중 포장용 비닐포대 몸체의 4모서리부를 사형(斜科) 절단과 동시 용착 밀봉하는 단일 공정에 의해 포대를 량산 할 수 있게 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중 포장용 비닐 포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포대몸체의 횡단면을 ""형으로 미리 절곡 형성하여서 된 것의 상하 개구부를 용착밀봉케 함에 있어서, 몸체의 4모서리부를 사형(斜科)으르 절단함과 동시 절단 모서리부와 개구잔(殘帥)부를 용착 밀봉하는 단일 작업에 의해 포대의 제조공정을 대폭 강화하여 생산가를 저렴하게 낮추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한 중 포장용 비닐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 포장용 비닐포대는, 내용물 (예, 화학 약품이나 비료등) 충입후 포대면 부풀지 않는 시각상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예컨데, 횡단면이 ""형인 포대의 경우, 개구부를 그대로 용착 밀봉하여 단일 공정으로 제조 할 수 있는 잇점이 있기는 하지만, 별도 형성된 구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입하게되면, 포대면이 융출상으로 부물게 되어, 보관 저장이나 차량에 의한 다량 이동운반시에 있어서 직립 적층이 불가능하게 따라서 지그개그 상으로 쌓지 않으면 안되므로 단위 포대당 공간 점유율이 크며, 또 적층 또는 하역 작업시 주의하지 않으면 그대로 붕괴되는 사례가 허다하다. 뿐만 아니라 개구부의 용착 밀봉시 포대 내면의 잔류 공기를 일일히 빼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 공기제거 작업에 따른 인건비 등은 섕산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각상 포대에 비하여 비교적 크게 만들어야 동량(同量)의 내용물을 충입할 수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외에도 제품의 고급화 추세라던가, 실용적 편성의 요구 때문에 이러한 부품을 포대의 사용은 거의 전무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사각상의 중 포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개구부의 용착밀몽작업에 수개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극히 낮고 매 작업 공정마마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되어 제품단가가 높아지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하여 공고번호 제 81-2180호 "중 포장용 비닐 포대" 선출원 선등륵하여 소기의 목적 효과를 달성한 바도 있었으나 이 역시 포대 몸체의 상하 개구면 양쪽 모서리를 L자상으로 절단하여 절단부를 형성한 다음, 이를 순차 2겹 횡 융착과 종 융착으로 밀봉하면서 된것으로 수개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미흡한 점이 있었고 따라서 뵨 고안자는 이의 해결책을 다각적으로 연구 겸 또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원통상으르 사출 성형되는 포대 몸채의 양측부를 ""형으로 내측 방향에 접어지게 대향절곡하여 된 것을 사형(斜形)안내편이 장착된 캇터기내에 밀어넣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포대 몸체의 단부(상단 및 하단부)외 4개 모서리를 사형(斜形)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사형의 절단 모서리부와 함깨 나머지의 개구부를 융착, 밀봉하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울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들어진 중 포장용 비닐 포대로서 내용물을 넣었을때의 사시도이고(b)도는 내용믈을 넣기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부호1로서 중 포장용 비닐 포대의 몸체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2는 용착 밀봉전의 개구부를 표시한 것이어 3,3' 및 4,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형(斜玗) 으로된 절단 모서러부로서 융착 밀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부호6은 내용들 투입용 구부임 제2도는 보 고안에 의한 개구의 용착 밀봉작업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포대의 몸체(1)는 양측부가 ""형의 절곡부(1')(1")로 대향 형성되어 있고 이는 기존의 봉지 제조기에 있어서와 같은 공지 기술에 의해 절곡 형성된다.
도면에 의하면 캇터기(A)에는 포대 몸체(1)의 양측부를 안내지지하는 안내돌조(7)(7')가 설치되이 있고 내측에는 포대 몸체(1)의 개구단부(2)를 접면하여 진입을 저지하는 횡 돌조(7")가 장설되어 있다. 또 안내돌조(7)(7')의 선단부 안쪽에는 횡돌조(7)와 거의 인접하는 위치에 사형(斜科)안내편(5)(5')을 연설하되 도면 제3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캇터기(A)의 거대면과 일정 공극을 갖게하여 포대몸체(1)를 밀어 넣을때, 포대 몸체(1)개구단부(2)의 앙쪽 모서리에 있어서 일측 모서리(3)과(3′)사이, 타측 모서리(4)와 (4')사이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포대몸체(1)를 캇더기 (A)내에 밀어 넣으면 양측부는 안내들조(7)(7')에 지지되면서 선만 개구부(2)가 횡돌조(7')에 접면할때까지 진입하고 이때 몸체(1)의 양쪽 모서리(3)(3')및 (4)(4')들 사이에는 사형 안내편(5)(5')이 각각 끼워지면서 이후 절단 용착 작업을 행할때, 사형으로 절단된 모서리부(3)과 (3')및 (4)와(4')간의 상호 용착을 방지하면서 사형, 모서리(3)(3')(4)(4')들을 각기 독립적으르 용착 밀봉할 수 있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 8'는 가일부가 내장된 캇터날을 예시한 것임.
