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41B1 - 지폐묶음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묶음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41B1
KR910001241B1 KR1019870007323A KR870007323A KR910001241B1 KR 910001241 B1 KR910001241 B1 KR 910001241B1 KR 1019870007323 A KR1019870007323 A KR 1019870007323A KR 870007323 A KR870007323 A KR 870007323A KR 910001241 B1 KR910001241 B1 KR 91000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ndle
bills
vertical carrier
sli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101A (ko
Inventor
요시후미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묶음 인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폐묶음 인출장치가 구체화된 지폐묶음 및/또는 포장된 동전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중의 하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지폐묶음 인출장치의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미끄럼 블록 둘레부근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지폐묶음
3A, 3B, 3C : 수납함 4 : 수직운반기(elevator)
4a : 조절부재 10 : 미끄럼안내축
11A, 11B, l1C : 미끄럼 블록 12 : 풀리
13 : 벨트 14 : 선회축
15 : 방출 블록 15a : 지폐누름면
15b : 경사면 16 : 비틀림 스프링
17 :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 18 : 조절팔(regulating arm)
19 :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 21 : 지지 블록
92 : 방출가이드 24 : 방출모우터
28 : 지폐방출 계수센서 S1: 후퇴위치 검출센서
S2: 방출위치 검출센서 S3: 반복위치 검출센서
본 발명은 지폐묶음 인출장치 즉, 지폐묶음 지급기와 같은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지폐묶음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류된 지폐묶음을 종류별로 수납하여 지시에 따라 이 분류된 지폐묶음을 지급하는 용도의 지폐묶음 인출장치는 은행의 금전출납창구 또는 그 부근에 설치되어 있어서 묶음단위로의 지폐 지불요구에 응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종래 기술의 지폐묶음 인출장치의 하나는 "지폐묶음 방출기"라는 명칭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81691/19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은행의 금전출납창구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서랍형 수납부내에 지폐종류별로 분류된 지폐묶음을 수납할 수 있어서 금전출납계원의 지시에 따라 분류된 상태로 필요한 갯수의 지폐묶음을 방출한다.
그러나 상기의 지폐묶음 인출장치가 탁상형이어서 지폐묶음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적기 때문에 지폐묶음이 수시로 보충되어야만 한다.
그와같은 이유로 본 출원인은 일본 실용신안출원 제146500/19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지폐묶음 인출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지폐묶음 인출장치는 마루바닥 설치형(floor set type)의 기계몸체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분류된 지폐묶음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서랍형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이 수납부로부터 선정된 개수의 지폐묶음을 받아서 이 지폐묶음을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기계몸체안에 수직운반기 (elevator)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수직운반기의 이동에 의해 수납부의 인출기구가 작동하게 되어 있으며 이 지폐묶음을 각각의 수납부로부터 수직운반기로 배급하는데에 단일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장치 몸체안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묶음을 수납함에 정연한 적층상태로 배치되게 하여 수직운반기안에 수용되는 지폐묶음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1회 작동시마다 지급되는 금액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또한 더 나아가 수직운반기를 최소 크기가 되게 하여 기계몸체안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므로써 지폐수납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묶음 인출장치는 지폐묶음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의 앞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운반기, 수직운반기와 수납함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미끄럼 블록, 이 미끄럼 블록위에 선회(swing)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선회축위에 설치된 방출 블록, 수직운반기와 접촉상태에 있는 선회블록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 그리고 낙하된 지폐뭉치를 받아내어 이 지폐뭉치를 수직운반기속으로 천천히 안내하기 위한 지지 블록, 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축에 관한 방출 블록의 회전운동은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가 특정위치에 있는 수직운반기와 접촉할 때 이 로울러에 의해 조절된다.
이 방출 블록이 조절된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미끄럼 블록이 상향이동을 하면 방출 블록이 지폐묶음을 눌러서 수납함으로부터 방출시키며 미끄럼 블록으로부터 돌출한 지지 블록이 지폐묶음을 일시적으로 지지한 후에 이 지폐묶음을 수직운반기 속으로 급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것이다.
지폐묶음(2)은 모두 다발로 묶어진 지폐(2)나 지폐묶음(2)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도면들상에 탈재번호 1은 지폐묶음(2) 수납용 함(3A∼3C)과 포장된 동전수납용 카세트 케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다단으로 수직 적층되어 있어서 수평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계몸체를 나타낸다.
수직운반기(4)도 역시 이 기계몸체(1)안에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운반기(4)의 공간(4a)안에는 지폐묶음(2) 안내용 안내표면(db)을 가진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운반기(4)는 예컨대 11단에 걸쳐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10단으로 수직 적층되어 있는 카세트 케이스 및/또는 이 카세트 케이스의 특정단 예컨대 1번째 단, 5번째 단 및 9번째 단에 배치되어 있는 수납함(3A∼3C)으로부터 포장된 동전 및/또는 지폐묶음을 받은 후에 지급구(5)에 대면하고 있는 최상단에 도달한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함(3A∼3C)은 기계몸체(1)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6) (제3도)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어 모든 지폐종류(예컨대, 밑에서부터 1,000엔(yen)권 지폐, 5,000엔권 지폐 및 10,000엔권 지폐의 순서)대로 분류되어 수평으로 적층상태로 배치된 지폐묶음(2)을 수납하고 있다. 각각의 수납함(3A∼3C)은 지폐묶음을 수평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한 누름판(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수납함(3A∼3C)은 적어도 앞끝부분(제1도상의 오른쪽 끝)의 윗면에서 열리며 지폐묶음의 높이(제3도상의 수직방향의 치수)의 약 ½의 치수를 갖는 앞판(8)을 구비하여 지폐묶음(2)의 전방이동을 조절한다.
예비 지폐묶음 및 / 또는 포장된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예비 수납함(3D∼3F)은 기계몸체(1)안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폐뭉치 및 / 또는 포장된 동전을 신속하게 보충하기 위하여 각각의 수납함(3A∼3C)의 위아래쪽의 공간에 배치된다.
수납함(3A∼3C)의 앞에 있는 공간안에는 미끄럼 안내축(10 및 10)이 지주(9)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지주 또한 기계몸체(1) 안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미끄럼 안내측(10 및 10)은 지지브래킷(10a 및 10a)을 관통하여 지주(9)에 체결되어 미끄럼 블록(11A∼11C)을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한다. 각각의 지주(9)의 윗끝과 아래끝 부근에는 풀리(12 및 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풀리에는 벨트(13)가 감겨 있다(동력을 확실히 전달하기 위하여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는 이붙이 벨트가 사용되어 있다).
각각의 미끄럼 블록(11A∼11C)은 이 벨트(1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벨트(13)의 이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선회축(14)은 각각의 미끄럼 블록(11A∼11C)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선회축(14)은 지폐묶음의 밑면과 맞닿아서 이 지폐묶음(2)을 위쪽으로 밀어올리기 위한 방출 블록(15)을 지지하며 대개 비틀림 스프링(16)에 의해 가압되어 제3도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방출 블록(15)는 지폐묶음(2)의 밑면에 맞닿는 작용을 하는 지폐누름면(15a)과 경사면(15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경사면 위에는 상기 안내부재(6)의 앞에 설치되어 있는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17)가 미끄럼 이동한다.
방출 블록(15)의 경사면(15b)은 미끄럼 블록(11A∼11C)이 하향 이동하고 비틀림 스프링 (1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방출 블록(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누름면(15a)을 수평으로 유지할 때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17)에 의해 위쪽으로 눌린다.
하나의 선회축(14)마다 누름표면(15a)의 높이가 다른 2개의 방출 블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선회축(14)에는 이 선회축(14)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조절팔(18)이 구비되어 있다.