도면 제4도는 캇터기 (A)에 포대몸체(1)를 밀어 넣어 절단용착을 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5도는 절단과 용착을 동시에 행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명도이다.
도면 제4도에 제5도에 있어서 포대몸체(1)를 밀어 넣어, 선단개구부가 횡돌조(7")에 닿게되면 캇터날(8)(8')을 하강시켜 사형 절단과 용착을 동시에 행하게 되는데 캇터날(8)(8')에 의해서는 사형 절단부를 용착 밀봉하고 이 캇터날과 일체로 설치된 가열장치(도시없음)에 의해서는 개구잔부(殘部)를 용착 밀봉항과 동시, 하 모서리부(3')(4')에 있어서는 사형안내펀(5)(5')의 선단 아래쪽 캇터기(A)내부예 장설된 열용착 금형부(도시없음)에 의해 용착 밀봉이된다. 이때 모서리부(3)과(3')딪 (4)(4') 사이에 끼워져 있는 사형 안내펀(5)(5')에 의해서는 상, 하의 열압(熱押)을 중간에서 차단 하여 모서리부(3)(3')및(4) (4') 간의 상호 열 융착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과 같은 본 고안은 횡단면 ""형으로된 포대몸체(1)롤 캇터기(A)에 밀어넣는 단일 작업만으로도 포대몸체의 개구부 (2)를 간편하게 절단, 냉각하여 밀몽시키면서 견고한 사각형의 중 포장용 비닐 포대를 제조할수 있게 되므로서 인건비에 따른 생산 단가를 저렴히게 최저로 저렴하게 낮출수 있게 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체(1)의 양측부를 ""형 절곡부(1')(1")가 대향 형성되게 한 상하 개구부(2)를 융착하여서 되는 것에 있어서, 개구부(2)의 양쪽 모서리부(3)(3')및 (4')들 사이에 사형(斜形) 안내관 (5)(5')이 껴워지게하여 사형 절단을 행함과 동시 사형 모서리부(3)(3')및 (4)(4')와 나머지 개구부(2)를 각각 동시에 용착밀봉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중 포장용 비닐 포대.
KR2019880001507U 1988-02-09 1988-02-09 중 포장용 비닐 포대 KR910001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507U KR910001720Y1 (ko) 1988-02-09 1988-02-09 중 포장용 비닐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507U KR910001720Y1 (ko) 1988-02-09 1988-02-09 중 포장용 비닐 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47U KR890017547U (ko) 1989-09-08
KR910001720Y1 true KR910001720Y1 (ko) 1991-03-22

Family

ID=1927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507U KR910001720Y1 (ko) 1988-02-09 1988-02-09 중 포장용 비닐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7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924B1 (ko) * 1999-07-03 2002-02-02 장성창 포장백 및 그 포장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47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750A (en) Method for making containers having ports
CN101239664B (zh) 包装袋及其制造方法
JP2503050B2 (ja) 容器の液充填及びこれに続く溶封の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4931034A (en) Bags made from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heeting having cutoff weld sea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bags
US8475153B2 (en) Method for forming strips of containers
US6426035B1 (en) Process for producing hollow plastic receptacles
US4001471A (en) Thermoplastic seam between juxtaposed edges of blank material
KR910001720Y1 (ko) 중 포장용 비닐 포대
CA2165245A1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such as bottles or the like, with film of thermoplastic synthetic materia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A1240466A (en) Container port and method
JP4499975B2 (ja) 容器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864348B1 (ko) 발포폼 성형 금형
JPH0435665A (ja) 坐剤成型包装体及び坐剤用コンテナ
WO2001049472A2 (en) Forming of containers
JP3068213U (ja) カッティング機構および該カッティング機構を用いるチュ―ブ充填機
JP2584575B2 (ja) 合成樹脂中空成形体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3537376B2 (ja) 容 器
JP2001047505A (ja) 合成樹脂シートの成形装置
KR200250867Y1 (ko) 펄프몰드 제품의 절단장치
JP2754481B2 (ja) 施肥用アンプルの製造方法およびアンプル
JPS6410178B2 (ko)
JPS6223484Y2 (ko)
DE1950137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uteln und Beutel mit einer Kontur
JPH0752284A (ja) 提げ手付き包装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34909A (ja) モ−ルデイングの端末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