이 조절팔(18)의 앞끝부분에는, 수직운반기(4)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조정부재(4c)에 대하여 맞닿아 있으며 이 수직운반기(4)가 특정위치, 즉 수납함(3A, 3B 또는 3C)중의 하나로부터 방출된 지폐묶음(2)을 받기 위한 위치에 있을 때 선회축(14)(다시 말하면 방출 블록(15))의 회전이동을 조절하는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19)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블록(11A∼11C)의 각각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 블록(21)을 구비하여 이 미끄럼 블록(11A∼11C)과 함께 상하이동이 가능한 각각의 지지팔(20)이 수평으로 뻗어 구비되어 있다.
부재번호 22는 수납함(3A∼3C)으로부터 위쪽으로 밀어올려진 지폐묶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출가이드를 나타내며, 부재번호 23은 수납함(3A∼3C)의 앞면에 대하여 맞닿아서 자기력에 의해 이 수납함들을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가리키며, 부재번호 24는 풀리(25) 및 벨트(26)를 통하여 풀리(1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우터를 가리키며, 부재번호 27은 카세트 케이스를 작동시키고 이 카세트 케이스로부터 포장된 동전을 방출시키는 모우터를 가리키고, 부재번호 28은 지폐묶음(2)이 수납함(3A∼3C)으로 방출될 때마다 방출되는 지폐묶음의 수를 계수하는 광센서와 같은 검지기를 가르킨다.
모우터(24)는 방출 블록(15)의 후퇴위치 검출센서(S1), 방출위치 검출센서 (S2) 및 반복위치 검출센서(S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모든 센서들은 제1도의 밑바닥으로부터의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미끄럼 안내축(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들 (S1~S3)은 예컨대 광센서들이어서 미끄럼 블록(11B)의 상하이동에 의한 광선투과상태 또는 광선 차단상태에 따라 이 광센서들이 스위치 전환되어져 이 미끄럼 블록(11B)의 위치를 검지한다.
이 미끄럼 블록(11B)이외의 다른 2개의 미끄럼 블록들(11A 및 11C)은 이 미끄럼 블록(11B)으로부터 선정된 거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는 벨트(1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끄럼 블록(11B)하나의 위치를 검출하므로써 다른 미끄럼 블록들(11A 및 11C)두개의 위치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폐묶음 인출장치의 작동은 각각의 센서 (S1, S2및 S3)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호 "H"는 광선 차단상태를, 부호 "L"은 광선 투과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i) 후퇴상태(즉, 금액이나 화폐종류를 지정하는 지급 명령을 내리기 이전의 상태)에서,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17)는 방출 블록(15)의 경사면(15b)을 밀어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폐누름면(15a)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반면에, 벨트(13)는 누름면(15a)이 지폐묶음의 아래표면 밑에 위치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후퇴위치 검출센서 (S1)는 "H"가 되고 수직운반기(4)는 최하위치에서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ii) 지급명령이 내려지면, 수직운반기(4)는 위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맨아래쪽의 수납함(3A)의 정면에서 멈춘다.
정지된 수직 운반기(4)와 맨아래쪽의 수납함(3A)사이에 위치된 방출 블록(15)이 이 방출 블록(15)을 지지하는 선회축(14)과 일체를 이루는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19)가 수직운반기(4)의 조절부재(4c)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에 놓이므로 이 방출 블록(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수직운반기 (4)가 정지한 후에 전동기 (24)가 작동되므로써 각각의 미끄럼 블록(11A 및 11C) 벨트(13)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 블록들(11A ∼ 11C)에 의해 지지되는 방출 블록(15) 또한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후에는, 미끄럼 블록(15)을 위쪽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출모우터(24)의 회전은 "정회전"으로 표시되고 미끄럼 블록(15)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하는 모우터(24)의 회전은 "역회전"으로 표시된다).
(iii) 각각의 방출 블록(15)은 위쪽으로 이동되어 지폐묶음(2)의 아래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미끄럼 블록(11B 및 11C)에 의해 지지되는 방출 블록(15)에 있어서는, 이 미끄럼 블록이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17)로부터 이격되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이 방출 블록은 비틀림 스프링(16)에 의한 선회축(1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제4도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미끄럼 블록(11A 및 11C)의 어느것도 지폐묶음(2)을 밀어낼 수 없어서 지폐묶음은 수납함 (3B 및 3C)으로부터 방출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미끄럼 블록(11A)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방출 블록(15)의 회전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로울러(19)와 부재(4c)의 맞물림에 의해 조절되므로 지폐 누름면(15a)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이 미끄럼블록(11A)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폐묶음(2)의 아래표면을 민다.
미끄럼 블록(11A)이 위쪽으로 이동될 때 이 미끄럼 블록(11A)과 일체로 형성된 앞판(8)의 위끝보다 더 높이 위쪽으로 밀어내어진 지폐묶음(2)은 누름판(7)의 수평가압력에 의해 제4도의 오른쪽으로 밀어내어져서 수직운반기(4)로 급송된다.
또한 미끄럼 블록(11A)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블록(21)은 이 미끄럼 블록(11A)의 상향이동(즉 지폐묶음(2)의 상향이동)과 연동하여 위쪽으로 돌출하며 제4도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자세에서 앞판(8)을 타고 넘은 지폐묶음(2)을 지지한다. 그리고 미끄럼 블록(11A)이 지폐묶음(2)이 방출될 수 있는 위치보다 더 높이 위쪽으로 이동될 때 방출위치 검출센서(S2)는 "L"로부터 "H"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지폐 방출 모우터(24)는 역회전하기 시작하여 후퇴위치 검출센서 (S1)가 "H"로 전환되어 이 모우터(24)가 정지할 때마다 미끄럼 블록(11A∼11C)의 위치를 낮춘다.
미끄럼 블록(11A)의 하향이동으로 인하여 지지 블록(21) 또한 하향이동하며 이에 따라 지폐묶음(2)은 서서히 낙하하여 수직운반기(4)안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지폐묶음이 수납함(3A∼3C)안에서 압축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동안 원형으로 구부러졌거나 절첩선과 같은 손상을 입은 지폐묶음(2)의 탄성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표면(4b)에 의해 지폐(2)를 안내하여 지폐묶음(2)을 수직운반기(4)의 공간(4a)으로 안정성 있고 평활하게 급송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이 지폐묶음(2)이 누름판(7)의 수평가압력에 의해 진동되는 동안에 이 지폐묶음이 천천히 하향이동을 함에 따라 지지 블록에 의해 평온하게 지지되기 때문이다.
미끄럼 블록(11B 및 11C)에 설치되어 이 미끄럼 블록의 상향이동시에 흘러내리게 되는 방출 블록(15)은 방출 블록의 경사면(15b)과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17)가 맞물림에 따라 지폐누름면(15a)이 수평으로 되는 원래 자세로 복귀된다.
방출 블록(15)이 상하 2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폐가 절첩되거나 구부러져 손상을 입었을 때 상부 방출 블록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의 지폐묶음(2)을 하부 방출 블록이 잡아서 이 지폐묶음(2)을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iv) 지폐묶음(2)의 인출작동과 동시에 그리고 그 전후에서 수납함(3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는 카세트 케이스로부터 포장된 동전을 인출한 후에 수직운반기(4)는 다음의 필요한 화폐종류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함이나 카세트 케이스가 존재하는 위치를 향하여 위쪽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일한 작동이 이후에도 반복된다.
(v) 수직운반기(4)는 필요한 개수의 지폐묶음 및 / 또는 포장동전이 채워진 후에 최상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1회의 인출작동이 완료된다.
특정한 종류의 지폐묶음(2)이 복수개 필요한 경우에는, 방출위치 검출센서(S1)가 전술한 단계 (iii)에서 "H"로 전환된 후의 방출모우터(24)의 역회전에 의해서, 그런 다음 반복위치 검출센서 (S3)가 "H"로 스위치 전환된 후의 방출모우터 (24)의 정회전에 의하여 그리고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필요한 개수의 지폐묶음(2)이 수직운반기(4)로 급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i) 방출 블록을 2개의 단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1단형 방출 블록이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반면에 다단형 방출 블록이 본장치의 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ii)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1단, 제5단 및 제9단에 수납함들을 고정 설치할 필요가 없다.
어떤 다른 단들도 선택될 수 있다.
(iii)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봉형상의 지지 블록을 채용할 필요가 없다.
어떤 형상의 지지 블록이라도 경사자세를 유지하는 아래변으로부터 지폐묶음을 지지할 수 있고 미끄럼 블록과 함께 상하로 이치동이 가능한한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묶음 인출장치는, 지폐묶음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함 앞에 배치되는 수직운반기, 수직운반기와 수납함 사이의 구동벨트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미끄럼 블록, 각각의 미끄럼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축에 체겹되어 있는 방출 블록, 이 수직운반기에 접촉되어서 선회축의 회전을 조절하는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 미끄럼 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 블록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지지 블록,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i) 지폐묶음이 상향이동되는 방출 블록에 의해 수납함으로부터 밀려나온 다음 미끄럼 블록의 하향이동에 의해 지지 블록의 위치를 낮출때 이 지폐묶음이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어서 이 지폐묶음을 수직운반기로 천천히 그리고 평활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ii) 단일 동력원에 의해 각각의 미끄럼 블록을 구동하고 다만 수직운반기가 정지되는 위치에 있는 수납함으로부터 지폐묶음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iii) 다른 미끄럼 블록들의 위치가 하나의 미끄럼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므로써 검지될 수 있으므로 지폐묶음 방출 작동시에 미끄럼 블록들의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제어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1)

  1. 지폐묶음 인출용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는 현금지급기의 기계몸체안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적층상태의 지폐묶음을 수납하고 있는 복수개의 함, 상기 수납함의 앞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직운반기, 상기 수직운반기와 수납함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미끄럼 안내축, 상기 미끄럼 안내축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끄럼 블록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회축, 상기 미끄럼 블록과 함께 상향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수납함으로부터 지폐묶음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선회축 주위에서 선회가능한 방출 블록, 지폐묶음의 밑면과 접촉하게 되는 지폐누름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방출 블록이 상기 미끄럼 블록과 함께 하향 이동할 때 상기 누름면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는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방출 블록, 상기 선회축과 함께 선회가능하며 상기 경사면이 상기 방출 블록 역전로울러상에 대하여 맞닿도록 하는 방향을 향하여 통상 가압되는 조절팔, 상기 수직운반기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직운반기의 한 부분에 대하여 맞닿게 되어서 상기 방출 블록의 선회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팔에 설치되어 있는 방출 블록 조절로울러, 및 상기 미끄럼 블록에 의해 상기 수납함들로부터 밀려나온 지폐묶음을 지지하므로써 상기 수직운반기 위로 지폐묶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돌출 지지 블록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미끄럼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묶음 인출용 장치.
KR1019870007323A 1986-07-08 1987-07-08 지폐묶음 인출장치 KR910001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4519 1986-07-08
JP104519 1986-07-08
JP1986104519U JPH0544347Y2 (ko) 1986-07-08 1986-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101A KR880002101A (ko) 1988-04-29
KR910001241B1 true KR910001241B1 (ko) 1991-02-26

Family

ID=1438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323A KR910001241B1 (ko) 1986-07-08 1987-07-08 지폐묶음 인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56449A (ko)
JP (1) JPH0544347Y2 (ko)
KR (1) KR910001241B1 (ko)
DE (1) DE3721905A1 (ko)
FR (1) FR2601343B1 (ko)
GB (1) GB21937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2B1 (ko) * 2008-11-10 2014-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4566D0 (en) * 1989-02-28 1989-04-12 De La Rue Systems Ltd Sheet stacking apparatus
US5105069A (en) * 1989-04-07 1992-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service transaction apparatus and method
GB2275678A (en) * 1993-03-03 1994-09-07 I S S Dispensing apparatus
US5478185A (en) * 1993-12-27 1995-12-26 Tension Envelope Corporation Bulk envelope container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SE506518C2 (sv) * 1997-03-20 1997-12-22 De La Rue Cash Systems Ab Anordning för matning av blad från ett förråd av blad
WO1998048384A2 (de) * 1997-04-23 1998-10-29 Hess Sb - Automatenbau Gmbh Geld-ausgabeautomat
GB2365610A (en) 2000-08-02 2002-02-20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EP2682016B1 (en) 2013-02-11 2015-08-12 Pandora A/S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NL2011866C2 (nl) * 2013-11-29 2015-06-01 Global Cash Solutions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geven van bankbiljetten.
IT201600083998A1 (it) * 2016-08-09 2018-02-09 Cima Macchin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porta-valori e dispositivo di accoglimento e movimentazione di un contenitore porta-valori per tale macchin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6297A (en) * 1929-05-10 1930-06-24 Gordon B Macke Vending machine
US1887197A (en) * 1929-08-30 1932-11-08 Collier Advertising Service In Vending machine
US2117906A (en) * 1937-02-01 1938-05-17 Fmc Corp Shook feeding device
US3750804A (en) * 1969-03-07 1973-08-07 Triax Co Load handling mechanism and automatic storage system
DE2506195B2 (de) * 1974-02-22 1976-11-25 Glory Kogyo KJC., Himeji, Hyogo (Japan) Geraet zum ausgeben von aus banknoten zusammengestellten geldbetraegen
JPS5781691A (en) * 1980-11-07 1982-05-21 Laurel Bank Machine Co Bank note bundle vending machine
JPS5837789A (ja) * 1981-08-28 1983-03-05 株式会社東芝 紙葉束放出機
US4591070A (en) * 1984-05-01 1986-05-27 Fawn Engineering Corp. Article dispenser adjustable for different size articles
US4745266A (en) * 1985-09-25 1988-05-17 Laurel Bank Machines Co., Ltd. Bill bundle drawing ou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2B1 (ko) * 2008-11-10 2014-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3712B (en) 1989-12-13
GB8715709D0 (en) 1987-08-12
US4756449A (en) 1988-07-12
FR2601343B1 (fr) 1990-09-28
JPS6311442U (ko) 1988-01-25
DE3721905A1 (de) 1988-01-21
FR2601343A1 (fr) 1988-01-15
GB2193712A (en) 1988-02-17
KR880002101A (ko) 1988-04-29
JPH0544347Y2 (ko) 199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982B2 (ja)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KR910001241B1 (ko) 지폐묶음 인출장치
EP1489563A1 (en) Paper money receiving and paying apparatu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04240904A (ja) 紙幣入出金装置
JPS5930186A (ja) 自動預金・支払装置用紙幣収納機構
KR900009173Y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누름 장치
JP2772171B2 (ja) 現金処理装置の入出金機構
JPS6210788A (ja) 紙幣振り分け放出機
JP3148603B2 (ja) 棒金搬送装置
JPH03240898A (ja) 棒金収納投出装置
US6302294B1 (en) Rolled coin dispenser
JPH0352748Y2 (ko)
JPH11238162A (ja) 紙幣入出金処理装置
KR900009172Y1 (ko) 지폐 출납기의 환류지폐 누름장치
JP2960280B2 (ja) 紙幣束放出機
JP2020060938A (ja) 硬貨集積機構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7187067B2 (ja) 棒金処理装置
JPH04341473A (ja) 紙葉類の繰出し・収納箱
JPH0636210B2 (ja) 紙幣処理装置
JPH11250310A (ja) 小束処理装置および小束処理装置の小束収納庫
JPH11250312A (ja) 小束処理装置および小束処理装置の小束収納庫
JPH11134533A (ja) 小束処理装置
JPH03240897A (ja) 棒金収納取出機構
JP2500579Y2 (ja) 紙幣入出金装置の一括収納庫の紙幣堆積板機構
JPH11250311A (ja) 小束処理装置および小束処理装置の小束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